KR20060086129A -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129A
KR20060086129A KR1020050007033A KR20050007033A KR20060086129A KR 20060086129 A KR20060086129 A KR 20060086129A KR 1020050007033 A KR1020050007033 A KR 1020050007033A KR 20050007033 A KR20050007033 A KR 20050007033A KR 20060086129 A KR20060086129 A KR 2006008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nal output
pilot
outpu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279B1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 기산텔레콤
영우통신 주식회사
(주)에프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기산텔레콤, 영우통신 주식회사, (주)에프알텍 filed Critical (주) 기산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0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2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31Signal power control using AG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순방향 최종 출력을 커플링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커플러와;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 최종 출력을 기초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파일럿 파워 추출부와; 인가되는 각종 신호를 기초로 송수신 이득을 제어하고, 마스터 유닛과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현재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운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딩, 송수신 이득제어, AGC(Auto Gain Control), 전파 출력, 알람 검출, 해당 장애 파악 및 상위 시스템으로 주기적인 상태보고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와;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는 순방향 증폭부와; 조절된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는 MCPA(Multi Carrier Power Amplifier); 및 MCPA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순방향 최종 출력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기준치와의 편차를 측정하고, 그 편차만큼의 이득을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인 순방향 최종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cell coverage of optical repeater}
도 1은 종래의 광중계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마스터 유닛 300: 슬레이브 유닛
310: 커플러 320: 파일럿 파워 추출부
321: 주파수 변환기 322: ADC
323: 코드 도메인 분석기 330: 제어보드
340: 경보 발생부 350: 순방향 증폭부
360: MCPA 370: 듀플렉서
본 발명은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중계기의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추출하여 파일럿 전력(pilot power)을 측정함으로써 이득을 보상하고 순방향 출력의 편차가 일정 레벨 이상(예컨대, ± 3dB)일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일반 수요자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대로 미치지 못했던 산간벽지나 낙도, 도심지역 중 전파환경이 열악한 지하 공간 등의 전파 음영지역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지역에서 더욱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통화량이 낮은 지역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기지국을 건설하여 운용하는 것은 투자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영 수지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기지국 대신 중계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중계기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무선 중계방식, CATV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중계방식, 레이저나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광 중계방식 등이 있는데, 성능 및 경제성면에서 광중계기가 우수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광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선로를 통해 지정된 원격 지역으로 전송하고, 다시 RF 신호로 재생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중계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110), 광중계기(120) 및 이동단말기(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중계기(120)는 마스터 유닛(121) 및 슬레이브 유닛(1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110)은 송신 RF 신호를 발생시켜 광중계기(120)의 마스터 유닛(121)으로 전송하고, 마스터 유닛(121)으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RF 신호를 처리한다. 광중계기(120)는 기지국(110)과의 송수신 신호 링크를 목적으로 하는 마스터 유닛(121)과 이동단말기(130)와의 송수신 신호 링크를 목적으로 하는 슬레이브 유닛(122)으로 구성된다. 마스터 유닛(121)과 슬레이브 유닛(122)간은 일반적으로 2 내지 20Km 정도의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마스터 유닛(121)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RF 신호를 증폭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광선로를 통해 슬레이브 유닛(122)으로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 유닛(121)은 광선로를 통해 슬레이브 유닛(122)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고 수신 RF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110)으로 전송한다.
슬레이브 유닛(122)은 마스터 유닛(121)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역다중화하여 송신 RF 신호로 변환하고, 고전력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한 후 필터링하여 안테나를 통해 이동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또한, 슬레이브 유닛(122)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단말기(130)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RF 신호를 필터 링하고 저잡음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한 후 파장분할다중화에 의한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선로를 통해 마스터 유닛(121)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계절 및 일교차 등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이득 변화, 광중계기 내의 모듈 열화에 따른 이득 감소 및 광선로 손실 변화 등에 의해 순방향 이득이 변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순방향 이득이 변할 경우, 순방향 출력이 변해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가 변하므로 기지국과 광중계기간 또는 광중계기와 광중계기간의 간섭이 증가하고, 과도한 소프트(soft) 또는 소프터 핸드오프(softer hand off)가 발생하고, 순방향/역방향 링크 언밸런스가 발생하고, 호 절단율이 증가하고, 셀 커패시티(cell capacity)가 감소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광중계기 유지/보수 담당자들이 수시로 이득을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시간 및 인력이 낭비된다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광중계기의 슬레이브 유닛에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파일럿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파일럿 전력을 이용하여 순방향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순방향 출력의 편차가 일정 레벨 이상(예컨대, ± 3dB)일 경우 경보를 발생시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으로 이루어진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커플링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커플러와;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 최종 출력을 기초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파일럿 파워 추출부와; 파일럿 파워 추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인가되는 각종 신호를 기초로 송수신 이득을 제어하고, 마스터 유닛과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현재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운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딩, 송수신 이득제어, AGC(Auto Gain Control), 전파 출력, 알람 검출, 해당 장애 파악 및 상위 시스템으로 주기적인 상태보고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와; 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는 순방향 증폭부와; 순방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절된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는 MCPA(Multi Carrier Power Amplifier); 및 MCPA에 연결되어 있으며, MCPA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으로 이루어진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커플링하는 단 계와; 순방향 최종 출력을 기초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파일럿 파워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기준치와의 편차를 산출하고, 그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고, 편차가 기준치 이하이면 이득 제어신호를 지정된 경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고, 증폭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본 안정화 장치는 크게 마스터 유닛(200)과 슬레이브 유닛(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레이브 유닛(300)은 커플러(310), 파일럿 파워 추출부(320), 제어보드(330), 경보 발생부(340), 순방향 증폭부(350), MCPA(Multi Carrier Power Amplifier)(360) 및 듀플렉서(3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파일럿 파워 추출부(320)는 주파수 변환기(32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322) 및 코드 도메인 분석기(323)로 이루어져 있다.
커플러(310)는 RF 신호를 분기 및 결합하는 수동소자로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커플링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럿 파워 추출부(320)는 커플러(3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커플러(310)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 최종 출력을 기초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그 레벨을 측정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럿 파워 추출부(320)는 주파수 변환기(321), ADC(322) 및 코드 도메인 분석기(3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파수 변환기(321)는 커플러(310)로부터 인가되는 커플링된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와 레벨이 되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ADC(322)는 변환된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코드 도메인 분석기(32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채널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그 레벨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DMA의 경우, 64채널로 이루어져 있고, 0번 채널은 파일럿 채널이고, 1 내지 7번 채널은 페이징 채널이고, 32번 채널은 Sync 채널이고, 나머지 채널은 트리픽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코드 도메인 분석기(323)는 0번 채널을 분석하여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일럿 신호를 기초로 파일럿 파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일럿 채널은 각 기지국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 되는 무변조 직접 시퀀스 스펙트럼 확산신호를 특징으로 하는 CDMA/W-CDMA 시스템의 논리채널로써, 파일럿 신호는 이동단말기가 순방향 채널의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하고 복조를 위한 위상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동단말기가 포착이나 핸드오프를 위한 최상의 기지국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된다.
제어보드(330)는 파일럿 파워 추출부(3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인가되는 각종 신호를 기초로 송수신 이득을 제어하고, 마스터 유닛(200)과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본 안정화 장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본 안정화 장치의 운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딩, 송수신 이득제어, AGC(Auto Gain Control), 전파 출력, 알람 검출, 해당 장애 파악 및 상위 시스템으로 주기적인 상태보고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 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보드(330)는 파일럿 파워 추출부(320)에서 측정된 파일럿 신호를 주기적(예컨대, 0.5dB 스텝)으로 비교하여 기준치와의 편차를 산출하고, 순방향 출력을 안정화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준치와의 편차가 소정 레벨(예컨대, ± 3dB) 이상인 경우에는 경보 제어신호를 지정된 경로로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경보 발생부(340)는 제어보드(3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보드(330)로부터 인가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경보 발생부(340)는 그 기능을 부각시키기 위해 별도로 도시하였지만, 제어보드 내에 일체로 탑재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순방향 증폭부(350)는 제어보드(3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보드(330)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CPA(360)는 순방향 증폭부(350)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절된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듀플렉서(370)는 MCPA(360)에 연결되어 있으며, MCPA(360)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서는 마이크로파 유전체 상유전 특성을 이용한 대역통과 필터로서,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 통과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듀플렉서는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하여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RF 부품으로 필요한 전파만을 걸러내고 불필요한 것은 제거하는 일종의 전파 필터링 장치이다. 다른 필터와 비교할 때 듀플렉서는 크기 대비 분리도가 크고 고주파수대에서 온도변화에 대해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커플러는 순방향 최종 출력을 커플링하여 파일럿 파워 추출부로 전달한다(S310). 파일럿 파워 추출부의 주파수 변환기는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커플링된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와 레벨이 되도록 변환하고(S320), ADC는 변환된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S330), 코드 도메인 분석기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채널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그 레벨을 측정한다(S340). 전술한 바와 같이, CDMA의 경우, 디지털 신호는 64채널로 이루어져 있고, 0번 채널은 파일럿 채널이고, 1 내지 7번 채널은 페이징 채널이고, 32번 채널은 Sync 채널이고, 나머지 채널은 트리픽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코드 도메인 분석기는 0번 채널을 분석하여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일럿 신호를 기초로 파일럿 파워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보드는 코드 도메인 분석기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주기적(예컨대, 0.5dB 스텝)으로 비교하여 기준치와의 편차를 산출하여 그 편차가 기준치(예컨대, ± 3dB)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50). 그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내부적인 결함이 상당히 심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S360), 그 편차가 기준치 이하이면 순방향 증폭부로 이득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순방향 증폭부는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고(S370), MCPA는 순방향 증폭부에 의해 조절된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고 듀플렉서는 MCPA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한다(S380).
이와 동시에, 순방향 최종 출력이 상기 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손실을 피드백시켜 안정적인 순방향 최종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이득을 자동 조절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순방향 최종 출력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기준치와의 편차를 측정하고, 그 편차만큼의 이득을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인 순방향 최종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적인 순방향 최종 출력을 산출함으로써, 기지국과 광중계기간 또는 광중계기와 광중계기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과도한 소프트(soft) 또는 소프터 핸드오프(softer hand off)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순방향/역방향 링크 언밸런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호 절단율이 증가하는 것을 방 지하고, 셀 커패시티(cell capacity)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으로 이루어진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커플링하여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 최종 출력을 기초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파일럿 파워 추출부;
    상기 파일럿 파워 추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인가되는 각종 신호를 기초로 송수신 이득을 제어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과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현재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운용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딩, 송수신 이득제어, AGC(Auto Gain Control), 전파 출력, 알람 검출, 해당 장애 파악 및 상위 시스템으로 주기적인 상태보고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
    상기 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는 순방향 증폭부;
    상기 순방향 증폭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절된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는 MCPA(Multi Carrier Power Amplifier); 및
    상기 MCP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MCPA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파워 추출부는 주파수 변환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코드 도메인 분석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커플링된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와 레벨이 되도록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변환된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코드 도메인 분석기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채널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파일럿 파워 추출부에서 측정된 파일럿 신호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기준치와의 편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편차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안정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치와의 편차가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경보 제어신호를 지정된 경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4.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으로 이루어진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a)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커플링하는 단계;
    (b) 상기 순방향 최종 출력을 기초로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
    (c) 측정된 상기 파일럿 파워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기준치와의 편차를 산출하고, 그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편차가 기준치 이하이면 이득 제어신호를 지정된 경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득 제어신호를 기초로 순방향 출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상기 순방향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순방향 최종 출력을 결정하고, 증폭된 상기 순방향 최종 출력을 지정된 경로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커플링된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와 레벨이 되도록 변환하는 단계;
    (b2) 변환된 상기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b3)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채널의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여 파일럿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방법.
KR1020050007033A 2005-01-26 2005-01-26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KR10066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033A KR100667279B1 (ko) 2005-01-26 2005-01-26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033A KR100667279B1 (ko) 2005-01-26 2005-01-26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129A true KR20060086129A (ko) 2006-07-31
KR100667279B1 KR100667279B1 (ko) 2007-01-12

Family

ID=3717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033A KR100667279B1 (ko) 2005-01-26 2005-01-26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482B1 (ko) * 2008-11-05 2011-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빔 선택 및 게인 조절 기능을갖는 릴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4452B1 (en) 1994-03-24 2002-07-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Repeater for radio paging system
KR20000042660A (ko) * 1998-12-26 2000-07-15 서평원 광중계 시스템의 이득제어방법
KR20020044827A (ko) * 2000-12-06 2002-06-19 김동우 Cdma/tdd 이동통신시스템용 신호 센서에 의한 경로 스위칭광중계기
KR20030064008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광 중계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7355993B2 (en) 2002-06-27 2008-04-08 Adkins Keith L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gain control in a power controlled repeater
KR100546479B1 (ko) * 2003-05-14 2006-01-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광중계기의 광손실 보상장치 및 그방법
KR20050032244A (ko) * 2003-10-01 2005-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파이롯트 신호를 이용한 광 중계기의 이득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279B1 (ko) 200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4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radio-frequency signals
US9287967B2 (en) Method, apparatus, and radio remote unit for transmitting wireless base band data
KR100352852B1 (ko) 광기지국용 수신신호 전송장치
AU770706B2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CN211830769U (zh) 一种5g变频光分布系统
KR101868965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리모트 장치
CN102870351B (zh) 抑制导频信号串扰的方法、装置及导频信号接收装置
EP3242415A1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KR20180089162A (ko) 헤드엔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기 검출 오류를 복구하는 방법
CN101944956B (zh) 基于三网融合的无线信号光纤接入系统
KR100667279B1 (ko) 광중계기의 셀 커버리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
KR100251685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100761385B1 (ko) 케이블 결선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자동 보상 및 고장 검출장치
KR100546479B1 (ko)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광중계기의 광손실 보상장치 및 그방법
CN202424726U (zh) 多制式射频光传输模块
KR100362778B1 (ko) 멀티 드롭 광전송 장치
KR20160082095A (ko) 이동통신신호 및 서비스 주파수 대역 검출 장치
JP2008236370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CN112867126B (zh) 链路增益自适应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495113B1 (ko) 디지털 게인 자동컨트롤 방법
KR100703440B1 (ko) 멀티모드 광섬유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신호를 처리하기위하여 if 대역을 선정하는 rof 링크 장치 및 그 if대역 선정 방법
JP6296560B2 (ja) 光中継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CN110120843B (zh) 一种检测天馈口信号质量的方法及装置
JP280343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無線基地局装置
JP2009065569A (ja) 中継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