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532A - 캠코더의 핸드그립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핸드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532A
KR20060085532A KR1020050006438A KR20050006438A KR20060085532A KR 20060085532 A KR20060085532 A KR 20060085532A KR 1020050006438 A KR1020050006438 A KR 1020050006438A KR 20050006438 A KR20050006438 A KR 20050006438A KR 20060085532 A KR20060085532 A KR 2006008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belt
bracket
camcord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소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5532A/ko
Publication of KR2006008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핸드그립은 손이 삽입되는 손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핸드벨트;와 상기 핸드벨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고리;와 상기 고리가 회전가능 하도록 고리의 일축과 힌지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고리를 이루는 부재의 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삽입홈에 삽입구에 삽입된다. 또한, 브라켓에는 본체외면과 브라켓에 각각 마련된 스크류 체결공의 위치를 일치시켜주는 위치결정돌기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핸드그립에 의하면, 사용자는 좋은 파지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이 사라지며, 벨트가 마찰에 의해 빨리 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캠코더의 핸드그립{HANDGRIP OF CAMCORDER}
도 1은 종래의 핸드그립이 캠코더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그립이 캠코더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그립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본체 37: 벨트
38: 몰드물 40: 밴드
41, 42: 매직테이프 47: 손삽입부
50: 브라켓 51: 삽입부
52: 위치결정돌기 53: 스크류체결공
54: 삽입구 56: 고리
57: 회전축 59: 회전축 수용부
63: 스크류체결공 65: 홈
70: 걸림쇠 72: 보스
본 발명은 캠코더의 핸드그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핸드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캠코더를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캠코더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드그립이 마련되어 있다.
종래 캠코더의 핸드그립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1)의 일단은 캠코더 본체(10)의 내부에서 몰드물(12)에 걸려 고정되고, 벨트(11)의 타측을 브라켓(20)에 마련된 벨트 삽입구(15)를 관통시킨 다음, 벨트(11)를 구부려 밴드(16)의 중간부에 설치된 매직테이프(17)에 벨트(11)의 단부에 설치된 매직테이프(18)를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특히, 벨트(11)의 타측이 관통되는 벨트 삽입구(15)는 브라켓(20)과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20)의 삽입부(22)가 본체(10)의 삽입구(23)에 삽입되어 스크류(24)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브라켓(20)은 본체(10)에 고정되었다.
상기 브라켓(2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가공으로 벨트삽입구(15) 및 스크류체결공(21)을 뚫은 다음, 90도로 절곡되도록 벤딩가공 하여 완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핸드그립에 사용되는 벨트(11)는 부드러운 직물이 아니라 내구성을 가진 질긴 직물로 되어 있었다. 또한 벨트삽입구(15)는 브라켓(20)과 일체로 되어 있어, 본체(10)에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벨트(11)가 벨트삽입구(15)에 삽입되면 벨트(11) 중 벨트삽입구(15)에 삽입된 후 구부러진 부분이 벨트삽입구(15)를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어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맞도록 벨트(11)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좋은 파지감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벨트삽입구(15)가 마련되며 본체(10)외부로 노출되는 브라켓(20)의 노출부(26)에는 날카로운 모서리부(25)가 있어, 모서리부(25)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벨트삽입구(15)는 고정되어 있으며, 벨트삽입구(15)는 모서리부를 지니고 있는바, 벨트(11)가 벨트삽입구(15)에 삽입되어 접히는 부분은 모서리부와의 마찰에 의해 빨리 닳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좋은 파지감을 유지할 수 있는 핸드그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을 제거한 핸드그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핸드그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핸드그립은 손이 삽입되는 손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핸드벨트;와 상기 핸드벨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고리;와 상기 고리가 회전가능 하도록 고리의 일축과 힌지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는 중앙이 뚫린 사각모양의 링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를 이루는 부재의 단면은 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본체외면과 상기 브라켓에 각각 마련된 스크류 체결공의 위치를 일치시켜주는 위치결정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캠코더의 핸드그립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전면에 피사체의 상을 투시하는 렌즈(31)가 설치되고, 본체(30)의 후면에는 렌즈(31)를 통해 투시된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접안부(32)가 마련된다. 본체(30)의 우측에는 촬영한 화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3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30)의 우측에는 캠코더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캠코더의 각 종스위치(36)를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바닥과 캠코더를 밀착시켜 주는 핸드그립이 마련되어 있다. 핸드그립은 사용자의 손바닥면이 밀착되는 손바닥 밀착부(34)와 손등이 밀착되는 핸드밴드(40)로 구성된다. 핸드밴드(40)는 사용자의 손등과 밀착되는 바 손등을 강하게 누르지 않도록 쿠션을 가진 소재로 되어 있다.
핸드밴드(40)는 반으로 접히는데, 접혀진 것 중 내측밴드(40a)는 촉감이 좋은 부드러운 소재로 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등이 접촉했을 때 좋은 촉감을 유지하도록 했으며, 외측밴드(40b)에는 매직테이프(41)가 마련되어 있어, 벨트(37)의 단부에 마련된 매직테이프(42)와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핸드밴드(40)를 반으로 접히게 한 이유는, 조임장치(44)를 본체쪽으로 밀면 내측밴드(40a)와 외측밴드(40b)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어, 벌어진 공간(48) 사이로 손을 넣어, 캠코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캠코드를 휴대하기 편하도록 파지하기 위함이다.
외측밴드(40a)와 내측밴드(40b)의 각 단부에는 두 갈래의 벨트(37a,37b)가 삽입되고, 핸드밴드(40)의 접힘부(46)를 지나면서 두 갈래의 벨트(37a,37b)는 하나의 벨트(37)로 합쳐진다. 벨트(37)의 단부에는 벨트(37)의 단부가 닳는 것을 방지하고, 고리(56)에 쉽게 삽입되도록 철물(43)이 결합되어 있다.
벨트(37)의 일단은 본체(30)의 몰드물(38)에 걸려 고정되고, 벨트(37)의 타측은 고리(56)에 관통시킨 다음, 벨트(37)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부려 밴드(40)의 중간부에 설치된 매직테이프(41)에 벨트(37)의 단부에 설치된 매직테이프(42)를 부착시킨다. 각각의 매직테이프(41,42)는 길게 형성되어, 부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으로 해서 손삽입부(47)의 크기가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도록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바닥 밀착부(34), 손등과 내측밴드(40a)를 밀착할 수 있다.
벨트(37)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리(56)는 중앙이 뚫린 사각모양의 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리의 한 축은 브라켓(50)의 단부에 마련된 회전축 수용부(59)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동가능한 회전축(57)이 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56)의 회전축(57)과 브라켓(50)은 힌지결합한다. 상기 고리(56)의 각 축들은 벨트(37)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단면이 모두 원형상을 가진다.
브라켓(5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반으로 접혀 만들어 지는데, 플레이트가 접히는 부분에는 회전축(57)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곡면을 가지는 수용부(59)가 마련된다. 수용부(59)를 제외한 플레이트의 나머지 대부분은 본체(30)의 전면에 마련된 삽입구(54)에 삽입되는 삽입부(51)가 된다. 이와 같이 본체(30)의 전면에 벨트(37)가 연결되는 고리(56)가 마련됨으로써, 손을 넣을 수 있는 손 투입구(47)의 공간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삽입부(51)에는 플레이트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한 위치결정돌기(52)와 플레이트면에 뚫려져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스크류 체결공(53)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37)의 일단은 본체(30)의 몰드물(38)에 마련된 홀(39)에 삽입되고, 두개의 벨트(37a,37b)의 벌어진 틈 사이로 걸쇠(70)가 삽입되고, 걸쇠(70)는 몰드물(38)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보스(72)의 단부에 스크류 (67)로 고정됨으로써, 벨트(37)는 외부에서 당기더라도 걸쇠(70)에 걸려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없게 된다.
벨트(37)의 타측은 고리(56)의 감김축(58)을 기준으로 감기게 되고, 매직테이프(41,42)끼리 서로 접착함으로써,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삽입부(47)가 형성된다.
브라켓(50)의 삽입부(51)는 삽입구(54)에 삽입되는데, 삽입부(51)에 마련된 위치결절돌기(52)가 홈(65)에 안착되면, 본체(30)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63)과 브라켓 삽입부(51)에 마련된 스크류 체결공(53)은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30)외부에서 스크류(62)로 브라켓(50)을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리(56)는 회전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므로 손삽입부(47)에 손을 넣고 손크기에 알맞도록 매직테이프(41,42) 를 접착하면 손을 본체(10)와 밴드(40)사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좋은 파지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리(56)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회동가능 하며, 고리(56)를 이루는 부재는 단면이 모두 원형으로 각진 모서리를 가지지 않는바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없어진다.
또한, 벨트(37)가 감기는 감김부(58)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벨트(37)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바, 벨트(37)의 수명이 늘어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캠코더의 핸드그립에 의하면, 다양한 사용자의 손크기에 맞출 수 있어 좋은 파지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외부로 노출된 브라켓 모서리부와 같은 날카로운 곳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이 사라진다.
또한, 벨트가 벨트삽입구와의 마찰에 의해 빨리 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손이 삽입되는 손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핸드벨트;와 상기 핸드벨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고리;와 상기 고리가 회전가능 하도록 고리의 일축과 힌지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핸드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중앙이 뚫린 사각모양의 링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핸드그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를 이루는 부재의 단면은 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핸드그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핸드그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본체외면과 상기 브라켓에 각각 마련된 스크류 체결공의 위 치를 일치시켜주는 위치결정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핸드그립.
KR1020050006438A 2005-01-24 2005-01-24 캠코더의 핸드그립 KR20060085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438A KR20060085532A (ko) 2005-01-24 2005-01-24 캠코더의 핸드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438A KR20060085532A (ko) 2005-01-24 2005-01-24 캠코더의 핸드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532A true KR20060085532A (ko) 2006-07-27

Family

ID=3717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438A KR20060085532A (ko) 2005-01-24 2005-01-24 캠코더의 핸드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553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376B1 (ko) * 1996-04-08 1999-06-01 윤종용 창문형에어콘의 응축효율증대구조
KR20030020044A (ko) * 2001-08-29 2003-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 촬영수단의 손잡이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376B1 (ko) * 1996-04-08 1999-06-01 윤종용 창문형에어콘의 응축효율증대구조
KR20030020044A (ko) * 2001-08-29 2003-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 촬영수단의 손잡이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8297B1 (en)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US20060186256A1 (e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an infusion tube
TWI503596B (zh) 顏面裝著具
US6658705B2 (en)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for use in belt
KR20060085532A (ko) 캠코더의 핸드그립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JP2001048210A (ja) 蓋構造
US20220167070A1 (en) Headphone cover and fastener therefor
JP4147801B2 (ja) 着脱機構及び電子機器
CN108066952B (zh) 带长度调节件
KR101610818B1 (ko)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KR200387238Y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3215907U (ja) 歩行補助用ポールのグリップ
KR19980021094U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US5715491A (en) Handstrap for use on an imaging device
CN110336909B (zh) 保护壳
JP3076525B2 (ja) ベルト用バックル及びベルト
JP3005977B2 (ja) ヘルメット
JP2006319433A (ja) 携帯品用ケース
KR200353375Y1 (ko) 휴대폰 거치대의 회동 장치
JP2006068454A (ja) 背負いバンドの取付具
JP2956683B2 (ja) 携帯機器用ハンドストラップ
JP2004113443A (ja) キーホルダー
JPH10133273A (ja) クリップを具えた携帯機器
JP2001024341A (ja) 携帯用電子機器の落下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