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963A -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963A
KR20060084963A KR1020050005739A KR20050005739A KR20060084963A KR 20060084963 A KR20060084963 A KR 20060084963A KR 1020050005739 A KR1020050005739 A KR 1020050005739A KR 20050005739 A KR20050005739 A KR 20050005739A KR 20060084963 A KR20060084963 A KR 2006008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em
home network
control device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388B1 (ko
Inventor
박형준
구필영
정일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3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가의 마이콤을 사용하고 이동이 용이한 케이싱을 사용하여 생산 비용 및 이동성을 제공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사용자에게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또는 상태확인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전기 기기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뎀부와, 상기 표시부와, 입력부 및 모뎀부를 제어하여,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명령 및/도는 상태확인명령을 상기 모뎀부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DOCKABLE TYPE HOME NETWORK CONTROLLER}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장착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메인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부 2: 플러그
4: LCD 제어부 5: 저장부
6: 오실레이터 7: RS-232
8: 모뎀 9: 마이콤
20: 전면 덮개 30: 메인 케이스
50: 후면 덮개 60: 모뎀 케이스
70: 홈부착 덮개
본 발명은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가의 마이콤을 사용하고 이동이 용이한 케이싱을 사용하여 생산 비용 및 이동성을 제공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 또는 원격에서 가정에 있는 가전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홈 오토메이션은 거의 상용화단계에 이르러 있다.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의 경우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각 기기를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고 각 기기 간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제는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가전기기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란 다양한 디지털 가전제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집안과 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그 동안 백색 가전으로 불리던 냉장고나 세탁기 등이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디지털화 되고 있으며, 여기에다 가전용 운용체제 기술과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기술 등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들 기술들이 집약된 새로운 정보 가전의 형태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IT 네트워크는 개인용 컴퓨터와 주변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이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구축되는 네트워크 유형을 말하여, AV 네트워크는 오디오나 비디오 정보를 다루는 가전 기기들간의 네트워크 유형을 말한다. 그리고, 리빙 네트워크는 홈 오토메이션이나 원격 검침과 같이 가전 기기들의 단순한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구축되는 네트워크로서,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등 가스 경보기, 에어컨, 전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정 내에 구성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전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인 마스터 디바이스와, 전기 기기의 특성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마스터 디바이스의 요구에 응답하는 기능과 자신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기 기기인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기 기기는 세탁기, 냉장고 등과 같은 상술된 리빙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IT 네트워크 서비스 및 AV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가전기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PC)가 탑재된 인터넷 냉장고가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고, 전력선을 통하여 개별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냉장고의 경우, 다양한 컨텐츠와 섬세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지만,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터넷 냉장고를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급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러한 인터넷 냉장고와 같이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다른 장소에 서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가의 마이콤을 이용한 제어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급을 촉진시키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성을 지닌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회로 기판을 보호하면서 이동성을 지닌 케이싱을 구비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모뎀부와 마이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RS-232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저장부와, 상기 모뎀부 및 상기 RS-232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상태확인명령을 입력받아 수행되도록 상기 모뎀부를 통하여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마이콤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전면에 상기 표시부 및/또는 입력부가 설치되고, 후 면에 제어부가 설치되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모뎀부가 설치되는 모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표시부 및/또는 입력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메인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를 보호하면서 상기 메인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모뎀 케이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연결선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전력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소정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모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후면 덮개의 수용부에 상기 모뎀 케이스가 수용되도록 상기 후면 덮개와 결합되는 홈부착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은 전면에 표시부 및/또는 입력부가 형성된 제1회로기판이 설치되고, 후면에 제어부가 형성된 제2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메인 케이스와, 모뎀부가 형성된 제3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모뎀 케이스와, 소정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모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와 결합되는 홈부착 덮개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를 통하여 외부 콘센트(미도시)와 연결되고 전력선(1a)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크기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사용자로부터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또는 상태확인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3a)과, 사용자에게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3b)와, 이 LCD(3b)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4)와, 전기 기기의 상태 정보 및 LCD(3b)를 통하여 표시할 프레임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5)와,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오실레이터(6)와, 모뎀(8)과 마이콤(9)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RS-232(7)와, 전력선(1a)에 연결선(8a)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뎀(8)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이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상태확인명령 등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스크린(3a)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모뎀(8)을 통하여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LCD(3b)에 표시하는 마이콤(9)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전원부(1)는 외부 전원인 220V를 인가받아, 소정의 전압 크기로, 예를 들면, 5V 또는 12V로 변압하여 마이콤(9) 및 다른 전원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에 모두 공급한다. 비록 마이콤(9)과 전원부(1)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 되고 있으나, 다른 구성요소에도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통신 방법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터치스크린(3a)과 LCD(3b)는 하나의 회로 기판(이하, '제1회로기판'이라 함)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LCD(3b) 위에 터치스크린(3b)이 피복되는 것과 같이 형성된다. 이 터치스크린(3a)과 LCD(3b)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터치스크린(3a)을 통하여 입력을 수행하고, 입력된 명령은 마이콤(9)으로 연결선(9a)을 통하여 전송된다.
다음으로, 이 LCD(3b)는 마이콤(9)에 의해 제어되는 LCD 제어부(4)에 의해 조절된다. 즉, 마이콤(9)이 저장부(5)에 저장된 데이터를 LCD 제어부(4)로 전달하면, 이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LCD 제어부(4)가 생성하여 연결선(4a)을 통하여 LCD(3b)로 전달함으로써, 표시되도록 된다.
이 저장부(5)는 전력선(1a)를 통하여 연결된 전기 기기의 상태 정보 및 LCD(3b)를 통하여 표시할 프레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 상태 정보는 각 전기 기기가 제어장치로 송신한 것으로, 예를 들면, 운전 중, 전원 오프 상태 등을 나타낸다. 또한, 프레임 정보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형태에 관한 것이며, 이 프레임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것은 터치 스크린(3a)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입력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다. 즉, 이 프레임 정보는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적 표시를 위한 사항도 포함한다.
다음으로, 모뎀(8)은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선을 전송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연결선(8a)을 통하여 전력선(1a)에 접속하여 전력선 통신에 따른 적절한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전기 기기와 마이콤(9)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 모뎀(8)은 별도의 회로 기판에 구성되어 연결선(7a)를 통하여 RS-232(7)와 연결되고, 연결선(8a)를 통하여 전력선(1a)에 연결된다. 여기서, 마이콤(9)이 인식가능한 데이터로의 변환 및 모뎀(8)이 인식가능한 데이터로의 변환을 위해, 즉 UART 통신을 위해, 마이콤(9)과 모뎀(8) 사이에 RS-232(7)가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마이콤(9)은 터치스크린(3a)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저장부(5)에 저장된 전기 기기의 상태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LCD 제어부(4)로 하여금 LCD(3b)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마이콤(9)은 RS-232(7)를 통하여 별도의 회로 기판(이하, '제2회로기판'이라 함)에 장착된 모뎀(8)과 연결되어,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또는 상태확인명령을 전기 기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모뎀(8)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5)에 저장하고, LCD(3a)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원부(1)와, LCD 제어부(4)와, 저장부(5)와, 오실레이터(6)와, RS-232(7) 및 마이콤(9)은 제어부로서 별도의 회로 기판(이하, '제3회로기판'이라 함)에 장착된다. 터치스크린(3a)과 LCD(3b)이 장착된 회로 기판으로부터 상당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6은 도 2의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은 벽(10) 내의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터치스크린(3a)과 LCD(3b)의 결합체(3)와 전면 덮개(2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이 홈 내측에는 플러그(2)가 삽입될 수 있는 콘센트(미도시)와 유사한 기능을 지닌 전원 연결 수단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은 전면 덮개(20)와, 메인 케이스(30)와, 후면 덮개(50)와, 모뎀 케이스(60) 및 홈부착 덮개(7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전면 덮개(20)는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이 제어장치 및 홈(벽 내의 홈(10) 또는 소정의 전기 기기에 형성된 홈 등)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 차단부(21)과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 차단부(22)과, 메인 케이스(30)를 보호하는 내면부(23)와, 메인 케이스(30)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24a 내지 27a)을 각각 지닌 탄성편(24 내지 2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주 차단부(22)에 의해 형성된 개구(22a)는 터치스크린(3a)과 LCD(3b)의 결합체(3)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외주 차단부(21)는 홈이 형성된 전기 기기 또는 벽 등의 외벽에 접한다.
다음으로, 메인 케이스(30)는 터치스크린(3a)과 LCD(3b)의 결합체(3)가 형성된 제1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전면(31a)과 제어부가 형성된 제3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후면(31b)을 지닌 베이스(31)와, 전면(31a)과 결합체(3)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면(31a)에 형성된 지지부(32)와, 제1회로기판과 나사결합(미도시)에 의한 장착을 위한 전면(31a)에 형성된 나사홈(33a 내지 33d)과, 전면(31a)에 제1회로기 판이 수용되도록 하면서 제1회로기판의 측면을 보호하는 수용부(34)과, 수용부(34) 외부의 전면(31a)의 양측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35a)와, 전면(31a)에 형성되어 전면 덮개(20)의 탄성편(24 내지 27) 및 걸림턱(24a 내지 27a)이 통과되도록 하는 2쌍의 개구(35b)(1쌍만 보임)와, 연결선(4a), (9a)이 통과되는 개구(35c)를 포함한다. 또한, 후면(31a)에는, 제3회로기판의 양 측면에 접하여 보호하면서 수용하는 수용벽(37)과, 제3회로기판의 다른 양 측면에 접하여 보호하면서 수용하고 걸림턱(24a 내지 27a)이 걸쳐지도록 하는 수용벽(38a, 38b)과, 제3회로기판이 후면(31a)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39)와, 메인 케이스(20)와 후면 덮개(50) 및 홈부착 덮개(70)가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홈(40a 내지 40d)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부(34)의 상면은 전면 덮개(20)의 내면부(23)에 접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34)의 배면은 무게 감소와 비용 절감을 위해 비어있게 되며, 강도의 보강을 위해 다수의 지지부(34a)가 형성된다. 또한, 수용벽(37)과 수용벽(38a, 38b) 사이도 비어있게 되며, 그 사이에 다수의 지지부(37a)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4)은 전면(31a) 보다 작게 형성되며, 수용부(34) 외부의 전면(31a) 상에 형성된 4개의 개구(35b)는 탄성편(24 내지 27)의 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탄성편(24 내지 27)과 걸림턱(24a 내지 27a)이 개구(35b)를 통과한 후, 걸림턱(24a 내지 27a)이 수용벽(38a, 38b)의 측면에 걸리게 되어, 전면 덮개(20)가 메인 케이스(30)에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메인 케이스(30)의 후면(31a)에는, 제3회로기판을 고정 장착하기 위한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후면 케이스(50)는 내측에 메인 케이스(30)의 후면(30b)과 접하는 수용부(50a)와, 외측에 모뎀 케이스(60)를 수용하는 수용부(50b)와, 메인 케이스(30)의 나사홈(40a 내지 40d)에 대응하여 개구(52a 내지 52d)(52a는 보이지 않음)가 형성된 플랜지(51a 내지 51d)(51a는 보이지 않음)와, 모뎀 케이스(60)를 홈부착 덮개(7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53a)이 형성된 고정부(53)와, 전력선(1a) 및/또는 (8a)과 플러그(2)가 통과되도록 하는 개구(54a)가 형성된 돌출부(54)와, RS-232(7)와 모뎀(8)간의 연결선(7a)이 통과되도록 하는 개구(55)를 포함한다.
이 후면 케이스(50)는 메인 케이스(30)에 장착된 제3회로기판을 보호하고, 제2회로기판이 장착된 모뎀 케이스(60)를 고정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모뎀 케이스(60)는 저면(61)에 모뎀(8)이 장착된 제2회로기판을 수용하고, 제2회로기판과 저면(6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62)와, 저면(61)으로의 고정을 위한 개구(63a, 63b)(63a는 보이지 않음)가 각각 형성된 플랜지(64a, 64b)(64a는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홈부착 덮개(70)는 저면(70a)에 모뎀 케이스(60)와 후면 케이스(50)를 수용하고, 배면(70b)은 소정의 홈에 접하며, 홈부착 덮개(70)가 홈 주변에 걸치도록 하는 걸림턱(71a, 71b)과, 후면 케이스(50)의 플랜지(51a 내지 51d)에 접하여 나사결합되는 개구(74a 내지 74d)(74a는 보이지 않음)를 지닌 플랜지(75a 내지 75d)(75a는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 걸림턱(71a, 71b)은 홈이 형성된 전기 기기 또는 벽의 외벽과 접하면서, 케이싱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케 이싱 전체가 홈 내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저면(70a)과 배면(70b) 간의 간격 즉, 두께는 고정부(53) 내의 나사홈(53a)을 관통한 나사(미도시)가 플랜지(64a, 64b)의 개구(63a, 63b)를 관통하여 저면(70a)과 배면(70b) 사이까지 도달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지니거나, 나사가 저면(70a)과 배면(70b) 사이를 관통할 수 있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랜지(75a 내지 75d)는 메인 케이스(30)의 나사홈(40a 내지 40d)와, 플랜지(51a 내지 51d)의 개구(52a 내지 52d)를 관통한 나사(미도시)가 개구(74a 내지 74d)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메인 케이스(30)와 후면 덮개(50) 및 홈부착 덮개(70)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전면 덮개(20)의 폭은 홈부착 덮개(70)의 걸림턱(71a, 71b) 간의 폭보다 크게 되어, 외부로 결합체(3)의 일부를 제외한 제어장치 및/또는 케이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저가의 마이콤을 이용한 제어를 통하여 제어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제어기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회로 기판을 보호하면서 이동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사용자에게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또는 상태확인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전기 기기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뎀부와;
    상기 표시부와, 입력부 및 모뎀부를 제어하여,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명령 및/도는 상태확인명령을 상기 모뎀부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기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모뎀부와 마이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RS-232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저장부와, 상기 모뎀부 및 상기 RS-232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및/상태확인명령을 입력받아 수행되도록 상기 모뎀부를 통하여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마이콤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면에 상기 표시부 및/또는 입력부가 설치되고, 후면에 제어부가 설치되는 메인 케이스와, 상기 모뎀부가 설치되는 모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표시부 및/또는 입력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메인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를 보호하면서 상기 메인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모뎀 케이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연결선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9. 제3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소정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모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후면 덮개의 수용부에 상기 모뎀 케이스가 수용되도록 상기 후면 덮개와 결합되는 홈부착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 워크 제어장치.
  10. 전면에 표시부 및/또는 입력부가 형성된 제1회로기판이 설치되고, 후면에 제어부가 형성된 제2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메인 케이스와;
    모뎀부가 형성된 제3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모뎀 케이스와;
    소정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모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와 결합되는 홈부착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2회로기판을 보호하면서 상기 메인 케이스 및 상기 홈부착 덮개 사이에 장착되는 후면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모뎀 케이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모뎀 케이스를 상기 홈부착 덮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는 상기 모뎀부가 소정의 네트워크와 접속되도록 하는 연결선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착 덮개는 상기 홈이 형성된 외벽에 접하여 상기 케이싱의 균형을 유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의 케이싱.
KR1020050005739A 2005-01-21 2005-01-21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KR10074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739A KR100746388B1 (ko) 2005-01-21 2005-01-21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739A KR100746388B1 (ko) 2005-01-21 2005-01-21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963A true KR20060084963A (ko) 2006-07-26
KR100746388B1 KR100746388B1 (ko) 2007-08-03

Family

ID=3717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739A KR100746388B1 (ko) 2005-01-21 2005-01-21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36B1 (ko) * 2005-04-11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가전기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857B1 (ko) * 2001-12-01 2005-01-15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인터넷 기반 홈 오토메이션 서버 및 제어 방법
KR20040048761A (ko) * 2002-12-04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뎀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36B1 (ko) * 2005-04-11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가전기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388B1 (ko)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7752B2 (en) Network for changing resource consumption in an appliance
KR100351819B1 (ko) 냉장고용 영상표시기기 장착구조
KR200330611Y1 (ko) 컴퓨터를 갖춘 냉장고
US8250163B2 (en) Smart coupling device
RU226780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с сетевой панелью, подключенный к интернет,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US201602188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vely coupling internal components within appliances, and appliances with external components and accessories
US9057554B2 (en) Service and maintenance guide for appliance
US20080122648A1 (en) Appliance network for a networked appliance and an audio communication accessory
US20050140506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placed within certain distance
JP5873671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WO2013069357A1 (ja) 情報報知システム
KR100474930B1 (ko) 홈 네트워크 제품군의 히스토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746388B1 (ko) 착탈형 홈 네트워크 제어장치
KR20050094242A (ko) 웹패드가 착탈가능한 인터넷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BRPI0905042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substituir um componente
US7499832B2 (en) Control unit that manages the usage of electrical devices
JP2005098560A (ja) 家庭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冷蔵庫
KR100613496B1 (ko) 식품 자동주문형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100662151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JPH11219491A (ja) 無線検針装置
JP2003264880A (ja) 住宅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3205195A (ja) 洗濯機
CN213094377U (zh) 多功能机顶盒及多功能显示系统
US2022025093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liquid treatment
KR100912131B1 (ko) 냉장고의 웹패드 접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