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010A -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 Google Patents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010A
KR20060084010A KR1020050004262A KR20050004262A KR20060084010A KR 20060084010 A KR20060084010 A KR 20060084010A KR 1020050004262 A KR1020050004262 A KR 1020050004262A KR 20050004262 A KR20050004262 A KR 20050004262A KR 20060084010 A KR20060084010 A KR 2006008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or
coupling
terminal
coupl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4010A/ko
Publication of KR2006008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전송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결합방향 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된 단자결합부와, 상기 단자결합부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핀공으로 구성되는 소켓과; 상기 단자결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핀공과 결합되는 접속핀을 구비한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지지하도록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가능방향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불가능방향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와 상기 소켓의 접촉면에 구비된 결합방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를 소켓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CONNECTOR AND SOCKET HAVING JOINT DIRECTION SENSOR}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커넥터 110 : 몸체부
120 : 단자부 130 : 접속핀
200 : 소켓 210 : 단자결합부
220 : 핀공 300 : 결합방향 감지부
310 : 제1N극자석 320 : 제1S극자석
330 : 제2S극자석 340 : 제2N극자석
350 : 자석 360 : 금속
본 발명은,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소켓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한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0)는 내부에 접속핀(130)을 구비한 단자부(120)와, 단자부(120)를 지지하는 몸체부(110)로 구성되며, 종래의 소켓(200)은 내부에 핀공(220)을 구비한 단자결합부(210)로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일측 단면에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단자부(120)를 지지하며, 단자부(120)는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접속핀(130)이 구비되어 있다.
접속핀(130)은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단자부(1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단자부(120)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소켓(20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핀공(220)을 구비하고 있는 단자결합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결합부(210)는 단자부(120)가 단자결합부(210)의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측으로 일측면이 개구 되어 있다.
핀공(220)은 접속핀(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자결합부(21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이 복수의 접속핀(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 및 소켓에 있어서는, 커넥터(100)를 소켓(200)에 결합시, 사용자는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결합 방향을 확인하고 결합을 해야하는데, 일반적으로 소켓(200)은 제품의 뒷면이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가 쉽지 않아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소켓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전송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결합방향 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된 단자결합부와, 상기 단자결합부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핀공으로 구성되는 소켓과; 상기 단자결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핀공과 결합되는 접속핀을 구비한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지지하도록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가능방향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불가능방향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와 상기 소켓의 접촉면에 구비된 결합방향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은, 데이터 전송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결합방향 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된 단자결합부(210)와, 단자결합부(21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핀공(220)으로 구성되는 소켓(200)과; 단자결합부(210)에 삽입되며 내부에 핀공(220)과 결합되는 접속핀(130)을 구비한 단자부(120)와, 단자부(120)를 지지하도록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110)로 구성되는 커넥터(100)와; 커넥터(100)가 소켓(200)과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가능방향과 커넥터(100)가 소켓(200)과 결합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불가능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접촉면에 구비된 결합방향 감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11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일측 단면에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단자부(120)를 지지하며, 단자부(120)는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접속핀(130)이 구비되어 있다.
접속핀(130)은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고, 단자부(1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단자부(120)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소켓(20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핀공(220)을 구비하고 있는 단자결합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결합부(210)는 단자부(120)가 단자결합부(210)의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되는 결합 방향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다.
핀공(220)은 접속핀(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자결합부(21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이 복수의 접속핀(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몸체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에는 일단면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자석(310, 320)이 구비되어 있다.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가능하게 배치되는 결합가능방향과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결합불가능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자석의 일단면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0)의 일측에 제1N극자석(310)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면 타측에는 제1S극자석(320)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커넥터(100)가 소켓(200)과 결합가능한 결합가능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제1N극자석(310)과 대응되는 소켓(200)의 일측에는 제2S극자석(330)이 배치되고, 제1S극자석(320)과 대응되는 소켓(200)의 타측에는 제2N극자석(340)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결합시, 커넥터(100)를 소켓(200)에 결합가능한 결합가능방향으로 배치하여 커넥터(100)를 소켓(200)과 근접한 위치에 접근시키면 제1N극자석(310)과 제2S극자석(330)의 상호 당기는 힘과, 제1S극자석(320)과 제2N극자석(340)의 상호 당기는 힘을 사용자는 감지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100)를 소켓(200)에 삽입 결합한다.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결합시,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불가능한 결합불가능방향으로 배치하여 커넥터(100)를 소켓(200)과 근접한 위치에 접근시키면 제1N극자석(310)과 제2N극자석(340)의 상호 미는 힘과, 제1S극자석과 제2S극자석(330)의 상호 미는 힘을 사용자는 감지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100)를 결합가능방향으로 전환하여 소켓(200)에 삽입 결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이다. 다만,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120)가 배치되는 몸체부(110) 단면의 하측에는 몸체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자석(350)의 일단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자석(350)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소켓(200)의 일단면에는 자석과 붙는 금속이 소켓(200)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결합시, 커넥터(100)를 소켓(200)에 결합가능한 결합가능방향으로 배치하여 커넥터(100)를 소켓(200)과 근접한 위치에 접근시키면 자석(350)과 금속(360)의 상호 당기는 힘을 사용자는 감지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100)를 소켓(200)에 삽입 결합한다.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결합시, 커넥터(100)가 소켓(200)에 결합불가능한 결합불가능방향으로 배치하여 커넥터(100)를 소켓(200)과 근접한 위치에 접근시키면 자석(350)과 금속(360)의 상호 당기는 힘을 사용자는 감지할 수 없으므로 커넥터(100)를 결합가능방향으로 전환하여 소켓(200)에 삽입 결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결합방향 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된 단자결합부와, 상기 단자결합부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핀공으로 구성되는 소켓과; 상기 단자결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핀공과 결합되는 접속핀을 구비한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지지하도록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가능방향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불가능방향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와 상기 소켓의 접촉면에 구비된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를 소켓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이 제공된다.

Claims (6)

  1. 데이터 전송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결합방향 측으로 일측면이 개구된 단자결합부와, 상기 단자결합부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핀공으로 구성되는 소켓과;
    상기 단자결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기 핀공과 결합되는 접속핀을 구비한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지지하도록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가능방향과,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과 결합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불가능방향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와 상기 소켓의 접촉면에 구비된 결합방향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방향 감지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소켓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한면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소켓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한 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과 상호 접촉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상기 자성체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5. 제4항이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부의 양측 단면에 구비되는 서로 자성이 다른 자석이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석과 대향측의 상기 소켓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결합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자석과 각각 다른 자성을 갖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석에 붙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KR1020050004262A 2005-01-17 2005-01-17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KR20060084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62A KR20060084010A (ko) 2005-01-17 2005-01-17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62A KR20060084010A (ko) 2005-01-17 2005-01-17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10A true KR20060084010A (ko) 2006-07-21

Family

ID=3717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262A KR20060084010A (ko) 2005-01-17 2005-01-17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4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9097B2 (en) 2015-09-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9097B2 (en) 2015-09-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7385B2 (en) Magnetic connection device
EP2736127B1 (e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port and a cable connector device
US20140363988A1 (en) Tablet pc having non-insertion type port and cradle connected to same
KR101348932B1 (ko)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US20100144164A1 (en) Power cord assembly
DE60223108D1 (de) Kontaktstift und elektrischer Verbinder mit solchem Kontaktstift
FR2809871B1 (fr) Connecteur electrique a lames de contact perfectionnees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US20080139005A1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20140362587A1 (en) Case having non-insertion type interfa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RPI0508773A (pt) conector elétrico e alojamento de conector elétrico
EP1873867A3 (en)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or
TWI550964B (zh) 連接器
EP0817317A3 (en) Sensing element lead wire connecting structure
ATE354876T1 (de) Flachkabel-steckverbinderanordnung
US20080182442A1 (en) Data Port for a Mobile Device
US20070212929A1 (en) Breakaway connector assembly
KR20060084010A (ko) 결합방향 감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소켓
KR10123921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US20050003702A1 (en) Relay connection circuit and relay connector
JP2015201401A (ja) コネクタ装置
JP2007324125A (ja) 位置センサと励磁部分からなるセット
WO2014021507A1 (ko)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95767B1 (ko) 절연 바디 내 전류 측정
JP3121573U (ja) コネクタの連結構造
KR101326072B1 (ko) 비삽입형 포트를 가지는 노트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