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789A -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789A
KR20060083789A KR1020050004729A KR20050004729A KR20060083789A KR 20060083789 A KR20060083789 A KR 20060083789A KR 1020050004729 A KR1020050004729 A KR 1020050004729A KR 20050004729 A KR20050004729 A KR 20050004729A KR 20060083789 A KR20060083789 A KR 2006008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ommunication device
dimensional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06391B1 (en
Inventor
박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0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391B1/en
Publication of KR2006008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fix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방 통신 기기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별도의 키 버튼 조작 없이 2차원 스트로크(stroke)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 통신 기기의 동작을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통신 가능토록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ar fiel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 user's desired command is transmitted to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a communication target without a separate key button operatio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transmit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enables communication while conveniently adjusting an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통신기기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해당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스트로크 감지 전송수단과, 제2 통신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처리하는 스트로크 수신 실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stroke detection transmission means for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roke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stroke reception execution means for receiving the stroke detection signal and processing a corresponding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제1 통신기기가 제2 통신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해당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상기 제2 통신기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스트로크 정보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여서 상기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2차원 스트로크 명령에 대응하는 응용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method includes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a user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ile perform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enerating corresponding X and Y axis detection signals; Transmitting,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troke information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X and Y axis detection signal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stroke information and detecting a change in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to recognize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And process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 applic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스트로크 명령       Stroke command

Description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도1은 종래의 통신 기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1 is a diagram showing a cas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devic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in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명령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processing procedure of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in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2차원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X축 및 Y축 감지값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과, 카메라 기능 처리를 위한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을 예시한 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stroke command consisting of X- and Y-axis detection values sensed by a two-dimensional sensing unit in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stroke command for processing camera functions.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의 일예를 도시한 도.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stroke command of the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1 통신기기 11; 2차원 감지부10; First communication device 11; 2D sensing unit

12; 제어부 13; 송수신부12; A controller 13; Transceiver

20; 제2 통신기기 21; 송수신부20;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1; Transceiver

22; 제어부 23;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2; A controller 23; Application processing unit

24; 모드 전환부24; Mode switch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기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방 통신 기기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별도의 키 버튼 조작 없이 2차원 스트로크(stroke)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 통신 기기의 동작을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통신 가능토록 하는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is issued to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a communication target without a separate key button manipu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ommunicate while conveniently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일반적으로 통신 기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방 통신기기와의 원할한 통신이나 상대방 통신 기기에 대해 원하는 동작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 조작으로 상대방 통신 기기에 명령을 입력해 줄 필요가 있다.In general, when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 user inputs a command to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by manual operation in order to cause a desire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to be communicated with or a desired operation for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I need to give.

예를 들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기기(1)와 제2 통신기기(2)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되, 제1 통신기기(1)에서 생성된 음성 및 화상 등의 데이터를 제2 통신기기(2)에게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 전송에 따른 처리를 위해 제2 통신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2 통신기기(2)에 구비되어 있는 키 버튼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동 조작해 주 어야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ile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ly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 a voice and an image genera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 may be used.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 fo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while transmitting the data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 the user is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such as key buttons, must be performed.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하면서 상대편 통신기기의 동작을 조절해 주는 경우는,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동전화기, PDA, PC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빈번히 발생하는데, 예를들어, 이동전화기와 블루투스 헤드셋 사이의 근거리 통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PDA 사이의 근거리 통신, 디지털 카메라와 PC(Personal Computer) 사이의 근거리 통신, PDA와 이동전화기 사이의 근거리 통신 등에서 빈번히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n the other side is frequently used when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PC, or a digital camera, which are widely used recently, is used. It occurs frequently in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Bluetooth headsets,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DAs,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digital cameras and personal computers (PC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PDAs and mobile phones.

일예로, 블루투스 헤드셋과 이동전화기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이동전화기로부터의 통화 음성 데이터를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면서 이동전화기에서 원하는 동작 또는 처리를 유발케 하기 위해서는 이동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 버튼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별도로 수동 조작해 주어야 한다.For example, when a voice call data from a mobile phone is transmitted to a Bluetooth headset whil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Bluetooth headset and the mobile phone, the user may use the Bluetooth headset to cause a desired action or processing on the mobile phone. In order to operate the user interface device consisting of a key button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separately manual.

또한, 마찬가지로, PDA와 PDA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하거나, PDA와 이동전화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면서 온라인 게임 또는 데이터 전송을 하거나, 디지털 카메라와 PC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 데이터를 PC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한 통신기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상대 통신기기에서의 원하는 동작을 유발케 하기 위해서는 상대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동 조작해 주어야 된다.In addition, similarly, playing online games whil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PDA and the PDA, playing online games or data whil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PDA and the mobile phone, or performing digital communication whil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camera and the PC. Even when the image data of the camera is transferred to a PC, the user must manually operate the user interface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n order to cause a desired operation in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n close communication with one communication device.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통신기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 통신기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상대방 통신기기에 대해 원하는 동작을 유발시키기 위 해서는 사용자가 상대방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동 조작하여 상대방 통신 기기에 명령을 입력해 주어야 되므로, 2개의 통신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통신기기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ause a desired operation with respect to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in close range communication when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 user manually manipulates a user interface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Since a command must be input to the device,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in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a user who uses two communication device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근거리 통신을 하는 통신기기중의 하나에서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대방 통신기기에게 전송하여 상대방 통신기기에서 해당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통신 기기 사이의 근거리 통신시에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방 통신 기기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별도의 키 버튼 조작 없이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대방 통신 기기의 동작을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통신 가능토록 하는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detect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in 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o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so that the user desires a command desired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to be communicated at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s without additional key button manipul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communicate with a user by controlling a operation of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by transmitting a dimensional stroke command.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통신기기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해당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스트로크 감지 전송수단과; 제2 통신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처리하는 스트로크 수신 실행수단을 구비하는데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roke detection transmission means for detecting the two-dimensional stroke of the user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roke detection signal; And a stroke reception execution means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receive the stroke detection signal and process a corresponding function.

그리고, 상기 스트로크 감지 전송수단은,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2차원 감지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인터페이싱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크 감지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기기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oke detection transmission means may detect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a user and generate a strok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interface the detection signal to control transmission of the stroke detection signal. And a transmitter / receiver for transmitting a strok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스트로크 수신 실행수단은,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크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기능 처리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roke receiving execution means may recognize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based on a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trok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strok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transceiver.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processing control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process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게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시를 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de switch for instructing the controller to activate the stroke command function.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해 스트로크 명령 기능의 활성화가 지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제어부는 해당 제2 통신기기의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통신기기측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의 활성화를 지시하여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ctivation of the stroke command function is instruct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ctivates the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ide, the stroke command function. It is characterized by activating the stroke command function by instructing the activation of.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이나, TV 수신 관련 응용 모듈, 긴급 통화 관련 응용 모듈, 게임 관련 응용 모듈, 정보 접근 관련 응용 모듈을 포함하는 기능 처리 및 정보 접근을 위한 관련 응용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기능 처리 제어에 따라 해당되는 기능 선택 및 정보 접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a camera application module, a TV reception related application module, an emergency call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game related application module, and a related application module for access to information, including a function processing appl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function processing control, the corresponding function selection and information access are process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제1 통신기기가 제2 통신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해당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상기 제2 통신기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스트로크 정보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여서 상기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2차원 스트로크 명령에 대응하는 응용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X-axis corresponding to the stroke by detecting the user's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perform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enerating a Y-axis detection signal; Transmitting,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troke information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X and Y axis detection signal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stroke information and detecting a change in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to recognize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And process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 applic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기 중의 하나에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는 2차원 감지 기능을 구현하여, 해당 감지된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상대방 통신기기에게 전송하여 상대방 통신기기가 해당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해서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two-dimensional sensing function for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in 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to a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Bluetooth. And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는 2차원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것 이면 무엇이든 가능한데, 예를들어 터치 패드, 트랙 볼, 마우스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2차원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서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상대방 통신기기에게 전송하고, 상대방 통신기기에서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2차원 스트로크를 인식해서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As a means for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any one can detect a two-dimensional stroke. For example, a touch pad, a track ball, a mouse, or a gyroscope sensor can be used. The 2D sensing unit detects the 2D stroke of the user and converts the 2D stroke of the user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s the digital data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Bluetooth,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data from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s a two-dimensional stroke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바람직하기로는, 블루투스 통신 매체를 통해 통신기기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대방 통신기기측과 음성 또는 화상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그 중 하나의 통신기기에서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블루투스 통신 매체를 통해 무선으로 상대방 통신기기에게 전송하고, 상대방 통신기기에서 해당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토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명령으로 상대방 통신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면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케 한다.Preferably, when a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relessly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mediu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such as voice or video with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side, 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the user's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Detect and transmit wirelessly to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dium, and recognize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rom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user interface by a separate manual operation. Even if it does not wan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ther party's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기기(10)과 제2 통신기기(20)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제1 통신기기(10)은 제2 통신기기(20)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무선으로 제2 통신기기(20)에게 전송하는데, 2차원 감지부(11), 제어부(12) 및 송수신부(13)를 구비한다. 또한, 제2 통신기기(20)은 제1 통신기기(10)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1 통신기기(10)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수신하여 인식해서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송수신부(21), 제어부(22),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 및 모드 전환부(24)를 구비한다.A user interface device in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s shown in FIG.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detects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when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11), a control unit 12 and a transceiver unit 13 are provid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receives and recognizes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It includes a transceiver 21, a controller 22, an application processor 23 and a mode switching unit 24.

제1 통신기기(10)의 2차원 감지부(11)는 X축 및 Y축 정보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는데, 터치 패드, 트랙 볼, 마우스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과 같이 X축 및 Y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제어부(12)는 2차원 감지부(11)로부터 입력되는 X축 및 Y축 정보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정보를 인터페이싱하여 송수신부(13)에게 전달함과 아울러 송수신부(13)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송수신부(13)는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스트로크 정보를 무선으로 제2 통신기기(20)에게 전송하며, 그외에 제2 통신기기(20)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각종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어부(12)는 2차원 스트로크 정보의 전송 이외에, 근거리 통신시에 제2 통신기기(20)에 대해 송수신되는 음성 및 화상 등의 여러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The two-dimensional sensor 11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detects a user's two-dimensional stroke consisting of X-axis and Y-axis information, such as a touch pad, a track ball, a mouse, or a gyroscope sensor. It consists of a sensing means that can detect a two-dimensional stroke made of an axi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 interfaces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including X-axis and Y-axis information input from the two-dimensional sensor 11 to the transceiver 13 and transmits / receives the transceiver 13. To control.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 wirelessly transmits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2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d wirelessly transmits / receives various data dur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do. Preferably, the control unit 12 performs a function requir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such as voice and im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during short-range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of the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May be added.

또한, 제2 통신기기(20)의 송수신부(21)는 제1 통신기기(10)으로부터 전송되는 2차원 스트로크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22)에 전달하며, 그외에 제1 통신기기(10)와의 근거리 통신시에 각종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제어부(22)는 모드 전환부(24)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전환 지시에 따라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송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2차원 스트로크 정보를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를 제어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케 한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는 제2 통신기기(2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 TV 수신 관련 응용 모듈, 전화 통화 관련 응용 모듈, 게임 관련 응용 모듈,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응용 모듈, MP3 응용 모듈 또는 정보 접근 관련 응용 모듈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대응되는 응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드 전환부(24)는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지시를 제어부(22)에게 입력한다. 모드 전환부(24)에 의해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제어부(22)는 제2 통신기기(20)의 2차원 스 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제1 통신기기(10)측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통신기기(10)측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켜 2차원 스트로크 정보를 전송케 하며, 모드 전환부(24)에 의해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경우에 제어부(22)는 제2 통신기기(20)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비활성화함과 아울러 제1 통신기기(10)측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통신기기(10)측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2차원 스트로크 정보의 전송을 중단케 한다. In addition, the transceiver 21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wirelessly receives the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2.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Wirelessly transmit / receive various data dur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22 activates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instruction input from the mode switching unit 24, recognizes the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 and causes th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23 to operate. Control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he application processor 23 may include a camera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TV reception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phone call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game related application module, a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application module, and an MP3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 application module or an application module related to information access,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control from the controller 22. In addition, the mode switching unit 24 inputs a mode switching instruction for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to the controller 22. When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is activat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24, the control unit 22 activates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side to activate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side to transmit the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the mode switching unit 24 deactivates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2 deactivates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Disables the 2D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2D stroke information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2D stroke information.

바람직하기로는, 제1 통신기기(10)의 송수신부(13)와 제2 통신기기(20)의 송수신부(21)는 상호간에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음성 또는 화상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전송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케 하는 것이 적합한데,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 통신은 대략 10m 정도의 근거리 통신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transceiver 13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transceiver 21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ransmit and receive data such as voice or video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via Bluetooth. While it is appropriate to transmit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because near field communication by Bluetooth can be very useful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of about 10m.

이상과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2D user interface devic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제2 통신기기(20)의 모드 전환부(24)를 조작하여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시를 제어부(22)에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부(22)는 해당 활성화 지시에 따라 제2 통신기기(20)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제1 통신기기(10)측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통신기기(10)측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킨다(스텝 S31). 이에따라, 제1 통신기기(10)의 제어부(12)는 2차원 감지부(11)의 동작을 활성화시켜서, 2차원 감 지부(11)는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는데(스텝 S32), 2차원 감지부(11)를 터치 패드, 트랙 볼 또는 마우스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X축 및 Y축 좌표값의 연속 변화값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고, 2차원 감지부(11)를 자이로스코프로 구현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제1 통신기기(10)을 손으로 파지하여 움직임에 따른 X축 및 Y축 좌표값의 연속 변화값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한다.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mode switching unit 24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o input an instruction for activating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to the controller 22, the controller 22 instructs the activation. According to the above,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s activated, and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side so as to transmit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side. Is activated (step S31).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so that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detects the user's two-dimensional stroke (step S32). When the dimension detecting unit 11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a track ball, or a mouse, a two-dimensional stroke of the user is detected by detecting a continuous change value of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the user's finger movement. When the sensing unit 11 is implemented as a gyroscope, the user grip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by hand and detects a continuous change value of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 values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reby the user's two-dimensional stroke. Detect it.

그리고, 2차원 감지부(11)는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중에 해당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2)에게 전송하는데(스텝 S33), 이때 2차원 감지부(11)는 해당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 타입으로 제어부(12)에게 전송한다. 이에, 제어부(12)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송수신부(13)를 통해 제2 통신기기(20)에게 무선 전송한다(스텝 S34).In addition, the two-dimensional sensor 11 generates a X-axis and a Y-axis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roke while transmitting the two-dimensional stroke of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2 (step S33), where the two-dimensional detection The unit 11 transmits the corresponding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to the controller 12 as a digital signal typ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2 wirelessly transmits the stroke informa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rough the transceiver 13 (step S34).

한편, 제2 통신기기(20)의 송수신부(21)는 제1 통신기기(10)의 송수신부(13)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22)에게 전달한다(스텝 S35). 이에따라, 제어부(22)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분석하여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고(스텝 S36), 해당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한다(스텝 S37).Meanwhile, the transceiver 21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wirelessly receives stroke information including a combination of X- and Y-axis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transceiver 13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It transfers to the control part 22 (step S35).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 analyzes the stroke information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to detect the change in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step S36), and the user's two-dimensional stroke using the corresponding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change. The command is recognized (step S37).

그리고, 제어부(22)는 해당 인식한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응용 기능을 처리한다(스텝 S38). 이 때,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는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대응되는 응용 기능을 처리하되, 예를들어, 카메라 모드 진입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카메라 모드 전환 기능, 긴급 상황시 카메라 영상 정보 전송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카메라 영상 긴급 전송 기능,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 회전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카메라 영상 회전 기능, 통신 모드 복귀를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콜(Call) 모드 전환 기능, 전화 통화 내역 저장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녹음 기능, 전화 통화시 스피커 폰 사용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스피커 폰 기능, 제2 통신기기(20)에 장착된 랜턴 사용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랜턴 모드 전환 기능, 제2 통신기기(20)을 이용한 TV 시청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TV 수신모드 전환 기능, IrDA 통신을 위한 스트로크 명령에 따른 IrDA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기능, 2차원 스트로크 명령 모드의 종료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기능 등을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22 then controls th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23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unction (step S38).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processor 23 process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for example, a camera mod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a stroke command for entering the camera mode, and transmits camera image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Camera video emergency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troke command for the camera, camera image rot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troke command for rotating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call mod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troke command for return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 Recording function according to stroke command for storing telephone call history, speaker phone function according to stroke command for using speaker phone during phone call, lantern mode according to stroke command for using lantern mounted in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V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switching function, the stroke command for watching TV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t processes the ring function, IrDA interface mod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troke commands for the IrDA communication, two-dimensional stroke mode command interface mode switching function for the ends of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2 통신기기(2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관련 기능 처리 동작을 예로들어 2차원 스트로크 명령 처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processing operation in the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mera-related function processing operation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s an example.

2차원 감지부(11)는 사용자의 스트로크를 2차원으로 감지하는데, 사용자에 의해 행하여지는 스트로크의 평면을 도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부터 '9'까지의 영역으로 구분한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영역 '5'를 중심점 즉, 좌표(X,Y)=(0,0)으로 하고, 영역 '1'은 (-1,1), 영역 '2'는 (0,1), 영역 '3'은 (1,1), 영역 '4'는 (-1,0), 영역 '6'은 (1,0), 영역 '7'은 (-1,-1), 영역 '8'은 (0, -1), 영역 '9'는 (1,-1)로 각각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역의 숫자는 자체적으로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스트로크 지점(위치)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이며, X축 및 Y축 감지값으로 사용된 '0, 1, -1'은 스트로크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의미를 갖는 값으로 이를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The two-dimensional sensor 11 detects the user's stroke in two dimensions, and divides the plane of the stroke made by the user into an area from '1' to '9' as shown in FIG. If one is assumed, the area '5' is the center point, that is, the coordinate (X, Y) = (0,0), and the area '1' is (-1,1) and the area '2' is (0,1). ), Area '3' is (1,1), area '4' is (-1,0), area '6' is (1,0), area '7' is (-1, -1), area '8' may be defined as (0, -1) and region '9' as (1, -1). Here, the number of each area does not mean itself, but has a meaning as a stroke poi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and '0, 1, -1' used as X and Y axis detection values are strokes. A value having a meaning for indica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may be changed to another value.

사용자가 제2 통신기기(20)의 모드 전환부(24)를 조작하여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제2 통신기기(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기기(10)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이 활성화되어 2차원 감지부(11)에 의해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제2 통신기기(20)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가 해당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mode switching unit 24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o activate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is activated,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detects the two-dimensional stroke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side, so that the control unit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Recognizes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processor 23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런 경우에, 사용자가 도4의 (나)와 같이 스트로크를 행하게 되면 해당 스트로크가 영역 '3-2-1-4-7-8-9'를 순서대로 이동하고, 2차원 감지부(11)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제어부(12)로 전달해주고, 제어부(12)는 해당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정보를 연속하여 송수신부(13)를 통해 제2 통신기기(20)에게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에서 송수신부(21)를 통해 수신한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스트로크의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makes a stroke as shown in Fig. 4B, the stroke moves the area '3-2-1-4-7-8-9' in order, and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Is sequenti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roke made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12 continuously transmits and receives stroke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corresponding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via the unit 13.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detects the position and direction change of the stroke by analyzing stroke information including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21.

즉,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3-2-1-4-7-8-9'에 대응하여 2차원 감지부(11)에 의해 감지되는 X축 및 Y축 감지값이 '(1,1)-(0,1)-(- 1,1)-(-1,0)-(-1,-1)-(0-1)-(1,-1)'의 순서대로 조합되어 제2 통신기기(20)에게 전송되며,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는 수신한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도4의 (나)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이 카메라 모드 전환 명령을 의미하는 문자 'C'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That is,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values detected by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corresponding to the area '3-2-1-4-7-8-9' moved by the stroke made by the user are ' (1,1)-(0,1)-(-1,1)-(-1,0)-(-1, -1)-(0-1)-(1, -1) ' And the control unit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alyzes the stroke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received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as shown in FIG. The stroke position and the direction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detected, and the user's stroke command input through this recognizes that the letter 'C' means the camera mode switching command.

이후,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는 해당 인식된 카메라 모드 전환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의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을 제어하여 제2 통신기기(20)의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제1 통신기기(10)와 제2 통신기기(20)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1 통신기기(10)를 통한 스트로크 명령에 의해 제2 통신기기(20)에서의 카메라 관련 동작을 유발하여 촬영 및 앨범 검색, 영상 전송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ontrols the camera related application module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23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mera mode switching command to change the mod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o the camera mode. By this, the user perform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d at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by a stroke comman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It can trigger camera-related operations and perform shooting, album search and video transmission.

여기서,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은 백엔드 칩(Back-end chip)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백엔드 칩의 경우 솔루션에 따라 제어부(22)(즉, MSM이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등) 내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외부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의 동작을 살펴보면, 백엔드 칩은 제어부(22)로부터 스타트 명령을 받게 되면, 카메라 모듈로 카메라 구동에 필요한 전력 시퀀스 및 레지스터 셋팅 값을 내려주게 되며, 카메라 모듈은 그 전력 시퀀스 및 레지스터 셋팅 값을 실행하고 카메라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지트화하여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즉, RGB(또는 YUV) 값을 백엔드 칩으로 전달해 준다. 이후, 백엔드 칩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받은 영상 데이터를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백엔드 칩은 영상 회전, 확대, 축소 및 동영상 촬영 기능 등을 수행한다.Here,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module is meant to include a back-end chip and a camera module. In the case of the back-end chip,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module may be embedded in the control unit 22 (ie, MSM or baseband processor).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separate external chip.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module, when the backend chip receives a start command from the controller 22, the camera module gives the power sequence and register setting values necessary for driving the camera to the camera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transmits the power sequence and registers. By executing the setting valu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is digitized and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that is, RGB (or YUV) value, is transferred to the backend chip. Thereafter, the back end chip displays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module on the LCD screen, and the back end chip performs image rota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video shooting functions.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통신모듈(20)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행시키는 중에 긴급 상황시 카메라 영상 정보 전송을 나타내는 기호 '?'에 해당하는 스트로크를 행하여 도4의 (다)와 같이 영역 '4-1-2-3-6-9'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스트로크를 행하는 경우에, 2차원 감지부(11)는 해당 스트로크 지점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제어부(12)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2)에서 해당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송수신부(13)를 통해 제2 통신기기(20)에게 무선 전송한다.Similarly, while the user performs the camera func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0, a stroke corresponding to the symbol '?' Indic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camera image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performed and the area '4-'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performing a stroke to move 1-2-3-6-9 'in order,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sequentially generates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troke points,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12. The control unit 12 wirelessly transmits the stroke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corresponding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rough the transceiver 13.

그러면,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는 송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 즉,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4-1-2-3-6-9'에 대응하는 2차원 스트로크 정보인 '(-1,0)-(-1,1)-(0,1)-(1,1)-(1,0)-(1,-1)'을 분석함으로써 도4의 (다)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이 카메라 영상 긴급 전송 명령을 의미하는 기호 '?'를 나타내는 명령임을 인식하게 되며, 해당 인식된 스트로그 명령인 카메라 영상 긴급 전송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의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을 제어하여 해당되는 긴급 상황을 알리는 카메라 영상을 전송해 준다.Then, the control unit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s a combination of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21, that is, the area moved by the user's stroke '4-1-2- '(-1,0)-(-1,1)-(0,1)-(1,1)-(1,0)-(1,' which is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3-6-9 ' -1) 'to detect the stroke position and the change in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c) of FIG. 4, whereby the user's stroke command indicates the symbol'? 'Indicating the camera image emergency transmission command. In response to the camera image emergency transmission command, which is a recognized stroke command,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module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23 transmits a camera image informing of a corresponding emergency situation.

또한, 사용자가 제2 통신기기(20)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행시키는 중에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을 통해 카메라 영상을 회전시킬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카메라 영상 회전을 위한 명령을 나타내는 문자 'U'에 해당하는 스트로크를 수 행하여 도4의 (라)와 같이 영역 '1-4-7-8-9-6-3'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스트로크를 행하는 경우에, 2차원 감지부(11)는 해당 스트로크 지점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제어부(12)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2)에서 해당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송수신부(13)를 통해 제2 통신기기(20)에게 무선 전송한다.In addition, the user may rotate the camera image through a user stroke command while the user performs the camera func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For this purpose, the user corresponds to the letter 'U' indicating a command for rotating the camera image. In the case where the stroke is performed to move the area '1-4-7-8-9-6-3' in order as shown in FIG. 4 (D), the two-dimensional sensing unit 11 performs the corresponding stroke point. By generating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 the control unit 12 transmits the stroke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corresponding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device 20.

그러면,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는 송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 즉,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1-4-7-8-9-6-3'에 대응하는 2차원 스트로크 정보인 '(-1,1)-(-1,0)-(-1,-1)-(0,-1)-(1,-1)-(1,0)-(1,1)'을 분석함으로써 도4의 (라)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스트로크 명령이 카메라 영상 회전 명령을 의미하는 기호 'U'를 나타내는 명령임을 인식하게 되며, 해당 인식된 스트로그 명령인 카메라 영상 회전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의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을 제어하여 LC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카메라 영상을 회전시켜 준다.Then, the control unit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ombines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21, that is, the area moved by the user's stroke. '(-1,1)-(-1,0)-(-1, -1)-(0, -1)-(1,-), which is two-dimensional stro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8-9-6-3' By analyzing 1)-(1,0)-(1,1) ', the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4 (D) are detected. It is recognized that the command indicating the symbol 'U' means, and rotates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LCD screen by controlling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module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23 according to the camera image rotation command that is the recognized stroke command. Let it be.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기 정의된 특정 기능 선택 및 정보 접근을 문자 또는 기호 등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명령에 의하여 제2 통신기기(20)의 제어부(22)에서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3)를 통해 관련 응용 모듈을 제어하여 대응하는 기능 처리 및 정보 접근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련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들을 예를들어 설명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23 in the control unit 2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by the user's strok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pecific function selection and information access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 or symbol, etc.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odule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 access. The series of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s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FIG. 5.

즉, 도5의 (가)와 같이 기호 ' →'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 동한 영역 '4-5-6'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의 통신모드 복귀를 위한 콜 모드 전환 기능을 처리할 수 있고, 도5의 (나)와 같이 문자 'R'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7-4-1-2-3-5-9'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 통화 내역 저장을 위한 녹음 기능을 처리케 할 수 있으며, 도5의 (다)와 같이 문자 'S'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3-2-1-4-5-6-9-8-7'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 전화 통화시 스피커 폰 사용을 위한 스피커 폰 통화 기능을 처리케 할 수 있다. 그리고, 도5의 (라)와 같이 문자 'L'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1-4-7-8-9'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 장착된 랜턴 사용을 위한 랜턴 모드 전환 기능을 처리케 할 수 있고, 도5의 (마)와 같이 문자 'T'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1-2-3-2-5-8'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 TV 시청을 위한 TV 수신 모드 전환 기능을 처리케 할 수 있다. 또한, 도5의 (바)와 같이 문자 'Z'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1-2-3-5-7-8-9'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 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을 위한 IrDA 통신 모드 전환 기능을 처리케 할 수 있으며, 도5의 (사)와 같이 기호 '←'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에 의해 이동한 영역 '6-5-4'에 대응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로 이루어진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통신기기(20)에서 2차원 인터페이스 모드 종료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기능을 처리케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5, the 2-dimensional stroke command including the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4-5-6' moved by the user's stroke corresponding to the symbol '→' is generated. 1 By transmitting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all mode switching function for return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s shown in (b) of FIG.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sues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consisting of X-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7-4-1-2-3-5-9' moved by the user's stroke corresponding to 'R'. By transmitting from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an process the recording function for storing the call history, and corresponds to the letter 'S' as shown in FIG.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consisting of X-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3-2-1-4-5-6-9-8-7' moved by the user's stroke By transmitting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an process the speaker phone call function for using the speaker phone when making a phone call. Then, as shown in (d) of FIG. 5, two-dimensional X and Y 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1-4-7-8-9' moved by the user's stroke corresponding to the letter 'L' By transmitting the stroke comman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lantern mode switching function for use of the lantern mount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and FIG. E) 2D stroke command consisting of X-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1-2-3-2-5-8' moved by the user's stroke corresponding to the letter 'T' as shown in E). By transmitting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an process the TV reception mode switching function for watching TV.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the X and Y 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1-2-3-5-7-8-9' moved by the user's stroke corresponding to the letter 'Z'. The IrDA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f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is process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by transmit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consisting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2D strokes consisting of X- and Y-axis detec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area '6-5-4' moved by the user's stroke corresponding to the symbol '←' as shown in FIG. By transmitting a comman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an process the interface mode switching function for terminating the two-dimensional interface mo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제1 통신기기(10)를 통해 제2 통신기기(20)측에 전송하는 특정 기능 선택 및 정보 접근을 위한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 등은 도4 및 도5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정의하거나 변경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or symbols indicating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s for accessing information and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FIGS. It may be possible to define or change the desired characters or symbol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통신기기(10)와 제2 통신기기(20)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제1 통신기기(10)로부터 제2 통신기기(20)측에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에,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통신기기(10)와 제2 통신기기(20) 사이에 유선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wo-dimensional communic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side whil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stroke comm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 communicate by wire. Could be.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 등의 형상을 인식하기 위한 스트로크의 변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함에 있어서, 그 사용자 스트로크 평면의 영역을 9등분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9등분이 아니더라도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점으로 등분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중심점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스트로크되는 위치(지점)을 나타내기 위한 X축 및 Y축 좌표의 기준점을 위미하는 것이므로, 이는 그 스트로크 영역 내의 중심 지점에 위치하지 않고 임의의 다른 지점(예컨데, 도4의 (가)에서 '7'이 위치한 지점이나 '4'가 위치한 지점,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숫자 버튼이 위치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rea of the user's stroke plane is divided into nine equal parts in detecting a change in the stroke and a change in the direction for recognizing the shape of a character or a symbol indica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made by the user. Although described as an example, it can be divided into a number of points so that the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change can be detected even if not equal to 9, and the center point is the X axis to indicate the position (point) stroked by the terminal user. And since it is a reference point of the Y-axis coordinates, it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point in the stroke area, but any other point (for example, the point where '7' or '4' is located in (a) of FIG. 4, Or any other number butt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을 하는 통신기기중의 하나에서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대방 통신기기에게 전송하여 상대방 통신기기에서 해당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토록 하므로, 통신 기기 사이의 근거리 통신시에 통신 대상이 되는 상대방 통신 기기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별도의 키 버튼 조작 없이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대방 통신 기기의 동작을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통신 가능케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by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Since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the user desires a separate key button operation for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the communication target dur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s. By transmit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without the user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communicate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Claims (7)

제1 통신기기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를 감지하여 해당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스트로크 감지 전송수단과;Stroke detection transmission means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sense a two-dimensional stroke of a user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stroke detection signal; 제2 통신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처리하는 스트로크 수신 실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nd a stroke reception execution means provided in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receive the stroke detection signal and process a correspondi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트로크 감지 전송수단은,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2차원 감지부와,The stroke detection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two-dimensio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and generating a strok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감지신호를 인터페이싱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크 감지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interfacing the detection signal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of the stroke detection signal;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기기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strok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트로크 수신 실행수단은,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스트로크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The stroke reception executing means includes: a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trok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크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기능 처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based on the strok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performing a function processing contro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제어부의 기능 처리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n applic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processing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에게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시를 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mode switching unit for instructing the control unit to activate a stroke command fun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해 스트로크 명령 기능의 활성화가 지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제어부는 해당 제2 통신기기의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통신기기측에 스트로크 명령 기능의 활성화를 지시하여 스트로크 명령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When activation of the stroke command function is instruct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the controll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ctivates the stroke command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ctivates the stroke command function 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ide. Instructing to activate the stroke command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는 카메라 관련 응용 모듈이나, TV 수신 관련 응용 모듈, 긴급 통화 관련 응용 모듈, 게임 관련 응용 모듈, 정보 접근 관련 응용 모듈을 포함하는 기능 처리 및 정보 접근을 위한 관련 응용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기능 처리 제어에 따라 해당되는 기능 선택 및 정보 접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application processor includes a camera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TV reception related application module, an emergency call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game related application module, a related application module for information access, and a related application module for information access. A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device in a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cessing corresponding function selection and information ac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control. 제1 통신기기가 제2 통신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감지하여 해당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X축 및 Y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Generating a X-axis and Y-axis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roke by detecting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ile perform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X축 및 Y축 감지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트로크 정보를 상기 제2 통신기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troke information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X and Y axis detection signal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스트로크 정보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위치 및 방향 변화를 검출하여서 상기 사용자의 2차원 스트로크 명령을 인식하는 과정과;Receiv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stroke information and detecting a change in stroke position and direction to recognize a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of the user;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2차원 스트로크 명령에 대응하는 응용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nd processing,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 applic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stroke command.
KR1020050004729A 2005-01-18 2005-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KR100706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29A KR100706391B1 (en) 2005-01-18 2005-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29A KR100706391B1 (en) 2005-01-18 2005-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89A true KR20060083789A (en) 2006-07-21
KR100706391B1 KR100706391B1 (en) 2007-04-10

Family

ID=3717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729A KR100706391B1 (en) 2005-01-18 2005-01-18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391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560A (en) * 1995-12-15 1997-07-31 김재하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phone number plate
KR100438166B1 (en) * 2000-03-15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451206B1 (en) * 2002-10-01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93727A (en) * 2002-11-20 2002-12-16 김국환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644034B1 (en) * 2004-10-12 2006-11-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391B1 (en)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8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in head mounted display information terminal
US7643850B2 (en)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ethods that sense terminal movement for cursor control
US850393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motion input device
US7138979B2 (en) Device orientation based input signal generation
US7366540B2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as pointing device
US20170293351A1 (en) Head mounted display linked to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CN100501650C (en) Portable apparatus with modified point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US7616186B2 (en) Acceleration reference devices,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s, and methods that sense terminal movement for cursor control
WO2020238647A1 (en) Hand gesture interaction method and terminal
CN108958593B (en) Method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object and mobile terminal
US9819915B2 (en) Smart laser phone
CN111240545A (en)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274372B1 (en) Method and wealable device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US20060262096A1 (en) Optical mouse/barcode scanner built into cellular telephone
WO2023016372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090124135A (en) Method, system for inputting used stylus pe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KR1007063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KR1007478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Device
KR100629076B1 (en)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Three-Dimension Motion Sensing
EP2916209B1 (en) Input axis between an apparatus and a separate apparatus
CN110995303B (en)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187810B (en) Draw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1006440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690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7807740B (en)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