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172A -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172A
KR20060083172A KR1020060038827A KR20060038827A KR20060083172A KR 20060083172 A KR20060083172 A KR 20060083172A KR 1020060038827 A KR1020060038827 A KR 1020060038827A KR 20060038827 A KR20060038827 A KR 20060038827A KR 20060083172 A KR20060083172 A KR 20060083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wastewater treatment
sedimentation tan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920B1 (ko
Inventor
경 진 정
Original Assignee
(주)이엠엔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엔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엠엔씨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6008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5Plurality of essentially paralle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성 입자간 및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플록간의 충돌 기회 및 횟수를 증대시켜 슬러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록형성부가 구비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는,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유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의 슬릿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분배관과; 일측 단부는 상기 반응조와 연통 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분배관의 가운데 부분에 연통 되어 반응조의 슬러지혼합액을 상기 분배관으로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분배관의 하류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져 상기 분배관의 슬릿으로부터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부유성 입자간 및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플록간의 충돌 기회 및 횟수를 증대시키는 플록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침전지, 플록, 응집, 배플, 침전조, 슬러지, 분배관, 슬릿

Description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Secondary settling basin for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도 1은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2차 침전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관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배관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록형성부의 일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2차 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와 부분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2차 침전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슬러지수집기 3: 침전조
5: 슬러지혼합액 유입부 7: 상징수유출부
9: 슬러지인출부 10: 2차 침전지
21: 유입관 22: 분배관
23: 슬릿 24: 반사판
60: 플록형성부 61, 62, 63, 64, 65: 수직배플
70: 수직배플 승강수단 90: 응집제 투입수단
100: 원형 2차 침전지 122: 분배관
123: 슬릿 130: 이중관
132: 외측 중공부 140: 유입수조
160: 플록형성부 240: 수직유입수조
260: 플록형성부 660 : 제2 플록형성부
본 발명은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성 입자간 및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플록간의 충돌 기회 및 횟수를 증대시켜 슬러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록형성부가 구비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 또는 폐수 중에 포함된 부유성 유기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 침전지, 반응조 및 2차 침전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차 침전지는 유입수 즉, 하수 또는 폐수(이하 '하수'라 한다)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입자를 침전, 제거하여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예비처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반응조는 하수에 공기를 불어넣고 교반시켜서 응집성의 플록을 형성하는 반응조이다. 상기 응집성의 플록은 활성슬러지라고도 하는데, 각종 세균류, 원생동물, 후생동물 등 미생물과 비생물성의 무기물과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즉, 미생물 덩어리인 활성슬러지를 반응조에 넣고 산소와 함께 교반하면 점착성의 활성슬러지가 하수 중의 부유성 유기물을 흡착한 후 미생물의 대사기능에 따라 산화 또는 동화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2차 침전지는 반응조로부터 유출된 활성슬러지 혼합액(활성슬러지+하수)를 중력 침전하여 활성슬러지와 상징수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상징수는 처리수로써 방류하고, 침전·농축된 활성슬러지 중 일부는 반송 슬러지로써 반응조로 반송하여 생물학적 하수처리에 다시 이용하고, 나머지 활성슬러지는 잉여 슬러지로 폐기 처분한다.
따라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에서 2차 침전지는 처리수의 수질과 잉여 슬러지의 발생량 및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그러므로 2차 침전지는 처리수에 함유되는 부유성 입자를 적게 하고, 잉여 슬러지의 밀도 및 탈수성을 좋게 하는 것이 전체 하·폐수처리장의 처리효율과 경제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활성슬러지 혼합액을 중력 침전하여 고액분리하는 2차 침전지에 있어서, 부유성 입자들을 서로 충돌시켜 침전가능한 입자 크기를 갖는 침전성의 플록으로 형성하는 플록형성공정(flocculation process)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록형성(flocculation)'은 유체의 혼합효과 및 분자운동로 인해 발생하는 입자간 충돌(collision) 또는 입자의 플록 내 포착(enmeshment)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의 1차 침전지나 상수처리장의 침전지에서의 플록형성은 응결(coagulation)과 응집(flocculation)이라는 두 단계의 공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콜로이드 상태의 입자가 침강하기 위하여는 입자 간의 응집이 이루어져 입자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보통 부유성 입자는 표면의 전하로 인한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두 입자를 응집시키려면 먼저 응집제(또는 응결제)를 가하여 표면 전하를 중화시켜 반발력을 제거하는 응결공정이 선행된다. 즉, 응결은 (-)로 하전 되어 있는 콜로이드 입자와 (+)전하를 띄고 있는 응집제 간의 화학적, 물리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의 2차 침전지로 유입되는 유입수(슬러지혼 합액)에는 점착성의 활성슬러지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응결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즉, 활성슬러지는 각종 미생물과 이들 미생물로부터 방출된 유기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플록이므로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플록간의 충돌기회와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부유성 입자를 응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2차 침전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지(1)는 소정 크기의 장방형 침전조(3)와, 상기 침전조(3)의 상류 측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 상기 침전조(3)의 하류 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징수가 배출되는 상징수유출부(7), 상기 침전조(3)의 하류측 하부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인출되는 슬러지인출부(9), 상기 침전조(3) 안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인출부(9)로 긁어 모으는 슬러지수집기(2), 상기 침전조(3)의 일측에 형성되고 슬러지흡입배관(41), 슬러지인발펌프(42) 및 전선관등이 설치된 공동구 겸 펌프실(4)로 구성된다.
그리고 침전조(3)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슬러지혼합액이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는 소정 크기의 유입수조(51), 분배수로(53) 및 유공정류판(5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입수조(51)는 도시되지 않은 반응조에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이 일시 체류한 뒤 분배수로(53)로 유출될 수 있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분배수로(53)는 상기 유공정류판(54)과 함께 유입수조(51)에서 공급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침전조(3)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침전조(3)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유공정류판(54)은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슬러지혼합액을 침전조(3) 내부로 균등하게 배분하여 침전조(3) 내부에 저속의 층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분배수로(53)와 유공정류판(54)이 설치된 종래의 2차 침전지(1)는 침전조(3) 내부에 저속의 층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슬러지혼합액에 함유되어 있는 침강성 플록을 원활하게 침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종래의 2차 침전지(1)는 침전조(3)에 저속의 층류가 형성되므로 부유성 입자들이 충돌할 기회를 갖지 못하여 플록 형성이 활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침전조(3)로 유입되기 이전에 침전성 플록을 형성하지 못한 부유성 입자는 상징수와 함께 상징수유출부(7)로 배출되어 처리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2차 침전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수조(51)와 분배수로(54)에 교반기(55)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교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반기(55)는 전기의 사용량을 증가시켜 유지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슬러지혼합액을 충분히 교반시키기 위해서는 소정 크기의 유입수조(51)와 분배수로(54)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2차 침전지의 크기가 커져서 소요 부지면적이 넓어지고 유효침전조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2차 침전지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에 플록형성부를 설치하여 2차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전후 및/또는 상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부유성 입자 간 또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플록간의 충돌 기회 및 횟수를 증대시켜서 슬러지의 침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2차 침전지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에 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플록형성부를 설치하여 무동력으로 부유성 입자간 또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가능성 및 횟수를 증대시켜 경제적으로 슬러지의 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2차 침전지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에 설치되었던 유입수조, 분배수로 및 유공정류판 대신에 소정의 분배판과 다수의 수직배플을 설치하여 침전지의 유효면적을 확대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는,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에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수평 하게 설치되고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유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슬릿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분배관과, 상기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상기 분배관의 가운데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 끝 부분은 반응조와 연통 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분배관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는,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분배관의 하류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수직배플로 구성된 플록형 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는, 원형 침전조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이중관과, 상기 이중관의 상부로 슬러지혼합액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공급되는 슬러지혼합액을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중관 내에 형성된 나선형의 유입수조와, 상기 유입수조상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부유성 입자간 또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플록간의 충돌 기회 및 횟수를 증대시켜서 슬러지의 침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다수의 수직배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10)(이하 '2차 침전지'라 약칭한다)는 장방형의 침전조(3)와, 상기 침전조(3)의 상류측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 상기 침전조(3)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징수가 배출되는 상징수유출부(7), 상기 침전조(3)의 하류측 하부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인출되는 슬러지인출부(9), 상기 침전조(3) 안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한 슬러지인출부(9)로 긁어 모으는 슬러지수집기(2)와, 상기 침전조(3)의 일측에 형성되며 슬러지흡입배관(41), 슬러지인발펌프(42) 및 전선관 등이 설치되는 공동구겸 펌프실(4)을 포함 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2차 침전지(1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2차 침전지(1)와 유사하다. 따라서 종래의 2차 침전지(1)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는 종래 기술에 따른 2차 침전지(1)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의 구조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2차 침전지(10)는 종래의 2차 침전지(1)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에 설치되었던 유입수조(51), 분배수로(53) 및 유공정류판(54) 대신에 소정 직경의 분배관(22)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는 종래의 2차 침전지(1)와 달리 침전조(3) 내부에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하여 부유성 입자간 및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가능성 및 횟수를 증대시키는 플록형성부(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록형성부(60)는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지고, 도 3에서 와 같이 슬러지수집기(2)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러지수집기(2) 안에 설치되는 형태가 있다. 이것은 침전조(3)와 슬러지수집기(2)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어느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에 설치된 분배관(22)에 대해서 설명한 다. 상기 분배관(22)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3)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원형 파이프로서,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의 슬릿(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22)의 가운데 부분에는 원형 유입관(2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21)의 일측 끝 부분은 도시되지 않은 반응조(폭기조 또는 유입수조)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분배관(22)에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반응조의 슬러지혼합액은 상기 유입관(21)을 통해서 분배관(22)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분배관(22)으로 유입된 슬러지혼합액은 분배관(22)의 내주면에 부딪혀 침전지(3)의 폭 방향으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22)에서 좌우로 분배된 슬러지혼합액은 상기 슬릿(23)을 통해서 침전조(3)로 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차 침전지(1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침전지(1)의 유입수조(51), 분배수로(53) 및 유공정류판(54)을 생략하는 대신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분배관(2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분배관(22)은 유입관(21)이 설치된 방향 즉, 슬러지혼합액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슬릿(23)이 개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릿(23)의 높이는 유입관(21)이 설치된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측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또한, 상기 유입관(21)이 용접된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좌우로는 슬릿(23)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입관(21)을 따라서 분배관(22)으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은 분배관(22)의 내주면에 부딪혀 그 흐름이 역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분배관(22)으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은 좌우방향으로 이동 하는 동시에 상기 슬릿(23)을 통해서 역류방향(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슬릿(23)의 높이는 가운데가 낮고 양단부로 갈수록 높기 때문에 슬릿(23)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의 양은 침전조(3)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배관(22)은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함과 아울러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역류시키고 분배시킴으로써 부유성 입자간 및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가능성 및 횟수를 증대시킨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23)을 통해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은 침전조(3)의 수직벽(13)에 부딪혀서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이 또다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2차 침전지(10)는 분배관(22)에 형성된 슬릿(23)이 후방을 향하도록 개방함으로써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2차에 걸쳐 역류시킬 수 있다. 즉, 반응조에서 공급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이 분배관(22)에 1차로 부딪혀 역류한 다음, 침전조(3)의 수직벽(13)에 다시 부딪혀서 2차로 역류함으로써 슬러지혼합액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성 입자간 또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가능성 및 횟수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차 침전지(10)는 분배관(22)에 형성된 슬릿(23)이 후방을 향하도록 개구함으로써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전후방향으로 반복하여 역류하도록 하여 부유성 입자의 충돌가능성 및 횟수를 높여 슬러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즉, 반응조(폭기조)로부터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생물학적 처리수)에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침전이 잘 일어나지 않는 부유성 입자(핀플록)와 침전이 잘 일어 나는 침강성 플록이 혼재되어 있다. 이렇나 부유성 입자와 침강성 플록은 각종 미생물과 미생물로부터 방출된 유기성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성 입자 및 플록이다. 따라서 부유성 입자와 침강성 플록간의 충돌기회와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응집률을 크게 향상시켜 부유성 입자의 농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서와 같이, 침전조(3)의 선단에 슬릿(23)이 형성된 분배관(22)을 설치하여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 기회와 횟수를 증가시키면 슬러지의 침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수의 수직배플채널(Vertically baffled channel)이 형성된 플록형성부(60)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3)의 상류측에는 다수 개의 수직배플(61,62,63,64....)에 의해서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는 플록형성부(60)가 설치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배플(61,62,63,64)들은 소정 두께의 판체로서, 양 단은 침전지(3)의 양측 벽면(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직배플(61,62,63,64)들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웃하는 수직배플사이에는 슬러지혼합액이 상하로 방향을 바꿔가면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수직배플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직배플(61)의 하단은 침전조(3)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그 상단은 침전조(3)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배관(22)에서 공급되는 슬러지혼합액은 상향류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제1 수직배플(61)의 상단을 통해서 다음 수직배플채널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3)의 수직벽(13) 전면에 소정 곡률의 반사판(24)을 설치하면, 상기 분배관(22)의 슬릿(23)을 통해서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배플(61)의 하단은 침전조(3)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침전조(3)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슬러지가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따라서 하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제2 수직배플(62)의 하단은 반응조(3)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단은 수면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직배플(61)의 상단을 통해서 넘어온 슬러지혼합액은 하향류의 흐름을 형성한 다음 제2 수직배플(62)의 하단을 통해서 다음의 수직배플채널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수직배플(62)의 상단은 반드시 침전조(3)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침전조(3)의 수면에 뜨는 스컴을 스컴제거용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수직배플(63)과 제4 수직배플(64)을 설치하면, 제2 수직배플(62)과 제3 수직배플(63)사이에는 상방향의 수직배플채널이 형성되고, 제3 수직배플(63)과 제4 수직배플(64)사이에는 하방향의 수직배플채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4 수직배플(64)의 하단을 통해서 침전조(3)의 침전구역으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은 상향류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하류로 이동하여 저속의 층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수직배플(61) 내지 제4 수직배플(64)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채널 을 통해 상하로 반복하여 이동하는 슬러지혼합액은 그 이동경로가 연장됨과 아울러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플록간의 충돌기회와 횟수가 증가하여 부유성 입자들이 응집되게 된다. 그리고 응집된 슬러지플록은 제4 수직배플(64) 이후의 침전구역에서 침강하게 된다. 또한, 침전된 슬러지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침전조에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는 분배관(22)의 하류에 다수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60)를 두고 상기 분배관(22)을 통해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바꿔줌으로써 슬러지혼합액의 이동경로를 연장함과 아울러 슬러지혼합액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플록간의 충돌기회와 횟수를 증가시켜 부유성 입자의 플록 내 포착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록형성부(60)에서 침전된 슬러지는 각 수직배플의 하단 아래쪽으로 흐르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따라 하류로 이동된다. 그리고 하류로 이송된 침전슬러지는 슬러지수집기(2)의 블레이드에 의해서 침전조(3)의 하류로 수집된 후 슬러지인출부(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플록형성부(60)에서 부상된 스컴은 각 수직배플의 상단 위쪽으로 흐르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이나 스컴제거기의 스크레이퍼를 따라 이동하여 스컴인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러지수집기(2)의 블레이드가 플록형성부(60)의 하단과 상단을 통과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침전슬러지와 스컴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록형성부(60)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8a은 2차 침전지(10)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특히 플록형성부(60)의 최후단 하류에 설치된 제4 수직배플(64)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수단(70)이 구비된 경우이다. 상기 승강수단(70)은 수직배플의 하단과 침전조(3) 바닥면 사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 수직배플(64)은 침전조(3)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 방향 및 유속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수단(70)은 소정의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회전력을 수직운동으로 바꾸어 제4 수직배플(64)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제4 수직배플(64)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는 체인과 스프로켓, 랙과 피니언 등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특히 상기 플록형성부(60)의 하류에 제5 수직배플(65)를 더 설치한 경우이다. 상기 제5 수직배플(65)의 하단은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수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5 수직배플(65)을 통해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이 침전조(3)의 수면 쪽에서 바닥 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침전조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수온 상승에 따른 슬러지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수직배플(65)에도 승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수직배플의 상단과 수면사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플록형성부(60)의 하류에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유공정류판(60)을 더 설치한 경우이다. 상기 유공정류판(60)은 침전조로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을 균등 분배하고 난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침강성 슬러지 플록의 침강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는 침전조의 상황에 따라 수직배플의 수, 위치 및 높이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6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플록형성부(60)의 수직배플은 도시된 수나 위치로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분배관(22)을 통해 침전조(3)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에 응집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응집제 투입수단(90)이 더 설치된 경우이다. 상기 응집제 투입수단(90)은 유입관(21)에 연통하게 설치된 혼화조(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혼화조(91)에는 처리수를 순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처리수이송파이프(93)와 상기 처리수이송파이프(93) 상에 설치된 처리수이송펌프(92)가 연통 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혼화조(91)로 공급되는 응집제는 처리수와 교반된 후 상기 유입관(21)으로 투입된다. 그러면 응집제가 투입된 슬러지혼합액은 분배관(22)과 플록형성부(60)에서 다시 교반되어 부유성 입자를 응결시켜 침강성 플록의 형성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는 분배관(22)과 플록형성부(60)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에 소정량의 응집제를 투여함으로써 부유성 입자간의 응결성을 향상시켜 침전성을 높이고 잉여슬러지의 탈수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응집제의 투여량은 반응조(폭기조)로 반송되는 활성슬러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2차 침전지(10)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인출부가 침전조(3)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슬러지혼합액 유입부는 종래 기술에 따른 2차 침전지(1)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2차 침전지(10)는 장방형 침전조(3)와, 상기 침전조(3)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유입수조(51), 분배수로(53) 및 유공정류판(54)으로 이루어진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 상기 침전조(3)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징수가 배출되는 상징수유출부(7), 상기 침전조(3)의 상류측 하부에 형성되어 슬러지가 인출되는 슬러지인출부(91), 상기 침전조(3) 안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침전 슬러지를 슬러지인출부(91)쪽으로 긁어 모으는 슬러지수집기(2),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의 하부에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슬러지흡입배관, 슬러지인발펌프 및 전선관 등이 설치되는 공동구겸 펌프실(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2차 침전지(10)는 종래의 슬러지혼합액 유입부(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분배수로(53) 내에 다수의 수직배플(61,62,63,64)로 구성된 플록형성부(60)가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분배수로(53)에 플록형성부(60)를 설치함으로써 침전조(3)에서의 침전효율을 높아질 뿐만 아니라 침전조(3)의 유효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플록형성부(60)의 수직배플(61,62,63,64)들은 판체로서, 그 양 단은 분배수로(53)의 양측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각 수직배플(61,62,63,64)들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이웃하는 수직배플사이에 수직채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러지혼합액은 침전조(3)로 유입되기 전에 플록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침전조(3)로 유입된 플록들은 침전조(3)의 상류에 설치된 슬러지인출부(91)로 침전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배수로(53)의 하류에 설치되는 유공정류판(54)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 도 11은 상기 분배수로(53)이 선단에, 도 5에 도시한 분배관(22)을 설치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수조(51)(또는 반응조)의 슬러지혼합액은 상기 유입관(21)을 통해서 분배관(22)으로 유입되고, 상기 분배관(22)으로 유입된 슬러지혼합액은 분배관(22)의 내주면에 부딪혀 분배된 후 슬릿(23)을 통해 상기 분배수로(53)로 유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22)에서 유출된 슬러지혼합액은 상기 플록형성부(60)의 수직채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록형성부(60)의 전단에 분배관(22)을 형성함으로써 부유성 입자간 또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가능성 및 횟수를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플럭형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113을 참조하면, 상기 침전조(3)의 내부에는 제2 플록형성부(66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플록형성부(660)는 상술한 플록형성부(6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2 플록형성부(660)는 분배수로(53)에 설치되어 있는 플록형성부(60)에서 처리하지 못한 슬러지혼합액을 응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배수로(53)와 침전조(3)에 각각 플록형성부(60,660)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증진된 침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플록형성부(660)는 슬러지인출부(91)의 하류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배플(661,662,663,664)들로 이루어진다. 각 수직배플의 양 단은 침전지(3)의 양측 벽면에 고정되고 각 수직배플(661,662,663,664)들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채널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2a, 도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10)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2a는 상기 분배수로(53) 뿐만 아니라 유입수조(51) 내에도 다수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60)를 설치한 2차 침전지(10)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유입수조(51)에 플록형성부(60)를 설치하면, 침전조(3)에 설치되는 제2 플록형성부(660)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12b와 도 12c는 상기 분배수로(53)(또는 유입수조(51))에 수직배플을 설치하는 대신에 기계적인 회전믹싱이나 에어믹싱을 이용한 2차 침전지(10)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도 12b에서는 분배수로(53)와 유입수조(51)내에 다수의 회전날개가 달린 회전교반기(555)를 설치하여 플록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2c에서는 분배수로(53)와 유입수조(51)내에 산기장치(700)를 설치하여 산기장치(700)에서 분사되는 공기방울에 의한 순환흐름을 이용하여 플록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회전교반기(555)와 산기장치(7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전조(3)내에 제2 플록형성부(6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2차 침전지(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플록형성부가 구비된 원형 2차 침전 지(100)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2차 침전지(100)는 원형 침전조(103)의 중심부에 슬러지혼합액 유입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응조와 연통 되어 슬러지혼합액을 유입시키는 유입관(121)은 상기 원형 침전조(103)의 중심부에 형성된 이중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중관(130)의 내측 중공부(131)에는 원형 침전조(103)의 바닥면에 설치된 슬러지수집기(10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112)이 설치되고, 상기 이중관(130)의 외측 증공부(132)에는 상기 유입관(121)을 통해서 공급되는 슬러지혼합액을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유입수조(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입수조(140)는 이중관(130)의 외측 중공부(132)에 용접되어 있는 나선형의 바닥판(141)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07는 상징수유출부, 109는 슬러지인출부, 104는 슬러지흡입배관이다.
이어, 상기 유입수조(140)에는 하부로 흐르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전환시켜 부유성 입자간 또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플록간의 충돌 기회 및 횟수를 증대시켜서 슬러지의 침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플록형성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록형성부(160)는 상기 유입수조(140)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수직배플(161, 162, 163, 164, 1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배플(161~165)은 그 하단이 나선형 바닥판(141)에 근접하게 설치된 것과 상기 바닥판(141)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게 설치된 것이 교대로 설치되어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수직배플(161~165)의 하단과 상단은 상기 나선형 바닥판(141)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 치되어 침전슬러지 및 스컴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수직배플(161, 162, 163, 164, 165)은 이중관(130)의 외측 내주면과 상기 이중관(130)의 내측 외주면에 각각 교호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하향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중관(130)의 외측 중공부(132)의 하단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유공정류판(166)이 설치된다. 상기 유공정류판(166)은 유입수조(140)를 따라 흐르는 슬러지혼합액을 균등 분배하고 난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침강성 슬러지 플록의 침강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2차 침전지(100)는 슬러지혼합액 유입부(105)에 나선형의 유입수조(140)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수조(140)에 다수의 수직배플(161~165)를 설치하여 슬러지혼합액의 흐름경로를 연장함과 아울러 슬러지혼합액의 흐름 방향을 상하로 반복하여 전환함으로써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 기회와 횟수를 증가시켜 슬러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플록형성부가 구비된 원형 2차 침전지(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침전조(103)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이중관(130)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관(121)의 선단에 설치되고 슬러지혼합액을 이중관(130)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시킬 수 있도록 소정 폭의 슬릿(123)이 형성된 링 형 상의 분배관(1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관(122)에서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을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중관(130)의 외측 중공부(132)에는 수직유입수조(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유입수조(240)에 소정 각도로 아랫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하향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주는 다수의 환형배플(261~265)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관(130)의 외측 내주면에 설치된 환형배플(261,263,265)과 이중관(130)의 내측 외주면에 설치된 환형배플(262,264)이 교호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지그재그식의 유입수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관(130)의 하단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유공정류판(26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2차 침전지(100)는 링 형 분배관(122)를 통해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이중관(130)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동시에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이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환형배플(261~265)을 통해서 하향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좌우로 변환시킴으로써 흐름경로를 연장함과 아울러 슬러지혼합액을 교반하여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슬러지 플록간의 충돌 기회와 횟수를 증가시켜 슬러지의 침전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2차 침전지와 원형 2차 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지는 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슬러지혼합 액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성 입자와 점착성 플록간의 충돌기회와 횟수를 증가시켜 부유성 입자의 플록 내 포착 가능성을 높여서 슬러지의 침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분배관과 다수의 수직배플을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슬러지의 침강성을 향상시켜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2차 침전지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유효 침전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에 소량의 응집제를 투여한 후 분배관 또는 플록형성부를 통해서 교반함으로써 슬러지의 침강성 및 탈수성을 향상시켜 처리수의 수질을 향상시키고 잉여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어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내부에 반응조(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2.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에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반응조(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유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된 분배관과, 상기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상기 분배관의 가운데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측 단부는 반응조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분배관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3.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반응조(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상기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유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분배관과;
    일측 단부는 상기 반응조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분배관에 연통되어 반응조의 슬러지혼합액을 상기 분배관으로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분배관의 슬릿으로부터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에 형성된 슬릿은 슬러지혼합액이 유입되는 쪽으로 개구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이 역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침전조의 수직벽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을 통해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이 상기 침전조의 수직벽에 부딪혀 그 흐름이 역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에 형성된 슬릿의 높이는 슬러지혼합액이 유입되는 유입관으로부터 좌우측으로 멀어질수록 커져서 슬러지혼합액이 침전조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배플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고, 각 수직배플의 양단은 침전조의 양 측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배플은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이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변환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교호적으로 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형성부의 최후단 하류에 위치된 수직배플에는 수직배플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형성부의 최후단 하류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유공정류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는 응집제를 투여하기 위한 응집제 투여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수직벽에는 상기 분배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3.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에 설치된 유입수조와 분배수로로 이루어진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의 분배수로에는 반응조(폭기조)나 유입수조에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고, 양단은 분배수로의 양 측벽면에 고정되며, 그 높낮이가 교호적으로 변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4.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에 설치된 유입수조와 분배수로로 이루어진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의 분배수로에 반응조(폭기조)나 유입수조에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고, 양단은 분배수로의 양 측벽면에 고정되며, 그 높낮이가 교호적으로 변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제1 플록형성부와;
    상기 플록형성부로부터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다시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 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고, 양단은 침전조의 양 측벽면에 고정되며, 그 높낮이가 교호적으로 변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제2 플록형성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5. 제13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의 분배수로에는 상기 분배수로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분배수로의 폭 방향으로 균등하게 유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된 분배관과, 상기 반응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을 상기 분배관의 가운데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측 단부는 반응조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분배관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6. 제13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조에는 반응조(폭기조)에서 유입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고, 양단은 유입수조의 양 측벽면에 고정되며, 그 높낮이가 교호적으로 변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7. 제13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조에는 교반장치나 산기장치가 설치되어 플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8.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에 설치된 유입수조와 분배수로로 이루어진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침전조의 하류측 상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침전조의 상류측 하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의 분배수로와 유입수조에는 교반장치나 산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침전조의 내부에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다수의 수직배플채널을 형성하고, 양단은 침전조의 양 측벽면에 고정되며, 그 높낮이가 교호적으로 변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제2 플록형성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19. 원형 침전조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중심부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외주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원형 침전조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이중관과, 상기 이중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반응조로부터 슬러지혼합액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공급되는 슬러지혼합액을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중관에 형성된 나선 형의 유입수조와, 상기 유입수조상에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20. 원형 침전조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중심부에 형성된 슬러지혼합액 유입부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외주부에 형성된 상징수유출부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슬러지인출부와, 상기 원형 침전조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슬러지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에 있어서,
    상기 원형 침전조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이중관과, 상기 이중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반응조로부터 슬러지혼합액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선단에 설치되고 슬러지혼합액을 이중관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시킬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된 링 형 상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서 유출되는 슬러지혼합액을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중관의 외측 중공부에 형성된 수직유입수조와, 상기 수직유입수조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하향하는 슬러지혼합액의 흐름방향을 바꾸어주는 다수 개의 환형배플로 이루어진 플록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치용 2차 침전지.
KR1020060038827A 2005-05-12 2006-04-28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0637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07 2005-05-12
KR1020050039907A KR20050058308A (ko) 2005-05-12 2005-05-12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172A true KR20060083172A (ko) 2006-07-20
KR100637920B1 KR100637920B1 (ko) 2006-10-23

Family

ID=37173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07A KR20050058308A (ko) 2005-05-12 2005-05-12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20060038827A KR100637920B1 (ko) 2005-05-12 2006-04-28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07A KR20050058308A (ko) 2005-05-12 2005-05-12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583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012A2 (ko) * 2008-03-25 2009-10-01 주식회사 에코다임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KR101956785B1 (ko) * 2018-08-09 2019-03-13 (주)가온텍 개량형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94B1 (ko) 2011-04-01 2011-11-18 이동오 총인 제어 하수처리 시스템
KR20170015400A (ko) * 2017-01-20 2017-02-08 조수영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공정류벽을 갖춘 장방형침전지 유입구
KR101951202B1 (ko) * 2018-08-09 2019-02-25 (주)가온텍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CN114733233B (zh) * 2022-03-03 2023-11-14 柳州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细渣高效分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8184U (ko) 1978-06-07 1979-12-15
JP2001232105A (ja) 2000-02-28 2001-08-28 Japan Organo Co Ltd 固液分離装置
KR200367936Y1 (ko) 2004-08-23 2004-11-17 (주)담덕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0012A2 (ko) * 2008-03-25 2009-10-01 주식회사 에코다임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WO2009120012A3 (ko) * 2008-03-25 2009-12-23 주식회사 에코다임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US8087518B2 (en) 2008-03-25 2012-01-03 Ecodigm Co., Ltd. Rectangular sedimentation system having self-aggregation facility
KR101956785B1 (ko) * 2018-08-09 2019-03-13 (주)가온텍 개량형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308A (ko) 2005-06-16
KR100637920B1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731B2 (ja) 汚水処理装置
CN205774033U (zh) 一种复合式高效澄清池
KR100988474B1 (ko)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플록형성지
KR101271212B1 (ko) 호소 내 조류제거 및 수질정화 장치
KR100941938B1 (ko) 혼화응집설비를 갖춘 슬러지 수집기
KR100637920B1 (ko)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CN102659227A (zh) 一种中置式高密度沉淀水净化池及其净化工艺
KR101951202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646042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946402B1 (ko)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CN108328786A (zh) 一种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SE1051368A1 (sv) Vattenrenare och metod för att rena vatten
KR10165215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79745B1 (ko)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CN217025458U (zh) 一种内循环增效混凝沉淀反应器
KR100844503B1 (ko) 하수 처리 방법 및 장치
JP6640837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2058956B1 (ko)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045878B1 (ko) 상하수 고도 처리를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침전지
KR200384139Y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CN219709230U (zh) 一种集成式高效混凝沉淀池污水处理设备
CN220788253U (zh) 一种sbr污水处理设备
KR100447812B1 (ko) 일체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 구성 방법 및 장치
CN214990807U (zh) —种短程絮凝耦合废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