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781A -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781A
KR20060082781A KR1020050101084A KR20050101084A KR20060082781A KR 20060082781 A KR20060082781 A KR 20060082781A KR 1020050101084 A KR1020050101084 A KR 1020050101084A KR 20050101084 A KR20050101084 A KR 20050101084A KR 20060082781 A KR20060082781 A KR 20060082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lecting
elevator
ceil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906B1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05010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9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양쪽 천정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반사기구들을 일정한 폭의 규격품으로 제작하여, 엘리베이터 크기에 맞게 있달아 필요한 갯수만큼 이어서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양쪽 천정모서리 부분 각각의 통풍구 밑으로 벽면에서 약간 이격되게 설치되고,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다란 하나 이상의 체결판(52), 상기 체결판(52)에 현수되는 아치형의 반사판(54), 상기 반사판(54)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측면판(56)을 포함하고, 전체 길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길이보다 약간 짧은 천정모서리 반사기구(50); 상기 측면판(56)에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로 수평 연결되어 반사기구(50) 아래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직사광을 차단하는 조명차폐판(60); 상기 조명차폐판(6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반사기구(50) 밑의 조명기구를 가리는 기다란 전방가림판(70); 및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82)과, 상기 체결판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일정 폭의 반사판(84)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기구(50)에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반사기구(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Prefabricated reflecting system mounted under the ceiling of an elevator cage}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간접조명방식의 일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다른 간접조명방식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의 직접조명방식의 일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또다른 조명반사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명반사시스템의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 8은 반사기구의 결합방식을 보여주는 일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양쪽 천정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반사기구들을 일정한 폭의 규격품으로 제작하여, 엘리베이터 크기에 맞게 있달아 필요한 갯수만큼 이어서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부의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 간접조명방식, 이들 두가지 방식을 혼합한 직간접 조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1은 간접조명방식으로 보여주는 일례로서, 엘리베이터 천정에 형광등이나 백열등 등의 조명기구(1)를 설치하고, 그 밑에 반투명 차폐판(3)을 설치한 형태이다. 현재의 대부분의 엘리베이터는 모서리 상부에 송풍기(10)가 위치하고 그 밑으로 송풍로(20)가 배치되어 있기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 측면으로 송풍바람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간접조명방식에서는, 차폐판(3)때문에 조명기구(1)에서 발광된 빛으로 인해 사용자의 눈이 부시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면서도 통풍이 원활한 효과는 있지만, 차폐판(3) 상부에 먼지가 쉽게 싸여 주기적으로 차폐판(3)을 분리해 청소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조명기구(1)를 교환해야 할 때도 차폐판을 분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폐판(3)을 엘리베이터 천정 전체에 설치해야 하기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천정 높이가 낮아져, 높이가 높은 장롱 등의 화물(5)을 운반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도 2에는 다른 간접조명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방식에서는 완전한 불투명 차폐판(3) 위에 조명기구(1)가 장착되고, 조명기구에서 나온 빛은 사용자에게 직접 조명되지 않고 화살표(B, C) 방향으로 천정이나 벽면에서 반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눈이 부시거나 조명이 너무 밝아 불편하고, 천정면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는 없지만, 조명기구의 차폐판(3)이 통풍구(20)를 일부 차단하여 통풍에 문제가 있으며, 조명기구의 빛이 완전히 엘리베이터 천정과 벽면에서 반사된 반사광만으로 엘리베이터 내부를 조명하기 때문에 필요한 조도가 저하되어 조명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직접조명방식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천정에 조명기구(1)를 장착하고, 조명기구의 빛을 차단하는 차폐판은 없다. 이 방식에서는 조명기구의 빛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조명이 눈부시다는 문제가 있으며, 천정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주로 백열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크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크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크기에 맞게 조명장치를 제작하여 수작업으로 일일이 벽면이나 천정에 체결구로 조립해야 하므로, 수작업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이런 문제를 감안하여 도 4와 같은 조명반사시스템을 발명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2004-41737로 출원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크게 천정모서리 반사기구(10), 조명등 설치판(20) 및 마감 반사기구(30)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그이상의 중간 반사기구(40)가 추가되기도 한다.
천정모서리 반사기구(1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양쪽 천정 모서리 부분 각각의 통풍구 밑에 벽면에서 약 20mm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등의 체결구가 삽입되는 기다란 채널형 체결구 장착부(12), 체결구 장착부(12) 밑에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아치형 단면을 이루되 표면은 아코디언 형태를 갖고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14), 상기 반사면(14)의 하 단부에 형성되어 조명등 설치판(20)을 결합하기 위한 조명등설치판 결합부(16), 및 다른 반사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타단부의 결합부(18)를 포함한다. 이 반사기구(10)의 전체 길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케이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폭은 규격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사기구(10)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통풍을 위해 벽면에서 20mm 정도 띄워서 천정에 설치된다. 채널형 체결구 장착부(12)는 레일 형태로 전장에 걸쳐 형성되고, 이곳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삽입하면 볼트머리가 걸려 외부로 빠지지는 않으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은 자유롭다. 따라서, 체결구 장착부(12)에 다수의 볼트를 삽입한 다음 편리한 위치에서 천정에 결합하면 반사기구(1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장착부(12)는 하나 또는 두개이며, 그 갯수는 설치의 편의상 선택하면 된다. 또, 반사면(14)는 전체적인 단면이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빛의 반사각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은 가능한한 아코디언 형태로 구성한다.
조명등 설치판(20)은 천정모서리 반사기구(10) 하단부의 결합부(16)에 스냅결합되고, 그 위에 조명등(1)을 설치하여 조명등의 직접조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사각판 모양이다. 조명등 설치판(20)과 반사기구(10)의 결합방식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와 홈이 암수결합하는 스냅결합 방식이 바람직하고, 엘리베이터의 내부 조명이 어두울 경우 필요에 따라 설치판(20)에 빛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감 반사기구(30)는 모서리 반사기구(10) 또는 후술하는 중간 반사기구(4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기다란 채널형 체결구 장착부(32), 체결구 장착부(32) 밑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기구(10)와 결합되었을 때 반사기구의 반사면(14)과 연속되는 아코디언 형태를 갖는 반사면(34), 상기 천정모서리 반사기구(10)의 타단부의 결합부(18)에 스냅결합되는 결합부(36)를 갖고, 길이는 천정모서리 반사기구(10)와 동일하고 일정한 폭을 갖는다. 장착부(32)와 반사면(34)의 구성은 반사기구(10)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조명반사기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이 이중벽 구조로 되어있어, 재료비와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좁은 엘리베이터 상부공간에서 조립이나 분해작업을 할 때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가 곤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등에 의한 직접조명을 지양하고 천정에 조명반사판을 설치하되, 일정한 반사각을 줌으로써 탑승객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도 반사면의 반사율을 높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폐판이 불필요하여 조명장치에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내부 청결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의 천정 높이를 감소시키지 않아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큰 목적은, 조명장치의 각각의 반사판을 일정한 규격으로 규격화하고, 각각의 반사판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재료비와 작업비 등을 포함한 모든 원가절감을 크게 개선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양쪽 천정모서리 부분 각각의 통풍구 밑으로 벽면에서 약간 이격되게 설치되고, 고정대(90)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다란 하나 이상의 체결판(52), 상기 체결판(52)에 현수되는 아치형의 반사판(54), 상기 반사판(54)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측면판(56)을 포함하고, 전체 길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길이보다 약간 짧은 천정모서리 반사기구(50);
상기 측면판(56)에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로 수평 연결되어 반사기구(50) 아래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직사광을 차단하는 조명차폐판(60);
상기 조명차폐판(6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반사기구(50) 밑의 조명기구를 가리는 기다란 전방가림판(70);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82)과, 상기 체결판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일정 폭의 반사판(84)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기구(50)에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반사기구(80); 및
상기 반사기구(40,80)의 체결판(52,82)을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대(85);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50,60,70,80,85)을 결합하여 모듈화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시스템에 있어서, 체결판(52,82)을 고정대(85)에 조립할 때 리벳과 너트의 조합체인 인서트너트(9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방가림판(70)을 자석(74)에 의해 조명차폐판(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반사기구(50)의 반사판(54) 상부에 다수의 보강판(8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조명차폐판(60)의 밑면에 장식시트(66)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시스템은 크게 천정모서리 반사기구(50), 조명차폐판(60), 전방가림판(70), 하나 이상의 추가 반사기구(80) 및 다수의 고정대(85)로 구성된다.
천정모서리 반사기구(5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양쪽 천정모서리 부분 각각의 통풍구 밑으로 벽면에서 약간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대(85)에 나사, 볼트, 인서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다란 하나 이상의 체결판(52), 상기 체결판(52)에 현수되는 아치형의 반사판(54), 상기 반사판(54)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측면판(56)을 포함한다. 이 반사기구(50)의 전체 길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케이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폭은 가급적 규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사기구(50)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통풍을 위해 벽면에서 20mm 정도 이격되어 천정에 설치된다. 체결판(52)은 반사판(54)의 윗면에 수직으로 형성되 고, 하나 또는 2개가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체결판(52)은 반사판(54)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얇은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판으로서, 상단부는 직각으로 휘어져 체결구를 설치할 여지를 둔다. 체결판(52;82)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명차폐판(60)은 반사기구(50)의 측면판(56) 하단부에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해 결합되는 평평하고 얇은 사각판 형태로서, 반사판(54)과 조명차폐판(60) 사이에 조명기구가 설치된다. 이런 조명차폐판(60)은 조명기구의 빛이 직접 엘리베이터 승객에게 조사되는 것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지만, 엘리베이터의 내부조명이 어두운 등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차폐판(60)에 빛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전방가림판(70)은 조명차폐판(6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에 설치된 조명기구가 승객에게 직접 보이는 것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전방가림판(70)은 조명기구의 교체나 수리를 위해 가급적 분리되기 쉽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방가림판(70)을 나사나 볼트 등으로 조명차폐판(60)에 결합하기 보다는, 자석(74)을 이용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명차폐판(60)의 전단부의 길이를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자석(74)을 설치하고, 전방가림판(70)의 재질이 플라스틱 등 비자성체일 경우에는 자석(74)에 대응하는 철판 등의 자력이 통하는 물질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전방가림판(70)을 조명차폐판(60)에 결합한다. 이렇게 자석을 이용해 결합할 경우, 작업자는 쉽게 손으로 전방가림판을 분리하고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크기에 따라서는 반사기구(50)에 추가로 반사기 구(80)를 하나 이상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면이 ㄴ 형인 반사기구(80)를 더 포함한다.
추가 반사기구(80)는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82)과, 상기 체결판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일정 폭의 반사판(84)으로 이루진다. 도면에서 보다시피, 추가 반사기구(80)와 기본 반사기구(50)의 결합방식은 설치와 분해의 편의를 위해, 암수결합의 스냅결합 방식이 바람직하다. 물론, 추가 반사기구(80)끼리 연결할 때도 동일한 방식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2종류의 반사기구(50,80)는 모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고정대(85)에 조립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반사기구(50,80)의 체결판(52,82)을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되면, 전술한 모든 부품(50,60,70,80,85)이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화 상태로 되고, 이런 조립체를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한꺼번에 부착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다음, 추가 반사기구(80)와 고정대(85)의 결합방식에 대해 도 7, 8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4의 종래의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천정에 부착된 볼트 머리에 레일형 체결구 장착부(12)를 결합하여 반사기구를 설치했지만, 이런 레일형 장착부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재료비와 인건비, 작업의 불편 등 곤란한 점이 많았다. 이에, 원가절감과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본 발명의 체결판(82)은 단순히 얇은 판을 ㄱ 자 모양으로 구성하여, 제작이 쉽고 재료비의 절감을 도모했다. 체결판(82)을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해 고정대(85)에 결합할 수도 있지만, 가급적 인서트너트(90)를 이용 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너트(90)는 리벳과 너트를 결합한 형태로서 당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며, 체결판과 고정대 양쪽에 와셔를 배치한 상태에서, 너트에 결합된 볼트를 조이기만 하면 리벳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작업이 아주 편리하다. 물론, 이런 인서트너트를 이용한 결합은 반사기구(52)에도 적용한다. 이렇게 체결판을 고정대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명반사시스템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조립체를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종래에 비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한편, 반사기구(50)의 반사판(54)은 얇은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판으로서, 장기간 설치될 경우 휘어지거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반사판 상부에 다수의 보강판(8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보강판(86)은 양단부가 체결판(52)과 반사판(54)의 단부에 연결되어, 반사판(54)의 원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엘리베이터 내부의 인테리어를 위해, 조명차폐판(60)의 밑면에 장식시트(66)를 부착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반사기구(50)와, 추가반사기구(80)는 모두 규격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급적 반사기구(80)의 폭은 약 50mm 정도로 규격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만큼 반사기구(80)의 갯수를 가감하여 조립하기만 하면 엘리베이터에 맞는 반사시스템의 조립체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시스템에 의하면, 각각의 반사기구(50,80)를 표준화 및 모듈화하여 압출이나 인발 등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가 얇은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어 재료비가 종래에 비해 크게 절감되고, 또한 반사기구의 결합도 종래에 비해 크게 용이하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양쪽 천정모서리 부분 각각의 통풍구 밑으로 벽면에서 약간 이격되게 설치되고,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다란 하나 이상의 체결판(52), 상기 체결판(52)에 현수되는 아치형의 반사판(54), 상기 반사판(54)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측면판(56)을 포함하고, 전체 길이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길이보다 약간 짧은 천정모서리 반사기구(50);
    상기 측면판(56)에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로 수평 연결되어 반사기구(50) 아래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직사광을 차단하는 조명차폐판(60);
    상기 조명차폐판(6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반사기구(50) 밑의 조명기구를 가리는 기다란 전방가림판(70);
    고정대(85)에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82)과, 상기 체결판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일정 폭의 반사판(84)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기구(50)에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반사기구(80); 및
    상기 반사기구(40,80)의 체결판(52,82)을 체결구를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대(85);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50,60,70,80,85)을 결합하여 모듈화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52,82)을 고정대(85)에 조립할 때 리벳과 너트의 조합체인 인서트너트(90)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반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림판(70)이 자석(74)에 의해 조명차폐판(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반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구(50)의 반사판(54) 상부에 다수의 보강판(86)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반사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차폐판(60)의 밑면에 장식시트(66)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반사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반사기구(80)의 결합상태에서의 노출부의 폭이 약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반사시스템.
KR1020050101084A 2005-10-26 2005-10-26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KR10066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84A KR100668906B1 (ko) 2005-10-26 2005-10-26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84A KR100668906B1 (ko) 2005-10-26 2005-10-26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31U Division KR200381715Y1 (ko) 2004-06-08 2005-01-13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781A true KR20060082781A (ko) 2006-07-19
KR100668906B1 KR100668906B1 (ko) 2007-01-19

Family

ID=3717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084A KR100668906B1 (ko) 2005-10-26 2005-10-26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974A (zh) * 2018-06-25 2018-11-23 杭州多依辰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顶灯型材结构及电梯轿厢顶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974A (zh) * 2018-06-25 2018-11-23 杭州多依辰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顶灯型材结构及电梯轿厢顶灯
CN108861974B (zh) * 2018-06-25 2023-11-14 杭州多依辰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顶灯型材结构及电梯轿厢顶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906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7857A (en) Energy efficient lighting system
US4407011A (en) Integrated lighting systems for suspended ceilings or the like
JP2007511451A (ja) エレベーター天井に設置される組立式照明反射システム
JP5805062B2 (ja) 衛生設備室
US20060249141A1 (en) Range hood with overlay panels
CN106439631B (zh) 通风套件和具有通风功能的嵌入式灯具组件
US7108394B1 (en) Built-in low-glare light fixtures recessed in ceilings and walls
KR101669955B1 (ko) 간접조명용 프로파일
CN100500545C (zh) 安装到电梯厢天花板的预制反光系统
KR100668906B1 (ko)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KR200381715Y1 (ko)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KR20160106885A (ko) 천장설치용 라인 조명등
KR101655079B1 (ko) 반도체 클린룸의 천정구조
US20230288037A1 (en) Flush Glass Adjustable Lighting Fixture
KR200326940Y1 (ko) 엘리베이터의 송풍로 겸용 간접조명장치
KR200430712Y1 (ko) 천장등
KR200362167Y1 (ko)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조립식 조명반사시스템
US3502860A (en) Luminaire
KR20240136094A (ko) 조명기구
KR200364197Y1 (ko) 다용도용 등기구
JP2005138948A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かごのリニュアル方法
KR200382095Y1 (ko) 간접조명용 프레임구조
KR200278026Y1 (ko) 천장등의 조립구조
JP2003328494A (ja) クリーンルーム用照明器具
KR19980043001A (ko) 슬림형 헹거식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