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877A -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877A
KR20060081877A KR1020050002317A KR20050002317A KR20060081877A KR 20060081877 A KR20060081877 A KR 20060081877A KR 1020050002317 A KR1020050002317 A KR 1020050002317A KR 20050002317 A KR20050002317 A KR 20050002317A KR 20060081877 A KR20060081877 A KR 20060081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eregistration
mss
mobile subscriber
dr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426B1 (ko
Inventor
손영문
구창회
장홍성
손중제
이성진
강현정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0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42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A2594381A priority patent/CA2594381C/en
Priority to PCT/KR2006/000096 priority patent/WO2006073297A1/en
Priority to RU2007125980/09A priority patent/RU2367120C2/ru
Priority to EP12151248.7A priority patent/EP2445282B1/en
Priority to AU2006204210A priority patent/AU2006204210B2/en
Priority to CN200680002016XA priority patent/CN101103557B/zh
Priority to CN2010106053377A priority patent/CN102036366B/zh
Priority to BRPI0606726A priority patent/BRPI0606726B1/pt
Priority to US11/328,795 priority patent/US7738869B2/en
Priority to EP06000421.5A priority patent/EP1679930B1/en
Priority to JP2007548101A priority patent/JP4707719B2/ja
Publication of KR2006008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광대역 무선 접속, 아이들 모드, 등록 해제 명령, 등록 해제 요구

Description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STAT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MSS가 요구하여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기지국이 요구하여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MSS가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의 동작 과정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기지국이 MSS로 비요구 아이들 모드 상태 천이 요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MSS간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MSS간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DREG-CMD 전송에 따른 DREG-ACK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신호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수행하는 MSS와의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수행하는 MSS와의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이들(Idle) 모드를 가지는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상태 천이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 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MAN 시스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광대역(broadband) 전송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 규격에 따르면, 상기 MSS는 일정 시간 동안 송수신할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SS는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현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으로 등록 해제 요청(De-registration request, 이하 'DREG-REQ'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DREG-REQ를 수신한 상기 서빙 기지국은 등록 해제 명령(DREG command, 이하 'DREG-CMD'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상기 MSS에게 송신하여 아이들 모드로의 천이 동작을 허락한다. 하기 표 1 및 표 2에 상기 DREG-REQ와 DREG-CMD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었다. 먼저, 표 1은 DREG-REQ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133977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 메시지 타입(Management Message Type, 이하 'Management Message Type'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는 IEEE 802.16에서 정의하고 있는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라 칭하기로 한다) 관리 메시지들을 구별하기 위한 필드이다. 등록 해제 요청 코드(De-registration_Request_Code) 필드는 DREG-REQ 메시지를 전송하는 MSS의 목적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이다. TLV encoded parameters 필드는 MSS와 서빙 기지국간에 맺어진 보안 협상(Security Association, 이하 'SA'라 칭하기로 한다) 정보에 기반하여 MSS를 인증하기 위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한다.
하기 표 2는 DREG-CMD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1339779-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nagement Message Type 필드는 IEEE 802.16에서 정의하고 있는 MAC 관리 메시지들을 구별하기 위한 필드이다. 동작 코드(Action Code, 이하 'Action Code'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는 DREG-CMD 메시지의 목적을 표시하는 필드이며, 아이들 모드와 관련된 Code 값은 0x05, 0x06, 및 0x07 값이다. 상기 Action Code 값이 0x05인 경우에,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MSS의 아이들 모드 요구에 대해 승인을 한다. 상기 Action Code값이 0x06인 경우에, 상기 서빙 기지국은 TLV_등록 기간(TLV_REG-duration, 이하 'TLV_REG-duration'라 칭하기로 한다) 필드값이 나타내는 시간값 이후에 MSS로 하여금 상기 DREG-REQ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Action Code 값이 0x07인 경우에, 상기 서빙 기지국은 DREG-CMD 메시지가 재전송될 때까지 MSS로 하여금 대기하도록 명령한다. TLV_Paging Information 필드는 아이들 모드 동작과 관련된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이하 'PG-ID'라 칭하기로 한다), 페이징 주기(PAGING_CYCLE, 이하 'PAGING_CYCLE'라 칭하기로 한다) 및 페이징 오프셋(PAGING_OFFSET, 이하 'PAGING_OFFSET'라 칭하기로 한다)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PG-ID는 시스템이 상기 MSS의 위치에 따라 부여하는 파라미터이다. 즉, MSS의 현재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PAGING_CYCLE 파라미터는 상기 MSS가 요청한 페이징 주기 요구(Paging Cycle Request)를 참조하여 시스템이 결정하는 호출 주기이다. 상기 PAGING_OFFSET 파라미터는 시스템이 기지국의 프레임 번호(number of frame)와, 상기의 PAGING_CYCLE 파라미터를 통해 특정 MSS를 호출할 수 있는 시점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TLV_REQ-duration 필드는 상기 Action Code 값이 0x06일 때 존재하는 필드로서, 상기 MSS가 DREG-REQ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는 시점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TLV_HMAC Tuple 필드는 MSS와 현재의 서빙-기지국간에 맺어진 SA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기지국을 인증하는 정보 필드이다.
한편, 상기 DREG-CMD 메시지는 DRE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으로부터 MSS로 전송되기도 하지만, MSS를 강제적으로 아이들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해 상기 기지국이 MSS의 아이들 모드 천이 요구(DREG-REQ)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비요구(Unsolicited) 메시지로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MSS의 아이들 모드로의 천이는 MSS의 요청 또는 기지국의 요청으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다시 천이하는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연결 정보만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하며, 나머지 불필요한 정보는 삭제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이 유지하는 최소한의 연결 정보는 MAC 계층 이상의 세 션정보 및 보안(Security and Privacy)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삭제되는 정보는 MAC 계층 이하의 Air 인터페이스 자원을 지칭하는 정보들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와 같은 MAC 계층 이하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연결 구성정보등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 식별자는 하기 표 3과 같은 포맷을 가진다.
Figure 112005001339779-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각 필드들을 설명한다. 먼저, Initial Ranging CID는 MSS가 Primary CID와 Basic CID를 할당받기 위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레인징요구(RNG-REQ) 메시지를 위한 연결 식별자이며, 모든 MSS는 이 값(0x0000)을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MSS는 상기 기지국과의 협상(association) 과정 중 레인징 요구(RNG-REQ)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MAC 주소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린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의 MAC 주소와 상기 MSS를 지칭하는 연결 식별자, 즉, Primary Management CID, Basic CID를 상기 MSS와 매핑한다.
- Primary Management CID: MSS와 기지국 사이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하여할 MAC Management 메시지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연결 식별자이며, 상기 MSS를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한 기지국은 m개의 MSS들을 관리 및 구분할 수 있다. Primary Management CID는 레인징 절차를 통해 상기 MSS가 인지하는 연결 식별자이다.
- Basic CID: MSS와 기지국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해야 할 MAC Management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식별자이며, 상기 MSS를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표 3에서 알수 있듯이, Basic CID는 Primary Management CID와 동일한 m개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Basic CID는 Primary Management CID와 마찬가지로 레인징 절차를 통해 MSS가 인지하는 연결 식별자이다.
- Broadcast CID: 모든 MSS들이 수신 및 처리해야 할 메시지를 의미하는 CID이며. 이미 모든 MSS들이 알고 있는 CID(0xFFFF)값을 가진다.
- Multicast Polling CID: 멀티캐스트 폴링 할당 요구(MCA-REQ) 메시지에 의해, 할당 또는 해제되는 연결 식별자이며, Multicast Polling Service에서 사용되며, 255개로 구성된다.
- Transport CID: 일반 데이터 트래픽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식별자이며, BS-Initiated Dynamic Service Addition 요구(DSA-REQ) 및, MS-Initiatted DSA-REQ에 대한 BS의 응답인 DSA-RSP를 통해, 할당받는 연결 식별자이다..
- Seccondary Management CID: SNMP/TFTP 같은 상위 Layer를 위한 Management Connection용 CID를 의미하며, 등록 응답(REG-RSP) 메시지를 수신한 MSS가 할당받는다.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연결 식별자는 MAC 프레임의 헤더에 사용되어 연결을 구분하는데 사용되지만, 그 외에 하기 트래픽 지시 메시지에서 설명할 연결 식별자의 경우처럼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기지국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하는 MSS의 연결 식별자 정보를 삭제한다. 그러므로, 아이들 모드 상태의 MSS가 MAC 계층 위의 상위 세션의 데이터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 식별자들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시 할당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MSS는 상기 기지국과 네트워크 재진입(Network Re-Entry)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어웨이크, 즉 서비스 정상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MSS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MSS가 요구하여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어웨이크 모드 상태(111)의 MSS(100)는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를 원하면 기지국(150)으로 등록 해제 요청 코드(De-registration_Request_Code) 값을 '0x01'로 세팅한 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113단계). 상기 등록 해제 요청 코드값 '0x01'은 MSS(100)가 아이들 모드로의 천 이를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MSS(100)는 DREG-REQ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T32 타이머를 활성화시킨다(127단계). 상기 T32 타이머는 상기 MSS(100)가 DREG-REQ 메시지 전송 후, 상기 기지국(1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대기하는 시간이다. 만약, 상기 T32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MSS(100)는 상기 기지국(150)이 DREG-REQ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기지국(150)으로 상기 DREG-REQ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한편, 상기 MSS(100)로부터 DREG-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150)은 MSS(100)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를 원함을 인지하고, 상기 MSS(100)로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한다(115단계).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150)은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해 상기 MSS(100)가 아이들 모드로 상태(121)로 천이한다고 간주한다. 여기서, 상기 DREG-CMD 메시지는 Action Code 값을 0x05로 세팅하여, 상기 MSS(100)의 아이들 모드 요구에 대해 승인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115단계 이후의 기지국(150)은 상기 MSS(100)의 최소한의 정보(상위 계층의 세션 정보 및 보안정보)만을 남기고, 나머지 MAC 계층 이하의 Air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모든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125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150)은 상기 연결 정보를 곧바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Managment Resource Holding Timer를 구동시켜서(119단계), 상기 타이머가 만료(expire)되는 시점(123단계)에서 상기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125단계). 이는 MSS(100)에 대한 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켜, 상기 MSS(100)로부터 긴급히 전송될 수 있는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상기 MSS(100)의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없이 원활한 어웨이크 모드로의 재진 입을 도모하고자 함이다.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는 DREG-CMD 메시지를 전송시 구동 또는 리셋되어 재구동되는 타이머이다.
한편, 상기 기지국(1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SS(100)는 상기 T32 타이머를 종료하고, 아이들 모드로 천이(117)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기지국이 요구하여 MSS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지국이 요구하여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DREG-CMD 메시지는 MSS로부터 별도의 아이들 모드로의 천이 요구가 없어도 상기 기지국이 상기 MSS의 아이들 모드로의 천이를 명령하는 비요구 메시지이기도 하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50)은 어웨이크 모드(223) 상태인 MSS(200)를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한다(211단계). 동시에 상기 기지국(250)은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를 구동시킨 후(213단계), 이 타이머가 만료되면(219단계), 상기 MSS(2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221단계). 즉, 상기 기지국(250)은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MSS(200)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할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211단계) 상기 MSS(200)는 아이들 모드로 천이한다(215단계).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MSS가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MSS가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의 동작 과정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어웨이크 모드 상태(311)의 MSS(300)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기를 원하면 기지국(350)으로 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315단계). 여기서 상기 DREG-REQ 메시지의 등록 해제 요청 코드(De-registration_Request_Code) 값은 '0x01'이다. 이 때, 상기 MSS(300)는 DREG-REQ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T32 타이머를 활성화시킨 후(313단계), 상기 T32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의 DREG-CMD 메시지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상기 MSS(350)로부터 DREG-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350)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DREG-CMD 메시지를 상기 MSS(350)로 전송한다(319단계). 여기서, 상기 DREG-CMD 메시지의 Action Code 값은 0x05이며, 이는 상기 MSS(300)의 아이들 모드 천이 요구에 대해 승인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3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MSS(3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곧바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Managment Resource Holding Timer를 구동시킨다(317단계).
그러나, 상기 기지국(350)이 전송한 DREG-CMD 메시지가 상기 MSS(300)에게 제대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319), 상기 T32 타이머는 만료된다(321단계). 따라서, 상기 MSS(300)는 315단계에서 전송했던 DREG-REQ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기지국(350)으로 DREG-REQ 메시지를 재전송한다(323단계). 이때, T32 타이머도 재구동된다(321단계).
상기 323단계에서의 DRE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350)이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한다(325단계). 그러나, 상기 325단계의 DREG-CMD 메시지도 상기 MSS(300)로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상기 MSS(300)와 상기 기지국(350)은 상기 315단계 내지 상기 323단계와 같은 동작들을 반복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MSS(300)가 DRE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3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미리 설정된 재전송 횟수만큼 계속해서 상기 T32 타이머의 만료때마다 DREG-REQ 메시지 재전송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DREG-REQ 메시지 재전송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재전송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MSS(300)는 상기 기지국(350)과 통신 두절 상태라고 인지하여, 상기 기지국(350)과의 MAC 상태를 초기화한다(MAC Re-initialize)(337단계, 339단계). 이에 따라, 상기 MSS(300)는 상기 기지국(350) 또는 다른 기지국과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350)은 상기 MSS(300)로부터 더 이상 DREG-REQ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음에 따라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가 만료되어 상기 MSS(300)에 대한 모든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343단계).
따라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SS가 DRE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의 DREG-CMD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MAC 재초기화(Re-Initialize)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과 MSS간의 상태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기지국이 DREG-CMD 메시지를 상기 MSS로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할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상기 MSS는 어웨이크 모드 상태이다. 이는 상기 기지국과 MSS간의 상태 동기 불일치를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 MSS의 MAC 재초기화 동작(339 단계)으로 인해 상기 기지국과 MSS간의 상태 동기는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지국이 MSS로 비요구(Unsolicited) 아이들 모드 상태 천이 요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지국이 MSS로 비요구 아이들 모드 상태 천이 요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450)은 어웨이크 모드(411) 상태인 MSS(400)를 아이들모드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비요구 DREG-CMD 메시지를 상기 MSS(400)로 전송한다(413 단계). 이로써 상기 기지국(450)은 상기 MSS(400)가 아이들 모드로 천이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와 동시에 상기 기지국(450)은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를 구동시킨 후(415 단계),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419 단계) 상기 MSS(4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421 단계).
그러나, 상기 MSS(400)는 상기 기지국(4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여전히 어웨이크 모드 상태(411)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450)은 구동한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가 만료되면(419 단계), 상기 MSS(4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이는 상기 기지국(450)이 상기 MSS(400)에 대한 모든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상기 MSS(400)와 상기 기지국(450)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상기 MSS(400)와 상기 기지국(450)간의 통신이 가능하려면, 상기 MSS(400)가 상기 기지국(450)과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MSS(400)는 자신은 여전히 어웨이크 모드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고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MSS(400)가 어웨이크 모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450)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423 단계), 상기 기지국(450)은 상기 MSS(4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MSS(400)가 전송한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무시하게 된다(425 단계).
한편, 상기 기지국(450)은 상기 MSS(400)에 대해 삭제한 연결 정보, 즉 연결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450)으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다른 MSS에게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MSS가 사용하던 연결 식별자가 '1'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상기 제1 MSS에 대한 연결 정보를 삭제하는 경우 상기 연결 식별자 '1'을 제2 MSS에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MSS와, 제2 MSS는 동일한 연결 식별자를 보유하고, 이를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 MSS가 연결 식별자 '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MSS에서 송신한 것으로 오인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MSS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MSS는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로 오인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어웨이크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는 MSS와, 기지국간에 상태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 및 그에 따른 알고리즘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상태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수행하는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 명령을 의미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 요구를 의미하는 등록 해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를 천이하라는 의미를 가지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동 가입자 단말기와 기지국이 존재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등록 해제 명령(De-REGistration command, 이하 'DREG-CMD'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이동 가입자 단말기(Mobile Subscriber Station, 이하 'MSS'라 칭하기로 한다)로 전송하면, 상 기 MSS는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확인(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MSS간의 상태 동기를 일치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DREG-CMD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MSS가 전송하는 등록 해제-응답(De-REGistration-ACKnowledgement, 이하 'DREG-ACK'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새롭게 제안한다. 상기 DREG-ACK 메시지를 새롭게 제안함에 따라, 기지국은 DREG-CMD 메시지를 상기 MSS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DREG-ACK 메시지 수신 대기 시간을 의미하는 DREG-ACK 응답 타이머(DREG-ACK Response Timer)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REG-ACK Response Time가 만료(expired)될 때마다 상기 MSS가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음으로 간주하고,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새롭게 미리 설정된 DREG-CMD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 즉 DREG-CMD 재전송 카운트(DREG-CMD Retries Count) 값만큼 상기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상기 DREG-ACK 메시지 포맷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1339779-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nagement Message Type 필드는 IEEE 802.16에서 정의하고 있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라 칭하기로 한다) 관리 메시지들을 구별하기 위한 필드이다. Action Code from BS 필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DREG-CMD 메시지의 Action Code 값이 기록된다. 만약, 상기 DREG-CMD 메시지가 비요구 DREG-CMD 메시지인 경우 상기 Action Code from BS 필드에는 '0x05'값이 기록된다. TLV_HMAC Tuple 필드는 상기 MSS와 현재 기지국간에 맺어진 보안 협상(Security Association) 정보에 기반한 인증 필드이다.
한편, 상기 기지국에서 새롭게 적용할 파라미터들, DREG-ACK Response Timer 및 DREG-CMD Retries Count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 DREG-ACK Response Timer
상기 DREG-ACK Response Timer는 상기 기지국이 MSS에게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부터 상기 MSS로부터 DREG-ACK 메시지를 수신하기까지 수신 대기할 수 있는 타이머이다. 상기 DREG-ACK Response Timer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DREG- CMD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에 구동 시작하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기지국은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타이머 구동을 재시작한다.
- DREG-CMD Retries Count
상기 DREG-ACK Response Timer 만료시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가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이 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DREG-CMD 재전송시마다 상기 DREG-CMD Retries Count를 1씩 증가시키며, 상기 증가된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시스템 구현에 따라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임)를 초과하는 시점에 더 이상 MSS로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와의 통신 불가 상태로 간주하여, MSS에 대한 모든 연결 정보를 삭제하거나, MSS가 어웨이크 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MSS간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550)은 어웨이크 모드 상태(511)인 MSS(5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상기 MSS(500)에게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한다(513단계). 상기 기지국(550)은 상기 DREG-CMD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관리 자원 유지 타이머(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와,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한 DREG-ACK Response Timer를 구동한다(515단계, 517단계).
만약, 상기 MSS(500)가 상기 기지국(550)이 전송한 DREG-CMD 메시지를 채널 상태의 열악과 같은 이유로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513단계), 상기 MSS(500)는 어웨이크 모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DREG-ACK Response Timer가 만료되는 시점(52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550)은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한다(519단계). 여기서, 상기 DREG-CMD 메시지 재전송으로 인해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또한 재구동된다(523단계). 한편, 상기 519단계에서 DREG-CMD Retries Count 값은 이전 513단계의 DREG-CMD Retries Count 값에서 1 증가한 값을 가진다.
상기 MSS(500)가 상기 기지국(5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550)으로 DREG-ACK 메시지를 전송한다(525단계). 동시에 상기 MSS(500)는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529단계).
상기 DREG-ACK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550)은 DREG-ACK Response Timer 구동을 중지하며(527단계), 상기 MSS(500)가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였음을 인지한다. 이후, 523단계에서 재구동된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가 자동적으로 만료되는 시점에 상기 기지국(550)은 상기 MSS(500)에 대한 연결정보를 삭제한다(535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MSS간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6과 도 5의 차이점은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의 구동 조건이다. 상기 도 5에서는 DREG-CMD 메시지의 전송 또는 재전송시마다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가 구동 또는 재구동되었지만, 도 6에서는 MSS로부터 DREG-ACK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가 구동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650)은 어웨이크 모드 상태(611)인 MSS(500)를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상기 MSS(600)로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한다(613단계). 상기 기지국(650)은 상기 DREG-CMD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DREG-ACK Response Timer를 구동한다(615단계).
만약, 상기 MSS(600)가 상기 기지국(650)이 전송한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513단계), 상기 MSS(600)는 어웨이크 모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DREG-ACK Response Timer가 만료되는 시점(62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650)은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한다(619단계). 한편, 상기 619단계에서 DREG-CMD Retries Count 값은 이전 613단계의 DREG-CMD Retries Count 값에서 1 증가한 값을 가진다.
상기 MSS(600)가 상기 기지국(650)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650)으로 DREG-ACK 메시지를 전송한다(625단계). 동시에 상기 MSS(600)는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629단계).
상기 DREG-ACK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650)은 DREG-ACK Response Timer 구동을 중지하며(627단계), 동시에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구동 을 시작한다(623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650)은 상기 MSS(600)가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였음을 인지한다. 이후,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가 자동적으로 만료되는 시점(633)에 상기 기지국(650)은 상기 MSS(6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삭제한다(635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DREG-CMD 전송에 따른 DREG-ACK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신호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750)은 상기 MSS(700)로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한다(713단계). 이와 동시에, 상기 기지국(750)은 DREG-ACK Response Timer를 구동하며(715단계),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1 증가시킨다(717단계).
한편, 상기 기지국(750)의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의 구동시점은 상기 도 5 또는 도 6에서 설명한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750)은 DREG-ACK Response Timer가 만료되는 시점에서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하며(719단계), 이와 동시에, 상기 기지국(750)은 DREG-ACK Response Timer를 재구동하며(721단계),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다시 1 증가시킨다(723단계).
또 다시 상기 기지국(750)은 DREG-ACK Response Timer가 만료되는 시점에서 DREG-CMD 메시지를 재전송하며(727단계), 이와 동시에, 상기 기지국(750)은 DREG-ACK Response Timer를 재구동하며(727단계),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다시 1 증가시킨다(729단계).
상기 713단계 내지 729단계까지는 상기 기지국(750)이 DREG-CMD 메시지를 상기 MSS(700)로 전송하지만, 상기 MSS(700)가 이를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DREG-ACK Response Timer는 만료/재구동을 반복하고, DREG-CMD Retries Count는 재전송시마다 1씩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750)은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DREG-CMD 메시지 재전송시에(735단계) 더 이상 가입자 단말기(700)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요구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750)은 상기 MSS(700)가 어웨이크 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MSS(700)와의 통신 두절 상태로 간주하여 상기 MSS(700)에 대한 모든 연결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기지국이 전송한 DREG-CMD 메시지가 MSS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MSS가 상기 DREG-CMD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한 DREG-ACK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1 또는 도 3과 같이 MSS가 먼저 DREG-REQ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이 DREG-CMD 메시지를 상기 MSS로 전송하면, 상기 MSS가 DREG-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음에 유념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수행하는 MSS와의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8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SS의 아이들 모드 로의 상태 천이를 결정하고 8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8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로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하고 8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REG-CMD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DREG-ACK Response Timer 및 Management Response Holding Timer를 구동하고 8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1 증가하고 8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ACK Response Timer가 만료되면 814단계로 진행하고, 만료되지 않은 경우 8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를 비교한다. 상기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설정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806단계로 진행하여 DREG-CMD를 재전송하고,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설정 횟수보다 크면 8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설정 횟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MSS로 아이들 모드로의 상태 천이 요구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8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REG-ACK Response Timer 만료전까지 DREG-ACK 메시지 수신을 대기한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DREG-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822단계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못하면 8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만료를 검사한다.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만료시 8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만료에 따라 MSS의 연결 정보를 삭제하고 8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간주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수행하는 MSS와의 등록 해제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9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SS의 아이들 모드로의 상태 천이를 결정하고 9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0'으로 초기화하고 9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로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하고 9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REG-CMD 메시지 전송과 동시에 DREG-ACK Response Timer를 구동하고 9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1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을 1 증가하고 9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1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ACK Response Timer가 만료되면 914단계로 진행하고, 만료되지 않은 경우 9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1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를 비교한다. 상기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설정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906단계로,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설정 횟수보다 크면 9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1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CMD Retries Count 값이 설정 횟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MSS로 아이들 모드로의 상태 천이 요구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 는다.
한편, 상기 9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REG-ACK Response Timer 만료전까지 DREG-ACK 메시지 수신을 대기한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DREG-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921단계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못하면 9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2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DREG-ACK 메시지 수신에 따라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를 구동하고 9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2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만료를 검사한다.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만료시 9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2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anagement Resource Holding Timer 만료에 따라 MSS의 연결 정보를 삭제하고 9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2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간주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MSS로 등록 해제 명령(DREG-CMD)을 전송하여 상기 MSS가 아이들 모드 상태로 천이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MSS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수신시 등록 해제 응답(DREG- ACK)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 MSS간에 상태 동기를 일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MSS는 상태 동기 불일치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5)

  1.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은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과 동시에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수신하기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을 가지는 제1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 타이머 만료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 타이머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시마다 재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의 전송시마다 카운트값이 증가하며,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최대 재전송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을 재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과 동시에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연결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는 제2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기 타이머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수신하는 시 점에 구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고유하게 사용하는 연결 식별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연결 식별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기 타이머 만료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연결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전송하고,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수행하는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과 동시에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수신하기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을 가지는 제1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 타이머 만료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 타이머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시마다 재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의 전송시마다 카운트값이 증가하며,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최대 재전송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을 재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과 동시에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연결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는 제2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기 타이머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수신하는 시 점에 구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고유하게 사용하는 연결 식별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연결 식별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기 타이머 만료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연결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 명령을 의미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전송하고,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 요구를 의미하는 등록 해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를 천이하라는 의미를 가지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이동 가입자 단말기와 기지국이 존재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를 명령하는 등록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과 동시에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수신하기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을 가지는 제1 대기 타이머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대기 타이머 만료시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을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시마다 상기 제1 대기 타이머를 재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의 전송시마다 카운트값을 증가하며,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최대 재전송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을 재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전송과 동시에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연결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는 제2 대기 타이머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대기 타이머를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수신하는 시점에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보유하는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고유하게 사용하는 연결 식별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보유하는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 가입자 단말기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연결 식별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대기 타이머 만료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상기 연결 정보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해제 응답을 전송하고,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KR1020050002317A 2005-01-10 2005-01-10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66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317A KR100665426B1 (ko) 2005-01-10 2005-01-10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BRPI0606726A BRPI0606726B1 (pt) 2005-01-10 2006-01-10 método para controlar um modo de inatividade em uma estação base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acesso sem fio de banda larga e estação base correlata
RU2007125980/09A RU2367120C2 (ru) 2005-01-10 2006-01-10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ожидания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беспроводного широкополосного доступа
EP12151248.7A EP2445282B1 (en) 2005-01-10 2006-01-1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6204210A AU2006204210B2 (en) 2005-01-10 2006-01-1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200680002016XA CN101103557B (zh) 2005-01-10 2006-01-10 控制宽带无线接入通信系统中的空闲模式的系统和方法
CA2594381A CA2594381C (en) 2005-01-10 2006-01-1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6/000096 WO2006073297A1 (en) 2005-01-10 2006-01-1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28,795 US7738869B2 (en) 2005-01-10 2006-01-1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06000421.5A EP1679930B1 (en) 2005-01-10 2006-01-1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548101A JP4707719B2 (ja) 2005-01-10 2006-01-10 広帯域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イドルモード状態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2010106053377A CN102036366B (zh) 2005-01-10 2006-01-10 用于对宽带无线接入通信系统中的空闲模式进行控制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317A KR100665426B1 (ko) 2005-01-10 2005-01-10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877A true KR20060081877A (ko) 2006-07-13
KR100665426B1 KR100665426B1 (ko) 2007-01-04

Family

ID=3648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317A KR100665426B1 (ko) 2005-01-10 2005-01-10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38869B2 (ko)
EP (2) EP2445282B1 (ko)
JP (1) JP4707719B2 (ko)
KR (1) KR100665426B1 (ko)
CN (2) CN101103557B (ko)
AU (1) AU2006204210B2 (ko)
BR (1) BRPI0606726B1 (ko)
CA (1) CA2594381C (ko)
RU (1) RU2367120C2 (ko)
WO (1) WO20060732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82A2 (ko) * 2009-12-29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천이 제어 방법
KR20110087228A (ko) * 2010-01-25 2011-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를 절전 모드로부터 깨우는 방법 및 장치
US8774803B2 (en) 2009-12-29 2014-07-08 Lg Electronics Inc. Idle mode transition control method in a wir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55B1 (ko) * 2005-08-25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Ⅰp 기반의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페이징시스템 및 방법
KR101208525B1 (ko) * 2006-06-05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휴모드 전환 제어 방법
US8107408B2 (en) * 2006-08-09 2012-01-31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Route maintenance and update based on connection identifier in multi-hop relay systems
KR100886142B1 (ko) * 2006-09-08 200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US8005091B2 (en) * 2007-07-10 2011-08-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hybrid connection identifications (IDs) for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US8194540B2 (en) * 2007-08-08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f service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57090B1 (ko) 2007-08-24 2011-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진입을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414616B1 (ko) * 2007-10-18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 모드를전환하는 방법
CN101621462B (zh) * 2008-07-03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
US8699509B2 (en) * 2008-10-29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iversity idle mode in a mobile station
JP2010114845A (ja) * 2008-11-10 2010-05-20 Ntt Docomo Inc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パケット中継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KR101022578B1 (ko) * 2009-01-06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KR101564107B1 (ko) * 2009-03-1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모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11230A (ko)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의 슬립 사이클 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66899B1 (ko) * 2009-05-24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US8681638B2 (en) * 2009-07-31 2014-03-25 Clearwire Ip Holdings Ll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84705B2 (en) * 2009-08-18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ing from an incomplete idle mode entry
CN101998622A (zh) * 2009-08-21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空闲模式控制方法、基站及终端
CN102005089A (zh) 2009-08-28 2011-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卡远程控制的方法及系统
CN101996446B (zh) 2009-08-28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卡远程控制的方法和系统
CN102006584A (zh) * 2009-08-28 2011-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卡远程控制的方法和系统
KR20110069692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서비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5591829B2 (ja) * 2009-12-28 2014-09-1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20120093032A1 (en) * 2010-10-18 2012-04-19 Muthaiah Venkatachalam Airlink techniques enabling dynamic optimization and configuration of wireless network base stations
KR20140022385A (ko) * 2011-04-06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라미터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307749B1 (ko) * 2012-04-09 2013-09-11 (주)뉴온시스 mVoIP단말 배터리 절약 시스템 및 배터리 절약 방법
US10305640B2 (en) * 2014-07-18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of node in content centric network (CCN) and the node
US11997496B2 (en) * 2019-05-31 2024-05-28 Apple Inc. Temporary pairing for wireles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5191A (en) 1994-11-30 2000-03-07 Motorola, Inc. Standb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0812086B1 (en) * 1996-06-07 2007-09-0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Vla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584095B1 (en) * 1998-04-08 2003-06-24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in an internetwork
EP1035745B1 (en) * 1999-03-10 2005-05-11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Random access burst transmission scheme
WO2002045456A1 (en) * 2000-11-28 2002-06-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ease of user equipment using a page procedur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DE10105093A1 (de) 2001-02-05 2002-08-08 Nokia Corp Paging-Verfahren und -System für ein Funkzugriffsnetz
US7142882B2 (en) * 2001-03-09 2006-11-28 Schmidt Dominik J Single chip wireless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US7558226B2 (en) 2001-11-16 2009-07-07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an idle mode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509010A (zh) * 2002-12-16 2004-06-3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与无线网络互通时故障恢复后的处理方法
JP2004328501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665457B1 (ko) * 2003-04-3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상태 천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512101B2 (en) * 2003-08-15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different reduced slot cycle modes in a wireless network
KR100830164B1 (ko) 2003-09-04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와 어웨이크 모드간 천이 방법
KR100943582B1 (ko) * 2003-12-12 2010-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동작 스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MXPA06008611A (es) * 2004-03-08 2007-03-15 Ericsson Telefon Ab L M Redes de acceso a radio sin licencia en redes de comunicacion celular movil.
US20050250474A1 (en) 2004-05-07 200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mode loc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08260B1 (ko) * 2004-09-25 2009-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US7609638B2 (en) * 2004-10-04 2009-10-27 Lg Electronics Inc. Message transmiss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KR100878810B1 (ko) * 2004-10-04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84318B1 (ko) * 2004-11-30 2007-0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단말의 슬립모드 구동방법 및 휴대단말의 슬립모드를위한 기지국의 통신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82A2 (ko) * 2009-12-29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천이 제어 방법
WO2011081382A3 (ko) * 2009-12-29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천이 제어 방법
US8774803B2 (en) 2009-12-29 2014-07-08 Lg Electronics Inc. Idle mode transition control method in a wir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87228A (ko) * 2010-01-25 2011-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를 절전 모드로부터 깨우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3557B (zh) 2012-03-21
BRPI0606726B1 (pt) 2019-08-13
JP2008524956A (ja) 2008-07-10
BRPI0606726A2 (pt) 2009-07-14
CN102036366A (zh) 2011-04-27
AU2006204210A1 (en) 2006-07-13
KR100665426B1 (ko) 2007-01-04
AU2006204210B2 (en) 2009-01-29
RU2007125980A (ru) 2009-01-20
CN101103557A (zh) 2008-01-09
EP2445282B1 (en) 2014-05-14
RU2367120C2 (ru) 2009-09-10
CA2594381A1 (en) 2006-07-13
CA2594381C (en) 2013-04-09
JP4707719B2 (ja) 2011-06-22
WO2006073297A1 (en) 2006-07-13
EP2445282A2 (en) 2012-04-25
EP1679930A2 (en) 2006-07-12
EP2445282A3 (en) 2012-12-05
EP1679930A3 (en) 2010-02-10
EP1679930B1 (en) 2014-04-09
US7738869B2 (en) 2010-06-15
US20060154663A1 (en) 2006-07-13
CN102036366B (zh)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42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RU248981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в режиме ожидания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KR10168297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의 슬립 사이클 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8081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슬립 모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14542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スリープモード動作制御方法
US8068424B2 (en) Message transmiss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KR100878810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RU229583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ходом из состояния в состояние в спящем режиме и активном режиме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WO2022071234A1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US91488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8979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US20230292392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