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512A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0512A KR20060080512A KR1020050001012A KR20050001012A KR20060080512A KR 20060080512 A KR20060080512 A KR 20060080512A KR 1020050001012 A KR1020050001012 A KR 1020050001012A KR 20050001012 A KR20050001012 A KR 20050001012A KR 20060080512 A KR20060080512 A KR 20060080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cut surface
- collapse
- unit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등지의 옹벽, 또는 산간 도로의 절토면 및 경사면에 매립설치되어 그 옹벽이나 절토면이 침하되어 붕괴가 예상되거나 또는 붕괴가 시작되는 순간 전원의 단락에 의해 감지하고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여 붕괴를 예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토면에 매립되는 메인케이블; 양단부에 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끼워맞춤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렬로 접지연결되고, 그 최외측 양단부가 상기 메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케이블; 상기 메인케이블과 단위케이블로 이루어진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케이블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된 단위케이블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이를 인지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그와 연결된 통제실에 케이블의 전원단락을 통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절토면 양측에 확성기 및 경광등이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콘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는 경보발생수단;을 포함한다.
절토면, 옹벽, 붕괴, 경보, 예보, 도로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최외곽 단위케이블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중간부분 단위케이블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원내부 연결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 연결부에 오-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원내부 연결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11 : 메인케이블
12 : 단위케이블 13 : 전원공급수단
14 : 감지센서 15 : 콘트롤러
16 : 경보발생수단 18 : 제 1컨넥터
19 : 제 2컨넥터 20 : 오-링
21 : 제 1블록 22 : 제 2블록
본 발명은 주택 등지의 옹벽, 또는 산간 도로의 절토면 및 경사면에 매립설치되어 그 옹벽이나 절토면이 침하되어 붕괴가 예상되거나 또는 붕괴가 시작되는 순간 전원의 단락에 의해 감지하고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여 붕괴를 예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택지의 옹벽을 비롯하여 산간 도로 아래의 언덕 및 도로 위의 절토면의 붕괴로 인하여 해마다 많은 인명피해 및 물적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붕괴 사고는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 그리고 얼었던 땅이 녹는 초봄에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여름철에 발생하는 산사태는 주택이나 도로를 순식간에 덮쳐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시키고 있어 이를 방지하는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책으로 종래에는 도 1,2와 같이 낙석경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기 낙석경보 시스템은 절토면(1) 하부에 방책(2)을 설치하고 상기 방책(2)에 센서(3)를 설치하여, 낙석에 의해 상기 방책(2)이 압력을 받아 일정압 이상이 되면 센서(3)가 작동하여 경보음을 울려 낙석을 예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낙석경보 시스템은 낙석을 예보하는 것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낙석이 발생한 후 방책(2)을 가압하여 센서(3)를 구동시키기 전까지는 낙석은 물론이고 옹벽이나 절토면 또는 경사면 자체의 붕괴조짐은 전혀 예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낙석이 발생한 후 센서(3)가 구동되어야만 낙석을 예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옹벽, 절토면, 또는 경사면 등은 붕괴초기에 침하되어 낙석이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 때 종래 낙석경보 시스템은 침하되는 토사와 낙석을 즉시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붕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미비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절토면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택 등지의 옹벽, 또는 산간 도로의 절토면 및 경사면에 매립설치되어 그 옹벽이나 절토면이 침하되어 붕괴가 예상되거나 또는 붕괴가 시작되는 순간 전원의 단락에 의해 감지하고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여 붕괴를 예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은, 절토면에 매립되는 메인케이블;
양단부에 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끼워맞춤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렬로 접지연결되고, 그 최외측 양단부가 상기 메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케이블;
상기 메인케이블과 단위케이블로 이루어진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케이블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된 단위케이블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이를 인지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그와 연결된 통제실에 케이블의 전원단락을 통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절토면 양측에 확성기 및 경광등이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콘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는 경보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이 매립된 절토면이 붕괴 직전에 침하로 변형되거나 또는 붕괴될 때 조립된 단위케이블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감지센서가 이 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고, 콘트롤러는 경보발생수단을 구동시켜 절토면의 붕괴예고 또는 붕괴를 알림과 동시에 통제실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위케이블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최외곽 단위케이블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중간부분 단위케이블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은 옹벽, 절토면, 경사면, 언덕 및 심지어 구조물 등에 단위케이블 복수 개를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설치된 장소가 침하되거나 변형될 때 단위케이블의 전기적 접지상태가 단락되고, 이를 센서가 감지하면 콘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확성기가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이 점멸하여 미리 붕괴 조짐을 예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10)은 절토면에 매립되는 메인케이블(11);
양단부에 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끼워맞춤식으 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렬로 접지연결되고, 그 최외측 양단부가 상기 메인케이블(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케이블(12);
상기 메인케이블(11)과 단위케이블(12)로 이루어진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3);
상기 케이블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된 단위케이블(12)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
상기 감지센서(14)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이를 인지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그와 연결된 통제실(C)에 케이블의 전원단락을 통보하는 콘트롤러(15); 및
상기 절토면 양측에 확성기 및 경광등이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14)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콘트롤러(15)의 명령에 따라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는 경보발생수단(16);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케이블이 매립된 절토면이 붕괴 직전에 침하로 변형되거나 또는 붕괴될 때 조립된 단위케이블(12)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감지센서(14)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15)에 신호를 보내고, 콘트롤러(15)는 경보발생수단(16)을 구동시켜 절토면(17)의 붕괴예고 또는 붕괴를 알림과 동시에 통제실(C)에 통보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메인케이블(11)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절토면(17)과 같은 설치장소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메인케이블(11)이 설치장소에 매립되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쉽게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메인케이블(11)은 상기 전원공급수단(13)에 의해 전기가 통전되고, 감지센서(14)가 단위케이블(12)의 전기적 단락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위케이블(12)은 양단부에 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끼워맞춤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렬로 접지연결되고, 그 최외측 양단부가 상기 메인케이블(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매립설치된다.
이러한 단위케이블(12)들은 전기적으로 접지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장소가 침하되거나 변형되면 쉽게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설치장소가 붕괴되는 것을 예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이러한 구조가 본 발명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인 것이다.
상기 단위케이블(12)의 제 1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10과 같이 부도체의 재질을 갖는 몸체(12a)가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내부에 도체의 성질을 갖는 연결부재(12b)가 양단부가 노출되게 수납된다. 몸체 일측 단부에는 복수 개의 후크(12c)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후크(12c)와 대응되는 몸체 타측 단부에는 수용홈(12d)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 단위케이블(12)의 후크(12c)를 그와 맞이음되는 타측 단위케이블(12)의 수용홈(12d)에 삽입한 후 몸체(12a)를 회전하여 후크(12c)가 수용홈(12d)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각 단위케이블(12)의 연결부재(12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단위케이블(12)의 몸체(12a)는 재료 및 중량 절감을 위해 중공막대형상으로 구성되며, 부식에 강하면서도 매립된 상태에서 쉽게 썩지 않고 물이 침투되는 방지하는 것을 감안하면 합성수지재가 좋다.
상기 단위케이블(12)은 맞이음되는 각 몸체의 양측면을 라운딩처리할 수 있도록 몸체 일측면에 오목부(12e)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오목부(12e)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볼록부(12f)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12e)에 볼록부(12f)가 삽입되면 그 접촉면은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연결된 몸체들은 지반이 변형될 때 쉽게 분리된다.
상기 몸체(12a)가 맞이음되는 양측 몸체의 연결부분에는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링(12g)이 개재되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 10과 같이 오목부(12e)에 오-링(12g)을 수납설치하였다.
상기 연결부재(12b)는 일측단부에 안내홈(12b-1)이 삽입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안내홈(12b-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돌기(12b-2)가 노출되게 돌출된다.
상기 단위케이블(12) 중 메인케이블(11)과 연결되는 최외측 단위케이블(12)은 도 7과 같이 메인케이블(11)과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2b)에 연장부(12h)를 갖는다.
이러한 연장부(12h)는 메인케이블(11)과 수작업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접지부는 접착테이프(미도시)로 수밀이 유지되게 밀폐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후크(12c)는 설치장소의 지반이 침하되거나 변형되고, 설치장소가 구조물일 경우 그 구조물이 비틀어져 클랙이 발생할 때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요 구되며 바람직하게는 0.5∼1mm가 좋다.
상기 후크(12c)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12d)은 직각형태로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2c)를 수용한 상태에서 어느 일측 몸체(12a)를 회전시키게 되면 후크(12c)가 상기 수용홈(12d)에 걸림고정되는데, 이러한 후크(12c)와 수용홈(12d)은 로킹구조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상기 단위케이블(12)의 제 2실시예는 도 11과 같이 메인케이블(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의 성질을 갖는 연결부재(12b)가 피복에 감싸여지고, 상기 연결부재(12b)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면에 후크(18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 1컨넥터(18)가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후크(12c)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형상의 수용홈(19a)을 갖는 제 2컨넥터(19)가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 2실시예의 단위케이블(12)은 제 1컨넥터(18)의 후크(18a)를 그와 맞이음되는 타측 단위케이블(12)의 제 2컨넥터(19)의 수용홈(19a)에 삽입한 후 제 1컨넥터(18) 또는 제 2컨넥터(19)를 회전하여 후크(18a)가 수용홈(19a)에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각 단위케이블(12)의 연결부재(12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후크(18a) 및 이 후크(18a)를 수용하는 수용홈(19a)은 제 1실시예와 동이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의 단위케이블(12)은 연결부재(12b) 양단부에 설치된 제 1,2컨넥터(18)(19)가 간단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단위케이블(12)을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실시예의 단위케이블(12)의 경우도 제 1,2컨넥터(18)(19)의 연결부분에 수밀유지용 오-링(20)이 개재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위케이블(12)의 제 3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메인케이블(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의 성질을 갖는 연결부재(12b)가 피복에 감싸여지고, 상기 연결부재(12b)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면에 조립홈(21a)이 삽입되고 그 내주연에 걸림홈(21b)이 형성된 제 1연결블록(21)이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립홈(21a)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를 가지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홈(21b)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착탈될 수 있는 형상으로 걸림턱(22a)이 형성되는 제 2연결블록(22)이 설치된다.
상기 제 3실시예의 단위케이블(12)은 합성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제 2연결블록(22)의 선단부를 상기 제 1연결블록(21)의 조립홈(21a)에 삽입할 때 그 선단부의 걸림턱(22a)이 조립홈(21a)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될 때 선단부가 미세하게 압축되고 상기 걸림턱(22a)이 걸림홈(21b)에 수용될 때 복원되므로 상기 걸림턱(22a)이 걸림홈(21b)에서 임의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 3실시예의 조립구조는 경험적으로 관이음 또는 완구의 이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실시예의 단위케이블(12)은 복수 개가 일렬로 끼워맞춤 조립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메인케이블(11)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장소에 매립되어 그 설치장소의 지반이 침하되는 등 변형될 때 쉽게 이탈되어 전기적으 로 단락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13)은 상기 메인케이블(11) 및 단위케이블(12)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수단(13)은 축전지(13a), 태양열전원 장치(13b), 상용전원(13c), 및 스위치(13d)로 구성된다.
상기 축전지(13a)는 상기 태양열전원장치(13b) 및 상용전원(13c)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축적하여 메인케이블(11)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축전지(13a)는 상기 스위치(13d)에 의해 태양열전원장치(13b) 및 상용전원(13c)에 접지 및 단락가능하게 연결되어 태양열전원장치(13b)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부족할 경우 상용전원(13c)과 즉시 연결되어 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축전지(13a)는 전원사용량 및 경제성을 감안하여 그 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열전원장치(13b)는 태양열집광판이 태양열을 집광하고 이 집광된 태양에 의해 발생된 전기를 상기 축전지(13a)에 공급하여 축적시키는 것으로, 상용전원(13c)보다도 우선적으로 축전지(13a)에 전원을 공급토록 설치된다.
이러한 태양열전원장치(13b)는 전기분야 및 난방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로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용전원(13c)은 상기 스위치(13d)에 의해 상기 축전지(13a)와 접지 및 단락가능하게 설치되고 태양열전원장치(13b)의 전원이 부족할 때 축전지(13a)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13d)는 콘트롤러(15)의 조작에 의해 태양열전원장치(13b) 및 상용전원(13c)을 축전지(13a)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태양열전원장치(13b)가 주전원공급원으로 사용되므로 축전지(13a)를 태양열전원장치(13b)와 연결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13d)는 축전지(13a)의 전원이 부족하게 되면, 콘트롤러(15)의 조작에 의해 축전지(13a)에 연결된 태양열전원장치(13b)의 전원을 단절하고 상용전원(13c)을 연결하여 축전지(13a) 및 메인케이블(11)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위치(13d)는 전기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 감지센서(14)는 메인케이블(11) 또는 단위케이블(12)로 구성되는 케이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블로 공급되는 전원이 단락되는 것을 감지하고, 단락이 감지되면 그 순간 콘트롤러(15)에게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전원의 단락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는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 콘트롤러(15)는 감지센서(14)가 전원단락을 감지할 때 미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경보발생수단(16)을 구동시켜 확성기가 경보음을 울리게 하고, 이와 동시에 경광등이 점멸토록 조작토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15)는 스위치(13d)를 조작하여 축전지(13a)의 전원이 부족할 때 태양열전원장치(13b)의 전원을 단절하고 축전지(13a)에 상용전원(13c)을 연결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이는 축전지(1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13a)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콘트롤러(15)에 입력된 전압보다 낮게 되면 콘트롤러(15)는 이를 인지하여 상기 스위치(13d)를 조작하여 축전지(13a)와 상용전원(13c)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15)는 통제실(C)과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통제실(C)의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정보가 변경되거나 및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경보발생수단(16)은 확성기(16a)와 경광등(16b)의 구성된다. 상기 확성기(16a)와 경광등(16b)은 케이블이 매설된 진입로의 근처에 설치되어 보행자자 자동차가 케이블이 설치된 장소에 진입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확성기(16a)와 경광등(16b)은 케이블이 설치되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 임의의 위치, 즉 옹벽, 절토면(17), 경사면, 언덕, 또는 구조물 등의 근처 적절한 장소에 설치되어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및 물적피해를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확성기(16a)와 경광등(16b)은 콘트롤러(15)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 및 경광등(16b)을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것으로, 안전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케이블(11)과 단원케이블로 구성된 케이블이 설치장소에 매립되는데, 주로 붕괴가 예상되는 산간도로 측면의 절토면(17), 도로 하부의 축대구조물, 주택가의 옹벽이나 경사면, 교량, 산사태 예상지역, 터널, 일반적인 구조물 등에 매립되거나 노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장소가 붕괴되는 것을 미리 예보하게 된다.
상기 설치된 메인케이블(11) 및 단위케이블(12)은 우기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비닐과 같은 방수부재에 감싸인 상태로 매립되거나 설치되는 것과 같이 방수를 철저히 하게 되면 보수 유지공사를 하지 않고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설치장소가 붕괴 직전에 침하되어 변형되거나 또는 붕괴될 때 조립된 단위케이블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고, 이 때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고, 콘트롤러는 경보발생수단을 구동시켜 설치장소가 붕괴직전에 봉착해 있다는 것을 알리어 미연에 안전조치를 할 수 있다.
Claims (8)
- 절토면에 매립되는 메인케이블;양단부에 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끼워맞춤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렬로 접지연결되고, 그 최외측 양단부가 상기 메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케이블;상기 메인케이블과 단위케이블로 이루어진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상기 케이블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된 단위케이블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상기 감지센서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이를 인지하여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그와 연결된 통제실에 케이블의 전원단락을 통보하는 콘트롤러; 및상기 절토면 양측에 확성기 및 경광등이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가 케이블의 단락을 감지할 때 콘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멸하는 경보발생수단;을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케이블이 매립된 절토면이 붕괴 직전에 침하로 변형되거나 또는 붕괴될 때 조립된 단위케이블이 이탈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고, 콘트롤러는 경보발생수단을 구동시켜 절토면의 붕괴예고 또는 붕괴를 알림과 동시에 통제실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케이블은부도체의 재질을 갖는 몸체가 일정 연장되고 그 내부에 도체의 성질을 갖는 연결부재가 양단부가 노출되게 수납되며, 몸체 일측 단부에는 복수 개의 후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후크와 대응되는 몸체 타측 단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각 단위케이블의 후크를 그와 맞이음되는 타측 단위케이블의 수용홈에 삽입한 후 몸체를 회전하여 후크가 수용홈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각 단위케이블의 연결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케이블은 메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의 성질을 갖는 연결부재가 피복에 감싸여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면에 후크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 1컨넥터가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후크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형상의 수용홈을 갖는 제 2컨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각 단위케이블의 제 1컨넥터의 후크를 그와 맞이음되는 타측 단위케이블의 제 2컨넥터의 수용홈에 삽입한 후 제 1컨넥터 또는 제 2컨넥터를 회전하여 후크가 수용홈에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각 단위케이블의 연결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케이블은메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의 성질을 갖는 연결부재가 피복에 감싸여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면에 조립홈이 삽입되고 그 내주연에 걸림홈이 형성된 제 1연결블록이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를 가지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착탈될 수 있는 형상으로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 2연결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상기 메인케이블과 연결되는 축전지;상기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단락 가능하게 설치되고, 태양열을 흡수하여 전원을 발생시켜 상기 축전지에 공급하는 태양열전원장치;상기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단락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전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 및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조작되어, 상기 태양열전원장치 및 상용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태양열전원장치와 축전지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태양열전원장치의 전원부족으로 축전지로 공급되는 전원이 일정 전압이하가 되면 콘트롤러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전원과 축전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맞이음되는 양측 단위케이블 연결부는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케이블 중 메인케이블과 연결되는 최외측 단위케이블은 메인케이블과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에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케이블은 맞이음되는 양측면을 라운딩처리할 수 있도록 몸체 일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오목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1012A KR20060080512A (ko) | 2005-01-05 | 2005-01-05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1012A KR20060080512A (ko) | 2005-01-05 | 2005-01-05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8168U Division KR200386339Y1 (ko) | 2005-03-25 | 2005-03-25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0512A true KR20060080512A (ko) | 2006-07-10 |
Family
ID=3717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1012A KR20060080512A (ko) | 2005-01-05 | 2005-01-05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8051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558B1 (ko) * | 2006-08-11 | 2007-03-12 |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 광역범위의 균열여부 감지기구 |
KR100767345B1 (ko) * | 2007-07-23 | 2007-10-17 |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 콘크리트 토목구조물간의 틈새변화를 확인하는안전진단장비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1677A (ja) * | 1996-06-25 | 1998-01-16 | Onga Eng:Kk | 防災監視システム |
KR19990038179U (ko) * | 1998-03-20 | 1999-10-15 | 윤선업 | 경사면 붕괴 센서 |
KR19990075393A (ko) * | 1998-03-20 | 1999-10-15 | 윤선업 | 절개지 사면 붕괴 경보 장치 |
JP2000097737A (ja) * | 1998-09-28 | 2000-04-07 | Babcock Hitachi Kk | 落石・崩落監視システム |
JP2001099756A (ja) * | 1999-09-30 | 2001-04-13 | Fujikura Ltd | 光ファイバセンサ |
KR20010097523A (ko) * | 2000-04-24 | 2001-11-08 | 이인구 | 보호망의 장력 측정을 이용한 암반사면 감시 시스템 |
KR20020016739A (ko) * | 2000-08-26 | 2002-03-06 | (주)지엠지 | 사면붕괴 예방방법 및 장치 |
JP2002228497A (ja) * | 2001-02-06 | 2002-08-14 | Hitachi Cable Ltd |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
JP2002329271A (ja) * | 2001-02-27 | 2002-11-15 | East Japan Railway Co | 土砂崩壊検知装置 |
-
2005
- 2005-01-05 KR KR1020050001012A patent/KR20060080512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1677A (ja) * | 1996-06-25 | 1998-01-16 | Onga Eng:Kk | 防災監視システム |
KR19990038179U (ko) * | 1998-03-20 | 1999-10-15 | 윤선업 | 경사면 붕괴 센서 |
KR19990075393A (ko) * | 1998-03-20 | 1999-10-15 | 윤선업 | 절개지 사면 붕괴 경보 장치 |
JP2000097737A (ja) * | 1998-09-28 | 2000-04-07 | Babcock Hitachi Kk | 落石・崩落監視システム |
JP2001099756A (ja) * | 1999-09-30 | 2001-04-13 | Fujikura Ltd | 光ファイバセンサ |
KR20010097523A (ko) * | 2000-04-24 | 2001-11-08 | 이인구 | 보호망의 장력 측정을 이용한 암반사면 감시 시스템 |
KR20020016739A (ko) * | 2000-08-26 | 2002-03-06 | (주)지엠지 | 사면붕괴 예방방법 및 장치 |
JP2002228497A (ja) * | 2001-02-06 | 2002-08-14 | Hitachi Cable Ltd |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
JP2002329271A (ja) * | 2001-02-27 | 2002-11-15 | East Japan Railway Co | 土砂崩壊検知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558B1 (ko) * | 2006-08-11 | 2007-03-12 |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 광역범위의 균열여부 감지기구 |
KR100767345B1 (ko) * | 2007-07-23 | 2007-10-17 |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 콘크리트 토목구조물간의 틈새변화를 확인하는안전진단장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6426B1 (ko) | 비 고정식 차단봉 | |
US2021030226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ological risk | |
AU2013101353A4 (en) | Improvements to Pedestrian Crossings | |
US7196636B2 (en) | Railroad crossing warning system | |
US20130271284A1 (en) | High Water Warning Device | |
CN102140804A (zh) | 智能防盗防损报警户外井盖及警情管理系统 | |
CN205116066U (zh) | 一种智能护栏 | |
KR101489661B1 (ko) |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 및 차단시스템 | |
KR101140768B1 (ko) |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 |
KR101200473B1 (ko) | 지중 배전선용 절연케이블 | |
KR200386339Y1 (ko)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
EP2210980A2 (en) | Device for detection of falling objects that distinguishes between the rocks retained or allowed to pas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impact energy. | |
KR200393387Y1 (ko) | 맨홀개방 감시시스템 | |
KR20060080512A (ko) | 절토면 붕괴 경보시스템 | |
TWI531781B (zh) | 水位偵測警示裝置 | |
KR20070104729A (ko) | 물품 이송장치 | |
CN108765830A (zh) | 防盗电缆 | |
CN115749563A (zh) | 一种具有良好门间密封效果的防淹应急防汛墙 | |
KR100270886B1 (ko) | 절개지 사면 붕괴 경보 장치 | |
KR20150102878A (ko) | 경사면 붕괴 경보시스템 | |
CN210485300U (zh) | 一种用于管道保护的太阳能断线报警器 | |
KR102195411B1 (ko) | 건축물 옥외 소방용수 시설 위치감시 및 경보장치 | |
CN209980429U (zh) | 一种煤矿井下塌方的检测系统 | |
CN114446022A (zh) | 一种基于城市地缆通道隐患预警装置 | |
CN207183373U (zh) | 多功能地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