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409A - 상업용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상업용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409A
KR20060079409A KR1020040117589A KR20040117589A KR20060079409A KR 20060079409 A KR20060079409 A KR 20060079409A KR 1020040117589 A KR1020040117589 A KR 1020040117589A KR 20040117589 A KR20040117589 A KR 20040117589A KR 20060079409 A KR20060079409 A KR 2006007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ommercial
channel
mode
vide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602B1 (ko
Inventor
송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6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업용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부와, 방송정보나 영상기기의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와, 상기 영상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영상과,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에서 처리된 방송정보나, 다양한 상업 모드를 메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포맷에 맞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기기에 설정된 상기 다양한 상업 모드를 저장하는 상업 모드 저장부와,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영상기기의 로컬 키 중 하나이상의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상업 모드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업 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경된 상업 모드를 상기 상업 모드 저장부에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계속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업 모드

Description

상업용 영상기기{Commercial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티브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의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와 일반적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 스펙을 비교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상업 모드의 초기 상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업 모드의 모드별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기기 11 : 튜너
12 : 제어부 13 : 적외선 수신부
14 : 영상 디코더부 15 : OSD 처리부
16 : 영상 처리부 17 : 디스플레이부
18 : 상업 모드 저장부 19 : 유/무선 인터페이스부
20 : 제어박스 21 : 통신 인터페이스부
22 :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계속해서 충족시킬 수 있는 상업용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COMMERCIAL) 티브이(TV)는 호텔(HOTEL) 객실이나 병원의 병실, 또는 호텔, 병원, 공항, 터미널, 지하철 등의 로비나 휴게실에서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의 관리 하에 동작하는 TV의 개념으로, 객실이나 병실 휴게실 등의 상업용 티브이는 PPV(PAY PER VIEW)의 개념이 들어간다.
그리고 병원, 공항, 터미널, 지하철 등의 로비 등에 설치된 상업용 티브이는 PPV의 개념보다는 공공 서비스 등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업용 티브이는 사용자가 일반 개인이라기 보다는 병원, 공항, 터미널, 지하철 등의 관리자들로,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티브이와는 다른 별도의 기능들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기능 중 하나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호스트 시스템에서의 제어와 함께, 티브이 내부의 여러 기능에 대하여 관리자 또는 관계자 이외에는 일반적인 리모컨 조작법이나 영상기기에 부착된 로컬 키를 이용한 일반적인 조작법으로 영상기기에 기 설정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 티브이에서 사용되는 리모컨과는 별도의 리모컨 또는 별도 의 리모컨 조작법이 필요할 수도 있고, 티브이 본체의 로컬 키(채널, 음량 조정 키, 메뉴 키 등)를 이용한 내부 모드 조정시 암호 또는 내부 모드 조정을 위한 키의 입력시간을 더 길게 해놓는 등의 방법이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상업용 티브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티브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상업용 티브이 시스템은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업용 티브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업용 티브이 서비스 시스템은 티브이와 같은 영상기기(10)와 제어박스(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박스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전화선 또는 이더넷(ethernet)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시스템은 사용자별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며, 사용자 등록이 요청되면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 계정을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 등록 요청시 전송된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보를 해당 계정에 저장하며, 서비스 가능한 프로그램 중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보에 따른 프로그램 목록을 검색 및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등록 요청측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업용 영상기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 보를 이용하여 호스트 시스템에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목록을 표시하여 그중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어박스(20)는 호스트 시스템과 티브이의 정보교환을 중개하고, 사용자의 영상기기(10) 조작이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호스트 시스템에 전달한다.
물론 대부분은 제어박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되어 제어를 받게 되지만, 병원, 공항, 터미널, 지하철 등의 로비 등의 일부 개별적으로 설치된 상업용 티브이의 경우에는 관리자에 의해 전용 리모컨이나 로컬 키를 통해 별도의 제어도 가능하다.
영상기기(10)는 튜너(11), 제어부(12), 적외선 수신부(13), 영상 디코더부(14), OSD 처리부(15), 영상 처리부(16), 디스플레이부(17)로 구성된다.
튜너(11)는 제어박스(20)(또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및 VOD를 수신한다.
제어부(12)는 상업용 영상기기(10)에 설정된 상업 모드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메뉴화면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설정된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보가 제어박스(20)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에 전달되도록 하고, 제어박스(20)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프로그램 목록을 제공받아 화면표시하며 그중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적외선 수신부(13)는 사용자(관리자) 제어신호 즉, 리모콘 적외선 신호 (Infra Red : IR)를 수신한다.
영상 디코더부(14)는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 중 영상신호를 디코딩한다.
OSD 처리부(15)는 아날로그 방송정보(KBPS)나 디지털 방송정보(PSIP)를 디스플레이부(17)의 소정영역에서 자막형태의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호스트 시스템뿐 아니라 사용자(관리자)에 의해 로컬 키나 리모컨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영상기기에 기 저장된 동작 모드(상업 모드를 포함하는)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6)는 영상 디코더부(14)에서 디코딩된 영상과 OSD 처리부(15)에서 처리된 방송정보 및/또는 상업 모드를 디스플레이부(17)의 포맷에 맞도록 영상(또는 혼합)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7)는 영상 처리부(16)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업 모드는 호텔 모드라고도 하며, 상업용 영상기기(10)를 구매하는 구매자(관리자)의 편의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에서 상업용 영상기기(10)의 제어 편의를 최대한 높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업용 영상기기(10)는 일반 가정과는 달리 일반 개인에 의해 영상기기 자체의 로컬 키나, 일반 리모컨으로 함부로 조작되는 경우 관리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영상기기의 온/오프, 볼륨 조정, 채널 조정,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조정 등이 선택적으로 필요할 수 있는데 이를 일반 개인들이 자신들 마음대로 함부로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상업 모드이다. 좀더 자세히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병원 객실내부에서는 채널 전 환이나 볼륨 조정이 일반 사용자에 의해 자유로울 필요가 있지만 대합실이나 공공 이용장소에서는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로컬 키나 일반리모컨으로부터 이를 고정시켜 놓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박스(20)는 호스트 시스템과 영상기기(10)의 정보교환 중개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 영상기기(10)에서 전송된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보 및 사용자의 티브이 제어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에 전송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에서 전송된 프로그램 목록을 영상기기(10)에 전송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업용 영상기기에 설정된 상업 모드는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되는데 구매자마다 서로 다른 사양의 상업 모드를 요구할 수 있어 이를 일일이 맞춰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판매 완료 후에는 한번 맞춘 상업 모드에 대하여는 관리자가 새로운 상업 모드를 요구하는 경우 이를 갱신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업용 영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 관리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부와, 방송정보나 영상기기의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와, 상기 영상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영상과,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에서 처리된 방송정보나, 다양한 상업 모드를 메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포맷에 맞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기기에 설정된 상기 다양한 상업 모드를 저장하는 상업 모드 저장부와,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영상기기의 로컬 키 중 하나이상의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상업 모드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업 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경된 상업 모드를 상기 상업 모드 저장부에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의 항목을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 항목으로 갱신하기 데이터 경로인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변경된 상업모드를 노트북 또는 PDA로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된 상업모드를 상기 노트북 또는 PDA를 이용해 다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 저장부에 업로드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는, RS-232C, IEEE1394, PSTN, ISDN, xDSL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로는 무선 데이터 모뎀, 블 루투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업 모드 변경을 위해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로컬 키를 설정된 소정시간 누르거나, 상기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상기 상업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호스트 시스템과 전화선 또는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영상기기의 사이에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영상기기의 정보교환을 중개하고, 사용자의 영상기기 조작이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호스트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어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제어박스를 통해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의 항목을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 항목으로 갱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기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의 항목을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 항목으로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업 모드는 채널 메뉴 항목, 채널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최대 볼륨 설정 항목, OSD표시 항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 항목, 온 모니터(On Monitor) 동작 항목, 온 볼륨(On Volume) 레벨 항목, 온 채널(On Channel) 동작 항목, 오토 오프(Auto Off) 동작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업 모드는 상기 영상기기의 리모컨이나 로컬채널 키를 통해 설정항목을 선택, 이동 및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 메뉴 항목, 채널 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OSD 표시 항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항목 및 오토 오프 항목은 초기상태가 동작(YES)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온 모니터 동작 항목 및 호텔 모드 동작 항목은 비동작(NO)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볼륨 항목과 채널 항목은 비동작(Off)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볼륨 레벨 항목과 채널 넘버 항목은 상기 볼륨 항목과 채널 항목의 서브 항목으로서, 상기 영상기기의 리모컨 키나 로컬 키를 통해 상기 항목과 채널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채널 메뉴 항목은, 온스크린디스플레이상의 채널 메뉴 진입을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 변경 항목은, 신호원이 TV 소스(Source)일 때 채널 전환의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입력 모드(Source) 변경 항목은, 입력되는 신호원의 전환의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볼륨 설정 항목은, 현재 설정된 볼륨으로 고정시킬 것인지의 유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대 볼륨 설정 항목은 볼륨 가변 시 최대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표시 항목은, 온스크린디스플레이 (OSD)의 표시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컨 동작 항목, 상기 로컬 키 동작 항목은 각각 상기 리모컨 동작 유무와, 로컬 키 동작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 모니터 동작 항목은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 온(On)시 디스플레이할 채널 항목과, 볼륨 레벨 항목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채널 항목은 전원 온(On)시에 설정된 채널로 켜지게 할 것인지 마지막에 메모리(Last memory)한 채널로 켜질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볼륨 레벨 항목은 전원 온(On)시의 볼륨 레벨을 적용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토 오프 동작(Auto Off Operation) 항목은 시간(Time) 메뉴상의 오토 오프(Auto Off)동작과 온 타임(On Time)으로 전원 온(On)시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리모컨이나 로컬 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기능을 설정과 상관없이 동작시킬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텔 모드 동작 항목은, 상기 상업 모드의 상기 채널 메뉴 항목, 채널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최대 볼륨 설정 항목,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표시 항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 항목, 온 모니터(On Monitor) 동작 항목, 온 볼륨(On Volume) 레벨 항목, 온 채널(On Channel) 동작 항목, 오토 오프(Auto Off) 동작 항목 전체에 대한 모든 동작하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업용 영상기기에 설정될 수 있는 다양한 상업 모드를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너(11), 제어부(12), 제어신호(예로써, 적외선) 수신부(13), 영상 디코더부(14), OSD 처리부(15), 영상 처리부(16), 디스플레이부(17), 상업 모드 저장부(18) 및/또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9)로 구성된다.
튜너(11)는 제어박스(20)(또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및 VOD를 수신한다.
제어부(12)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업 모드를 메뉴화면 형태로 제공하며, 그에 따라 설정된 상업 모드에 따라 내부 메뉴대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영상기기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적외선 수신부(13)는 사용자(관리자)의 제어신호 예를 들어, 리모콘 적외선 신호(Infra Red : IR)를 수신한다.
영상 디코더부(14)는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 중 영상신호를 디코딩한다.
OSD 처리부(15)는 아날로그 방송정보(KBPS)나 디지털 방송정보(PSIP)를 디스플레이부(17)의 소정영역에서 자막형태의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호스트 시스템뿐 아니라 사용자(관리자)에 의해 로컬 키나 리모컨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6)는 영상 디코더부(14)에서 디코딩된 영상과 OSD 처리부(15)에서 처리된 방송정보와 상업 모드를 디스플레이부(17)의 포맷에 맞도록 영상(또는 혼합)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7)는 영상 처리부(16)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업 모드 저장부(18)는 상업용 영상기기(10)에 설정된 상업 모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예를 들면, EEPROM 또는 Flash Memory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등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 상업 모드 저장부(18)에 저장되는 상업 모드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9)는 상업 모드의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유선 인터페이스로는 RS-232C, IEEE1394, PSTN, ISDN, xDSL 등이 있을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로는 무선 데이터 모뎀, 블루투스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필요(호텔 등의 경우 투숙자를 위하여) 상업용 영상기기에 별도의 저장부(예를 들면, 하드디스크(HDD)(도시하지 않음))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박스(20)는 호스트 시스템과 영상기기(10)의 정보교환 중개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 영상기기(10)에서 전송된 선호 프로그램 장르정보 및 사용자의 티브이 제어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에 전송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에서 전송된 프로그램 목록을 영상기기(10)에 전송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의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와 일반적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 스펙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OSD 포맷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부(17)에 디스플레이되는 본 발명 상업 모드의 OSD 포맷이다.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와 일반적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 스펙을 비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Old)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채널 메뉴와 최대 볼륨 설정만이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는 항목(서비스 메뉴), 다시 말하면 관리자(구매자)가 제조사에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를 요구한 항목인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는 채널 메뉴, 채널변경, 입력 소스 변경, 고정 볼륨 설정, 최대 볼륨 설정, OSD표시, 리모컨 동작, 로컬 키 동작, 온 모니터(On Monitor) 동작, 온 볼륨(On Volume) 레벨, 온 채널(On Channel) 동작, 오토 오프(Auto Off) 동작 및 호텔 모드 동작 항목 등이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는 항목인 것이다. 물론 이는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는 항목(서비스 메뉴)으로 이와 같은 상업 모드는 도 2에서와 같은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9) 또는 적외선 수신부(13)를 통해 상업 모드 저장부(18)에 갱신(Update)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상업 모드의 초기 상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업 모드의 모드별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관리자는 관리를 위한 별도의 리모컨의 리모컨 메뉴 키를 누르거나 통상의 상업용 영상기기 제어용 리모컨과 본체의 로컬 키를 동시에 소정시간(예를 들면 5-10초)눌러 OSD 서비스 모드에 진입한다. 또한 OSD 서비스 모드 진입 후 다시 리모컨의 메뉴 키를 눌러 상업 모드(상업 서비스 모드)에 진입하도록 한다. 또한 리모컨이나 로컬 키의 채널 키와 음량 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설정항목을 선택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 항목의 상태를 변경 및 저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채널 키를 통해 설정항목을 선택(이동)하도록 하고, 음량 키를 통해 설정항목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며, 다시 채널 키를 통해 다른 설정항목을 선택(이동)하도록 한다. 또는 저장시에는 리모컨의 엔터(O.K) 키나 확인 키를 누르는 경우 저장되도록 하며, 변경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도록(이전 상태 유지) 한다.
여기서 채널 메뉴 항목, 채널 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OSD 표시 항 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항목 및 오토 오프 항목은 초기상태(초기 값)가 동작(YES)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온 모니터 동작 항목 및 호텔 모드 동작 항목은 비동작(NO)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볼륨 항목과 채널 항목은 비동작(Off)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최대 볼륨 설정 항목은 100으로, 볼륨 레벨 항목은 30으로, 채널 넘버는 1번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볼륨 레벨 항목과 채널 넘버 항목은 볼륨 항목과 채널 항목의 서브(Sub) 항목으로서, 각각 볼륨 레벨 항목과 채널 넘버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 메뉴이다.
볼륨과 채널은 채널 키와 음량 키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숫자 키(Ten Key)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채널 메뉴(Channel Menu) 항목은 메인 OSD상의 채널 메뉴 진입을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채널 메뉴 항목에서의 Yes는 진입가능이고, No는 진입불가능이다. Yes시에는 메인 OSD상의 채널(Channel) 메뉴에 진입하여 설정이 가능하지만 No시에는 Channel메뉴의 진입이 되지 않는다.
채널 변경(Channel Change) 항목은 신호원이 TV 소스(Source)일 때 채널 전환의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채널 변경 항목은 Yes(전환가능) 또는 No(전환불가능)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No(전환 불가능)로 선택 시 채널 키, 숫자 키, 리스트(List) 키(선호 채널 키), Q.View 키(앞 채널 이동 키)가 동작하지 않으며, 메인(Main) OSD상의 채널 메뉴(Channel Menu) 진입이 불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Yes 선택 시 채널 키, 숫자 키, 리스트(List) 키, Q.View 키가 동작하며, 채널 메뉴(Channel menu)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No로 설정시 온 타임(On Time) 메뉴에서 채널(CH)항목이 현재 채널로 고정되도록 한다.
입력 모드(Source) 변경(Input Mode Change) 항목은 입력되는 신호원(TV, S-Video 등)(Source)의 전환의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입력 모드 변경 항목은 YES(전환 가능)또는 NO(전환 불가능)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NO(전환 불가능) 선택 시 AV키 및 멀티미디어(Multimedia)키가 동작되지 않으며, 메인(Main) OSD상의 설정 메뉴(Setup menu) 중 입력(Input) 항목의 진입이 불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No(전환 불가능) 선택 시 TV이외의 입력 소스에서 채널 키, 숫자 키, 리스트(List) 키, Q.View 키 입력과 메인 OSD상의 채널 메뉴(Channel Menu) 진입 시 TV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위의 키들의 동작과 메뉴의 진입을 TV 모드 이외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물론 Yes(전환 가능) 선택 시 모두 동작하도록 하며, No로 설정시 온 타임(On Time)에 설정된 채널정보에 상관없이 설정된 입력소스에 볼륨정보로만 켜지게 된다.
고정 볼륨(Fixed Volume) 설정 항목은 현재 설정된 볼륨으로 고정시킬 것인지의 유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고정 볼륨 설정 항목은 Yes(설정) 또는 No(비설정) 중 하나로 설정하도록 한다. Yes(설정)로 설정 시에는 현재 볼륨으로 고정하여 볼륨(Volume)키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No(비설정)로 설정 시에는 볼륨(Volume)의 가변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 볼륨(Fixed Volume)과 온 타임(ON TIME)이 모두 설정되고 값이 다른 경우 고정 볼륨(Fixed Volume) 값을 우선한다. 또한 Yes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최대 볼륨(Max Volume) 항목이 선택되지 않으며, No로 설정시에 온 타임(On Time) 메뉴에서 볼륨(Volume) 항목이 현재 볼륨으로 고정된다.
최대 볼륨(Max Volume) 설정 항목은 볼륨 가변 시 최대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최대 볼륨 설정 항목은 가변 범위는 0(최소) ~ 100(최대)이며, 최대 볼륨(Max Volume) 설정 시 볼륨 업(Volume Up)키를 누를 때 설정된 볼륨(Volume)값까지만 가변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 볼륨(Fixed Volume)이 Yes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최대 볼륨(Max Volume) 항목은 선택되지 않게 된다. 최대 볼륨(Max Volume) 항목 설정시 온 타임(On Time) 메뉴에서 볼륨(Volume) 항목이 최대 볼륨(Max Volume)값까지 밖에 올라가지 않는다.
OSD 표시(OSD Display) 항목은 OSD의 표시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OSD 표시 항목은 Yes(표시) 또는 No(비표시) 중 하나로 설정하도록 하며, No(비표시)로 설정 시 채널(Channel), 음성다중 OSD가 표시되지 않는다. 리모컨 동작(Remocon Operation) 항목은 리모콘 동작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리모컨 동작 항목은 Yes(동작) 또는 No(동작 무) 중 하나로 설정하도록 하며, No(동작 무)로 설정 시 관리자가 관리하는 리모컨의 리모컨 조정 시작(In-start) 키, 리모컨 조정 종료(In-stop) 키를 제외한 모든 키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의 일반 리모컨을 이용한 임의의 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No로 설정 시에도 서비스 모드(일반적인 영상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OSD)로는 동작 가능하도록 하며, Yes(동작)로 설정 시 모든 키가 동작 가능하도록 한다.
로컬 키 동작(Local Key Operation) 항목은 로컬 키 동작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로컬 키 동작 항목은 Yes(동작) 또는 No(동작 무) 중 하나로 설정하도록 하며, No(동작 무)로 설정 시 모든 키 동작하지 않는다. 서비스 모드(일반 영상기기에서의 OSD)에서는 동작 가능하도록 하며, Yes(동작)로 설정 시 모든 키가 동작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로컬 키와 리모콘 동작(Operation) 항목이 모두 No로 설정 시 예외사항으로 리모콘의 전원 온/오프 키, 즉 전원(Power)키만 동작한다.
온 모니터 동작(On Monitor Operation) 항목은 전원 온(On)시 디스플레이할 채널, 볼륨 레벨(Volume Level)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온 모니터 동작 항목은 Yes(동작)와 No(동작 무) 중 하나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No로 설정 시에는 하위의 채널(Channel)(채널 조정) 및 볼륨(Volume)(볼륨 조정) 항목에 진입 되지 않는다. 물론 Yes로 설정 시 하위 메뉴 진입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위의 채널 항목을 No로 설정한 상태에서 온 모니터 동작(On Monitor Operation) 항목을 Yes로 설정 시 현재의 입력소스를 저장하여 전원 온(On)시 항상 그 입력 소스로 켜지게 된다. TV모드 이외의 원하는 입력소스에서 상업 모드에 진입하여 이 항목을 Yes로 설정하면 동작하게 된다. No(동작 무)로 설정 시에는 마지막에 메모리(Last memory)된 채널 또는 입력소스로 켜지게 된다.
볼륨(Volume) 항목은 전원 온(On)시의 볼륨 레벨(Volume Level)을 적용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볼륨 항목은 Yes(동작) 또는 No(동작 무) 중 하나로 설정하며, 앞에서 설명한 온 모니터 동작(On Monitor Operation) 항목이 Yes로 설정되어야 진입 및 설정 가능하다. Yes(동작)로 설정 시 하위 메뉴(Volume Level)의 선택이 가능해 지고 볼륨레벨(Volume Level)에 설정된 값으로 항상 켜지게 된다. No(동작 무)로 설정 시 하위 메뉴(Volume Level)의 선택이 불가능하고 마지막에 메모리(Last memory)된 볼륨(Volume)으로 켜지게 된다. 볼륨(Volume)과 온 타임(ON TIME)이 모두 설정되고 값이 다른 경우 볼륨 레벨(Volume Level) 값을 우선하게 된다.
채널(Channel) 항목은 전원 온(On)시에 설정된 채널로 켜지게 할 것인지 마지막에 메모리(Last memory)한 채널로 켜질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채널 항목은 On(동작) 또는 Off(동작 무)로 설정하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 모니터 동작(On Monitor Operation) 항목이 Yes로 설정되어야 진입 및 설정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On(동작)로 설정 시 하위 메뉴(Channel Number)의 선택이 가능해 지고 채널 넘버(Channel Number)에 설정된 값(채널)으로 항상 켜지게 된다. 그리고 Off(동작 무)로 설정 시에는 하위 메뉴(Channel Number)의 선택이 불가능하고 마지막에 메모리(Last memory)된 채널(Channel)로 켜지게 된다. 또한 TV이외의 입력소스로 켜지게 하려면 원하는 입력소스로 전환 후 상업 모드에 진입하여 채널(Channel)항목 오프(Off)를 선택하거나 처음부터 이 항목을 온(On)으로 선택하지 않으면 가능하다. 채널(Channel)과 온 타임(ON TIME)이 모두 설정되고 값이 다른 경우 채널 넙버(Channel Number) 값을 우선한다.
오토 오프 동작(Auto Off Operation) 항목은 시간(Time) 메뉴상의 오토 오프(Auto Off)동작과 온 타임(On Time)으로 전원 온(On)시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2시간) 동안 키 입력이 없으면 전원이 오프(Off)되는 기능을 설정과 상관없이 동작시킬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오토 오프 동작은 Yes(동작)와 No(동작 무) 중 하나로 설정 가능하며, Yes로 설정 시 오토 오프(Auto Off)와 온 타임(On Time) 전원 온(On)시의 기능이 설정대로 동작하며, No로 설정 시 오토 오프(Auto Off)와 온 타임(On Time) 전원 온(On)시의 기능이 설정과 상관없이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호텔 모드 동작(Hotel Mode Operation) 항목은 상업 모드(Hotel Mode)의 전 기능을 동작하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호텔 모드 동작 항목은 Yes(동작) 와 No(동작 무)로 설정 가능하며, Yes로 설정 시 호텔모드 전기능이 적용되고, No로 설정 시에는 호텔모드 전기능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관리자용 리모컨이나 로컬 키를 이용한 제어 이외에도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10)가 제어박스(20)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상업 모드의 변경이나 갱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다 할 것이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이 없는 경우에는 관리자는 하나의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 저장부의 상업 모드 항목의 소프트웨어를 변경(갱신)한 후 이를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유/무선 인터페이를 통해 갱신하도록 한다. 이때, 노트북, PDA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고, 역시 노트북, PDA 등을 이용해 업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영상기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업용 영상기기에 설정될 수 있는 다양한 상업 모드를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둘째, 판매 후에도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새로운 상업 모드 항목을 갱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 관리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를 구비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부와;
    방송정보나 영상기기의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와;
    상기 영상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영상과,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에서 처리된 방송정보나, 다양한 상업 모드를 메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포맷에 맞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기기에 설정된 상기 다양한 상업 모드를 저장하는 상업 모드 저장부와;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영상기기의 로컬 키 중 하나이상의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상업 모드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업 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경된 상업 모드를 상기 상업 모드 저장부에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의 항목을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 항목으로 갱신하기 데이터 경로인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변경된 상업모드를 노트북 또는 PDA로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된 상업모드를 상기 노트북 또는 PDA를 이용해 다른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 저장부에 업로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는,
    RS-232C, IEEE1394, PSTN, ISDN, xDSL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로는 무선 데이터 모뎀, 블루투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 모드 변경을 위해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로컬 키를 설정된 소정시간 누르거나, 상기 영상기기의 상업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상기 상업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업용 영상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호스트 시스템과 전화선 또는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영상기기의 사이에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영상기기의 정보교환을 중개하고, 사용자의 영상기기 조작이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호스트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어박스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제어박스를 통해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의 항목을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 항목으로 갱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는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업용 영상기기의 상기 내부 메뉴인 상업 모드의 항목을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 항목으로 갱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 모드는 채널 메뉴 항목, 채널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최대 볼륨 설정 항목,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표시 항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 항목, 온 모니터(On Monitor) 동작 항목, 온 볼륨(On Volume) 레벨 항목, 온 채널(On Channel) 동작 항목, 오토 오프(Auto Off) 동작 항목 및 호텔 모드 동작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업 모드는 상기 영상기기의 리모컨이나 로컬채널 키를 통해 설정항목을 선택, 이동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메뉴 항목, 채널 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OSD 표시 항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항목 및 오토 오프 항목은 초기상태가 동작(YES)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온 모니터 동작 항목 및 호텔 모드 동작 항목은 비동작(NO)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볼륨 항목과 채널 항목은 비동작(Off)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레벨 항목과 채널 넘버 항목은 상기 볼륨 항목과 채널 항목의 서브 항목으로, 상기 영상기기의 리모컨 키나 로컬 키를 통해 상기 항목과 채널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메뉴 항목은,
    온스크린디스플레이상의 채널 메뉴 진입을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 항목은,
    신호원이 TV 소스(Source)일 때 채널 전환의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Source) 변경 항목은,
    입력되는 신호원의 전환의 허락 또는 금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륨 설정 항목은,
    현재 설정된 볼륨으로 고정시킬 것인지의 유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볼륨 설정 항목은
    볼륨 가변 시 최대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표시 항목은,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의 표시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동작 항목, 상기 로컬 키 동작 항목은 각각 상기 리모컨 동작 유무와, 로컬 키 동작 유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 모니터 동작 항목은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 온(On)시 디스플레이할 채널 항목과, 볼륨 레벨 항목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채널 항목은 전원 온(On)시에 설정된 채널로 켜지게 할 것인지 마지막에 메모리(Last memory)한 채널로 켜질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볼륨 레벨 항목은 전원 온(On)시의 볼륨 레벨을 적용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오프 동작(Auto Off Operation) 항목은 시간(Time) 메뉴상의 오토 오프(Auto Off)동작과 온 타임(On Time)으로 전원 온(On)시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리모컨이나 로컬 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영상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기능을 설정과 상관없이 동작시킬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호텔 모드 동작 항목은,
    상기 상업 모드의 상기 채널 메뉴 항목, 채널변경 항목, 입력 소스 변경 항목, 고정 볼륨 설정 항목, 최대 볼륨 설정 항목,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표시 항목, 리모컨 동작 항목, 로컬 키 동작 항목, 온 모니터(On Monitor) 동작 항목, 온 볼륨(On Volume) 레벨 항목, 온 채널(On Channel) 동작 항목, 오토 오프(Auto Off) 동작 항목 전체에 대한 모든 동작하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영상기기.
KR1020040117589A 2004-12-31 2004-12-31 상업용 영상기기 KR10077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89A KR100771602B1 (ko) 2004-12-31 2004-12-31 상업용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89A KR100771602B1 (ko) 2004-12-31 2004-12-31 상업용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09A true KR20060079409A (ko) 2006-07-06
KR100771602B1 KR100771602B1 (ko) 2007-10-31

Family

ID=3717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589A KR100771602B1 (ko) 2004-12-31 2004-12-31 상업용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05A3 (en) * 2007-12-06 2009-08-27 Dreamer Method for displaying menu based on service enviroment analysis in a content execu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US8107016B2 (en) 2006-11-30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1727B2 (ja) * 1998-08-14 2008-03-19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ドライ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7016B2 (en) 2006-11-30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09072805A3 (en) * 2007-12-06 2009-08-27 Dreamer Method for displaying menu based on service enviroment analysis in a content execu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US10332566B2 (en) 2007-12-06 2019-06-25 Sk Planet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menu based on service environment analysis in content execu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602B1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9446B2 (en) Automated reservation system with transfer of user-preferences from home to guest accommodations
US6476825B1 (en) Hand-held video viewer and remote control device
EP1269444B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KR100759139B1 (ko) 멀티비젼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10005197A1 (en)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20040008972A1 (en) Personal TV receiver (PTR) with program recommendation forwarding function
US20100146278A1 (en) Multimedia arrangement
JP2002515700A (ja) 個人用ナビゲータシステム
JP2001506069A (ja) 複数のユーザプロファイルの遠隔制御
JP2003018576A (ja) 情報提示装置の連携システム、情報提示装置、情報中継装置、情報供給装置、情報提示装置の連携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425313B1 (ko) 사용자 인증을 통한 텔레비젼 환경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JP4852449B2 (ja) 住宅内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30071927A1 (en)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d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US6212679B1 (en) External control of parental content controls in institutional television receivers
US20070150832A1 (en) Image output system, image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0386603B1 (ko)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 및 그제어방법.
KR20030002973A (ko) 유료채널 방송 시스템용 텔레비전 및 이를 이용한유료채널 방송 시스템
KR100771602B1 (ko) 상업용 영상기기
KR101799295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US200302274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receiving data from connected devices
JP200704953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60004186A (ko)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81249B1 (ko) 개인 휴대용 디지털 티브이 및 환경 설정 방법
JP200207775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その管理方法
KR100420131B1 (ko)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독점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