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131B1 -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독점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독점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131B1
KR100420131B1 KR10-2002-0001543A KR20020001543A KR100420131B1 KR 100420131 B1 KR100420131 B1 KR 100420131B1 KR 20020001543 A KR20020001543 A KR 20020001543A KR 100420131 B1 KR100420131 B1 KR 10042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personal computer
signal
driv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121A (ko
Inventor
라인식
Original Assignee
라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식 filed Critical 라인식
Priority to JP200258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4533754A/ja
Priority to CNA028080645A priority patent/CN1509570A/zh
Priority to US10/474,407 priority patent/US20040123315A1/en
Priority to PCT/KR2002/000638 priority patent/WO2002087238A1/en
Priority to GB0323963A priority patent/GB2392573B/en
Priority to CA002443855A priority patent/CA2443855A1/en
Publication of KR2003005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사이트에만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개인용컴퓨터(PC) 기반의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용 브라우져와 세탑박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가 탑재되어 세탑박스를 최초 설치시에 특정 사이트로 접속하여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세탑박스와 직렬통신을 하여 세탑박스로부터 구동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서버에 로그인 요구한 후 로그인 승인되면 전용 브라우져를 구동함과 아울러 세탑박스에 구동허락을 전송하도록 된 PC와, 세탑박스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입력수단; 및 TV와 PC를 연결하고,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온신호가 수신되면 PC와 통신하여 구동을 요구하고, PC로부터 고유코드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PC로부터 구동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PC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텔레비젼에 전달하는 세탑박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PC와 TV 사이에 설치되는 PC기반 TV 세탑박스와, PC에 설치되는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에 의해 허용된 인터넷 사이트만이 접속되어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허용되지 않은 사이트는 접속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 방법{ A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
본 발명은 텔레비젼(TV)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텔레비젼 세탑박스(TV Set-Top Box)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용 사이트에만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개인용컴퓨터(PC) 기반의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보편화되어 있는 한편, 가정문화의 중심매체인 텔레비젼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텔레비젼용 세탑박스의 보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TV 세탑박스는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서버에 연결하고, 이 서버를 통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되어 있으나 기본적으로 인터넷 브라우져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인터넷 사이트를 항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현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에서 콘텐츠 제공자(CP)는 콘텐츠를 가상 사이트에 등록해 놓고 사용자가 접속하길 기다리는 수동적인 위치에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인터넷 사용자가 거의 포화 상태에 접근한 상황에서 콘텐츠 제공자의 증가는 이들 시장 규모의 상대적인 감소와 사업자간의 격렬한 경쟁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역으로 하여 콘텐츠 제공자(CP)가 인터넷 사용자에게 자신의 콘텐츠만을 독점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사업적인 기반을 확실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정 사이트(콘텐츠 제공자: CP)만 접속할 수 있도록 된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망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탑박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세탑박스의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PC의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서버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브라우져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마우스.키보드 필터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TV 104: 리모콘
106: TV세탑박스 110: 메인세탑박스
111: 마이크로 프로세서 112: RS232C 드라이버
113: TV제어기 114: 버퍼
120: 서브세탑박스 121: 적외선센서
122,123: LED 130: PC
131: 메인보드 132: 비디오카드
133: 사운드카드 134: 직렬포트
136: 운영체계 137: 전용 브라우져
140: 콘텐츠제공자(CP) 142: 웹서버
144: 데이터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용 브라우져와 세탑박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가 탑재되어 세탑박스를 최초 설치시에 특정 사이트로 접속하여 사이트에 고유번호와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세탑박스와 직렬통신을 하여 세탑박스로부터 구동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서버에 로그인 요구한 후 로그인 승인되면 전용 브라우져를 구동함과 아울러 세탑박스에 구동허락을 전송하도록 된 개인용 컴퓨터와, 세탑박스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입력수단; 및 텔레비젼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하여 구동을 요구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고유코드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구동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상기 텔레비젼에 전달하는 세탑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개인용 컴퓨터와 텔레비젼이 세탑박스를 통해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의 화면이 상기 텔레비젼에 표시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독점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시스템에 있어서, 최초 설치시 상기 세탑박스에 내장된 고유코드와 가입자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등록하는 단계; 세탑박스가 입력수단으로부터 동작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하여 고유번호를 전달하고 구동요구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사이트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가입자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가 수신된 정보를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을 허락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사이트로부터 로그인 허락을 수신하면, 전용 브라우져를 구동하여 상기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세탑박스에 구동허락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탑박스가 구동허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텔레비젼에 전달하여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망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텔레비젼(102)은 TV 세탑박스(106)와 개인용 컴퓨터(130)를 통해 인터넷(108)으로 연결되어 있고, 인터넷(108)에는 본 발명에 따라 독점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자(140)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PC(130)를 이용하여 텔레비젼(102)을 인터넷(108)에 접속시키는 TV 세탑박스(106)는 PC(130)와 텔레비젼(102)을 근접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통상 개인용 컴퓨터(130) 측에 연결되는 메인 세탑박스(110)와 텔레비젼(102)에 연결되는 서브 세탑박스(120)로 분리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분리된 경우에 메인 세탑박스(110)와 서브 세탑박스(120)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텔레비젼(102)은 서브 세탑박스(120)와 비디오 보조 단자(Video AUX) 및 오디오 보조 단자(Audio L AUX, Audio R AUX)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브 세탑박스(120)에는 비디오 및 오디오 연결단자와 함께 적외선 센서(IR Sensor)를 내장하여 텔레비젼(102) 앞에서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이나 무선 키보드 혹은 무선 마우스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를 메인 세탑박스(110)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130)로 전송하고, 메인 세탑박스(110)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텔레비젼(102)으로 전달한다.
메인 세탑박스(110)는 후술한 바와 같이 PC(130)에 실장되는 비디오카드 (132)의 R,G,B 신호(Component video)를 텔레비젼을 위한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로 변환하고 오디오신호를 연결 혹은 차단하는 TV 제어기(도 2의 113)와, TV 제어기(113)를 제어하고 개인용 컴퓨터(130)와 통신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도 2의 111)를 구비하여 서브 세탑박스(120)를 통해 세탑박스 전원 온(PWR ON) 신호를 수신하면 개인용 컴퓨터(130)에 구동요구를 전달하고, PC(130)로부터 고유코드 요구가 수신되면 미리 내장된 '고유코드'를 전달하며, 개인용 컴퓨터(130)로부터 구동허락이 수신되면 TV 제어기(113)를 정상모드로 동작시켜 텔레비젼(102)에 전용 브라우져(136) 화면이 나타나게 한다.
개인용 컴퓨터(PC:130)는 메인보드(131)와 비디오카드(VGA:132), 사운드카드(133), 및 직렬 통신 포트(134)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세탑박스(106)를 구동하기 위한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 운영체제(O/S:136), 세탑박스(106)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만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전용 브라우져(137)를 구비하여 세탑박스(106)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구(구동요구)를 수신하면, 세탑박스(106)에 있는 고유코드를 독출하여 인터넷(108)을 통해 서버(142)에 접속한 후로그인 정보(예컨대, 고유코드와 가입자 id, 비밀번호 등)를 전송하여 로그인을 요청하고, 서버(142)로부터 로그인이 승인되면 세탑박스(106)에 구동허락신호를 전송하여 세탑박스(106)를 통해 텔레비젼(102)에 전용 브라우져 화면을 표시한다.
콘텐츠 제공자(140)는 웹 서버(142)와 데이터베이스(144)를 구비하여 각 세탑박스 사용자들의 고유코드와 가입자 정보(예컨대, 가입자 id, 비밀번호, 주소, 성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를 데이터 베이스(144)에 저장하여 가입자를 관리하고, 개인용 컴퓨터(130)의 세탑박스 구동 프로그램(137)으로부터 로그인(log-in)이 요청되면 최초 등록시 데이터베이스(144)에 등록된 고유코드와 가입자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승인한다. 그리고 로그인 후에는 기본 웹 페이지(도 7)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및 링크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하는 콘텐츠가 유료일 경우에는 과금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탑박스(106)는 개인용 컴퓨터(130)의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에 의해서만 동작하고,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는 세탑박스(106)가 구동요구시 고유번호를 읽어와 콘텐츠 제공자(140)에게 확인한 후 승인된 경우에만 구동을 허락하고, 전용 브라우져(137)를 통해 특정 콘텐츠 제공자(140)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탑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세탑박스(10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RS-232C 드라이버(112), TV 제어기(113), 버퍼(114), 적외선 센서(121), 상태 LED(122), 전원 LED(123), 및 각종 케이블 연결 커넥터들(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세탑박스(109)를 메인 세탑박스(110)와 서브 세탑박스(120)로 분리할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RS232C 드라이버(112), TV 제어기(113), 버퍼(114) 등은 메인 세탑박스(110)에 포함시켜 PC(130) 근처에 설치하고, 비디오 연결단자(Video AUX)와 오디오 연결단자(Audio L AUX, Audio R AUX), 적외선 센서(121), LED(122,123) 등은 서브 세탑박스(120)에 포함시킨 후 TV(102) 근처에 설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는 RS232C 드라이버(112)를 거쳐 Rx, Tx, Control 신호선으로 PC의 직렬포트(134)로 연결되어 소정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고, 적외선 센서(121)를 통해 리모콘(104)의 조작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디코딩하여 소정 포맷으로 PC(1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전원이 온되면 전원 LED(123)를 점등하여 전원이 인가된 것을 표시하고, 동작상태를 상태 LED(122)에 표시한다. 또한 리셋(Reset)신호와 콘트롤(Control)신호를 이용하여 TV 제어기(113)를 제어한다.
TV 제어기(11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의 제어신호(Control)에 따라 '정상모드'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데, '정상모드'에서 개인용 컴퓨터(130)의 비디오카드(132)로부터 버퍼(114)를 거쳐 R, G, B신호(VGA Out R, VGA Out G, VGA Out B)와 수평동기(VGA Out HB), 수직동기신호(VGA Out VB)를 입력받고, 사운드 카드(133)로부터 오디오신호(Speaker L, Speaker R)를 입력받아 R,G,B 비디오 신호는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서브 세탑박스(120)로 전송하고, 오디오신호는 그대로 서브 세탑박스(120)로 전송한다. '대기모드'에서는 비디오 출력과 오디오 출력을차단하여 TV(102)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로부터 리셋신호(Reset)가 입력되면 리셋하여 처음부터 다시 동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콘(104)과 세탑박스(106), PC(130), 서버(140) 간의 동작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초 설치시에 세탑박스(106)를 텔레비젼(102)과 PC(130) 사이에 연결한 후 PC(130)에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와 전용 브라우져(136)를 인스톨(install)한다.
이어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를 동작시켜 직렬 통신포트(134)를 통해 세탑박스(106)와 통신하면서 고유코드를 요구하고, 세탑박스(106)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되면 서버(142)에 접속한 후 고유코드와 가입자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한다(S1~S4). 이때 '고유번호'는 세탑박스(106) 제조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111) 내부의 이이피롬(EEPROM)에 저장되는 고유값(예컨대, 12 자리)이고, 가입자 정보는 세탑박스 구매자(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 제공자(140)의 서버(142)에 접속한 후 등록을 위해 입력하는 가입자 id, 비밀번호, 주소, 성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이다. 최초 가입시의 서버(142)에 제공되는 이러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후 가입자 관리(인증 및 과금 등)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가입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입자)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리모콘(104)의 전원 버튼을 조작( PWR ON)하면, 이 신호는 적외선센서(121)를 통해 세탑박스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전달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는 이를 해석하여 구동요구신호를 PC(130)에 전송한다(S5,S6).
PC(130)는 세탑박스(106)로부터 구동요구신호가 수신되면 PC(130)를 온한 후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를 실행하여 세탑박스(106)에 고유코드 요구 명령을 직렬포트(134)를 통해 전달하고, 세탑박스(106)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되면 이 고유코드와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142)로 전송한다(S7~S10). 이때 PC(130)의 온/오프를 세탑박스(106)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PC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서버(142)는 PC(130)로부터 로그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 허락을 PC(130)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PC(130)는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전용 브라우져(137)를 구동함과 아울러 세탑박스(106)에 구동허락신호를 제공한다(S11~S14).
세탑박스(106)는 구동허락신호가 수신되면 TV 제어기(113)를 정상모드로 동작시켜 PC의 비디오카드(132)와 사운드카드(13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텔레비젼(102)으로 전달한다(S15~S17). 이때 비디오카드(132)의 RGB신호는 NTSC 방식의 복합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이에 따라 TV(102)에는 콘텐츠 제공자(140)가 제공하는 기본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가 텔레비젼(102)의 기본 메뉴 화면을 보고, 리모콘(104)의 메뉴키나 상,하,좌,우 방향키를 조작하면 세탑박스(106)는 이를 수신한 후 해석하여 개인용 컴퓨터(130)로 전달하고, 개인용 컴퓨터(130)는 이 신호를 서버(142)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S18~S23). 이때 전용 브라우져(137)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은 일반 인테넷 브라우져와 달리 웹 서핑을 위한 주소 입력창이 없어 디폴트로 제공되는 독점 콘텐츠 사이트외에는 접속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142)에서 제공되는 화면내에서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무선 키보드나 무선 마우스와 같은 복잡한 입력장치가 필요없고, 전원 키(PWR), 메뉴키, 상하좌우 방향키 등 극히 단순한 키만 구비한 리모콘(104)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이나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유료일 경우에는 소정의 약정에 따라 과금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리모콘(104)을 조작하여 전원을 오프(OFF)하면, 세탑박스(106)는 오프요구신호를 PC에 전달하고, PC는 오프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서버(142)에 로그아웃을 요구하는 신호를 전달함과 아울러 세탑박스(106)에 오프허락신호를 전송하고, PC(130)를 자동으로 오프한다. 세탑박스(106)는 오프허락신호가 수신되면 TV 제어기(113)를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차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 세탑박스의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탑박스(106)는 전원이 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자기진단 및 초기화절차를 수행하고, 이벤트발생을 대기한다(401~403). 이때, 전원 온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LED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등을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대기중에 리모콘(104)으로부터 적외선센서(121)를 통해 세탑박스 온(PWR ON)신호가 수신되면, PC(130)로 구동요구신호를 전송하고(406,407), PC(130)로부터 코드요구신호가 수신되면, PC(130)로 고유코드를 전송한다(404,405).
대기중에 구동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TV 제어기(113)를 정상모드로 동작시키고(408,409), 세탑박스 오프(PWR OFF)신호가 수신되면 PC(130)로 오프 요구신호를 전송한다(410,411). 그리고 PC(130)로부터 오프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TV제어기(113)를 대기모드로 동작시킨다(412,413).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PC의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용 컴퓨터의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는 최초설치일 경우에는 세탑박스(106)에 고유코드를 요구한 후 고유코드가 수신되면 서버(142)에 접속한 후 고유코드와 가입자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한다(501~505).
등록이 완료된 후 세탑박스(106)로부터 구동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한 후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135)를 실행하고, 세탑박스(106)에 고유코드를 요구한다(507~509).
고유코드가 수신되면, 서버(142)에 접속한 후 고유코드와 가입자 아이디, 비밀번호 등과 같은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여 로그인을 요청한다(510~512).
서버(142)로부터 로그인이 허락되면, 전용 브라우져(137)를 구동하여 콘텐츠 제공자(14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구동허락신호를 세탑박스(106)에 전달한다(513~515).
세탑박스(106)로부터 오프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서버(142)에 접속하여 로그아웃을 요구하고, 세탑박스(106)에 오프허락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PC(519)를 오프한다(516~519). 여기서, PC(130)를 오프하더라도 세탑박스(106)와 통신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단들은 대기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사용자가 일반 인터넷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세탑박스가 허용하는 독점 사이트가 아닌 다른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스템 타이머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설정해 둔 경우에는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될 때마다 전용 브라우져 구동여부를 확인하여 전용 브라우져가 최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520,521).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서버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임의의 PC(130)가 접속된 경우 최초 접속일 경우에 등록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고유코드와 가입자 인적사항,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44)에 등록한다(601,602).
등록 이후 접속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면, 로그인시 전달되는 로그인 정보 즉, 고유코드와 가입자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미리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을 허용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는다(603,604).
로그인에 성공하면, 기본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605,606).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콘텐츠를 제공함과 아울러 유료일 경우에는 정해진 방식에 따라 과금을 시작한다(607,608). 로그아웃이 요구되면 콘텐츠 제공을 중단하고, 로그아웃을 처리함과 아울러 과금을 종료한다(609,61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브라우져 화면의 예로서, 세탑박스를 통해 독점 콘텐츠 제공자(140)에 로그인한 후 나타나는 기본화면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의 하단에는 메뉴버튼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콘텐츠 종류(DVD, VOD, My Video, 오늘의 영화) 항목이 표시되고, 화면의 우측에는 업/다운 키로 선택할 수 있는 타이틀이 표시되며, 일부에 좌우 방향키로 채널 등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브라우져는 인터넷 서핑 경로를 차단시키고, 단순 링크 설정 메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터넷상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기본 메뉴 화면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방향키나 메뉴키만으로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극히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마우스 및 키보드 필터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필터기술은 이중 모니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세탑박스가 허용하는 독점 콘텐츠가 아닌 다른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장치(801)는 시스템의 첫번째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802)에서 일차적으로 처리되며, BIOS(802)에서 처리된 내역은 다시 운영체제(O/S)(803)에서 가공되어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805)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및 마우스 필터(804)는 운영체제(803)와 응용 프로그램(805)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 입력장치인 키보드와 마우스의 동작을 제한하여 새로이 실행된 프로그램이 TV영역으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막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와 텔레비젼 사이에 설치되는 PC기반 TV 세탑박스와, PC에 설치되는 세탑박스 구동 소프트웨어에 의해 허용된 인터넷 사이트만이 접속되어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허용되지 않은 사이트는 접속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탑박스를 콘텐츠 제공자가 일반에게 무상으로 혹은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나눠준 후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경우에 사업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조작이 극히 간편하므로 인터넷이나 컴퓨터의 사용법을 모르더라도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세탑박스에 고유번호가 내장되어 있고, 서버 및 PC에서 인증시에 고유번호와 가입자 아이디(id) 혹은 비밀번호 등을 함께 이용하므로 세탑박스의 도난이나 분실에 따른 부정사용과 소프트웨어 복제에 따른 불법 사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용 브라우져와 세탑박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가 탑재되어 세탑박스를 최초 설치시에 특정 사이트로 접속하여 사이트에 고유번호와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세탑박스와 직렬통신을 하여 세탑박스로부터 구동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서버에 로그인 요구한 후 로그인 승인되면 전용 브라우져를 구동함과 아울러 세탑박스에 구동허락을 전송하도록 된 개인용 컴퓨터와,
    세탑박스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입력수단; 및
    텔레비젼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 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하여 구동을 요구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고유코드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구동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상기 텔레비젼에 전달하는 세탑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탑박스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입력된 RGB신호를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개인용 캄퓨터의 사운카드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연결 혹은 차단하는 티브이 제어기와,
    상기 키입력수단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직렬포트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해석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전달하며,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구동허락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티브이 제어기를 정상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오프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티브이 제어기를 대기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3. 제1항에 상기 세탑박스는
    컴퓨터에 연결되는 메인 세탑박스와, 텔레비젼에 연결되는 서브 세탑박스로 구분되어 메인 세탑박스와 서브 세탑박스 사이에는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세탑박스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입력된 RGB신호를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개인용 캄퓨터의 사운카드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연결 혹은 차단하는 티브이 제어기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직렬포트를 통해 통신하고, 감지수단으로부터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해석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전달하며,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구동허락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티브이 제어기를 정상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오프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티브이 제어기를 대기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세탑박스는,
    상기 키입력수단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오디오 및 비디오 연결단자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한 컴퓨터와 텔레비젼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4. 제2항 혹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5. 제2항 혹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탑박스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입력되는 R, G, B신호를 세탑박스와 모니터로 분리하여 보내주기 위한 버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탑박스 시스템은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가입자정보를 관리함과 아울러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수단은 리모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8. 개인용 컴퓨터와 텔레비젼이 세탑박스를 통해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의 화면이 상기 텔레비젼에 표시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독점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시스템에 있어서,
    최초 설치시 상기 세탑박스에 내장된 고유코드와 가입자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등록하는 단계;
    세탑박스가 입력수단으로부터 동작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하여 고유번호를 전달하고 구동요구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사이트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로그인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가 수신된 고유번호와 로그인 정보를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을 허락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사이트로부터 로그인 허락을 수신하면, 전용 브라우져를 구동하여 상기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세탑박스에 구동허락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탑박스가 구동허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텔레비젼에 전달하여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독점적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일정 시간간격으로 전용 브라우져를 최우선 순위로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세탑박스 제조시에 세탑박스에 내장되는 소정 단위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브라우져는 단순 링크 설정 메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터넷상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기본 메뉴 화면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방향키나 메뉴키만으로 찾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독점 제공 방법.
KR10-2002-0001543A 2001-04-10 2002-01-10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독점 제공 방법 KR10042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584614A JP2004533754A (ja) 2001-04-10 2002-04-10 Pcベースのtv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テンツの独占提供方法
CNA028080645A CN1509570A (zh) 2001-04-10 2002-04-10 基于pc的电视机顶盒系统及利用该系统专有地提供内容的方法
US10/474,407 US20040123315A1 (en) 2001-04-10 2002-04-10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PCT/KR2002/000638 WO2002087238A1 (en) 2001-04-10 2002-04-10 A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GB0323963A GB2392573B (en) 2001-04-10 2002-04-10 A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CA002443855A CA2443855A1 (en) 2001-04-10 2002-04-10 A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079 2001-12-13
KR1020010079079A KR20020005559A (ko) 2001-12-13 2001-12-13 피시 기반 티브이 세탑박스를 이용한 독점적 컨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121A KR20030051121A (ko) 2003-06-25
KR100420131B1 true KR100420131B1 (ko) 2004-03-02

Family

ID=197170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079A KR20020005559A (ko) 2001-12-13 2001-12-13 피시 기반 티브이 세탑박스를 이용한 독점적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02-0001543A KR100420131B1 (ko) 2001-04-10 2002-01-10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독점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079A KR20020005559A (ko) 2001-12-13 2001-12-13 피시 기반 티브이 세탑박스를 이용한 독점적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055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146B1 (ko) * 2002-03-04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박스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62144B1 (ko) * 2002-03-21 2004-12-16 라인식 리모콘으로 전용 브라우져 이용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박스 시스템
KR100689504B1 (ko) * 2005-03-29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보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542A (en) * 1993-11-10 1996-01-02 Scientific-Atlanta, Inc. 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control system
JPH11275481A (ja) * 1997-10-24 1999-10-08 General Instr Corp テレビジョンサービスのための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に基づくセットトップコンバーター
JPH11327867A (ja) * 1997-12-27 1999-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を用いたパソコン制御装置
US6101535A (en) * 1995-08-09 2000-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selecting and requesting multimedia services
KR20010111598A (ko) * 2000-09-08 2001-12-19 김종대 셋톱박스를 이용한 종합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542A (en) * 1993-11-10 1996-01-02 Scientific-Atlanta, Inc. 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control system
US6101535A (en) * 1995-08-09 2000-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selecting and requesting multimedia services
JPH11275481A (ja) * 1997-10-24 1999-10-08 General Instr Corp テレビジョンサービスのための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に基づくセットトップコンバーター
JPH11327867A (ja) * 1997-12-27 1999-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を用いたパソコン制御装置
KR20010111598A (ko) * 2000-09-08 2001-12-19 김종대 셋톱박스를 이용한 종합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59A (ko) 2002-01-17
KR20030051121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3315A1 (en)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JP5053495B2 (ja) チャネルベースのインターネットネットワークの為のユーザーターミナル
JP5111708B2 (ja) チャネルベースのインターネットネットワークの為のシステムサーバー
JP4680467B2 (ja) チャネルベースのインターネットネットワーク
US8908109B2 (en) Remote control with content management
US20150058887A1 (en) Multimedia arrangement
US20110072493A1 (en) Data providing device, operation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operation system,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2009521837A (ja) 移動端末を使用して、メディアコンテンツへのアクセスに対するペアレンタルコントロール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027721A2 (en) Secure identification remote and dongle
RU2554122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к мультимедийному контенту
WO2001035664A2 (en) A hand-held video viewer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0425313B1 (ko) 사용자 인증을 통한 텔레비젼 환경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0847A (ko) 사용자 개인 계정을 기반으로 하는 제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20010054112A1 (en) Channel-based internet network for a satellite system
KR20150136969A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KR100420131B1 (ko) 피시기반 티브이 세탑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독점 제공 방법
JP2015533031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ディスプレイ制御方法
KR100462144B1 (ko) 리모콘으로 전용 브라우져 이용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박스 시스템
KR100887899B1 (ko) 개인방송용 웹 카메라와, 그에 따른 인터넷 서버에서의개인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42179A (ko)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컨텐츠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셋탑박스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U2002246434A1 (en) A PC based TV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exclusively by the system
KR100771602B1 (ko) 상업용 영상기기
CN113347501B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15914353A (zh) 一种服务器、显示设备及组合信息显示方法
WO2006123366A1 (en) An electromechanical system incorporating a parenta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