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364A -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364A
KR20060078364A KR1020040117967A KR20040117967A KR20060078364A KR 20060078364 A KR20060078364 A KR 20060078364A KR 1020040117967 A KR1020040117967 A KR 1020040117967A KR 20040117967 A KR20040117967 A KR 20040117967A KR 20060078364 A KR20060078364 A KR 20060078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video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986B1 (ko
Inventor
강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9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메시지 작성 등과 같은 작업에 집중하면서도 걷거나 운전할 때 전방의 시야를 훼손당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전방의 물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동영상 카메라 모듈;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출력 데이터를 합성하여 이중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그래픽 합성 모듈; 및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에 의해 합성된 이중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 카메라, 전방 시야, 그래픽 합성

Description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 이동통신용 단말기 {Method of acquiring front vision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를 도시한 것임.
도3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전방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해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해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용 단말기 11 동영상 카메라 모듈
12 응용 S/W 모듈 13 그래픽 합성 모듈
14 디스플레이 모듈 15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16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메시지 작성 등과 같은 작업에 집중하면서도 걷거나 운전할 때 전방의 시야를 훼손당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용 단말기, 즉 휴대폰이 필수품처럼 인식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통해서, 통화 이외에도,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전송, 온라인 게임, 웹 검색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과 함께 운전 중 또는 거리를 걷는 중에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특정 작업에 몰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가려지는 전방 부분이 생겨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하며 걷거나 운전하는 경우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로 인하여 전방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을 보완해 줄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하며 걷거나 이동하는 경우 자주 전방을 주시해야 했기 때문에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작업 화면에 집중하면서 이동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메시지 작성 등과 같은 작업에 집중하면서도 걷거나 운전할 때 전방의 시야를 훼손당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메시지 작성 등과 같은 작업에 집중하면서도 걷거나 운전할 때 전방의 시야를 훼손당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은, 전방의 물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제1단계;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데이터를 합성하여 이중 화면 데이터를 만드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합성된 이중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전방의 물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동영상 카메라 모듈;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응용 프로 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출력 데이터를 합성하여 이중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그래픽 합성 모듈; 및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에 의해 합성된 이중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1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10)는, 전방의 물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동영상 카메라 모듈(11)과, 현재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 상에서 실행하고 있는 작업 화면을 구동하는 응용 소프트웨어(S/W) 모듈(12)과,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응용 S/W 모듈(12)의 작업화면 출력 데이터를 합성하는 그래픽 합성 모듈(13) 및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13)에 의해 합성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은 디스플레이 장치(16)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6)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로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의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동작은 도2에 도시된 절차 흐름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도1과 도2를 연계시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이동 중 또는 운전 중에 단문 메시지(SMS) 전송 등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를 통하여 특정 작업을 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의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방 시야 확보' 메뉴를 선택한다[S21]. 상기 '전방 시야 확보' 메뉴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에 구현하기 위해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시야 확보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전방 시야 확보'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 자체에서 움직임을 감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시야 확보 기능을 실현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를 사용하면서 걷거나 이동 중에 전방시야의 확보필요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착안하여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의 반응이 감지될 때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시야 확보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에서만 전방 시야를 함께 표시하는가 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사항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전방 시야 확보' 메뉴를 선택하면[S22],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는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이 전방의 물체를 실시간으로 동영상 촬영하고[S11], 촬영된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13)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응용 S/W 모듈(12)은 작업화면 출력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13)로 전달한다.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13)은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응용 S/W 모듈(12)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작업화면 출력 데이터를 합성한다[S23].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상기 두 종류의 데이터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는,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이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응용 S/W 모듈(12)이 실행하고 있는 작업화면과 겹쳐서(overlap) 반투명으로 배경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입력하고 있다면 배경은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이 촬영한 전방의 시야가 표시되고 그 위에 글씨나 그림이 반투명하게 덧붙여 그려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을 통해 촬영되는 화면과 상기 응용 S/W 모듈(12)에 의해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작업 화면을 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합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둘째는, 상기 응용 S/W 모듈(12)이 실행하고 있는 작업 화면과 별도로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11)이 촬영한 전방 시야를 디스플레이창에서 작은 창으로 표시해 주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기 응용 S/W 모듈(12)을 통해 현재 작업중인 화면의 위치를 파악하여(예: SMS 메시지 입력의 경우 글씨 입력 위치), 이를 가리지 않는 부분에 전방시야창을 새로 만들어주면 된다.
상기 합성된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 로 전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6)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S24].
도3은 현재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10)의 전방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상기 첫 번째 방법에 의해 상기 도3의 전방 화면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작업 화면에 오버 랩(over lap) 되도록 처리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상기 두 번째 방법에 의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현재 작업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화면의 일부에 도3의 전방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문자 메시지 작성 등과 같은 작업에 집중하면서도 걷거나 운전할 때 전방의 시야를 훼손당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전방의 물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동영상 카메라 모듈;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출력 데이터를 합성하여 이중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그래픽 합성 모듈; 및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에 의해 합성된 이중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수단과,
    상기 제1수단이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과,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동작시키는 제2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은,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하는 이중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합성 모듈은,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출력되도록 하는 이중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단문 메시지(SMS) 작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6. 전방의 물체를 동영상 촬영하는 제1단계;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데이터를 합성하여 이중 화면 데이터를 만드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합성된 이중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을 오버랩(overlap)되도록 하는 이중 화면 데이터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동영상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출력되도록 하는 이중 화면 데이터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단문 메시지(SMS) 작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KR1020040117967A 2004-12-31 2004-12-31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KR10068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967A KR100685986B1 (ko) 2004-12-31 2004-12-31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967A KR100685986B1 (ko) 2004-12-31 2004-12-31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364A true KR20060078364A (ko) 2006-07-05
KR100685986B1 KR100685986B1 (ko) 2007-02-23

Family

ID=3717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967A KR100685986B1 (ko) 2004-12-31 2004-12-31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9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2223443A (zh) * 2011-06-16 2011-10-19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走路时查看短信的方法及装置
CN103488541A (zh) * 2012-06-13 2014-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图像预览方法
CN104506735A (zh) * 2014-12-29 2015-04-08 北京尚德智产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4539805A (zh) * 2014-12-29 2015-04-22 北京尚德智产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装置
US9355543B2 (en) 2013-04-04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180A (ko) * 2004-09-22 2006-03-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휴대 단말기의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영상 정보에반영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
KR100631610B1 (ko) * 2004-11-26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합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84215B2 (en) 2006-04-04 2012-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in mobile terminal
US9508307B2 (en) 2006-04-04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in mobile terminal
US10001846B2 (en) 2006-04-04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in mobile terminal
US10514778B2 (en) 2006-04-04 201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in mobile terminal
US10908702B2 (en) 2006-04-04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of a video image in mobile terminal
CN102223443A (zh) * 2011-06-16 2011-10-19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走路时查看短信的方法及装置
CN103488541A (zh) * 2012-06-13 2014-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图像预览方法
US9355543B2 (en) 2013-04-04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portable terminal
CN104506735A (zh) * 2014-12-29 2015-04-08 北京尚德智产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4539805A (zh) * 2014-12-29 2015-04-22 北京尚德智产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986B1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37227B (zh) 拍照方法、拍照装置和移动终端
KR100868282B1 (ko) 카메라 요소들을 포함하는 기기
KR102180962B1 (ko) 표시 시스템, 표시 단말,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451706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737720B (zh) 可穿戴设备拍摄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99894B1 (ko) 원격 협조 방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EP3301856A1 (en) Router management method, router and mobile terminal
KR20080095395A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JP2007123962A (ja) 携帯端末装置、マウス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をワイヤレスマウス装置として用いる方法
CN104735355A (zh) 一种智能终端的摄像方法及装置
KR201800943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355998B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
CN108197554B (zh) 一种摄像头启动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5546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시 자동으로 이모티콘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85986B1 (ko)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US20080254829A1 (en) Control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Terminal
KR201700371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3549B1 (ko) 카메라 영상과 디지털 방송 영상을 동시 캡쳐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200406441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機並びに携帯電話機で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2015002526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0684447B1 (ko) 외부 상황 주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4304297A (ja) 携帯情報端末
KR201700853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133781B2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CN108158063A (zh) 雨衣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