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6023A - 램프 소켓 - Google Patents

램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023A
KR20060076023A KR1020040115708A KR20040115708A KR20060076023A KR 20060076023 A KR20060076023 A KR 20060076023A KR 1020040115708 A KR1020040115708 A KR 1020040115708A KR 20040115708 A KR20040115708 A KR 20040115708A KR 20060076023 A KR20060076023 A KR 2006007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electrode
negative ion
bulb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연
Original Assignee
신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연 filed Critical 신승연
Priority to KR102004011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6023A/ko
Publication of KR2006007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수명이 다해도 그 램프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램프 점등용 회로, 음이온 발생기 등의 부품은 반복하여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102)와, 소켓 본체(1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장착구(104)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106)와, 소켓 본체(1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전극부(108)를 나사결합 가능한 전구 장착구(110)를 구비하고, 전극부(106)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전구 장착구(110)에 나사결합되는 전구(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제공된다.
램프 소켓, 음이온 발생 장치, 전구 장착구, 소켓 본체.

Description

램프 소켓{LAMP SOCK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이온 발생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이온 발생 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소켓 본체 (104); 전구 장착구
(106); 전극부 (108); 전구 전극부
(110); 전구 장착구 (112); 전구
(114); 음이온 발생용 방전 전극
(116); 공기 청정 이온 발생용 방전 전극
(118); 커버 (120); 통기구
(122); LED 발광 장치 (124); 음이온 발생용 회로
(202); 소켓 본체 (204); 전구용 소켓
(206); 전극부 (208); LED 발광 장치
(210); 개구부 (212); 저부
(214); 한쪽 전극 (216); 다른 쪽 전극
(218); 구멍 (220); 음이온 발생용 회로
(301); 램프 소켓 (302); 형광 램프
(303); 전구 (304); 돌기
(305); 통기구 (306); 램프 접속면
(306a); 램프 접속부 (306b); 전구 장착구
(307); 형광 램프 장착구 (308); 베이스
(309); 열방출공 (310); 음이온 발생기
(311); 플러스 전극 (312); 마이너스 전극
(313); 절연체 (314); 나사
(315); 형광 램프 점등용 회로 (316); 음이온 발생용 회로
(320); 외측 프레임 (320a); 통기공
(330); 소켓 본체 (330a); 회로 수납부
(340); 전극부
본 발명은, 형광 램프나 전구나 LED 등의 램프를 접속하는 램프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기, 예를 들면 공기 청정기에는, 실내의 공기를 대류(對流)시키면서, 음이온 발생 장치에 의해 음이온(마이너스 이온)을 방출함으로써, 실내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냄새의 원인으로 되는 곰팡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드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 청정기는, 그 내부에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 외에, 실내 공기를 대류시키는 송풍 장치를 내장할 필요가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가 대형화되어 설치 장소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 램프 소켓(1a) 또는 (1b) 자체에 음이온 발생 장치를 설치한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3) 등). 형광 램프 소켓(1a, 1b)은, 각각, 형광 램프 조(組)(2a, 2b)를 구비하고 있고, 그 안에 음이온 발생 장치(3a, 3b)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1): 한국 특허 1997-6047호 명세서
특허 문헌(2): 한국 등록 실용 신안 20-0265693호 명세서
특허 문헌(3): 한국 특허 공개 2002-0078792호 명세서
그런데, 이와 같은 형광 램프에서는, 음이온 발생 장치가 램프 점등용 회로 및 형광 램프와 일체로 되어 있어 분리해 낼 수 없기 때문에, 형광 램프의 수명이 다하면, 램프 점등용 회로와 음이온 발생 장치는 아직도 사용 가능해도 함께 폐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램프 수명이 다해도 그 램프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램프 점등용 회로, 음이온 발생기 등의 부품은 반복 사용할 수 있는 램프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102)와, 소켓 본체(1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장착구(104)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106)와, 소켓 본체(1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전극부(108)를 나사결합 가능한 전구 장착구(110)를 구비하고, 전극부(106)를 통하 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전구 장착구(110)에 나사결합되는 전구(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제공된다.
음이온 발생 장치는, 소켓 본체(102)에 수용된 방전 전극(114, 116)을 통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음이온 발생 장치는, 음이온 발생용의 방전부(114)와 공기 청정용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부(116)의 적어도 2계통의 방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소켓(110)에 나사결합 가능한 커버(118)를 설치해도 된다. 또, 소켓 본체(102)에는, 통기구(12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전극부(106)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형광등 점등 장치(315)와, 형광등 점등 장치(315)에 구동되는 형광등(302)을 장착 가능한 형광등 장착구(307)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온 발생기는, 양 단부에 통기구(305)를 형성한 원통형(310)으로 구성되며, 원통형(310)의 한쪽 전극(311)과, 한쪽 전극(311)의 축방향에, 양 단부의 통기구(305)를 향해 각각 연장되어 설치된 봉형(棒形)의 다른 쪽 전극(312)과, 한쪽 전극(311)과 다른 쪽 전극(312)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313)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202)와, 소켓 본체(2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용 소켓(204)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206)와, 소켓 본체(202)에 설치된 복수개의 LED 발광 장치(208)를 구비하고, 전극부(206)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LED 발광 장치(208)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제공된다.
음이온 발생 장치는, 소켓 본체(202)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10)의 저부(212)에 배치되는 한쪽 전극(214)과, 개구부(210)를 덮는 도전성 커버로서 구성된 다른 쪽 전극(214)과, 도전성 커버(216)에 천설된 복수개의 구멍(218)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LED 발광 장치(208)는, 소켓 본체(202)의 정상부에 대략 동심원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소켓 본체에 음이온 발생기를 설치하므로, 램프의 수명이 다하면, 램프만을 교환하면 되고, 램프 점등용 회로나 음이온 발생용 회로를 폐기하지 않고, 반복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램프의 수명이 다한 것만으로, 아직도 이용할 수 있는 형광 램프 점등 회로 등의 전자 부품도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자 절약과 환경 오염을 줄일 수가 있다. 또, 1개의 램프 소켓으로 형광 램프, 전구 등 상이한 종류의 램프를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므로, 사용하기 편리한 램프 소켓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소켓 본체의 통기구는, 상기 회로 수납부와 상기 램프 접속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통기구로부터는 음이온이 방출되는 동시에, 램프의 점등에 의해 램프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열도 방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램프 접속부로부터의 열이 회로 수납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양 단부에 상기 통기구를 형성한 원통형으로 구 성되며, 원통형의 플러스 전극과, 상기 플러스 전극의 축방향으로, 상기 양 단부의 통기구를 향해 각각 연장되어 설치된 봉형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플러스 전극과 상기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마이너스 전극과 플러스 전극의 방전이 음이온 발생기의 내부에서만 행해지게 되므로, 음이온 발생기로부터의 음이온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의 수명이 다해도 그 램프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램프 점등용 회로, 음이온 발생기 등의 부품은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램프의 수명이 다한 것만으로, 아직 사용하실 수 있는 형광 램프 점등 회로 등의 전자 부품도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자 절약과 환경 오염을 줄일 수가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램프 삽입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은,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102)와, 소켓 본체(1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장착구(104)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106)와, 소켓 본체(1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112)의 전극부(108)를 나사결합 가능한 전구 장착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부(106)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전구 장착구(110)에 나사결합되는 전구(112)에 전원이 공급된다.
음이온 발생 장치는, 소켓 본체(102)에 수용된 방전 전극(114, 116)을 통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 장치는, 음이온 발생용의 방전부(114)와 공기 청정용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부(116)와의 적어도 2계통의 방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방전부(114)는, 고압 방전 방식으로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브(114a)를 소켓 본체(102) 내에 수용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방전부(116)는, 소켓 본체(102)의 외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프로브(116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회로부(124)는, 소켓 본체(10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소켓(110)에는, 전구(112)를 나사결합 가능하지만, 전구(112)를 나사결합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한, 소켓(110)에 나사결합 가능한 커버(1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 본체(102)의 측면에는, 이온을 확산시키거나 내부의 열을 방열하기 위한 통기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 본체(102)의 소켓(110)의 주위에는, 이온 발생 장치가 구동중에 발광하는 LED 발광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소켓 본체(102)를, 천정 등에 설치된 전구 장착구(112)에 나사 결합한다. 그러면, 이온 발생 장치의 회로부(114)에 전원이 공급되고, 방전부(114)로부터는 음이온이 발생되고, 방전부(114)로부터는, 음이온이 발생되어, 방전부(116)로부터는 공기 청정용 이온이 발생된다. 또, LED 발광부(122)가 발광하고, 이온 발생 장치가 구동 중 있는 것이, 사용자에 나타낸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구 장착구(112)에, 소켓 본체(102)를 장착한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이온 발생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나, 물론, 스위치를 설치하고, 스위치의 온 오프에 의해 이온 발생 장치의 구동/정지를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때, 소켓 본체(102)를 단지 이온 발생 장치로서 기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118)를 소켓(110)에 장착함으로써, 소켓(110)을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외관을 좋게 보일 수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전구용의 소켓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켓(110)에 전구(112)를 장착하면, 전구(112)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구가 점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구(112)의 필라멘트가 끊어지는 등하여 전구(112)의 수명이 다한 경우라도, 소켓 본체(102)는 그대로 두고, 단지 전구(112)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이온 발생 장치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온 발생용의 방전부를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계통 설치하였으나, 물론 1계통만 설치하거나, 또한 3계통 이상 설치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브형의 이온 발생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음이온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이면, 프로브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이온 발생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7 ~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소켓은,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202)와, 소켓 본체(202)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용 소켓(204)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206)와, 소켓 본체(202)에 설치된 복수개의 LED 발광 장치(20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부(206)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LED 발광 장치(208)에 전원이 공급된다.
음이온 발생 장치는, 소켓 본체(202)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10)의 저부(212)에 배치되는 한쪽 전극(214)과, 개구부(210)를 덮는 도전성 커버로서 구성된 다른 쪽 전극(214)과, 도전성 커버(216)에 천설된 복수개의 구멍(218)과, 소켓 본체(202) 내에 수용된 회로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LED 발광 장치(208)는, 소켓 본체(202)의 정상부에 대략 동심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LED 발광 장치(208)는 5개 형성되어 있지만, LED 발광 장치(208)의 수 및 배치 방법은, 장치의 설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소켓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소켓과는 상이하고, 전구를 장 착할 수 없다. 그러나, 보다 강력한 음이온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한쪽 전극(214)으로부터 다른 쪽 전극(214)을 향해 발생된 음이온은, 다른 쪽 전극(214)에 설치된 구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발산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켓 본체(202)의 정상부에 복수개의 LED 발광 장치(20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개의 LED 발광 장치(208)는, 음이온 발생 장치가 구동 중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소켓의 주위를 비출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램프 소켓의 외관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램프 소켓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램프 소켓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램프 소켓(1)은, 후술하는 음이온 발생 장치를 내장하는 동시에 램프 소켓(1)의 램프 접속면(6)에 복수 종류의 램프, 예를 들면 형광 램프(2)와 전구(3)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11 ~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분해 조립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이온 발생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소켓의 이온 발생 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관한 램프 소켓(30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 램프(302) 또는 전구(303)를 접속하는 소켓 본 체(330)와, 이 소켓 본체(330)의 하단에 장착되고, 베이스(308)가 설치된 전극부(340)와, 소켓 본체(330)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형의 외측 프레임(320)을 구비한다. 이들 소켓 본체(330), 외측 프레임(320), 전극부(340)는 각각 별개로 구성되고, 조립되어 일체로 된다.
소켓 본체(330)는, 램프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램프 접속면(306)을 가지는 램프 접속부(306a)와, 각종 회로를 수납하는 회로 수납부(330a)를 구비한다. 램프 접속면(306)에는, 형광 램프(302) 또는 전구(303)를 선택하여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램프 접속면(306)에는 형광 램프(30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를 가지는 형광 램프 장착구(307)가 설치되는 동시에, 전구(303)의 베이스를 장착하는 전구 장착구(30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형광 램프(302)의 베이스를 장착 가능한 돌기(304)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소켓 본체(330)에는, 도 1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전구 장착구(306b)의 하방에, 음이온(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기(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음이온 발생기(310)는, 소켓 본체(330)에 형광 램프(302) 또는 전구(303)가 장착되어 전극부(340)가 전원에 접속되었을 때 음이온을 발생한다.
또 소켓 본체(330)에는, 음이온 발생기(310)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통기구(3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구(305)는 외측 프레임(320)에 형성된 통기공(320a)과 연통되어 있다. 이로써, 음이온 발생기(310)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을 통기구(305) 및 통기공(320a)을 통하여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또, 통기구(305)는 램프 접속부(306a)와 회로 수납부(330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음이온 발생기(310)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램프 접속부(306a)에서 발생하는 열을, 통기구(305)를 통하여 외부에 방출할 수 있고, 또 음이온 발생기(310)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램프 접속부(306a)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로 수납부(330a)와 차단할 수 있다.
외측 프레임(320)은 소켓 본체(330)의 회로 수납부(330a)의 상측 둘레부 외 주위면에 나사(314)를 형성하여 나사결합하고 있다. 이로써, 외측 프레임(320)을 소켓 본체(3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또, 외측 프레임(320)을 소켓 본체(3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소켓(301)의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소켓 본체(330)의 통기구(305) 등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제하기 용이하다.
또, 소켓 본체(330)의 회로 수납부(330a)의 내부에는, 상하 2단으로 나누어 전자 부품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각 회로, 예를 들면 형광 램프 점등용 회로(315), 음이온 발생용 회로(316)에 있어서의 원판형의 전자 회로 기판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은 전극부(340)를 통하여 접속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또, 상기 소켓 본체(330)의 통기구(305)는 회로 수납부(330a)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회로 수납부(330a)에 의해 발생된 열도 소켓 본체(330)의 통기구(305)로부터 방출 가능하다. 또, 회로 수납부(330a)의 하단에 접속되는 전극부(340)의 측면 하방으로부터는, 각 회로(315, 316)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열방출공(30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의 음이온 발생용 회로(316)에서 발생된 열은 통기구(305)로부터 방출되기 용이하고, 하단의 형광 램프 점등용 회로 (315)에서 발생한 열은 열방출공(309)으로부터 방출되기 용이하다. 이와 같이, 각 회로(315, 316)로부터 발생된 열은 소켓 본체(330)의 통기구(305)와, 전극부(340)의 열방출공(309)의 양쪽으로부터 방출 가능하므로, 열방출 효율이 양호하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 발생기(3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 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관한 램프 소켓에 예를 들면 통형의 음이온 발생기를 장착하는 경우의 구성예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음이온 발생기(310)의 단면도이다. 음이온 발생기(310)는 원통형의 플러스 전극(311)과 이 플러스 전극(311)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봉형으로 형성된 마이너스 전극(312)을 구비한다. 소켓 본체(330)의 세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음이온의 방출구로 되는 통기구(305)는 음이온 발생기(310)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너스 전극(312)은 음이온 발생기(310)의 양 단부의 통기구(305)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음이온 발생기(310)의 편방향만이 아니고 양 단부(도 14에 있어서의 좌우)로부터 음이온이 방출된다.
또, 음이온의 방출이 순조롭게 행해지도록, 마이너스 전극(312)과 플러스 전극(311) 사이에는 예를 들면 원판형의 절연체(313)가 개재되어 있다. 또, 플러스 전극(311)의 외주면에도 이 외주면을 덮도록 원통형의 절연체(313)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 마이너스 전극(312)과 플러스 전극(311)의 방전이 음이온 발생기(310) 내부에서만 행해지도록 할 수 있어, 음이온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전극(311, 312)은, 전기가 잘 통하는 동(銅), 황동,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전극부(340), 베이스(308)를 통하여 전원 예를 들면 전원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극부(340)는 전구 장착구(306b)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전구(303)를 사용할 때는, 전구(303)를 전구 장착구(306b)에 접속함으로써, 전극부(340)를 통하여 접속되는 전원에 의해 전구가 점등한다.
상기 전극부(340)에는 형광 램프 점등용 회로(315)를 통하여 형광 램프 장착구(307)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형광 램프(302)를 사용할 때는, 형광 램프(302)를 형광 램프 장착구(307)에 접속함으로써,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형광 램프 점등용 회로(315)에 의해 형광 램프(302)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류로 변환되어, 형광 램프가 점등한다. 그리고, 형광 램프 점등용 회로(315)는, 형광 램프(302)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무부하 상태로 되어, 전기를 소모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전극부(340)는, 음이온 발생용 회로(316)를 통하여 음이온 발생기(310)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음이온 발생기(310)는 소켓(301)의 전원 공급과 동시에 작동하여 음이온이 방출된다. 즉, 음이온 발생용 회로(316)는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증폭기에 의해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음이온 발생기(310)에 공급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하여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형광 램프나 전구 등의 램프를 접속하는 소켓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의 수명이 다해도 그 램프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램프 점등용 회로, 음이온 발생기 등의 부품은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램프의 수명이 다한 것만으로, 아직 사용하실 수 있는 형광 램프 점등 회로 등의 전자 부품도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자 절약과 환경 오염을 줄일 수가 있다.

Claims (10)

  1.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장착구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와, 상기 소켓 본체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 전극부를 나사결합 가능한 전구 장착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전구 장착구에 나사결합되는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는, 소켓 본체에 수용된 방전 전극을 통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는, 음이온 발생용의 방전부와 공기 청정용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부와의 적어도 2계통의 방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나사결합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켓.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형광등 점등 장치와, 상기 형광등 점등 장치에 구동되는 형광등을 장착 가능한 형광등 장착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에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기는, 양 단부에 통기구를 형성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원통형의 한쪽 전극과, 상기 한쪽 전극의 축방향으로, 상기 양 단부의 통기구를 향해 각각 연장되어 설치된 봉형(棒形)의 다른 쪽 전극과, 상기 한쪽 전극과 상기 다른 쪽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8. 음이온 발생 장치가 내장된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에 설치되어 별체의 전구용 소켓에 나사결합 가능한 전극부와, 상기 소켓 본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LED 발광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LED 발광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 장치는, 소켓 본체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의 저부에 배치되는 한쪽 전극과, 상기 개구부를 덮는 도전성 커버로서 구성된 다른 쪽 전극과, 상기 도전성 커버에 천설된 복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ED 발광 장치는, 상기 소켓 본체의 정상부에 대략 동심원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KR1020040115708A 2004-12-29 2004-12-29 램프 소켓 KR20060076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708A KR20060076023A (ko) 2004-12-29 2004-12-29 램프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708A KR20060076023A (ko) 2004-12-29 2004-12-29 램프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023A true KR20060076023A (ko) 2006-07-04

Family

ID=3716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708A KR20060076023A (ko) 2004-12-29 2004-12-29 램프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60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3Y1 (ko) * 2012-07-24 2014-01-29 이명자 음이온 방출 하우징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101361140B1 (ko) * 2007-07-27 2014-02-13 이교명 대상체와의 구조적인 체결력을 증진시킨 엘이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40B1 (ko) * 2007-07-27 2014-02-13 이교명 대상체와의 구조적인 체결력을 증진시킨 엘이디
KR200471033Y1 (ko) * 2012-07-24 2014-01-29 이명자 음이온 방출 하우징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0910B1 (en) Air cleaning device
US6709126B1 (en) LED nightlight
US20020075677A1 (en) Night light
JP4574715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US7963667B2 (en) LED lighting device
JP2002159880A (ja) 照明具付空気清浄装置
KR100432154B1 (ko) 음이온 장치가 내장된 조명기구
JP2010282791A (ja) ファン付除菌照明装置
KR101249386B1 (ko) 직류 및 교류전원을 공급토록 컨버터가 구비되는 엘이디 등기구
WO2005029652A1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60076023A (ko) 램프 소켓
KR102195225B1 (ko) 무동력 송풍구조에 의하여 방열기능을 가지는 조명기구
KR20110111583A (ko) 엘이디 램프
KR20120094285A (ko) 이온발생장치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040103097A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내장된 전기용 소켓
KR200343108Y1 (ko) 조명기구
CN111520827A (zh) 一种空气净化系统及具有其的灯具
CN220958806U (zh) 嵌入式杀菌装置
KR200245454Y1 (ko) 오존발생기를갖는램프홀더
JP2018139204A (ja) 照明器具
WO2016031370A1 (ja) ランプ
CN213272122U (zh) 可替换发光二极管光源的灯座结构
JP2006034986A (ja) 空気清浄装置
KR20020078792A (ko) 음이온 조절센서가 부착된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조명장치
KR200356398Y1 (ko) 조명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