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640A -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5640A KR20060075640A KR1020040114458A KR20040114458A KR20060075640A KR 20060075640 A KR20060075640 A KR 20060075640A KR 1020040114458 A KR1020040114458 A KR 1020040114458A KR 20040114458 A KR20040114458 A KR 20040114458A KR 20060075640 A KR20060075640 A KR 20060075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transfer
- support
- unit
- equip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베이스(20)와, 상기 이송베이스(20) 상에 설치되고 구간에 따라 별도로 승강가능한 다수개의 롤러(31)를 구비하여 글래스(g)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와, 상기 이송베이스(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글래스(g)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와 교대로 상기 글래스(g)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40,50,50')와, 상기 이송베이스(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와 교대로 상기 글래스(g)를 지지하는 것으로 공기압으로 글래스(g)를 부양시켜 일정 높이에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40,50,50')에 의해 글래스(g)가 이송되게 하는 글래스부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전체 공정에 걸쳐 글래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검사기에서와 같은 장비에서는 보다 정밀한 이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장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글래스, 이송, 공기부양, 롤러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를 구비한 검사장비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 측면도.
도 5a에서 도 5d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글래스가 이송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이송베이스 30: 롤러컨베이어유니트
31: 롤러 33: 롤러지지브라켓
35: 승강구동원 36: 로드
40: 제1이송구동부 41: 리니어가이드
43: 리니어모터 45: 제1글래스흡착구
50, 50': 제2이송구동부 51: 리니어가이드
53: 리니어모터 55: 제2글래스흡착구
60: 글래스부양부 62: 부양패드
70: 정렬유니트 g: 글래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래스를 장비와 장비 사이 또는 장비 내에서 이송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나 플라즈마표시장치(PDP)와 같은 영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서 글래스가 사용된다. 따라서 기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글래스를 장비와 장비 사이 또는 장비 내에서 이송시켜야 한다. 최근에 대형화되는 영상표시장치의 추세에 따라 글래스도 대면적의 것이 사용되어 그 이송이 용이하지 않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를 구비한 검사장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검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중에 글래스표면에 형성되는 전극등의 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다.
도면에 따르면, 검사장비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3)의 내부에는 이송베이 스(5)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베이스(5)상에는 서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송을 수행하는 제1이송구동부(7)와 제2이송구동부(8)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7,8)는 리니어모터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구동부(8)는 상기 제1 이송구동부(7)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2이송구동부(8)에는 지지판(9)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9)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7,8)에 의해 2차원평면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9)은 검사장비 내부로 전달된 글래스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판(9)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서는 리프트핀(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리프트핀은 글래스가 검사장비의 내부로 반입될 때 글래스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9)에는 그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개의 흡착유로(10)가 표면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착유로(10)는 진공을 이용하여 글래스를 지지판(9)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9)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는 정렬유니트(11)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유니트(11)는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로드의 선단에 지지패드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패드가 글래스의 측면을 지지하여 글래스가 지지판(9)상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9)의 상방에는 지지판(9)에 안착된 글래스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유니트(13)가 구비된다. 상기 검사유니트(13)는 예를 들면 상기 글래스 상에 형성된 전극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검사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 향으로 로보트암에 의해 글래스가 캐비넷(3) 내부로 공급된다. 로보트암이 글래스를 파지한 상태로 이전의 작업 단계의 공정에서부터 글래스를 이송시킨다.
일단, 글래스가 상기 지지판(9)의 상방에 위치될 때 상기 리프트핀이 지지판(9)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로보트암이 글래스를 리프트핀상에 안착시키면, 리프트핀은 하강하여 글래스가 지지판(9)상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 지지판(9)상에 글래스가 안착되면 상기 정렬유니트(11)가 동작하여, 다수개의 지지패드가 글래스의 측면을 밀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흡착유로(10)를 통해 글래스가 지지판(9)에 진공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7,8)에 의해 지지판(9)이 2차원 평면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검사유니트(13)에 의해 글래스 상에 형성된 전극 등을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와 같이 검사장비로 글래스를 공급하기 위해 로보트암을 사용하게 되면 글래스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없다. 즉, 일단 검사가 끝나면 검사장비에 있던 글래스를 로보트암이 잡아 검사장비에서 빼낸 후에, 다른 글래스를 로보트암이 검사장비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공정에서 전후 공정간의 글래스 이동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글래스를 지지판(9)상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검사를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글래스의 이면에 지지판(9)과의 접촉에 의한 긁힘이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지지판(9)상에 글래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검사가 수행되므로, 지지판(9)의 하부와 글래스의 사이는 지지판(9)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되어 검사를 위한 하부 조명을 글래스의 하부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글래스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글래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글래스의 이송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하는 글래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장비에의 적용성이 좋은 글래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송베이스와, 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구간에 따라 별도로 승강가능한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여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교대로 상기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 와, 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교대로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는 것으로 공기압으로 글래스를 부양시켜 일정 높이에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에 의해 글래스가 이송되게 하는 글래스부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는 장비와 장비사이에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글래스를 장비와 장비사이에서도 이송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는 한쌍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이들 사이의 간격은 글래스의 하면 양단을 수평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는 각각, 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리니어가이드와,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리니어모터에 승강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되고 글래스의 하면에 흡착되어 글래스와 리니어모터가 함께 이동되게 하는 글래스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구동부는 전체 장치의 중앙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글래스흡착부가 글래스의 하면 중앙 일측을 파지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제2이송구동부는 전체 장치의 양단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글래스흡착부가 글래스의 하면 양단 일측을 각각 파지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글래스부양부 상에는 상기 글래스의 하면으로 공기를 분출하여 글래스를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다수개의 부양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부양패드는 구간에 따라 공기의 분출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의 사이에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글래스부양부는 각각의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양단에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이송베이스상에는 상기 글래스부양부에 의해 소정 높이에 지지된 글래스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정렬유니트는 다수개가 글래스의 측면을 동시에 지지하여 글래스의 위치를 정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전체 공정에 걸쳐 글래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검사기에서와 같은 장비에서는 보다 정밀한 이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장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요부 구성이 개략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송베이스(20)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글래스 이송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송베이스(20)에 반드시 모든 구성요소가 지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송베이스(20)는 글래스가 이송되는 경로를 따라 길게 구비된다.
상기 이송베이스(20)상에는 글래스의 이송방향을 따라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사이의 간격은 소정폭을 가지는 한장의 글래스를 수평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는 다수개의 롤러(31)가 일렬로 구비된다. 상기 롤러(31)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글래스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글래스를 이송시킨다. 상기 롤러(31)는 도시되지 않은 롤러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롤러(31)는 일렬로 정렬된 몇개가 동시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검사장비나 계측장비 등에서는 상기 롤러(31)를 몇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서로 별도로 승강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롤러(31)의 승강을 위한 구성의 일예를,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상기 롤러(31)는 롤러지지브라켓(33)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지지브라켓(33)은 승강구동원(35)에 의해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지지브라켓(33)에 설치된 롤러(31)는 승강구동원(35)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승강구동원(35)의 로드(36)는 상기 롤러지지브라켓(33)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구동원(35)은 상기 롤러지지브라켓(33)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갯수가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롤러(31)의 승강을 위한 구성은 도시된 것 외에도 파워베이스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송베이스(20)상에는 글래스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제1이송구동부(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이송구동부(40)는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사이 에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구동부(40)는 리니어가이드(41)와 상기 리니어가이드(41)를 따라 이동되는 리니어모터(43)로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가이드(41)는 글래스의 이송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니어모터(43)는 상기 리니어가이드(41)를 따라 이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의 리니어모터(43)에는 제1글래스흡착구(45)가 있다. 상기 제1글래스흡착구(45)는 글래스의 하면에 밀착되어 리니어모터(43)의 동작에 의해 글래스를 이송한다. 상기 제1글래스흡착구(45)는 상기 리니어모터(43)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글래스를 흡착하는 부분이 승강가능하다. 상기 제1글래스흡착구(45)는 일반적으로 진공을 이용하여 글래스를 흡착한다.
상기 양측의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외측으로는 제2이송구동부(50,5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이송구동부(50,50')는 그 구성이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와 동일하다. 즉, 리니어가이드(51)상에 리니어모터(53)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이송구동부(50,50')에도 각각 제2글래스흡착구(55)가 구비되어 글래스의 하면 일측 양단에 동시에 흡착된다. 상기 제2글래스흡착구(55) 역시 글래스를 흡착하는 부분이 승강가능하다.
한편,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 제1이송구동부(40) 및 제2이송구동부(50,50')의 사이사이에는 글래스부양부(60)가 구비된다. 상기 글래스부양부(60)상에는 다수개의 부양패드(62)가 구비된다. 상기 부양패드(62)는 그 상면 수직상방으로 고압의 공기를 뿜어 글래스의 하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부양부(60)에 의해서는 상기 글래스가 일정한 높이에 지 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글래스부양부(60)의 동작은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 의한 이송이 끝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글래스부양부(60)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40,50)와 나란히 같은 길이만큼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부양패드(62)에서 공기가 분출되는 것은 장비내의 입구부, 출구부 및 검사부 구간에서 각각 별도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롤러(31)의 승강이 구간에 따라 달리 제어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는 정렬유니트(70)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유니트(70)는 장비 내에서 글래스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동실린더(71)의 로드(73)선단에 지지패드(7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드(75)는 상기 구동실린더(71)의 동작에 따라, 글래스의 측면을 다수곳에서 밀어주어 글래스가 정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렬유니트(70)는 사각 판상의 글래스의 네 모서리에 두개씩 총 8개를 둘 수 있다. 상기 정렬유니트(70) 전체는 상기 이송베이스(20) 상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다. 이는 정렬유니트(70)가 글래스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 제1이송구동부(40), 제2이송구동부(50) 및 글래스부양부(60)는 검사장비나 계측장비 등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를 위한 장비들 내에 설치되어 글래스를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장비와 장비사이에 설치되어 글래스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장비와 장비사이에서는 단지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을 설치하여 글래스의 이송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 이송장치에 의해 글래스가 이송되는 것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이전의 공정을 거친 글래스(g)가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 의해 이송된 글래스(g)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장비내로 반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장치의 입구측에 있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는 상기 승강구동원(35)의 구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부로 상승된 상태로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장비와 장비 사이에 있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 있는 롤러(31)와 장비 내부에 있는 롤러(31)가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g)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글래스(g)가 장비의 내부로 완전히 반입되면, 상기 장비 내부에서 한장의 글래스(g)를 지지하는 구간의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롤러(31)가 하강하고, 상기 롤러(31)의 하강과 함께 상기 글래스부양부(60)의 부양패드(62)에서는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어 글래스(g)를 일정 높이로 유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글래스(g)의 위치를 정렬한다. 이는 상기 정렬유니트(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렬유니트(70)가 상기 이송베이스(20)에서 상승하여 글래스(g)의 측면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73)가 구동실린더(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패드(75)가 글래스(g)의 측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때, 총 8개의 지지패드(75)가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글래스(g)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정렬작업은 상기 부양패드(62)에 의해 글래스(g)가 일정 높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글래스(g)의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의 제1글래스흡착구(45)가 상승하여 상기 글래스(g)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의 리니어모터(43)가 이동되면 상기 글래스(g)가 장비내에서 이동된다. 예를 들어 검사장비라면 상기 글래스(g)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의 상태 등을 검사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도 5c 참조)
이와 같이, 상기 글래스(g)가 글래스흡착구(45)에 의해 제1이송구동부(40)의 리니어모터(41)와 일체로 이동되면, 리니어모터(41)의 이동특성에 따라 글래스(g)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리니어모터(41)의 이동특성에 따라 글래스(g)의 좌우 흔들림을 수십 ㎛단위의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고, 이송 역시 수십 ㎛정도의 정속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사하고자 하는 시점에 대한 트리거링을 위한 글래스(g)의 이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에 의해 이송되는 글래스(g)의 검사가 끝나면 장비의 출구 쪽으로 글래스(g)를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이송 역시 상기 제1이송구동부(40)가 맡아서 한다.
그리고, 장비의 출구측에서 장비 외부의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로 글래스(g)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부양패드(62)에서 더 이상 공기가 분출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상기 부양패드(62)에서 공기가 분출되는 것은 장비내의 입구부, 출구부 및 검사부 구간에서 각각 별도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비의 출구측에서 부양패드(62)에서 공기가 분출되지 않고, 상기 제1글래스흡착구(45)가 더 이상 글래스(g)의 하면에 흡착되어 있지 않으면, 글래스(g)는 하강하여 상승되어 있던 롤러(3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구동에 의해 장비의 외부로 글래스(g)가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글래스흡착구(45)는 상대적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도 5a에서의 위치로 이동하고, 또 다른 글래스(g)가 장비로 진입했을 때, 글래스(g)를 이송시키기 위해 대기한다.
그리고, 검사를 마친 글래스(g)가 장비의 출구로 이동하는 동안,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글래스(g)가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 의해 장비 내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새로운 글래스(g)를 장비에서 받기 위해 상기 입구근처의 롤러(31)는 상승된 상태로 있어야 한다. 상기 제2글래스흡착구(55) 역시 장비의 입구측에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검사를 마친 글래스(g)가 장비에서 배출되는 동안에 새로운 글래스(g)가 입구측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먼저 장비로 들어온 글래스(g)의 검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새로운 글래스(g)가 장비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한편, 새로 장비로 들어온 글래스(g)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31)가 하강함과 동시에 부양패드(62)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소정의 높이에 지지되고, 정렬유니트(70)에 의해 위치정렬이 된다. 위치정렬이 마쳐지면, 상기 제2글래스흡착구(55)가 글래스(g)를 파지한 상태로 제2이송구동부(50,50')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g)를 이송시킨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에 의해 글래스(g)가 이송되면서 검사되는 것과 동일하며, 상기 제1이송구동부(40)와 제2이송구동부(50,50')는 교대로 글래스(g)를 장비 내에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송장치가 검사장비에 적용된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별도로 검사가 필요없는 글래스(g)를 그냥 통과시킨다든지, 검사장비가 고장나거나 이송구동부(40,50,50')가 고장나 검사를 수행할 수 없지만, 전체 공정을 정지시킬 수 없을 때는 장비 내의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롤러(31)를 전부 상승시켜 글래스(g)를 이송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장비와 장비 사이 및 장비 내부를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글래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글래스의 이송효율이 높아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글래스가 이송되는 위치에 따라 그 이동 정밀도를 달리하고 있다. 즉, 검사시와 같이 정밀한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리니어모터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글래스의 이송을 구간에 따라 효율적을 하면서도 전체 장비의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글래스를 공기압력으로 부양시키면서 글래스흡착구를 사용하여 파지하여 리니어모터의 구동력으로 정밀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의 하부를 차폐하는 구성이 없어 그 하부에서 글래스로 조명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장비에의 적용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 이송베이스와,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구간에 따라 별도로 승강가능한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여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교대로 상기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와,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교대로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는 것으로 공기압으로 글래스를 부양시켜 일정 높이에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에 의해 글래스가 이송되게 하는 글래스부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는 장비와 장비사이에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글래스를 장비와 장비사이에서도 이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는 한쌍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이들 사이의 간격은 글래스의 하면 양단을 수평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는 각각,상기 이송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리니어가이드와,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리니어모터와,상기 리니어모터에 승강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되고 글래스의 하면에 흡착되어 글래스와 리니어모터가 함께 이동되게 하는 글래스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구동부는 전체 장치의 중앙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글래스흡착부가 글래스의 하면 중앙 일측을 파지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제2이송구동부는 전체 장치의 양단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글래스흡착부가 글래스의 하면 양단 일측을 각각 파지하여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양부 상에는 상기 글래스의 하면으로 공기를 분출하여 글래스를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다수개의 부양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패드는 구간에 따라 공기의 분출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구동부의 사이에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글래스부양부는 각각의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양단에 나란히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베이스상에는 상기 글래스부양부에 의해 소정 높이에 지지된 글래스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정렬유니트는 다수개가 글래스의 측면을 동시에 지지하여 글래스의 위치를 정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4458A KR101093983B1 (ko) | 2004-12-28 | 2004-12-28 |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4458A KR101093983B1 (ko) | 2004-12-28 | 2004-12-28 |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5640A true KR20060075640A (ko) | 2006-07-04 |
KR101093983B1 KR101093983B1 (ko) | 2011-12-15 |
Family
ID=3716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4458A KR101093983B1 (ko) | 2004-12-28 | 2004-12-28 |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398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318B1 (ko) * | 2006-08-08 | 2007-06-21 | (주)와이에스썸텍 | 유리성형장치 |
KR100861175B1 (ko) * | 2007-04-09 | 2008-09-30 |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셋케이 고교 | 박판 형상 재료 반송용 롤러 유닛과 박판 형상 재료 반송장치 |
KR101427695B1 (ko) * | 2007-11-26 | 2014-08-07 | 주식회사 케이씨텍 | 디스플레이 기판 이송장치 |
KR20200090045A (ko) | 2019-01-18 | 2020-07-28 | 주식회사 새롬에프티 |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용 반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96482A (ja) * | 2002-12-18 | 2004-07-15 | Maruyasu Kikai Kk | ローラコンベア |
-
2004
- 2004-12-28 KR KR1020040114458A patent/KR10109398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318B1 (ko) * | 2006-08-08 | 2007-06-21 | (주)와이에스썸텍 | 유리성형장치 |
KR100861175B1 (ko) * | 2007-04-09 | 2008-09-30 |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셋케이 고교 | 박판 형상 재료 반송용 롤러 유닛과 박판 형상 재료 반송장치 |
KR101427695B1 (ko) * | 2007-11-26 | 2014-08-07 | 주식회사 케이씨텍 | 디스플레이 기판 이송장치 |
KR20200090045A (ko) | 2019-01-18 | 2020-07-28 | 주식회사 새롬에프티 |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용 반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3983B1 (ko) | 2011-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4017B1 (ko) | 기판 검사 장치 | |
KR101213529B1 (ko) | 기판 반송 장치 | |
KR101433516B1 (ko) | 기판과 기판 반송용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 |
CN106873195B (zh) | 探针单元更换装置 | |
KR20060081423A (ko) | 기판 반송 장치 | |
JP2011017692A (ja) | 基板収納容器、及びこれを具備した基板検査装置 | |
JP5608469B2 (ja) | 塗布装置 | |
KR101991267B1 (ko) | 기판 절단 장치 | |
KR20180069676A (ko) | 기판 절단 장치 | |
KR101093983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 |
JP5550882B2 (ja) | 塗布装置 | |
KR20180069677A (ko) | 기판 절단 장치 | |
KR20060081053A (ko) |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및 이를 사용한검사시스템 | |
KR101859279B1 (ko) |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 |
JP2012135725A (ja) |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 |
KR102067987B1 (ko) | 기판 절단 장치 | |
KR101383045B1 (ko) | 셀 인서트 시스템 | |
JP2019194578A (ja) | ホルダ搬送装置 | |
KR20190037830A (ko) | 기판 절단 장치 | |
JP2012182273A (ja) | ガラス基板インライン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2114025B1 (ko) | 기판 절단 장치 | |
KR102067986B1 (ko) | 기판 절단 장치 | |
KR20110040002A (ko) | 기판검사 장치 | |
JP5663297B2 (ja) | 塗布装置 | |
JPH11195668A (ja) |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