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148A - 램프용 소켓 - Google Patents

램프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148A
KR20060074148A KR1020040112794A KR20040112794A KR20060074148A KR 20060074148 A KR20060074148 A KR 20060074148A KR 1020040112794 A KR1020040112794 A KR 1020040112794A KR 20040112794 A KR20040112794 A KR 20040112794A KR 20060074148 A KR20060074148 A KR 2006007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ll
hole
lamp fix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홍
Original Assignee
이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홍 filed Critical 이세홍
Priority to KR102004011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4148A/ko
Publication of KR2006007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램프가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램프용 소켓이 개시된다. 소켓은 램프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중공형상의 몸체와, 몸체에 형성된 제 1 홀 및 제 2 홀과, 그 일부가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제 1 홀에 끼워지는 램프 고정볼과, 그 내측면이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제 2 홀에 끼워지는 램프 고정판과,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그루브에 부착되어 램프 고정볼과 램프 고정판을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의 진퇴동작이 가능하게 판스프링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램프용 소켓{Socket for La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이 소켓에 결합되는 램프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램프가 원터치에 의해 분리될 수 있게 접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램프가 록킹되어 원터치에 의해 분리될 수 없게 접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램프 2: 베이스
4: 나사산 10: 소켓
11: 몸체 15: 그루브
20: 램프 고정볼 30: 램프 고정판
40: 판스프링 41: 볼 걸림홀
42: 판 걸림홀 50: 커버
51: 볼 수용홈 52: 판 수용홈
본 발명은 램프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게 접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을 위해 램프가 접속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램프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소켓은 램프 또는 전구(이하에서는 '램프'로만 표기함)를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소켓의 내주면과 램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램프가 소켓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업용이나 주거용을 포함하는 대형건물에는 넓은 실내공간을 밝히기 위해 많은 수의 소켓과 램프가 설치되게 되는데, 종래와 같이 램프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소켓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게 되면 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걸리게 되며, 또한 실수로 램프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결합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램프를 순간 접속방식 또는 원터치 접속방식으로 소켓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조가 공지되어 있지만 간단한 구조와 간편한 동작으로 램프를 소켓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한편, 램프가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 다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램프를 분리시킬 수 없도록 램프를 소켓에 록킹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지 않아서 이러한 종래의 원터치 접속구조를 가진 종래의 램프용 소켓도 제조비용이 증대되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램프가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램프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가 접속된 상태에서 다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램프를 록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램프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용 소켓은, 램프가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중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제 1 홀과 제 2 홀; 그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 1 홀에 끼워지는 램프 고정볼; 그 내측면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 2 홀에 끼워지는 램프 고정판;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램프 고정볼과 상기 램프 고정판을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이 소켓에 결합되는 램프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는 소켓(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며 여러 개의 나사산(4)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2)와, 이 베이스(2)에 결합되어 주위로 빛을 발산시키는 램프부(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2)는 통상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램프부(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상을 갖거나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구와 같이 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은 일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져서 그 내부에 베이스(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가 형성되어 베이스(2)가 소켓(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몸체(11)와, 램프(1)의 베이스(2)를 소켓(10)의 몸체(11)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 그리고 원환 형상의 판스프링(40)을 구비한다.
소켓(10)은 또한 판스프링(40)이 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램프(1)가 소켓(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게 록킹시키기 위해 판스프링(40)의 외면을 덮어서 지지하는 커버(50)를 구비한다.
몸체(11)의 원주면에는 각각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제 1 홀(13)과 제 2 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홀(13)과 제 2 홀(14)은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몸체(11)의 수용부(12)로 돌출하여 램프(1)의 베이스(2)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마련되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베이스(2)를 균형적이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한다.
제 1 홀(13)은 구형상으로 형성된 램프 고정볼(20)의 선단부가 몸체(11)의 수용부(12) 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홀(14)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램프 고정판(30)과 대응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램프 고정판(3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은 램프(1)의 베이스(2)와 접촉할 때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의 외주면에서 제 1 홀(13)과 제 2 홀(14)이 형성된 부분에는 일정폭을 가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브(15)가 마련되어서 원환 형상을 가진 판스프링(40)이 안치되도록 한다.
판스프링(40)은 일단이 끊겨진 원환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신축이 가능하게 되며, 이 판스프링(40)의 직경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그루브(15)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1)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되어서 판스프링(40)이 그루브(15)에 장착되면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을 몸체(11)의 내측 또는 수용부(12)로 돌출하게 하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판스프링(40)에는 램프 고정볼(2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져서 램프 고정볼(20)이 전후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장방형의 볼 걸림홀(41)과, 이 볼 걸림홀(41)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램프 고정판(30)의 돌기(31)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되어 램프 고정판(30)을 전후이동 가능하게 돌기(31)를 수용하는 판 걸림홀(4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50)는 판스프링(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 원환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판스프링(40)이 몸체(11)의 그루브(15)에 끼워진 상태에서 판스프링(40)의 외주면을 덮게 되며, 몸체(11)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판스프링(4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러버나 실리콘과 같은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커버(50)에도 그 내주면에 판스프링(40)의 볼 걸림홀(41)과 판 걸림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이 형성되어서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볼 수용홈(51)의 깊이(D1)는 램프 고정볼(20)이 베이스(2)의 나사산(4) 사이의 골에 걸려지는 길이(L1)보다 더 커서 베이스(2)가 소켓(10)의 몸체(1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에 따라 램프 고정볼(20)의 진퇴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판 수용홈(52)도 램프 고정판(30)의 진퇴동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또한, 커버(50)의 외면에는 이 커버(50)를 소켓(10)의 몸체(1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푸시돌기(53)가 마련되어 몸체(11)를 잡고서 푸시돌기(5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게 되면 커버(50)가 회동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푸시돌기(53)의 동작에 의해 램프(1)가 소켓(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터치 동작으로 램프(1)를 소켓(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몸체(11)의 외주면에서 제 1 홀(13) 및 제 2 홀(14)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위치, 더 정확하게는 제 2 홀(14)의 외측에는 기준마크(M1)가 표시되어 있고, 커버(50)에 형성된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위치, 더 정확하게는 판 수용홈(52)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는 풀림마크(M2)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 풀림마크(M2)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잠금마크(M3)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풀림마크(M2)가 기준마크(M1)와 일치된 상태에서는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각각 커버(50)의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에 수용되어(도 3 및 도 4 참조) 램프(1)를 소켓(10)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50)의 푸시돌기(53)를 밀어서 잠금마크(M3)가 기준마크(M1)와 일치되도록 하면 커버(50)의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이 각각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도 5 및 도 6 참조) 램프(1)가 소켓(10)의 몸체(11)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되게 된다.
물론, 잠금마크(M3)가 기준마크(M1)와 일치된 상태에서 램프(1)를 회전시키 게 되면 램프 고정볼(20)이 베이스(2)의 나사산(4)들 사이의 골에 위치된 상태에서 베이스(2)가 회전하게 되면서 소켓(10)에서 분리되는 동작은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방식대로 램프(1)를 소켓(10)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11)의 외주면에는 커버(5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돌출턱(16)과 제 2 돌출턱(17)이 마련되어서 커버(50)가 제 1 돌출턱(16)과 제 2 돌출턱(17)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램프가 원터치에 의해 분리될 수 있게 접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에 램프가 록킹되어 원터치에 의해 분리될 수 없게 접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에 형성된 제 1 홀(13)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램프 고정볼(20)은 그 직경이 제 1 홀(13)의 외측 직경보다는 작고 제 1 홀(13)의 내측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서, 램프 고정볼(20)이 몸체(11)의 제 1 홀(1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면 그 일부가 몸체(11)의 수용부(12)로 돌출된 상태로 걸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판스프링(40)이 몸체(11)의 그루브(15)에 끼워지면 판스프링(40)의 볼 걸림홀(41)에 걸려져서 몸체(11)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몸체(11)의 제 2 홀(14)과 램프 고정판(30)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램프 고정판(30)을 제 2 홀(14)의 외측에서 끼우게 되면 램프 고정판(30)의 내측면이 제 2 홀(14)을 통해 몸체(11)의 수용부(12)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걸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판스프링(40)이 몸체(11)의 그루브(15)에 끼워지면 램프 고정판(30)의 돌기(31)가 판스프링(40)의 판 걸림홀(42)에 끼워져서 몸체(11)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이 각각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에 일치되도록 커버(50)를 몸체(11)에 끼워서 그루브(15)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돌출턱(16)(17)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판스프링(40)이 신축 가능하도록 그 외면을 덮게 되며, 이렇게 커버(50)가 몸체(11)의 그루브(15) 위에 배치되게 되면 제 1 및 제 2 돌출턱(16)(17)에 의해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 그리고 판스프링(40)과 커버(50)가 몸체(11)에 결합되게 되면 소켓(10)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며, 이 때 몸체(11)에 새겨진 기준마크(M1)와 커버(50)에 새겨진 풀림마크(M2)는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의 램프(1)를 소켓(10)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우게 되면 램프(1)의 베이스(2)가 소켓(10)의 몸체(11)의 내측, 즉 수용부(12)로 직선 이동하게 됨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램프 고정볼(20)의 선단부가 베이스(2)의 나사산(4) 사이의 골에 위치하게 되고 램프 고정판(30)의 내측면이 나사산(4)들에 밀착되게 되어 램프(1)를 소켓(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2)의 직선 이동시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은 램프(1)가 소켓(10)에 완전히 접속될 때까지 각각 커버(50)의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 안에서 베이스(2)의 나사산(4)들과 판스프링(40)에 의해 진퇴동작을 하 게 된다.
램프(1)가 소켓(10)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램프(1)를 소켓(10)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다시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진퇴동작을 하면서 램프(1)의 베이스(2)가 소켓(10)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되게 된다.
한편, 램프(1)가 소켓(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50)의 푸시돌기(53)를 밀어서 잠금마크(M3)가 기준마크(M1)와 일치되도록 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의 볼 수용홈(51)과 판 수용홈(52)이 각각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램프 고정볼(20)과 램프 고정판(30)이 커버(50)에 의해 진퇴동작이 가능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램프(1)가 소켓(10)의 몸체(11)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램프(1)가 소켓(10)에 록킹된 상태로 고정되더라도 램프(1)를 회전시키게 되면 램프 고정볼(20)이 베이스(2)의 나사산(4)들 사이의 골에 위치된 상태에서 베이스(2)가 회전하게 되면서 소켓(10)에서 분리되는 동작은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방식대로 램프(1)를 소켓(10)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용 소켓은 간단한 구조로 램프가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되도록 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서 램프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용 소켓은 램프가 접속된 상태에서 다시 원터치 방식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램프를 록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램프를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램프가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중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제 1 홀과 제 2 홀; 그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 1 홀에 끼워지는 램프 고정볼; 그 내측면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 2 홀에 끼워지는 램프 고정판;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램프 고정볼과 상기 램프 고정판을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일단이 끊겨진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램프는 나사산이 형성된 베이스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램프의 베이스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몸체의 내부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램프 고정볼의 선단부가 상기 나사산들 사이의 골에 끼워지고 상기 램프 고정판의 내측면이 상기 나사산들의 산에 밀착되어 상기 램프를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착탈 동작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의 신축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판스프링의 외면을 덮어서 지지하는 커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에는 각각 상기 램프 고정볼과 상기 램프 고정판이 걸려지는 볼 걸림홀과 판 걸림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판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판 걸림홀에 걸려져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홀은 상기 그루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볼 걸림홀과 판 걸림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램프 고정볼과 상기 램프 고정판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볼 수용홈과 판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수용홈의 깊이(D1)는 상기 램프 고정볼이 상기 베이스의 골에 걸려지는 길이(L1)보다 더 커서 상기 베이스가 상기 몸체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램프 고정볼의 진퇴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커버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푸시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 1 홀 및 제 2 홀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준마크(M1)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기 볼 수용홈과 판 수용홈을 연결하는 선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풀림마크(M2)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풀림마크(M2)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잠금마크(M3)가 표시되어 있어서, 상기 풀림마크(M2)가 상기 기준마크(M1)와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푸시돌기를 밀어서 상기 잠금마크(M3)가 상기 기준마크(M1)와 일치되도록 하면 상기 커버의 볼 수용홈과 판 수용홈이 각각 상기 램프 고정볼과 램프 고정판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상기 램프가 상기 몸체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 1 홀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램프 고정볼의 직경은 상기 제 1 홀의 외측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제 1 홀의 내측 직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 2 홀과 상기 램프 고정판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램프 고정판의 내측면이 상기 제 2 홀 을 통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출턱과 제 2 돌출턱이 마련되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 1 돌출턱과 제 2 돌출턱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소켓.
KR1020040112794A 2004-12-27 2004-12-27 램프용 소켓 KR20060074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794A KR20060074148A (ko) 2004-12-27 2004-12-27 램프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794A KR20060074148A (ko) 2004-12-27 2004-12-27 램프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148A true KR20060074148A (ko) 2006-07-03

Family

ID=3716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794A KR20060074148A (ko) 2004-12-27 2004-12-27 램프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4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4441A (zh) * 2010-08-30 2012-03-21 泰金宝光电(苏州)有限公司 灯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4441A (zh) * 2010-08-30 2012-03-21 泰金宝光电(苏州)有限公司 灯座
CN102384441B (zh) * 2010-08-30 2013-05-15 泰金宝光电(苏州)有限公司 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645B1 (ko) 매입형 조명기구
BR112019018693A2 (pt) dispositivo de conexão rápida para instalações elétricas embutidas
JP6004476B2 (ja) Led照明器具の取付・落下防止装置
US7434954B1 (en) Adjustable mount for flashlight
US20170211800A1 (en) Led lighting system
KR200389249Y1 (ko) 착탈식 휴대용 간이전등
CN107429903B (zh) 用于灯具的连锁装置
KR20060074148A (ko) 램프용 소켓
US7090381B2 (en) Fluorescent utility light
CA2962970C (en) Led lighting fixture having a heat dissipating feature
JP2015088428A (ja) Led照明器具
JP5701427B1 (ja) Led照明器具
JP6268053B2 (ja) Led照明器具
KR20060109000A (ko) 매입형 등기구
KR200236556Y1 (ko)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KR20160024566A (ko) 회전 가능한 막대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JP6275066B2 (ja) Led照明器具
KR101755419B1 (ko)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JP2016134225A (ja) 口金、直管形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13134911A (ja) 発光源内装ランプ
JPH0554709A (ja) 引掛シーリングキヤツプおよび照明器具
KR960006001Y1 (ko) 조명 스텐드
KR102245361B1 (ko)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JP2016031815A (ja) 照明用ソケット及び直管灯用取付具
KR960006150Y1 (ko) 형광등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