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476A -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476A
KR20060073476A KR1020050127673A KR20050127673A KR20060073476A KR 20060073476 A KR20060073476 A KR 20060073476A KR 1020050127673 A KR1020050127673 A KR 1020050127673A KR 20050127673 A KR20050127673 A KR 20050127673A KR 20060073476 A KR20060073476 A KR 20060073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unit
memory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438B1 (ko
Inventor
쿠니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4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operating as a regular record carrier and a second attachable part that changes the functional appearance of said record carrier, e.g. a contact-based smart card with an adapter part which,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card makes the contact card function as a non-contac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장치에 기억한 데이터의 전송을,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상에서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간소하게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카드와,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는 어댑터 장치로 구성되고, 어댑터 장치 내에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PC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무선 전송로를 통한 데이터 요구에 대해, 어댑터 장치 내의 통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카드 내의 메모리의 내용을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카메라 등 메모리 장치를 장착하는 호스트 기기측에 통신 제어용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실장하지 않고도 해결된다.
어댑터 장치, 메모리 장치

Description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ADAPTER AND MEMORY UNI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1)에, 소형 메모리·카드(203)를 장착한 경우의 외관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 내의 무선부(20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반사파 전송을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외부 기기(202)측의 무선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의 무선부(208)와 도 4에 도시한 외부 기기(202)의 반사파 판독 장치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기 위한 제어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TDD(시분할 다중) 방식을 채용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외부 기기(202)측으로부터의 제어로 소형 메모리·카드(203) 내의 플래시·메모리(204)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는 동작 시퀀스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반사기측에서, QPSK 변조 방식을 실현하는 무선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무선에 의한 화상 전송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200 :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 201 : 호스트 기기 202 : 외부 기기 203 : 소형 메모리·카드 204 : 플래시·메모리 205 : 메모리 제어부 206 : 인터페이스부 207 : 안테나 208 : 무선부 209 : 통신 제어부 210 : 인터페이 스부 211 : 커넥터부 212 : 안테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정보 기기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여 이용되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이것을 착탈 자유롭게 수용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메모리에 기억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에 기억한 데이터의 전송을,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간소하게 행하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에 통신 제어용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도입할 필요없이, 기억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행하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요즘의 기술 혁신에 수반하여, 퍼스널·컴퓨터(PC)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카메라, 포터블·미디어·플레이어 등, 텍스트나 화상, 음성 등 다양한 미디어로 이루어지는 컴퓨터·파일을 취급하는 각종의 정보 기기가 개발되고 시판되어 있다. 또한, 이 주된 정보 기기의 대부분은 메모리·카드나 USB 메모리 등 카트리지식의 메모리 장치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카드·슬롯이나 커넥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메모리·카드로는, 「MEMORYSTICK(등록상표)」이나 「SD(Secure Digital) 카드」 등 복수의 규격이 있지만, 이하에서는, 착탈식의 메모리 장치인 것을 총칭하여 「메모리·카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촬상 화상을 JPEG(Joint Picture Experts Group)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소정의 파일·포맷으로 부호화한 후, 메모리·카드에 보존한다. 이와 같은 경우, 비교적 소용량의 기기 내장 메모리에 모두 축적될 수 없는, 많은 화상을 축적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가 보존 데이터로 꽉차게 되었을 때는, 다른 메모리·카드로 교환함으로써, 촬상 화상을 보존하기 위한 새로운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상에서 포착한 화상 파일을 퍼스널·컴퓨터 등의 다른 정보 기기에 이동하고, 화질 조정이나 재부호화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거나, 데이터베이스 또는 앨범 등의 형식으로 화상 관리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전송하여 촬영 화상을 크게 표시하여 보거나, 프린터에 화상 파일을 전송하여 프린트 아웃을 행하거나 함에 의해 사진으로서 즐길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카드상의 화상이나 그 밖의 데이터를 기기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법으로서는, 메모리·카드를 빼내고, 이동처의 기기에 장착한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메모리·카드를 장착한 기기와 데이터 이동처의 기기를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경우, 데이터 전송할 때마다 커넥터를 갈아붙이는 작업을 하며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고, 편리성이 높다.
도 9에는, 메모리·카드를 장착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보 기기에의, 무선에 의한 화상 데이터 전송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는, 모바일 기기로서 디지털·카메라를 상정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촬영한 화상을 내장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카드에 화상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그리고, 무선 전송할 때에는, 목적하는 화상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카드로부터 판독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경유로 PC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화상 재생 장치에 전송한다. 물론, PC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수신 장치측에도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이 각각 어댑터로서 장비되어 있다. 무선 전송로에 의한 화상 데이터 전송 후에는, PC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표시, 격납되고, 텔레비전에서는 화면상에서 표시 출력되고, 프 린터에서는 프린트 아웃된다.
도시한 바와 같은 무선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송신원인 디지털·카메라측에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을 장비하여야 한다. 또한, 송신원이 무선 인터페이스를 내장하지 않는 기기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외부 부착 어댑터 등으로 구성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장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기능으로서는, Bluetooth 통신이나, IEEE802.11 등의 무선 LAN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기능을 내장한 외부 메모리·미디어에 관해 제안이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할 것). 이 외부 메모리·미디어는, 장착된 호스트 기기와의 사이에서 물리적 접속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수하는 유선 통신 수단과, Bluetooth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원이 되는 디지털·카메라 등의 호스트 기기는, 이와 같은 외부 메모리·미디어를 장착하고, 이 메모리·미디어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동하여 통신망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 참조 번호 100은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 참조 번호 101은 디지털·카메라 등의 호스트 기기, 참조 번호 102는 데이터 전송처의 프린터, 또는 데이터 출력처의 텔레비전·모니터 등의 외부 기기이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101)에는, 메모리·카드로서의 기본적 인 기능인 플래시·메모리(106), 메모리 제어부(107), 호스트 기기(101)와의 인터페이스부(108)가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Bluetooth 통신과 같은 무선부(104)와, 통신 제어부(105)가 메모리·카드(101)에 부가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105)는, 무선 통신의 통신 프로토콜의 제어를 행한다. 안테나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100)측에는 참조 번호 103으로서, 외부 기기(102)측에는 참조 번호 109로서 실장된다.
호스트 기기(101)는, 통상은, 인터페이스부(108), 메모리 제어부(107)를 통하여, 플래시·메모리(106)에 데이터를 격납하거나, 판독하거나 하는 액세스 동작을 행한다. 플래시·메모리(106) 내의 화상을 외부 기기(102)에 보내는 경우에는, 호스트 기기(101)는 인터페이스부(108), 메모리 제어부(107)를 통하여, 플래시·메모리(106)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뒤이어, 인터페이스부(108), 통신 제어부(105), 무선부(104), 안테나(103)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처인 외부 기기(102)에 무선 전송을 행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Bluetooth 통신이나 IEEE802.11이라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을 장착한 호스트 기기측에서는, 해당 인터페이스·모듈 내의 무선 통신 기능을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하기(즉 통신 제어부(105)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호스트 기기에 인스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에 있어서 번거롭다.
또한, 디지털·카메라나 그 밖의 휴대 기기, 조립형의 기기 등에서는, 드라 이버·소프트웨어의 인스톨 조작 그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외부 메모리·미디어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 결국, 메모리·카드에 격납된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카드의 교체나 유선 접속이라는 종래의 수법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전송하고 싶은 파일의 선택 등 통신 처리에 관한 조작을, 장착한 디지털·카메라의 유저·인터페이스상에서 행하여야 하여, 조작이 번잡하다.
또한, 메모리·카드는, 상품의 라인 업상, 플래시·메모리의 메모리·사이즈가 다른 것이나, 저작권 보호 기능의 유무 등, 제조자는 수종류의 것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에 대해서도, 메모리·사이즈나 저작권 보호 기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상품군을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품의 라인 업이 증가하는 것은, 제조자에 있어서는 번잡하고, 상품을 관리하는 부담이 과대하게 된다. 또한, 유저에 있어서는, 복수의 메모리·카드를 구입하는 경우, 완전히 동일한 무선 통신부를 중복하여 구입하는 것으로 되어, 가격이 비싼 느낌을 주게 된다.
[특허 문헌 1] 특개2001-7787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메모리에 기억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우수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 장치에 기억한 데이터의 전송을, 메모리 장 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상에서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간소하게 행할 수 있는, 우수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에 통신 제어용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도입할 필요 없이, 기억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우수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기능을 장비할 때의, 복수의 상품 라인 업을 갖추는 제조업자의 부담을 적게 함과 함께, 복수의 해당 상품을 구입하는 유저의 가격이 비싼 느낌을 해소할 수 있는, 우수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의 측면은,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는 어댑터 장치로서,
메모리·카드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하는 삽입부와,
호스트 기기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유선 통신부와,
외부 기기와 무선 전송로 경유로 통신 동작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행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은, 메모리·카드와, 상기 메모리·카드를 교환 가능하게 수용하는 어댑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카드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어댑터 장치와 접속하는 어댑터·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 장치는,
상기 메모리·카드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하는 삽입부와,
호스트 기기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유선 통신부와,
외부 기기와 무선 전송로 경유로 통신 동작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행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여기서, 어댑터 장치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 전송로 경유로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동작을,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와는 독립하여 행할 수 있다.
많은 정보 기기에서는, 메모리·카드나 USB 메모리 등 카트리지식의 메모리 장치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카드·슬롯이나 커넥터 등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메모리·카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함에 의해, 데이터 전송할 때마다 커넥터의 갈아붙이는 작업을 하고,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고, 편리성이 높다. 그런데, 해당 모듈 내의 무선 통신 기능을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하기 위한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정보 기기에 인스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번거롭다.
또한, 메모리·카드는, 상품 라인 업상, 메모리·사이즈 등이 서로 다른 수종류의 것을 준비할 필요가 있는데,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에 대해서도 메모리·사이즈마다 복수의 상품군을 준비하여야 하여, 제조자의 부담이 과대해진다. 또한, 유저에 있어서도, 복수의 메모리·카드를 구입하는 경우, 완전히 동일한 무선 통신부를 중복 구입하게 되어, 가격이 비싼 느낌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관한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카드와,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는 어댑터 장치로 구성되고, 무선 통신 기능은 메모리·카드와 동거(同居)시키지 않고, 어댑터 장치 내에 실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선 통신 기능은, 어댑터 장치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무선 전송 동작을,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와는 독립하여 행할 수 있다.
PC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무선 전송로를 통한 데이터 요구에 대해, 어댑터 장치 내의 통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카드 내의 메모리의 내용이 판독된다. 이와 같은 경우, 디지털·카메라 등 메모리 장치를 장착하는 호스트 기기측에 통신 제어용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실장하지 않고도 해결된다. 환언하면, 기존의 디지털·카메라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는, 무선 통신 기능과 동거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소형의 메모리·카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어댑터 장치에 메모리·카드를 삽입한 상태의 메모리·장치는, 종래의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와 같은 사이 즈로 하여, 종래 제품과의 카드·슬롯 호환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 장치에 삽입하여 이용되는 소형의 메모리·카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MEMORYSTICK DUO(등록상표)」나, 「미니 SD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즉, 메모리 스틱의 경우는, 메모리 스틱 사이즈의 어댑터에 무선 통신 기능을 내장시키고, 메모리·카드로서는 메모리 스틱 Duo를 이용한다. 그리고, 메모리·카드 내의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와는 독립적으로 어댑터 장치 내부로 판독을 행하고, 무선 전송을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장치로서의 상품 라인 업은, 메모리·카드 부분에서의 메모리·사이즈(및 저작권 보호 등의 부가 기능)로 결정되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 부분은 라인 업에서 공통으로 되기 때문에, 제조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유저는, 필요에 응하여 메모리·카드만을 추가 구입하고, 하나의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어댑터 장치를 소지하고 있으면 어느 메모리·카드라도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어댑터 장치가 외부 기기라고 행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으로서, 수신 전파에 대한 반사파를 변조하는 반사파 전송 방식을 채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수신 전파에 대해 전송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안테나의 부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또는 반사파 신호로에 위상차를 주는 등의 스위칭 동작만에 의해 반사파에 변조 처리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압도적으로 저소비 전력의 데이터 전송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의 모듈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접속 상태에 응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액세스의 경합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을 택일적으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액세스를 금지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의 쌍방으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의 경합에 수반하는 오동작을 회피함과 함께, 무선 통신 경유로의 메모리·액세스 요구를 원활히 행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데이터 전송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기간은,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이 금지된다.
한편, 유선 통신 경유로의 통신 동작과는 상위하여, 무선에 의한 통신 동작은, 처리중의 통신이 도중절단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메모리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제어부에서는, 메모리에의 판독 요구만을 수리하고, 기록 요구를 허가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메모리에 기억한 데이터를 알맞게 전송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 모리·카드와 이것을 장착한 어댑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장치에 기억한 데이터의 전송을,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상에서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간소하게 행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이것을 장착한 어댑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에 통신 제어용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도입할 필요 없이, 기억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알맞게 행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이것을 장착한 어댑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기능을 장비할 때의, 복수의 상품 라인 업을 갖추는 제조업자의 부담을 적게 함과 함께, 복수의 해당 상품을 구입하는 유저의 가격이 비싼 느낌을 해소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이것을 장착한 어댑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카드와,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는 어댑터 장치로 구성되고, 어댑터 장치 내에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PC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무선 전송로를 통한 데이터 요구에 대해, 어댑터 장치 내의 통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카드 내의 메모리의 내용을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카메라 등 메모리 장치를 장착하 는 호스트 기기측에 통신 제어용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실장하지 않고도 해결된다. 이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디지털·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는, 드라이버의 인스톨 등 특별하게 변경하는 일 없이, 디지털·카메라로부터 메모리·카드에 기록한 화상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디지털·카메라에 적용 가능하다.
(2) 모바일 기기 메이커는, 무선 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개발을 하지 않아도 좋아지고, 개발 스피드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3) 메모리 장치로서의 상품 라인 업은, 메모리·카드 부분에서의 메모리·사이즈 등으로 결정되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 부분은 라인 업에서 공통으로 되기 때문에, 제조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4) 유저는, 필요에 응하여 메모리·카드만을 추가 구입하고, 하나의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어댑터 장치를 소지하고 있으면 어느 메모리·카드라도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외부 기기와의 무선 전송에, 수신 전파에 대한 반사파를 변조하는 반사파 전송 방식을 채용함에 의해, 무선 통신부를 소형으로 구성함과 함께 통신 동작에 필요로 하는 소비 전력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해석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 참조 번호 200은,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로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어 있다. 또한, 참조 번호 201은 디지털·카메라 등의 호스트 기기로서, 메모리·카드·어댑터(200)를 교환 가능하게 수용한다. 또한, 참조 번호 202는 데이터 전송처가 되는 텔레비전이나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이고, 참조 번호 212는 외부 기기의 안테나이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1)에는, 소형 메모리·카드(203)를 착탈 자유롭게 장전할 수 있는 슬롯(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 기기(201)에는, 메모리·카드(203)를 장전한 상태의 메모리·카드·어댑터(201)를 착탈 자유롭게 장전할 수 있는 슬롯(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메모리·카드·어댑터(201)는, 예를 들면, 소형이 아닌 종래의 메모리·카드와 슬롯 호환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1)는, 무선 통신 기능(213)과, 호스트 기기(201)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210)와, 소형 메모리·카드(203)가 접속된 커넥터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부(211)는, 예를 들면, 소형의 메모리·카드(203)를 삽입하는 슬롯의 가장 안쪽에 배설된다. 무선 통신 기능(213)은, 무선부(208)와, 통신 제어부(209)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에,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1)에는, 무선부(208)에 접속되는 안테나(207)가 장비된다. 안테나(207)는, 예를 들면 모노폴·안테나이고, 메모리·카드·어댑터(201)를 수용한 호스트 기기(201)의 슬롯(도시 생략)의 교환구(交換口) 를 통하여, 특정한 지향성이나 편파를 갖는다.
무선부(208)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무선 LAN의 표준 규격인 IEEE802.11이나, Bluetooth 통신, 반사파 전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반사파 전송이란, 수신 전파에 대해 전송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백·스캐터 통신인 것이다. 반사파의 변조 처리는,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전환 조작이나, 반사 신호로에 있어서의 위상차의 부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에 반사파 전송을 이용한 경우, 무선부(208)는 반사기로서 구성되고, 예를 들면 페이지 단위로 요구되는 데이터를 수신 전파에 대한 변조 반사파로서 송출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 동작은 반사파 판독 장치측의 제어하에 놓여지기 때문에, 무선부(208)를 갖는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에서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변경에 수반하는 디바이스·드라이버의 문제로부터 완전하게 해방된다.
소형 메모리·카드(203)는,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 공간을 제공하는 플래시·메모리(204)와, 이 기억 공간에 대해 액세스 동작을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205)와, 수용한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206)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204)는 통상, 페이지를 최소의 액세스 단위로 하고, 소정 수의 페이지로 물리 블록이 구성된다. 메모리 제어부(205)는, 물리 블록 번호 및 페이지 번호를 지정하여, 소망하는 데이터를 어드레스할 수 있다.
이 소형 메모리·카드(203)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 (200)에 삽입되고, 커넥터부(211)에 끼워 맞추어 접속된다. 도 2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1)에, 소형 메모리·카드(203)를 장착할 경우의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에는, 무선 통신 기능(213)과, 안테나(207)가 실장되어 있다.
호스트 기기(201)는, 통상은,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1) 내의 인터페이스부(201), 및 커넥터부(211)를 통하여, 소형 메모리·카드(203) 내의 플래시·메모리(204)에의 액세스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기기(201)가 디지털·카메라인 경우, 촬상 화상의 플래시·메모리(204)에의 기록이나, 플래시·메모리(204)에 격납한 화상 등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는, 인터페이스부(210) 경유로 디지털·카메라(201)로부터 구동 전력이 공급되어 있다.
또한, 무선부(208)는, 통신 제어부(209)에 의한 제어하에서 무선 통신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메모리·카드(203) 내의 메모리 제어부(205)에 의한 메모리·액세스 제어의 개재에 의해, 플래시·메모리(114) 내의 화상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단, 무선부(208)에서의 무선 전송로는, 유선 인터페이스와 상위하여, 처리중의 통신이 도중절단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메모리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 제어부(205)는, 무선부(208)로부터는 플래시·메모리(114)에의 판독 요구만을 수리하고, 기록 요구를 허가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202)의 안테나(212)로부터, 제어 신호가 무선 송신된다. 이것에 응답하여, 디지털·카메라 등의 호스트 기기(201)에 장착되어 있는 무 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로부터는, 메모리·카드(203)로부터 판독한 JPEG의 화상 데이터 등의 응답 신호(104)가 무선 송신된다. 그리고, 외부 기기(202)는, 디지털·카메라(201)측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텔레비젼 화상면에 표시 출력하거나, 프린트 아웃하거나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메모리·카드·어댑터(200) 내에 무선 통신 기능(213)을 내장시키고, 디지털·카메라 등의 호스트 기기(201)와는 독립적으로, 메모리·카드(203) 내의 플래시·메모리(204)를 판독하는 기능을 마련함에 의해, 호스트 기기에의 디바이스·드라이버 도입이나, 메모리·카드의 상품 라인 업, 유저의 비용 부담이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와 외부 기기(202)를 접속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무선 LAN의 표준 규격인 IEEE802.11이나, Bluetooth 통신, 반사파 전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LAN은 본래 컴퓨터에서의 이용을 전제로 하여 설계·개발된 것으로서, 모바일계 기기에 탑재하는 경우, 그 소비 전력이 문제로 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IEEE802.11b의 무선 LAN 카드의 대부분은, 송신시에 800mW 이상, 수신시에 600mW 이상의 소비 전력이 있다. 이 소비 전력은, 배터리 구동의 포터블 기기에서는, 부담이 크다.
무선 LAN 기능을 근거리 한정으로 동작시키고, 그 송신 전력을 작게 하여도, 소비 전력은 대폭적으로는 저하될 수는 없다. 특히, 디지털·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장치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측에의 전송은, 송신 비율이 통신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형태로 되기 때문에, 더욱더 저소비 전력의 무선 전송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Bluetooth 통신에 관해서는, 전송 속도가 최대라도 720kbps로 저속도이고, 요즘의 고화질화한 화상 전송에는 시간이 걸리고 불편하다.
이에 대해, 반사기가 수신 전파에 대해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 신호를 백·스캐터 송신한다는 반사파 통신 방식에서는, 특히 반사기측에서의 송신 비율이 통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형태에서,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반사파 전송 시스템은,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반사기와, 반사기로부터의 반사파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반사파 판독 장치로 구성된다. 데이터 전송시에는, 반사파 판독 장치가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한다. 이에 대해, 반사기는, 예를 들면 안테나의 종단의 온/오프 등의 부하 임피던스 조작을 이용하여, 무변조 캐리어에 대해 전송 데이터에 응한 변조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출한다. 그리고, 반사파 판독 장치측에서는, 이 반사파를 수신하여 복조·복호 처리하여 전송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반사기는, 예를 들면, 입사하는 연속파의 전파를 반사시키는 안테나와, 송신 데이터의 발생 회로와, 송신 데이터에 대응시켜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임피던스 변화 회로로 구성된다(예를 들면, 특개평01-182782호 공보를 참조할 것).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서는, 안테나의 부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기(즉, 반사파의 변조를 행하기) 위한 안테나·스위치는 일반적으로 갈륨 비소의 IC로 구성되고, 그 소비 전력은 수 10㎼ 이하이고,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의 평균 전력으로서 는, 송달 확인 방식의 경우에 10mW 이하, 일방향 전송에서는, 수 10㎼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무선 LAN의 평균 소비 전력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성능 차이다(예를 들면, 특원2003-291809호 명세서를 참조할 것). 따라서 디지털·카메라 등의 배터리 구동의 모바일 기기에 정보 격납용 단말 장치를 탑재한 경우라도, 데이터 전송 동작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반사파 전송을 이용한 경우, 메모리·카드·어댑터(200) 내의 무선부(208)는 반사기로서 구성되고, 반사파 판독 장치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페이지 단위로 요구되는 데이터를 수신 전파에 대한 변조 반사파로서 돌려 준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 동작은 반사파 판독 장치측의 제어하에 놓여지기 때문에, 무선부(208)를 갖는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에서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변경 등에 수반하는 디바이스·드라이버의 인스톨이나 최신 업데이트라는 문제로부터 완전하게 해방된다. 또한, 무선부(208)를 구성하는 모듈 면적은, 무선 LAN을 채용하는 경우에 비하면, 극단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사파 전송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의,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의 무선부(208)와, 외부 기기(202)측의 무선부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 내의 무선부(208)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부(208)는, 안테나(301)와, 안테나·스위치(302)와, 안테나 부하(303)와, 밴드·패스·필터(304)와, ASK 검파 부(305)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로서 ISM이라고 불리는 2.4GH대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204) 내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202)에 전송하는 경우, 무선부(208)는, 메모리·카드(202)측의 메모리 제어부(205)에 의해 플래시·메모리(204)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수취하면, 데이터의 비트·이미지에 따라 안테나(301)에 접속된 안테나·스위치(302)의 온/오프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가 1일 때는 안테나·스위치(302)를 온으로, 데이터가 0일 때 오프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스위치(302)가 온일 때는, 안테나(301)는 50Ω의 안테나 부하(303)로 종단되고, 오프일 때는, 안테나(301)는 오픈으로 된다. 이 동작은, 전송처가 되는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 도래하는 전파에 대해, 온일 때는 종단, 오프일 때는 반사의 행동을 함으로써, 전송처에서는, 송신 전파의 반사를 검출함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즉, 화상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안테나·스위치(302)의 온/오프 조작에 수반하는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변동에 의해 생기는 전송처로부터의 전파의 반사파로서 송신되게 된다. 무선부(208)로부터의 반사파 신호는, ASK 변조파와 등가이다. 단, 반사파 전송 방식에서는, ASK 변조 이외에, PSK, 또는 FSK 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테나·스위치(302)는 일반적으로 갈륨 비소의 IC로 구성되고, 그 소비 전력은 수 10㎼ 이하이다. 따라서 상술한 통신 방식에 의하면, 초저소비의 무선 화상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밴드·패스·필터(BPF)(304), ASK 검파부(305)는, 전송처로부터 ASK 변조된 송달 확인 신호의 수신시에 이용하는데, 이 2개의 블록은, 전송의 송달 확인을 행하지 않는 일방향의 전송이라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송달 확인이 행하여지는 경우, 그 제어는 통신 제어부(209)에서 행하여진다.
밴드·패스·필터(304)는, 2.4GH대의 주파수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대를 감쇠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ASK 검파부(305)의 소비 전력은 30mW 이하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무선부(208)에서 화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의 평균 전력으로서는, 송달 확인 방식의 경우에 10mW 이하, 일방향 전송에서는 수 10㎼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무선 LAN의 평균 소비 전력에 비하면, 압도적인 성능차이다. 또한, 무선부(208)을 구성하는 모듈 면적은, 무선 LAN을 채용하는 경우에 비하면, 극단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반사파 전송을 적용한 경우의 외부 기기(202)측의 무선부 즉 반사파 판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변조 반사파로 전송되기 때문에,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는 반사파를 만들어 내기 위한 무변조의 캐리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는, 2.4GH대의 안테나(401)와, 안테나·스위치 또는 이에 대신하는 서큘레이터(402)와, 직교 검파부(404)와 AGC 앰프(405)로 이루어지는 수신 부(403)와, 믹서(408)와 파워·앰프(407)로 이루어지는 송신부(406)와, 주파수 신디사이저(409)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에서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통신 제어부(410)로부터 믹서(408)에 대해 어떤 직류 전압을 줌에 의해 실현된다. 송신하는 무변조 캐리어의 주파수는, 통신 제어부(410)로부터 제어되는 주파수 신디사이저(409)의 주파수로 정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ISM이라고 불리는 2.4GH대를 이용하고 있다. 믹서(408)로부터 출력되는 무변조 캐리어는, 파워·앰프(407)에서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되고, 서큘레이터(402) 경유로 안테나(401)로부터 송출된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로부터의 반사파는,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주파수와 같다. 이 반사파는, 안테나(401)에서 수신되고, 서큘레이터(402) 경유로 상술한 수신부에 입력된다. 즉, 직교 검파부(404)에는, 송신과 같은 로컬 주파수가 입력되기 때문에, 직교 검파부(404)의 출력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의 무선부(208)에서 걸어진 ASK 변조파가 나타나게 된다. 단, 수신한 신호는 로컬 신호와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I축 신호와 Q축 신호에는, 그 위상차에 응한 변조 신호가 나타난다.
AGC 앰프부(405)에서는, 최적치로 게인이 제어되고, 그 출력 신호는, 통신 제어부(410)에 건내진다. 통신 제어부(410)에서는, I축 및 Q축의 각 신호로부터 디지털·데이터로의 복조을 행하고, 올바른 데이터는 JPEG 디코더(411)에 의해 복호화된다. 그 후, 복호 데이터는, 예를 들면 다시 아날로그·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케이블 경유로 텔레비전(도시 생략)에 비디오 출력된다. 또는, 이미지를 렌더 링한 데이터가 프린터(도시 생략)에 출력되어, 용지상에 프린트 아웃된다.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로부터의 데이터의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경우, 통신 제어부(410)은, 수신한 패킷·데이터가 올바르면 긍정 응답의 ACK(Acknowledgement)를, 틀리면 부정 응답의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의 디지털·데이터를 믹서(408)에 전송하고, ASK 변조를 건다. 데이터의 정오(正誤)는, 화상 데이터·패킷에 부가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로 판단한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의 무선부(208)와 도 4에 도시한 외부 기기(202)의 반사파 판독 장치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기 위한 제어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단, 도시한 예에서는, 양 장치 사이에서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하, 이 제어 시퀀스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1)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에서는,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또는 그 밖의 절차에 따라, 유선 통신 모드로부터 무선 통신 모드로 설정된다.
(스텝 2)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에서는, 소정의 절차에 따라, 데이터 수신 대기 모드로 설정된다.
(스텝 3)
그리고,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로부터의 반사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한다.
(스텝 4)
무변조 캐리어를 수신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의 무선부(208)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 동작을 시작하고 싶다는 것을 전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요구를 행한다.
(스텝 5)
데이터 송신 요구를 수신한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는, ASK 변조에 의해 송신 허가를 송신한다.
(스텝 6)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는, 데이터 송신 요구된 데이터(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나, 송신 데이터·파일의 일람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한다.
(스텝 7)
무변조 캐리어를 수신한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의 무선부(208)는, 반사파의 변조를 이용하여, 패킷화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스텝 8)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는, 수신한 패킷·데이터가 올바르면, ASK 변조로 긍정 응답의 ACK(Acknowledgement)를 보낸다. 틀리면, 부정 응답의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정오는, 데이터·패킷에 부가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로 판단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가 ACK 또는 NACK의 송달 확인 신호를 송신할 때에, 동일 신호 내에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에 대한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의 종료까지, 스텝 6 내지 스텝 8의 반사파 전송 처리는 반복하여 실행된다.
상술한 통신 시퀀스에서는, 화상 전송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달 확인을 위해, 쌍방향 통신으로 하였다. 단, 비디오·카메라 등의 스트리밍·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때에는, 일방향의 전송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외부 기기(202)측의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 ASK 변조된 송달 확인 신호는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측도 그 수신이 불필요하게 되고, 더한층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6에는, TDD(시분할 다중) 방식을 채용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전파에 대한 반사파의 변조를 이용하기 위해, 외부 기기(202)의 반사파 판독 장치측은, 무변조 캐리어 송신하여 반사파를 수신하는 상태와, 스스로 변조파에 의해 데이터 송신하는 상태를 반복한다. 또한, 반사기(이 경우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측에서는, 무변조 캐리어에 데이터를 실어서 반사파로서 회신하고, 다음에 반사파 판독 장치측으로부터의 변조파를 수신하는 상태를 반복한다.
반사파 전송 시스템은, 반사기로부터 반사 파독 판독 장치에의 업 워드의 전송 속도의 쪽이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 반사기에의 다운 워드의 전송 속도보다도 고속이라는 비대칭의 전송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2) 즉 반사기측에서의 송신 비율이 통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형태에서, 전송 효율이 높아짐과 함께, 저소비 전력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로 재차 되돌아와, 메모리·카드(203)와 외부 기기(202)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에 관해 고찰한다.
종래의 구성(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도 10을 참조할 것)에서는, 메모리·카드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가 무선 통신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호스트 기기에의 디바이스·드라이버 도입의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형의 메모리·카드(202)를 장착하는 메모리·카드·어댑터(200)가 반사기로서의 무선부(208)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202)측으로부터의 제어로 소형 메모리·카드(203) 내의 플래시·메모리(204)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기기에의 디바이스·드라이버 도입의 문제와 함께, 메모리·카드의 상품 라인 업, 유저의 비용 부담을 해결할 수 있다.
도 7에는, 외부 기기(202)측으로부터의 제어로 소형 메모리·카드(203) 내의 플래시·메모리(204)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는 동작 시퀀스 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호스트 기기(201)로서의 디지털·카메라에, 소형 메모리·카드(203)를 삽입한 상태의 메모리·카드·어댑터(200)를 부착한다. 그리고, 호스트 기기(201)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행한다(701).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카드·어댑터(200)의 인터페이스(210) 경유로 소형 메모리·카드(203)에 전송되고, 내부의 플래시·메모리(204)에 격납된다(702, 703).
여기서, 외부 기기(202)로서의 텔레비전·모니터(또는, PC나 PDA 등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기기)로부터, 촬영한 사진 화상의 표시 요구가 발생하였다고 한다(704).
이와 같은 경우, 외부 기기(202)로부터, 데이터의 판독 요구가 안테나(212)로부터송출된다. 메모리·카드·어댑터(200)측에서는, 이 판독 요구는 안테나(207)에서 수신되고, 무선부(208) 경유로 통신 제어부(209)에 보내진다(705).
통신 제어부(209)는, 인터페이스부(210) 및 커넥터부(211)로, 소형 메모리·카드(203)에 대해 데이터 요구한다. 소형 메모리·카드(203)측에서는, 이 데이터 요구를 인터페이스부(206) 경유로 수신하면, 메모리 제어부(205)는 플래시·메모리(204) 내의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터페이스부(206) 경유로 메모리·카드·어댑터(200)에 돌려 준다(706).
그리고, 통신 제어부(209)는,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부(208) 및 안테나(207) 경유로 외부 기기(202)에 전송한다(707). 외부 기기(202)측에서는, 안테나(212)로 수신한다.
외부 기기(202)측에서는, 목적하는 데이터의 판독이 종료되면, 그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출력한다(708).
여기서, 704부터 706의 데이터 전송 처리는, 외부 기기(202)측에서의 파일 처리에 의해 파일의 최후까지 반복된다. 이 데이터 전송 처리 동작은, 외부 기기(202)의 반사파 판독 장치로부터의 무변조 캐리어의 송신과, 반사기로서의 무선부(208)에 의한 변조 반사파의 송신으로 이루어지는 트랜잭션으로 구성된다. 플래시·메모리(204)에 대한 액세스 동작은 페이지 단위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요구된 화상 파일분의 페이지에 상당하는 회수만큼 이 트랜잭션이 반복(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할 것)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메모리·카드·어댑터(200)를 이용함에 의해, 호스트 기기(201)에는 드라이버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복수의 메모리를 준비하지 않아도 소형 메모리·카드(203)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조자 및 유저에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ASK(Amplitude Shift Keying) 등의 비교적 비트 레이트가 낮은 변조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반사기측에서 지향성 안테나의 종단의 온/오프 조작 등의 부하 임피던스를 조작함에 의해 신호 공간상에 0, 1의 신호를 배치할 수 있고 BPSK 변조를 간소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단, 이들의 변조 방식에서는 전송 속도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위상차가 다른 복수의 반사노를 마련하고, 전송 데이터에 응하여 반사로를 스위칭함에 의해, BPSK나 QPSK, 8상 PSK 변조 등, 보다 높은 비트 레이트의 위 상 변조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에는, 반사기측에서, QPSK 변조 방식을 실현하는 무선부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무선부는, 안테나(1001)와, 안테나(1001)에 직렬로 접속된 3개의 위상기(1002, 1003, 1004)와, 안테나(1001)과 위상기(1002)의 사이, 위상기(1002와 1003)의 사이, 및 위상기(1003과 1004)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 고주파 스위치(1005, 1006, 1007)에 의해 구성된다.
위상기(1002, 1003, 1004)는, 수신 전파(1008)의 파장(λ)에 대해, λ/8로 되는 스트립·라인 등의 선로에 의해 구성된다. 이 때, 스트립·라인의 길이(L)는, 기판의 유전율(ε)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하기 식과 같이 된다. 단, εeff는 기판의 실효 유전율이다.
[수식 1]
Figure 112005075250985-PAT00001
또한, 기판상에서의 신호의 전송 속도(S)는 하기 식과 같이 된다. 단, C0는 광속이다.
[수식 2]
Figure 112005075250985-PAT00002
또한, 수신 전파가 각 위상기를 통과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은 하기 식과 같이 된다. 단, T는 수신 전파의 주기이다.
[수식 3]
Figure 112005075250985-PAT00003
여기서, 수신 전파(1008)는, 각 위상기(1002, 1003, 1004)를 통과함으로써 360/T×T/8만큼 위상이 회전하고, 각각 편도(片道)에서 45도, 왕복(往復)에서 90도의 상위를 얻는다. 각 위상기(1002, 1003, 1004)는, 안테나(1001)로부터 직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고주파 스위치(1005, 1006, 1007)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해 단락점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래하는 수신 전파(1008)는 단락점에서 반사하는데, 스위치의 온/오프에 응하여 왕복하는 신호로에 상위를 마련함으로써, 반사파에 대해 4가지의 위상차가 주어진다.
고주파 스위치(1005)만이 온으로 될 때, 수신 전파의 반사는 도면중 a점에서 일어난다. 또한, 고주파 스위치(1006)만이 온으로 될 때, 수신 전파의 반사는 도면중 b점에서 일어나는데, a점에서의 반사파의 위상과 비교하면, 위상기(12)를 경유 하고 있기 때문에, 위상은 90도 시프트하게 된다. 또한, 고주파 스위치(17)만이 온으로 될 때, 반사는 도면중 c점에서 일어나는데, a점에서의 반사파의 위상과 비교하면 위상기(1002와 1003)를 경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상은 180도 시프트하게 된다. 또한, 모든 고주파 스위치(1005 내지 1007)가 오프로 될 때, 반사는 도면중 d점에서 일어나는데, a점에서의 반사파의 위상과 비교하면 위상기(1002와 1003, 1004)를 경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상은 270도 시프트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스위치(1005, 1006, 1007)을 선택적으로 온으로 함에 의해, 서로 90도씩 위상이 다른 4개의 위상을 갖는 반사파를 만들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를 2비트씩으로 단락하고, 2비트의 0과 1의 조합에 응한 위상을 할당함에 의해, QPSK 변조를 실현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데이터를 2비트씩으로 단락하고, 00일 때는 고주파 스위치(15)만을 온으로, 01일 때는 고주파 스위치(1006)만을 온으로, 11일 때는 고주파 스위치(1007)만을 온으로, 10일 때는 모든 고주파 스위치(15 내지 17)을 오프로 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2비트의 값에 따라, 서로 90도씩 위상이 다른 4개의 위상을 갖는 반사파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신호 공간상에 (0, 0), (0, 1), (1, 0), (1, 1)의 4점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QPSK 변조된 반사파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특원2003-352223호 명세서에는, QPSK 변조 처리를 도입한 백·스캐터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이상,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여 왔 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그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해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영 화상을 격납한 메모리·카드로부터, PC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기기에 무선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카메라측에 통신 제어용에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실장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송으로서 반사파 전송을 이용함으로써,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근거리로 한정되는 기기 사이에서 송신 비율이 통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형태에서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에 비하여, 한자리 차이의 초저소비 화상 전송이 모바일 기기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대폭적으로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무선 전송으로서 반사파 전송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측으로서의 모바일 기기의 무선 전송 모듈은, 무선 LAN에 비하여, 저비용화가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측의 무선 전송 모듈은, 전파법에서 무선국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적합증명 등의 인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메모리·카드·어댑터에 반사기를 탑재하고, 메모리·카드·어댑터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반사파 전송 방식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무선 LAN이나 Bluetooth 통신 등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호스트 기기에의 디바이스·드라이버 도입이나, 메모리·카드의 상품 라인 업, 유저의 비용 부담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요컨대, 예시로서 본 발명을 개시하여 온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를 참작하여야 한다.

Claims (16)

  1.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는 어댑터 장치로서,
    메모리·카드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하는 삽입부와,
    호스트 기기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유선 통신부와,
    외부 기기와 무선 전송로 경유로 통신 동작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행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용의 어댑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 전송로 경유로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동작을,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와는 독립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수신 전파에 대해 전송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 및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 경유로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급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접속 상태에 응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을 택일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액세스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중의 메모리·카드에의 판독 요구만을 수리하고, 기록 요구를 허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9. 메모리·카드와, 상기 메모리·카드를 교환 가능하게 수용하는 어댑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카드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어댑터 장치와 접속하는 어댑터·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 장치는,
    상기 메모리·카드를 착탈 자유롭게 삽입하는 삽입부와,
    호스트 기기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유선 통신부와,
    외부 기기와 무선 전송로 경유로 통신 동작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통신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행하는 카드·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무선 전송로 경유로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동작을,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와는 독립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의 수신 전파에 대해 전송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 및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 경유로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 급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접속 상태에 응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 및 상 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을 택일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은, 상기 유선 통신부에 접속된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액세스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는, 상기 메모리·카드에의 판독 요구만을 수리하고, 기록 요구를 허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KR1020050127673A 2004-12-24 2005-12-22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 KR101126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4294 2004-12-24
JPJP-P-2004-00374294 2004-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476A true KR20060073476A (ko) 2006-06-28
KR101126438B1 KR101126438B1 (ko) 2012-03-28

Family

ID=3599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673A KR101126438B1 (ko) 2004-12-24 2005-12-22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64213B2 (ko)
EP (1) EP1675043B1 (ko)
KR (1) KR101126438B1 (ko)
CN (1) CN1794163A (ko)
DE (1) DE602005014192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76B1 (ko) * 2006-01-20 2007-02-07 (주)유브릿지 메모리카드 어댑터
KR100817072B1 (ko) * 2006-11-0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그 사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5152A1 (en) * 2005-12-28 2007-06-28 Fabrice Jogand-Coulomb Nested memory system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capability
US8949146B2 (en) * 2005-12-31 2015-02-03 Michelle Fisher Method for purchasing ticke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M300918U (en) * 2006-04-12 2006-11-11 Silicon Motion Inc Memory stick convert device
CN101454746B (zh) * 2006-05-29 2012-03-28 帕夏利斯·帕帕格利高利欧 一种以多功能存储卡通讯的方法
US7249975B1 (en) * 2006-08-10 2007-07-31 Sun-Light Electronic Technologies Inc. Micro SD adapter structure
JP4345800B2 (ja) * 2006-10-19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20080101272A1 (en) * 2006-10-29 2008-05-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ard and Card Holder for a Digital Camera
US20090172235A1 (en) * 2007-12-27 2009-07-02 Mei Yan Megasim card adapter
US8433366B2 (en) * 2008-07-29 2013-04-30 Novatel Wireless, Inc. Wireless device and assembly
EP2319139A4 (en) * 2008-07-29 2014-05-07 Novatel Wireless Inc WIRELESS DEVICE AND ARRANGEMENT
JP2010067060A (ja) * 2008-09-11 2010-03-25 Toshiba Corp メモリカードおよびメモリカードの制御方法
HK1130615A2 (en) * 2008-10-31 2009-12-31 Maestro Wireless Solutions Ltd Modular modem
US20100127856A1 (en) * 2008-11-25 2010-05-27 Michael Brian Sipple Flash drive locator
FI8511U1 (fi) * 2009-07-09 2009-11-07 Cyberncam Technology Ltd Oy Kameran lisälaite
USD642578S1 (en) * 2009-09-30 2011-08-02 Sony Corporation Memory card adapter
US9483651B2 (en) * 2009-11-30 2016-11-01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 of content to a self contained wireless media device
US20110234904A1 (en) * 2010-03-26 2011-09-29 Robert Wang Flash disk with a replaceable memory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digital tv or the digital radio
US8550858B2 (en) * 2010-04-07 2013-10-08 Apple Inc. Extensible memory card-compatible receptacle and port expansion device
EP2594108A1 (en) * 2010-07-13 2013-05-22 Sierra Wireless, Inc. Wireless network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141927A (zh) * 2011-04-08 2011-08-03 广东好帮手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车载多媒体播放导航系统所附带的sd卡接口升级系统功能的方法及sd升级功能卡装置
WO2012169105A1 (ja) * 2011-06-08 2012-1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TWM426825U (en) * 2011-09-02 2012-04-11 Spectec Comp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card for insertion with memory card
KR20140076564A (ko) * 2011-09-13 2014-06-20 티-데이터 시스템스 (에스) 피티이 엘티디 메모리 카드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메모리 카드
US9479847B2 (en) * 2011-11-03 2016-10-25 Schneider Electric USA, Inc. Wireless home energy monitoring system
US9674310B2 (en) 2013-08-19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Operating M-PHY based communications over mass storage-based interfaces, and related connectors, systems and methods
CN106162932A (zh) * 2015-04-13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卡及数据卡的通信方法和系统
CN104993565B (zh) 2015-08-05 2017-12-0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可直充电源适配器
CN105140985B (zh) 2015-08-05 2017-08-2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可直充电源适配器及充电方法
CN105098900B (zh) 2015-08-05 2018-05-2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可直充电源适配器及充电方法
TWI602345B (zh) * 2015-09-09 2017-10-11 Toshiba Memory Corp 包含通信功能之記憶卡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686B1 (en) 1997-06-30 2001-06-05 Warner Music Group, Inc. Flash memory card adapter for stereo systems
US6353870B1 (en) 1999-05-11 2002-03-05 Socket Communications Inc. Closed case removable expansion card having interconnect and adapter circuitry for both I/O and removable memory
JP4053704B2 (ja) * 2000-01-05 2008-02-27 株式会社東芝 無線インタフェース機能内蔵icカード、アンテナモジュール、情報処理装置
JP2002099475A (ja) * 2000-09-25 2002-04-05 Toshiba Corp 無線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管理方法
JP2002329180A (ja) * 2001-04-27 2002-11-15 Toshiba Corp 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及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AU2003240938A1 (en) * 2002-05-31 2003-12-19 Simpletech, Inc. Removable storage device
US6804749B2 (en) * 2002-06-18 2004-10-12 Topseed Technology Corp. Wireless portable adaptiv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US7083107B2 (en) 2002-09-30 2006-08-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mory card
US6776345B1 (en) 2003-03-25 2004-08-17 Hsieh-Rong Liang Multifunctional extractable card reading modular cartridge connectable to wireless broadband network router
US20040192380A1 (en) 2003-03-28 2004-09-30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ulti-interface wireless storage device
WO2005032071A2 (en) 2003-09-29 2005-04-0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dapter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fer of memory card contents
US20050086413A1 (en) * 2003-10-15 2005-04-21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Capacity Expansion of Flash Memory Device with a Daisy-Chainable Structure and an Integrated Hub
KR100596410B1 (ko) * 2004-11-04 2006-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 확장용 에스디 메모리 카드
US7324835B2 (en) * 2004-08-07 2008-01-29 C-One Technology Corporation Motherboard and daughterboard multi-swap system with communication module for a GPRS system
US8176230B2 (en) * 2006-04-07 2012-05-08 Kingston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flash memory card expans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76B1 (ko) * 2006-01-20 2007-02-07 (주)유브릿지 메모리카드 어댑터
KR100817072B1 (ko) * 2006-11-0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그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4213B2 (en) 2008-12-09
KR101126438B1 (ko) 2012-03-28
CN1794163A (zh) 2006-06-28
EP1675043A1 (en) 2006-06-28
EP1675043B1 (en) 2009-04-29
US20060149855A1 (en) 2006-07-06
DE602005014192D1 (de)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438B1 (ko)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
KR101154657B1 (ko) 메모리 카드 및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어 방법,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4830397B2 (ja) メモリ・カード及びその制御方法
US7181241B2 (en) Memory card, memory car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862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1399825B1 (en) Method and devices for data transfer
KR101172071B1 (ko)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JP4872267B2 (ja) アダプタ装置及びメモリ装置、並びにコネクタ装置
JP403939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クレードル装置、並びに携帯型機器
US794925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s well as computer program
JP4333449B2 (ja) 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伝送装置
US105285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from a host digital device to an external digital location
JP2007052559A (ja) 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091640A (ja) 情報機器、記憶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