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441A -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441A
KR20060072441A KR1020040111082A KR20040111082A KR20060072441A KR 20060072441 A KR20060072441 A KR 20060072441A KR 1020040111082 A KR1020040111082 A KR 1020040111082A KR 20040111082 A KR20040111082 A KR 20040111082A KR 20060072441 A KR20060072441 A KR 2006007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te
section
mpeg
pmt
transpor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257B1 (ko
Inventor
김봉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rivate 섹션을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텍스트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와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는 PMT(Program Map Table)에 설정한다. private 섹션에 포함된 텍스트는 DMB 수신장치에서 추출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특히 DMB 수신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에는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면서 표시되는 주문접수센터의 전화번호로 즉시 통화할 수 있게 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DMB 규격의 큰 변동없이 이동환경에서의 텍스트 백-링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MPEG-2 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PMT, private, 텍스트

Description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Method for handling text back-link by using specification of MPEG-2 Transport Stream }
도 1은 MPEG-2 전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개요,
도 2는 MPEG-2 전송 스트림의 형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도,
도 4는 PMT의 구조,
도 5는 private 섹션의 구조
도 6은 휴대폰 화면에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전화번호가 표시된 예,
도 7은 본 발명이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는 휴대폰에 적용되는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DMB 전송장치 12: DMB 수신장치
40: PMT 41: 'stream type' 필드
42: 'elementary PID' 필드 50: private 섹션
51: 'table id' 필드 52: 'private indicator' 필드
53: 'private data' 필드 60: 휴대폰
본 발명은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 중 private 섹션 부분을 통해 전화번호나 온라인 결제를 위한 계좌번호 등의 텍스트를 백-링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서비스에서 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규격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과 유레카-147 방송 규격에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데이터를 전송하여 비디오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MPEG-4 데이터 이외에도 TPEG, BWS 등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여 DMB 규격은 이동수신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런 점은 DMB 수신장치 자체 뿐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DVD, 모바일 폰 등의 기존 모바일 기기에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산업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사용자는 방송사와 중간 사업자들이 보내주는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수신할 수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할 때는 그 특성상 사용자와 사업자간에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비디오나 오디오 방송과 관련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여러가지 텍스트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 예를 들자면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현재 방송중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즉시 구매할 수 있는 홈쇼핑 주문접수센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즉시 주문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다거나, 온라인 결제를 위한 계좌번호를 전송해 주는 것 등이다.
그러나, 현재 지상파 DMB 규격 자체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실시하는 것이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관련하여 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없다. 그러므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텍스트 백-링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 중 private 섹션을 이용해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텍스트를 백-링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양방향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나 오디오에 대한 PID(Packet IDentification)와,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와,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PMT(Program Map Table)에 설정하고, private 섹션에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킨 상태로 MPEG-2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DMB 전송장치가 전송한 MPEG-2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 DMB 수신장치는 상기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PAT(Program Allocation Table)을 찾아 해당 PMT를 확인하고, 상기 PMT에 설정되어 있는 비디오나 오디오에 대한 PID를 참조하여 해당 비디오와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PMT에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참조하여 상기 private 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는 PMT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stream type' 필드를 '0x05'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는 상기 PMT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elementary PID' 필드에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는 private 섹션은 'table id' 필드가 0x40 내지 0xF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private indicator' 필드는 '1'로 설정되고, 'private data' 영역에는 텍스트가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DMB 수신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DMB 수신장치가 휴대폰 등 통화가 가능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도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일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메뉴 또는 일정 버튼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는 MPEG-2 시스템, MPEG-2 비디오, MPEG-2 오디오의 세가지 규격으로 대표되는데, 이중 MPEG-2 시스템에 정의된 전송 규격으로서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과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이 있다. 또한, 하나의 프로그램은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데이터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MPEG-2 시스템층에서 정의하고 있는 MPEG-2 전송 스트림은 하나의 스트림속에 다수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비디오, 오디오, 사용자 데이터 정보들이 시분할되어 멀티플렉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자면, DMB 전송장치(11)는 MPEG-2 전송패킷들을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함께 다중화하여 MPEG-2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고, DMB 수신장치(12)로 전송한다. PSI는 DMB 수신장치(12)에서 MPEG-2 전송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할 때 원하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비디오, 오디오, 사용자 데이터 정보들을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이다.
이러한 PSI는 대부분 섹션(section) 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인 섹션으로서는 PAT(Program Allocation Table)와 PMT(Program Map Table)가 있다. PMT는 하나의 프로그램당 하나 존재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담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들에 대한 PID(Packet IDentification)를 항목별로 정리해 놓은 섹션이다.
도 2를 참조하자면, MPEG-2 전송 스트림(TS)의 패킷은 그 길이가 188 바이트로 고정되어 있고, 하나의 전송 스트림에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프로그램이 존재하므로 전송 스트림 내에는 PMT가 다수개 존재한다. 따라서 전송 스트림 내에 전송되고 있는 다수개의 프로그램들과 각각의 프로그램의 PMT에 대한 PID를 연결시켜 주는 종합적인 섹션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섹션이 바로 PAT이다. 이 때, 하나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 번호로 대표되므로 PAT의 항목들은 대부분 프로그램 번호와 PMT PID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MPEG-2 전송 스트림에 텍스트 정보를 백-링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DMB 전송장치(11)는 본 발명에 따라 MPEG-2 전송 스트림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대한 PID를 PMT에 설정하고,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 및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PMT에 설정한다. 또한, 해당 private 섹션에는 송신할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킨다(S31).
한편, DMB 수신장치(12)는 단계 S31을 통해 설정된 PMT와 private 섹션이 포함된 MPEG-2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면(S32), 먼저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PAT를 찾아 PMT를 확인한다(S33). 그리고, DMB 수신장치(12)는 이 PMT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와 오디오의 PID를 확인하고(S34), 해당 비디오와 오디오를 재생한다(S35).
또한, DMB 수신장치(12)는 PMT에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S36), 이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PMT에서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참조하여 private 섹션의 위치를 확인한다(S37). 그리고, DMB 수신장치(12)는 private 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S38),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39).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사용하는 DMB 수신장치(12)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오디오를 청취하는 도중 해당 방송과 관련된 텍스트(예: 전화번호나 계좌번호 등)가 표시되는 것을 보게 된다.
이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대한 PID를 PMT에 설정하는 방법,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와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PMT에 설정하는 방법, 및 private 섹션에 송신할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PMT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PMT인 것을 식별하기 위해 '0x02'가 기술되는 'table id' 필드 등 여러가지 필드로 구성된다. 이 때,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는 PMT(40)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stream type' 필드(41)를 '0x05'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는 PMT(40)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elementary PID' 필드(42)에 설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MT(40)의 'elementary PID' 필드(42)에는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가 기록된다.
도 5를 참조하여 private 섹션(50)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table_id' 필드(51)는 이 섹션이 속해 있는 것이 private table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값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서는 임의적으로 0x40 내지 0xFE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section syntax indicator' 필드는 '0'일 경우에는 'private section length' 필드 뒤에 이어서 'private data bytes' 필드가 따라오며, '1'일 경우에는 extension 형식이 따라오는 것을 나타낸다.
'private indicator' 필드(52)는 현재는 그 사용이 정의되어 있지 않고 유저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트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서는 '1'로 설정한다.
'private section length' 필드는 private 섹션 내에 남아 있는 바이트의 수를 나타낸다.
'private data bytes' 필드(53)는 유저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 영역에 송신할 텍스트(예: 홈쇼핑 주문접수센터의 전화번호, 계좌번호 등)를 기록할 수 있다.
'table id extension' 필드는 유저가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며, 'version number' 필드는 private 섹션 내에서 사용하는 정보에 변화가 발생했을 때 '1'씩 증가시키는 값을 나타내고, 'current next indicator' 필드는 '1'이면 'version number'가 현재 private 섹션에 적용되는 값을, '0'이면 'version number'가 next private 섹션에 적용될 값을 나타낸다.
private 섹션안에서 첫 번째 'section number' 필드는 'Ox00'이고 이 section number는 '1'씩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며, 'last section number' 필드는 마지막 section number를 나타내고, 'CRC_32' 필드는 CRC 값을 나타낸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DMB 수신장치(1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 기능을 갖고 있을 때는 더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해진다. 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이 적례이다.
도 6을 참조하자면, MPEG-2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 휴대폰(6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과 관련한 전화번호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통화버튼(61) 등의 일정 버튼을 누르거나,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또는 과거에 표시되었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통화를 시도하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메뉴를 통해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DMB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을 시청할 때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DMB 전송장치(11)는 현재 방송중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문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실린 홈쇼핑 방송을 송출하고, 사용자는 휴대폰(60)을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그러면, 휴대폰(60)은 주문용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통화버튼(61)을 누르거나 일정 메뉴상에서 이 전화번호 로 전화를 시도하여 손쉽게 주문전화를 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DMB 규격의 큰 변동없이 이동환경에서의 텍스트 백-링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장 초기 진입을 바라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방송 서비스 사업자는 기존의 방송과는 다른 양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면 방송과 관련한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즉, 텍스트 백-링크를 통해 방송과 관련한 양방향 서비스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휴대폰 조작에 있어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다가 방송에서 판매중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즉시 주문할 수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계좌 번호 등과 연계하여 홈쇼핑 방송 도중 즉시 결제할 수 있는 모바일 뱅킹 등의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Claims (6)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전송장치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PID(Packet IDentification)와,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와,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PMT(Program Map Table)에 설정하고, private 섹션에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킨 상태로 MPEG-2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MPEG-2 전송 스트림을 DMB 수신장치가 수신하여 상기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PAT(Program Allocation Table)을 찾아 해당 PMT를 확인하고, 상기 PMT에 설정되어 있는 PID를 참조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DMB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단계와 연계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PMT에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를 참조하여 상기 private 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의 내용이 private 용도임을 알리는 표시는 PMT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stream type' 필드를 '0x05'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rivate 섹션이 있는 패킷의 PID는 상기 PMT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elementary PID' 필드에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는 private 섹션은 'table id' 필드가 0x40 내지 0xF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private indicator' 필드는 '1'로 설정되고, 'private data' 영역에는 상기 텍스트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메뉴 또는 일정 버튼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 처리 방법.
KR1020040111082A 2004-12-23 2004-12-23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KR10062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82A KR100622257B1 (ko) 2004-12-23 2004-12-23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82A KR100622257B1 (ko) 2004-12-23 2004-12-23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441A true KR20060072441A (ko) 2006-06-28
KR100622257B1 KR100622257B1 (ko) 2006-09-19

Family

ID=3716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082A KR100622257B1 (ko) 2004-12-23 2004-12-23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2620B (zh) * 2009-09-25 2013-04-10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接收机实现多伴音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12B1 (ko) * 2014-09-24 2017-02-07 (주)에프씨아이 비디오 코딩 시스템에서 널 패킷을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507B1 (ko) * 1997-02-26 1999-10-15 이득렬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방법
KR20000055872A (ko) * 1999-02-10 2000-09-15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다운 로딩 방법
KR100312428B1 (ko) * 1999-12-24 2001-11-03 오길록 대화형 방송 단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2620B (zh) * 2009-09-25 2013-04-10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接收机实现多伴音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257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7550B (zh) 用于提供服务改变通知的方法和设备
KR1007546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US774721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data
CN100372375C (zh) 在移动终端中注册并显示数字多媒体广播频道的方法
KR101486357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056626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 광역방송과 지역방송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 방송 수신 단말기
EP1641266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music
CN100518256C (zh) 在数字广播接收终端上显示壁纸的方法
KR10071350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US20060271991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6526A (ko) 채널 전환 대기 시간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송스트림, 장치,방법 및 그 방송 수신 단말기
KR100617790B1 (ko)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단말기 및 방법
JP2013005260A (ja) 送出装置、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送出方法、受信方法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H11177944A (ja) 電子番組案内
KR100622257B1 (ko)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KR100827156B1 (ko) 방송 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dvb―h 시스템
FI113133B (fi) Menettelytapa ja järjestelmä käyttäjän vuorovaikutuksen tukemiseen tv-lähetystoiminnassa
KR100790191B1 (ko) LASeR 컨텐츠를 이용한 방송 화면 제공 방법, 이를위한 DVB―H 시스템 및 단말
JP201001644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10066748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을 이용한 전화번호 처리 방법
KR101003667B1 (ko) 방송망을 이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0848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KR101226324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KR101253174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