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197A - 비래염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비래염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197A
KR20060072197A KR1020040110587A KR20040110587A KR20060072197A KR 20060072197 A KR20060072197 A KR 20060072197A KR 1020040110587 A KR1020040110587 A KR 1020040110587A KR 20040110587 A KR20040110587 A KR 20040110587A KR 20060072197 A KR20060072197 A KR 2006007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alt
collecting
gauz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270B1 (ko
Inventor
성택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5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9Various geometry objects
    • G01N2291/2696Wheels, Gears, Bea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해안지역이나 제설제가 살포되는 지역 등에서 공기중에 비산되는 염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비래염 포집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비래염 포집장치는, 지주를 통하여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상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의 염분을 포집하는 거즈를 구비한 포집부;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풍향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을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하는 풍향 추종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풍이 원활한 옥외에 배치될 수 있고, 거즈의 회수시 거즈에 붙은 염분의 손실없이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바람의 방향으로 포집부가 향하도록 하여 비래염의 포집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비래염 포집장치, 공기중의 염분, 풍향 날개, 거즈, 바람 방향 추종

Description

비래염 포집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Airborne Salt}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에 갖춰진 하우징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에 갖춰진 포집부의 거즈 장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에 갖춰진 하우징의 구조를 위에서 본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 5.... 지주
7.... 베어링 10.... 하우징
12... 상부 덮개 14.... 공간
16... 연결대 18.... 장착판
20... 저판 22.... 표지판
30... 포집부 32... 거즈
34... 프레임 36... 밑판
36a... 볼트 구멍 36b... 복수의 볼트
40.... 풍향 추종부 42.... 풍향 날개
본 발명은 해안지역이나 제설제가 살포되는 지역 등에서 공기중에 비산되는 염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비래염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통풍이 원활한 옥외에 배치될 수 있고, 거즈(gauze)의 회수시 거즈에 붙은 염분의 손실없이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바람의 방향으로 포집부가 향하도록 하여 비래염의 포집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비래염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래염(Airborne Salt)은 KS D 0060의 옥외폭로시험방법 통칙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염 입자량의 측정 항목에서 규정된 방식(일명 거즈법)으로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측정방법에 따르면 비래염을 측정하는 포집부의 측정방식 일례만이 제시되어 있는 것이고, 실제 비래염을 비를 맞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장기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거즈법으로 비래염을 측정할 때는 포집부가 바람에 직각으로 대향할 때, 비래염의 포집양이 가장 크게 나온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시시각각 으로 변화하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포집부의 방향이 대응할 수가 있다면 포집 효율이 훨씬 좋아질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백엽상의 내부에 비래염 포집부를 설치하여 비래염을 포집하거나, 나름대로의 설치대와 하우징을 갖춘 포집기를 제작해 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백엽상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는 바람의 방향과 풍속에 큰 영향을 받는 비래염의 양을 제대로 포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과 설치대가 있는 종래 방식의 경우에는 한달에 한번 정도로, 포집부의 거즈를 회수하게 되며, 이때에는 그 계절에 가장 많이 불 것으로 예상되는 풍향의 방향으로 포집부를 향하도록 수동 조정하는 방법밖에 없어 풍향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비래염을 포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래염을 옥외에서 측정하고자 할 때, 비를 피할 수 있으면서도 통풍이 원활히 되고 바람의 방향에 감응하여 비래염의 량을 정확히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중에 비산되는 염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비래염 포집장치에 있어서,
지주를 통하여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상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의 염분을 포집하는 거즈를 구비한 포집부;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풍향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을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하는 풍향 추종부;를 포함하여 상기 거즈에 의해 염분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5)를 통하여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5)상에 베어링(7)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비를 피하기 위해 상부 덮개(12)를 갖추고, 좌우측으로는 공기가 충분히 유통가능한 공간(14)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포집부(30)의 거즈(32)에 바람을 동반한 비가 도달할 수 없도록 하고, 최대한 포집부(30)를 깊숙히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측으로 지주(5)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덮개(12) 하단으로 부터 다수개의 연결대(16)가 연장되고, 상기 연결대(16)의 중앙에는 장착판(18)이 배치되며, 상기 장착판(18)의 하부 중앙에는 베어링(7)이 장착되어 상기 지주(5)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5)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은 상기 베어링(7)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그 하단은 저판(20)을 형성하여 지면 또는 별도의 구 조물에 직립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5)는 그 중간에 표지판(22)을 설치하여 비래염의 포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기재하여 두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은 그 하부면이 개방된 상태이고, 그 상부측은 덮개(12)를 형성함으로써 비(雨)를 막으면서도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좌우면, 즉 전후면부에는 경사 단차(10a)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14)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하우징(10)은 옥외에 설치가능하고, 그 내부에 배치되는 포집부(30)를 비로 부터 보호하며,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포집부(30)를 갖춘다. 상기 포집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방 하부측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의 염분을 포집하는 거즈(32)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포집부(30)는 현장에서 복잡하게 갈아끼울 경우, 대략 한달간 포집한 염분이 거즈(32)로 부터 떨어져 정확한 포집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거즈(32)의 부착을 위해 테이핑등을 부착할 경우에는 거즈(32)에 붙은 테이프(미도시) 성분에 의해 비래염 분석량이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30)는 거즈(32)가 다수의 볼트들로서 장착되는 문형 프레임(34)을 갖추고, 상기 프레임(34)과는 직각으로 배치된 밑판(36)을 구비한다.
상기 문형 프레임(34)에는 다수개의 볼트(34a)들을 통하여 거즈(32)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 구멍들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밑판(36)에는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하우징(10)의 장착판(18)에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 구멍(36a)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집부(30)는 측정 현장에 가기 전에 실내에서 거즈(32)를 포집부(30)의 프레임(34)에 다수개의 볼트(34a)를 이용하여 미리 단단히 고정 부착하고, 카세트식의 착탈식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된 장착판(18)으로 부터 복수의 볼트(36b)들을 풀고, 미리 준비한 카세트식 포집부(30)를 위치시킨 다음, 다시 볼트로서 고정시켜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쉽게 상기 포집부(30)의 회수와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고정되어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풍향 날개(42)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0)내의 포집부(30)가 바람방향에 직각을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풍향 추종부(40)를 도 1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한다.
상기 비래염의 측정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그 측정값이 큰 변동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종래의 연구결과이다. 따라서, 포집부(30)의 거즈(32)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바람의 방향을 향해 지속적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비래염의 포집 효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측에 풍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바람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풍향 추종부(40)를 하우징(10)위에 고정 설치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풍향 추종부(40)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그 위치를 회전하는 풍향 날개(42)를 갖추고, 상기 풍향 날개(42)의 하단을 하우징(10)에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10)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지주(5)와의 연결부분이 베어링(7)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원활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래염 포집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30)는 하우징(10)이 비를 피하기 위해 상부 덮개(12)를 갖추고, 바람을 동반한 비가 도달할 수 없는 최대한 깊숙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옥외에 설치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하부면이 개방된 상태이고, 그 상부측은 덮개(12)를 형성함으로써 비를 막으면서도 그 내부의 포집부(30)측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30)의 거즈(32)는 비로 부터 보호되며,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고정되어 하우징(10)을 바람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내부의 포집부(30)가 바람부는 방향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풍향 추종부(40)를 갖춤으로써 포집부(30)의 거즈(32)는 바람의 방향을 향해 지속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풍향 추종부(40)의 풍향 날개(42)가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지주(5)와의 연결부분이 베어링(7)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원활히 회전되어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포집부(30)의 거즈(32)에는 해안지역이나 제설제가 살포되는 지역등에서 공기중에 비산되는 염분이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30)는 다수의 볼트(34a)들로서 문형 프레임(34)에 거즈(32)가 장착되므로 쉽게 장착가능하고, 상기 프레임(34)과는 직각으로 배치된 밑판(36)은 하우징(10)의 장착판(18)에 볼트(36b)등으로 고정되는 카세트 방식의 장착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매우 쉽게 현장에서 교환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포집부(30)는 측정 현장에 가기 전에 실내에서 거즈(32)를 포집부(30)의 프레임(34)에 다수개의 볼트(34a)를 이용하여 미리 단단히 고정 부착하고, 현장에서는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된 장착판(18)으로 부터 이미 설치된 상태의 포집부(30)를 풀고, 미리 준비한 새로운 카세트식 포집부(30)를 위치시킨 다음, 다시 볼트(36b)로서 고정시켜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쉽게 상기 포집부(30)의 회수와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장에서 복잡하게 갈아 끼우지 않아도 됨으로써, 염분이 거즈(32)로 부터 떨어져 정확한 포집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거즈(32)의 부착이 볼트(34a) 고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즈(32)에 붙은 테이프 성분에 의해 비래염의 분석량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10)이 상부 덮개(12)를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개방 공간(14)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포집부(30)가 장착되기 때문 에, 포집부(30)의 거즈(32)는 비를 피하고, 통풍이 원활한 옥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30)는 하우징(10)의 내측에 볼트(36b) 조립으로 탈착이 이루어지는 카세트 방식으로 장착가능하기 때문에, 거즈(32)의 회수시 거즈(32)에 붙은 염분의 손실없이 손쉽게 착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풍향 추종부(40)를 구비하여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바람의 방향으로 포집부(30)가 향하도록 하여 거즈(32)가 비래염을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비래염의 포집 성능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의 기재 내용을 통하여 당업자들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변형 구조 또는 균등 구조들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의 재질 변경, 단순 기능의 부가, 단순 형상변경 또는 치수 변경등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겠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6)

  1. 공기중에 비산되는 염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비래염 포집장치에 있어서,
    지주를 통하여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주상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 개방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의 염분을 포집하는 거즈를 구비한 포집부;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풍향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을 바람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하는 풍향 추종부;를 포함하여 상기 거즈에 의해 염분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비를 피하기 위해 상부 덮개를 갖추고, 좌우측으로는 공기가 충분히 유통가능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내에 상기 포집부를 깊숙히 배치하여 비가 도달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연결대가 연장되고, 상기 연결대의 중앙에는 장착판이 배치되며, 상기 장착판의 하부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지주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전,후면에는 경사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거즈가 다수의 볼트들로서 장착되는 문형 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된 밑판을 구비하며, 상기 밑판은 상기 하우징의 장착판에 볼트로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추종부는 상기 하우징내의 포집부가 바람 방향에 직각을 유지하도록 방향을 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래염 포집장치.
KR1020040110587A 2004-12-22 2004-12-22 비래염 포집장치 KR10062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587A KR100622270B1 (ko) 2004-12-22 2004-12-22 비래염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587A KR100622270B1 (ko) 2004-12-22 2004-12-22 비래염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197A true KR20060072197A (ko) 2006-06-28
KR100622270B1 KR100622270B1 (ko) 2006-09-19

Family

ID=3716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587A KR100622270B1 (ko) 2004-12-22 2004-12-22 비래염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2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11B1 (ko) * 2013-03-18 2015-01-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기구 부착형 대기환경 측정장치
WO2015011780A1 (ja) * 2013-07-23 2015-01-29 中国電力株式会社 飛散塩分捕獲装置
JP5677595B2 (ja) * 2012-02-09 2015-02-25 中国電力株式会社 飛散塩分量を測定するための飛散塩分捕獲装置
JP2016205870A (ja) * 2015-04-16 2016-12-08 中国電力株式会社 粒子状物質捕集装置及び粒子状物質捕集装置の設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7595B2 (ja) * 2012-02-09 2015-02-25 中国電力株式会社 飛散塩分量を測定するための飛散塩分捕獲装置
JPWO2013118267A1 (ja) * 2012-02-09 2015-05-11 中国電力株式会社 飛散塩分量を測定するための飛散塩分捕獲装置
KR101483111B1 (ko) * 2013-03-18 2015-01-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기구 부착형 대기환경 측정장치
WO2015011780A1 (ja) * 2013-07-23 2015-01-29 中国電力株式会社 飛散塩分捕獲装置
JP5844498B2 (ja) * 2013-07-23 2016-01-20 中国電力株式会社 飛散塩分捕獲装置
JP2016205870A (ja) * 2015-04-16 2016-12-08 中国電力株式会社 粒子状物質捕集装置及び粒子状物質捕集装置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270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1012667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medir continuamente o fluxo horizontal de precipitação de pó na atmosfera
KR100622270B1 (ko) 비래염 포집장치
US20120024084A1 (en) Horizontal component catcher of dustfall in atmosphere and measuring method of horizontal component
JP6026710B1 (ja) 飛散塩分捕獲装置及び防雨器具
US4199974A (en) Eolian sand trap
US4064670A (en) Rainproof louver
Cleugh Field measurements of windbreak effects on airflow, turbulent exchanges and microclimates
CN212179969U (zh) 林业生态环境监测装置
CN208351023U (zh) 一种用于翻斗式雨量计的防尘装置
CN211348113U (zh) 一种用于市政环卫的空气监测装置
JP4216432B2 (ja) 環境撮影装置
CN112197135A (zh) 一种国土空间规划用地理信息采集装置
RU226522U1 (ru) Флюгерная спороловушка
KR100520725B1 (ko) 비래염분 포집장치
JP2561345Y2 (ja) 飛散粉塵連続測定装置
KR20110103507A (ko) 강설확인장치
CN217805306U (zh) 一种无人机光流定位设备
CN214306362U (zh) 安装于塔杆四情监测装置
Koenigsberger et al. Window and Ventilator Openings in Warm and Humid Climates
JP4022502B2 (ja) ルーバー
JPS611784A (ja) 防水ル−バ−
Dunlop et al. Control of Odour and Dust from Chicken Sheds: Evaluation of windbreak walls
CN205647704U (zh) 一种自动报警的监控摄像头保护装置
JP5844498B2 (ja) 飛散塩分捕獲装置
RU991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капель дождя для испытаний материалов на дождевую эрозию в условиях ракетного трека и аэробаллистических стен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