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174A -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 Google Patents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174A
KR20060071174A KR1020040109536A KR20040109536A KR20060071174A KR 20060071174 A KR20060071174 A KR 20060071174A KR 1020040109536 A KR1020040109536 A KR 1020040109536A KR 20040109536 A KR20040109536 A KR 20040109536A KR 20060071174 A KR20060071174 A KR 20060071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nu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0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1174A/ko
Publication of KR2006007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메뉴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튜너를 통해 입력된 방송 신호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메뉴 설정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 및 상기 합성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 화면상에 사용자의 메뉴 설정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메뉴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메뉴 설정 변경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텔레비전, 메뉴, 표시, 아이콘

Description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Television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menu setting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튜너
115 : 복조부
120 : 디멀티플렉서
125 : A/V 디코더
130 : 데이터 파싱부
135 : 영상 합성부
140 : 표시부
본 발명은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뉴를 항상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됨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DTV), 디지털 셋탑박스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비해서 디지털 텔레비전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사용자는 메뉴(menu)라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러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메뉴는 주메뉴(Main Menu)와 부메뉴(Sub Menu)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메뉴는 각각의 주메뉴 항목에 대하여 관련된 기능들을 모아놓은 하위 메뉴로서, 일반적으로 상위의 주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부메뉴 하위의 부메뉴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
앞으로 디지털 텔레비전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이 점점 많아질 것임은 자명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이러한 모든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한 메뉴 항목도 점점 많아질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메뉴 항목들은 OSD(On Screen Display)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현재 메뉴 설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메뉴 또는 부메뉴 항목까지 접근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상에 사용자의 메뉴 설정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메뉴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메뉴 설정 변경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상에 사용자의 메뉴 설정에 상응하는 표시 정보(예를 들어, 아이콘, 자막 등)를 항상 표시함에 있어 방송 화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하는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메뉴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튜너를 통해 입력된 방송 신호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메뉴 설정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와;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와; 및 상기 합성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정보는 아이콘, 자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표시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한 표시 화면의 상단, 하단, 우측 또는 좌측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디오 신호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은 튜너(110), 복조부(115), 디멀티플렉서(120), A/V 디코더(125), 데이터 파싱부(130), 영상 합성부(135),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튜너(110)는 수신한 방송 신호 중 특정 채널의 고주파(RF)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부(115)로 제공하는 수단이다. 튜너(110)로 입력되는 방송 신호는 SD(Standard Definition) 또는 16:9 HD(High Definition) 신호이다.
복조부(115)는 튜너(110)의 출력 신호를 복조하여 MPEG 규격의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120)는 복조부(115)로부터 입력된 방송 신호 중에서 하나의 스 트림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스트림을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A/V(오디오/비디오) PES(Packeted Elementary Stream)는 A/V 디코더(125)로 전달하고, 부가 서비스 데이터인 PSI(Program Service Information) 정보는 데이터 파싱부(130)로 전달한다.
A/V 디코더(125)는 디멀티플렉서(120)로부터의 A/V PES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를 영상 합성부(135)로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로 출력한다.
데이터 파싱부(130)는 디멀티플렉서(120)로부터 PSI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관련 테이블(PAT : Program Association Table),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 Program Map Table), 가상 채널 테이블(VCT : Virtual Channel Table)로 디코딩한다. 또한, 데이터 파싱부(130)는 제어부(145)로부터 메뉴 상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의 메뉴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나 자막을 추출하여 영상 합성부(135)로 출력한다. 물론, 제어부(145)로부터 입력된 메뉴 상태 표시 명령 내에 메뉴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나 자막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영상 합성부(13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합성부(135)는 화면 표시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A/V 디코더(125)로부터 입력받은 비디오 신호와 데이터 파싱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메뉴 상태 표시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비디오 신호와 메뉴 상태 표시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영상 합성부(13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메뉴 상태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메뉴 상태 표시 정보는 비디오 신호의 표시 상태를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면의 상단, 하단, 우측 또는 좌측에 아이콘 또는 자막의 형태로 표시된다.
제어부(14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이 전원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당해 사용자가 설정한 메뉴 상태에 상응하는 아이콘 또는 자막이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메뉴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지 않는 형태의 메뉴 상태 표시 명령을 데이터 파싱부(13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메뉴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메뉴(예를 들어, 타이머, 뮤트(mute), 알람 등)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은 저장부, 적외선 수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 메뉴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적외선 수신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텔레비전의 표시 상태(예를 들어, 채널 변경, 볼륨 조정 등)나 메뉴 설정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디지털 텔레비전이 전원 오프(Power OFF) 상태에서 전원 온(Power ON) 상태로 전환된다(S210). 이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메뉴 표시 상태 오프에서 메뉴 표시 상태 온으로 전환시킨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5)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메뉴 설정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S215).
그런다음, 제어부(145)는 사용자의 메뉴 설정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 및/또는 자막 정보를 저장부에서 추출한다(S220).
이렇게 추출된 표시 정보(즉, 아이콘 및/또는 자막 정보)를 데이터 파싱부(130)를 통해 영상 합성부(135)로 전달한다(S225). 위에서 메뉴 상태 표시 명령에 의해 데이터 파싱부(130)가 수행하는 경우 당해 표시 정보는 데이터 파싱부(130)로부터 영상 합성부(135)로 전달된다.
영상 합성부(135)는 데이터 파싱부(130)로부터 수신된 표시 정보를 A/V 디코더(125)로부터 실시간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합성한다. 표시 정보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 상태를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면의 상단, 하단, 우측 또는 좌측에 표시되도록 합성된다(S230).
이렇게 합성된 비디오 신호 및 표시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달하고, 표시부(140)는 영상 합성부(135)로부터 전달받은 비디오 신호 및 표시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35).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하는 메뉴를 아이콘 및/또는 자막 정보의 형태로 항상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된 표시 정보는 사용자의 표시 상태 종료 명령에 의해 제거되거나 일정한 표시 시 간 동안만 표시된 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은 화면상에 사용자의 메뉴 설정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메뉴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메뉴 설정 변경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상에 사용자의 메뉴 설정에 상응하는 표시 정보(예를 들어, 아이콘, 자막 등)를 항상 표시함에 있어 방송 화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1. 메뉴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튜너를 통해 입력된 방송 신호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메뉴 설정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와;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 및
    상기 합성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아이콘, 자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표시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한 표시 화면의 상단, 하단, 우측 또는 좌측 중 어느 한쪽에 표시되도록 상기 비디오 신호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KR1020040109536A 2004-12-21 2004-12-21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KR20060071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536A KR20060071174A (ko) 2004-12-21 2004-12-21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536A KR20060071174A (ko) 2004-12-21 2004-12-21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174A true KR20060071174A (ko) 2006-06-26

Family

ID=3716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536A KR20060071174A (ko) 2004-12-21 2004-12-21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1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212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0263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033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60061682A1 (en) User selectable content stream
US7092044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7692722B2 (en) Caption service menu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6940563B2 (en) Language switching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method
KR100753090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채널 정보 표시방법
KR101467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JP2007135158A (ja) 番組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333345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071174A (ko) 사용중인 메뉴 상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KR2004009885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시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9805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KR100682759B1 (ko) 다 채널 영상 합성 방송수신기 및 그 합성 방법
JP3075103U (ja) ディジタル放送用受信機
EP2445208A1 (en) Generation method of electronic program guide menu of television and tv set
KR10111740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오에스디 위치 설정방법
KR10072538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검색 방법
KR20060072033A (ko) 영상표시기기 및 타임 시프트 처리방법
EP2439938A1 (en) Method for viewing television channels and tv set
KR20050122884A (ko)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및 사용자 설정 상태 안내 기능을구비한 텔레비전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