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884A -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884A
KR20060070884A KR1020040109706A KR20040109706A KR20060070884A KR 20060070884 A KR20060070884 A KR 20060070884A KR 1020040109706 A KR1020040109706 A KR 1020040109706A KR 20040109706 A KR20040109706 A KR 20040109706A KR 20060070884 A KR20060070884 A KR 20060070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trunk
piston
cylin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0884A/ko
Publication of KR2006007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4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annular discs per se, singularly or in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트렁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와, 차체와 트렁크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봉 가능하게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로드에 연결되며 직경이 큰 제1오리피스와 직경이 작은 제2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댐핑력을 가변시키는 댐핑력 가변유닛으로 구성되어, 트렁크를 열거나 닫을 때 힘이 적게 들어 사용이 편리한 차량용 리프터를 제공한다.
자동차, 차량, 리프터, 트렁크, 댐퍼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Trunk lifter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프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렁크 20 : 차체
31 : 실린더 32 : 연결로드
34 : 피스톤 36 : 제1오리피스
38 : 제2오리피스 40 : 제1가이드 그루브
42 : 제2가이드 그루브 50 : 가이드 바
52 : 관통홀 54 : 회전판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를 적은 힘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트렁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해치백, 왜건, RV 차량 등은 트렁크(10)가 위쪽으로 열리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트렁크(10)가 위쪽으로 열리는 차량의 경우, 트렁크(10)와 차체(20) 사이에는 트렁크(10)를 열거나 닫을 때 댐핑작용을 하는 리프터(30)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30)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어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동저항에 의해 댐핑작용을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터는 트렁크(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가 충진된 실린더(102)와, 상기 실린더(102)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102)에 충진된 가스가 통과하는 오리피스(104)가 형성된 피스톤(106)과, 상기 피스톤(106)과 연결되고 차체(20) 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로드(10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터는 사용자가 트렁크(10)를 위로 들어올리 면, 실린더(102)에서 연결로드(108)가 빠지면서 길어지고, 이때, 상기 피스톤(106)이 실린더(10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106)에 형성된 오리피스(104)를 가스가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동저항에 의해 댐핑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렁크(10)를 닫으면, 상기 피스톤(106)이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린더(102)에 충진된 가스가 피스톤(106)에 형성된 오리피스(104)를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시켜 댐핑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프터는 트렁크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댐핑력을 발생시켜야 되기 때문에 트렁크를 열거나 닫을 때 그 만큼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나 여성의 경우 트렁크를 열기 위해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를 가변댐퍼 구조로 하여 트렁크가 완전히 개방된 때에는 큰 댐핑력이 발생되고 트렁크를 열거나 닫을 때는 적은 댐핑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를 열거나 닫을 때 힘이 적게 들어 사용이 편리한 차량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터는 차체와 트렁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와, 차체와 트렁크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봉 가능하게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로드에 연결되며 직경이 큰 제1오리피스와 직경이 작은 제2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댐핑력을 가변시키는 댐핑력 가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핑력 가변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위상차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1그루브와 제2그루브로 구성되는 가이드 그루브와,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보다 크거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실린더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피스톤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프터는 트렁크(도 1의 도면부호 10)와 차체(도 1의 도면부호 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31)와, 트렁크(10)와 차체(20)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31)에 삽입되는 연결로드(32)와, 상기 실린더(31)의 내주면에 밀봉 가능하게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로드(32)에 연결되며 직경이 큰 제1오리피스(36)와 직경이 작은 제2오리피스(38)가 형성되는 피스톤(34)과, 상기 피스톤(3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36)와 제2오리피스(38)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댐핑력을 가변시키는 댐핑력 가변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가스가 충진된 원통형태이고, 그 내벽면에는 상기 댐핑력 가변유닛의 가이드 바(50)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바(50)가 이동되는 제1가이드 그루브(40)와 상기 제1가이드 그루브(40)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 그루브(40)와 다른 위상을 갖는 제2가이드 그루브(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 그루브(40)는 트렁크(10)가 닫힌 상태일 때 피스톤(34)이 위치되는 실린더(31)의 내벽에서 트렁크(10)가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피스톤(34)이 위치되는 실린더(31)의 내벽까지 길이 "T"만큼 형성되고, 제2가이드 그루브(42)는 트렁크(10)가 최대로 열리는 시점일 때 상기 피스톤(34)이 위치되는 실린더(31)의 내면에 길이 "Q"만큼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31)의 내주면에 밀봉 가능하게 슬라이딩되고, 한 쌍의 제1오리피스(36)가 18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한 쌍의 제2오리피스(38)가 상 기 제1오리피스(36)와 9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오리피스(36)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작은 댐핑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2오리피스(38)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큰 댐핑력이 작용한다.
상기 댐핑력 가변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4)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36)보다 크거나 동일한 관통홀(52)이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판(54)과, 상기 회전판(5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 그루브(40)와 제2가이드 그루브(4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그루브들(40)(4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바(5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34)의 하면에는 힌지핀(60)이 돌출되어 상기 회전판(54)이 힌지핀(60)에 삽입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판(54)의 관통홀(52)은 가이드 바(50)가 제1가이드 그루브(42)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제1오리피스(36)와 관통된 상태로 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36)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바(50)가 제2그루브에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판(54)이 회전되어 상기 관통홀(52)이 제2오리피스(38)와 관통된 상태로 되어 제2오리피스(38)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프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프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트렁크(10)를 개방할 때 상기 가이드 바(50)는 제1가이드 그 루브(40)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54)의 관통홀(52)이 제1오리피스(36)와 연통되어 제1오리피스(36)로 유체가 통과한다.(도 7의 "A" 참조) 따라서 직경이 큰 제1오리피스(36)로 유체가 통과하기 때문에 그만큼 유체의 유동저항이 작아 적은 힘으로 트렁크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10)가 점점 개방되어 최고로 열리는 시점에 도달되면 상기 가이드 바(50)가 제2가이드 그루브(42)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50)에 의해 회전판(54)이 회전되어 회전판(54)의 관통홀(52)이 제2오리피스(38)와 연통된다.(도 7의 "B" 참조) 그러면 실린더(31) 내부의 유체가 직경이 작은 제2오리피스(38)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 만큼 유동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댐핑력이 커지면서 상기 트렁크(10)가 열려진 상태를 지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렁크(10)를 닫으면, 상기 가이드 바(50)가 상기 제2가이드 그루브(42)에서 제1가이드 그루브(40)로 이동되고, 회전판(54)이 회전되면서 관통홀(52)이 상기 제1오리피스(36)와 연통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36)로 유체가 통과하기 때문에 작은 댐핑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트렁크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댐핑력 가변유닛을 설치하여 상기 트렁크가 열릴 때에는 작은 댐핑력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트렁크가 완전히 열린 상태일 때에는 큰 댐핑력이 작동되도록 하여 트렁크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트렁크를 열고 닫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차체와 트렁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와;
    차체와 트렁크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봉 가능하게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로드에 연결되며 직경이 큰 제1오리피스와 직경이 작은 제2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댐핑력을 가변시키는 댐핑력 가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제1오리피스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오리피스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와 9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력 가변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위상차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1그루브와 제2그루브로 구성되는 가이드 그루브와;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보다 크거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그루브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는 힌지핀이 돌출되어 상기 회전판이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는 상기 트렁크가 최대로 열릴 때 피스톤이 위치되는 실린더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관통홀은 상기 가이드 바가 제1그루브에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오리피스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 바가 제2그루브에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2오리피스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KR1020040109706A 2004-12-21 2004-12-21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KR20060070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706A KR20060070884A (ko) 2004-12-21 2004-12-21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706A KR20060070884A (ko) 2004-12-21 2004-12-21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884A true KR20060070884A (ko) 2006-06-26

Family

ID=3716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706A KR20060070884A (ko) 2004-12-21 2004-12-21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08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365B2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US5404973A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15530506A5 (ko)
JPS599776B2 (ja) 係止可能な空気力的または液力・空気力的なばね
CA2942161C (en) Hydraulic hinge, in particular concealed hinge for doors
US8246102B2 (en) Wide opening vehicle door with easy-reach feature
JP2014088760A (ja) ドア、特にガラスドア用のドアクローザ
AU2005206381B2 (en) A bucket for a mechanical shovel
HUE027573T2 (en) Straps for doors, shutters or the like
US20200408019A1 (en) Pivot door hinge
US2019527A (en) Balanced door
FR2565648A1 (fr) Amortisseur hydraulique reglable
CA2925684A1 (en) Hinge device for doors, shutters or the like
KR20060070884A (ko) 차량용 트렁크 리프터
KR101113082B1 (ko) 도어클로져용 댐퍼
JP2019513927A5 (ko)
RU2462378C1 (ru) Спальное место в пассажирском вагоне
US2167585A (en) Hinge
CN203961573U (zh) 一种汽车行李箱支撑机构
CN204941135U (zh) 一种平开门的阻尼闭门器
JPH10287274A (ja) バック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200153984Y1 (ko) 자동차 도어의 개스댐퍼
JPS6332435Y2 (ko)
CN104120936A (zh) 一种汽车行李箱支撑机构
KR200298397Y1 (ko) 자동 문닫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