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095A - V8 엔진 구조 - Google Patents

V8 엔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095A
KR20060069095A KR1020040108188A KR20040108188A KR20060069095A KR 20060069095 A KR20060069095 A KR 20060069095A KR 1020040108188 A KR1020040108188 A KR 1020040108188A KR 20040108188 A KR20040108188 A KR 20040108188A KR 20060069095 A KR20060069095 A KR 2006006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ers
engine
bore
engine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600B1 (ko
Inventor
박수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600B1/ko
Priority to KR1020050024072A priority patent/KR1010925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6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2Modulation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with quadrature carriers, separately amplitude 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V8 엔진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V8 엔진 구조는, 8개의 1, 2, 3, 4, 5, 6, 7 및 8번 기통이 구비된 V8엔진에 있어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의 크기는, 다른 기통의 보어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랭크 축의 균일한 모멘트로 인해 운전 안정성이 향상되고, 기통별 균일한 공연비 제어가 가능하여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V8 엔진, 기통, 크랭크 축

Description

V8 엔진 구조{STRUCTURE OF V8 ENGIN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V8 엔진 구조의 적용으로 기통별 발생되는 토크 편차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
도 2a 및 도 2b는 기통별 신기 유입을 비교하여 나타내 보인 그래프.
도 3a 및 도 3b는 배기압의 형성 상태와 흡기밸브의 열림 시기를 비교하여 나타내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기통간 불균일 해소로 인한 결과를 나타내 보인 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의 적용으로 기통간 토크 불균일을 해소한 결과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
본 발명은 V8 엔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통별로 다른 실린더 체적을 갖게 하여 기통으로 유입되는 신기 양의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한 V8 엔진 구조에 관한 것이다.
V8 엔진의 경우 1사이클 내에 8개의 실린더가 점화되어야 하고, 또한 크랭크 계의 밸런싱을 유지하기 위해 엔진의 경우 1-2-7-8-4-5-6-3의 점화 순서(Firing Order)를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화 순서로 인한 기통간의 배기 간섭으로 3, 6, 7, 8번 실린더가 다른 기통 대비 많은 공기가 유입되고, 이로 인해 전부하에서의 기통간 IMEP(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편차 혹은 부분 부하에서의 기통간 공연비 불일치로 배기가스(Emission)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하에서 후술하는 해석에 의해 계산된 V8엔진의 기통별로 발생되는 토크(Torque) 편차 및 그 원인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통별로 발생되는 토크 편차 크고(최대 약 15% 편차), 3, 6, 7, 8 번 기통이 다른 기통에 대비하여 큰 토크를 갖는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화 순서(1-2-7-8-4-5-6-3)에 따른 배기 간섭에 기인하고, 엔진 회전수에 따라 편차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3, 6, 7, 8이 다른 것들에 대비하여 우세함을 나타내는 기조는 유지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뱅크 모두 기통간 점화 간격은 90, 180, 270도로 동일 뱅크 내 기통간에 불균일 점화가 이루어지고, 좌 뱅크의 경우 7번 실린더에서, 우 뱅크의 경우 6번 실린더에서 초기 흡입 구간에서 원활한 차징 모션(Charging Motion)을 보이며, 이로 인해 여타 기통 대비 높은 체적 효율과 큰 토크를 발생시키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기압 선도의 경우 4개의 주요 피크(Peak) 점이 나타나며, 이는 각 실린더의 배기밸브 개도 시점과 같다. 3, 6, 7, 8실린더의 경우, 밸브 오버랩(overlap) 구간에서 배기압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아니함에 따라 차징에 유리하여 다른 기통에 대비하여 높은 토크를 발생(전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V8 엔진의 각 기통마다의 크기를 달리 하여 각 기통으로 유입되는 신기 양의 불균일을 해소 록 한 V8 엔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8 엔진 구조는, 8개의 1, 2, 3, 4, 5, 6, 7 및 8번 기통이 구비된 V8엔진에 있어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의 크기는, 다른 기통의 보어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는, 엔진(10)의 엔진블록(10a)에 8개의 보어(11,12,13,14,15,16,17,18)가 구비되어 8개의 1, 2, 3, 4, 5, 6, 7 및 8번 기통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11,12,14,15)의 크기는, 다른 기통, 즉 3, 6 ,7, 8번 기통의 보어(13,16,17,18)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통의 점화 순서는, 1-2-7-8-4-5-6-3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1, 2, 4, 5번 기통은 다른 기통에 대비하여 5%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11,12,14,15)의 크기는 3, 6 ,7, 8번 기통의 보어(13,16,17,18)의 크기에 비해 1.025배가 된다.
즉, 3, 6, 7, 8번 기통의 보어(13,16,17,18) 크기를 B라고 하면,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11,12,14,15) 크기는 1.025B가 된다.
또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흡기밸브 크기는 다른 기통보다 1.025배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는, 1-2-7-8-4-5-6-3의 점화 순서를 갖는 것으로, 신기의 유입이 불리한 1, 2, 4, 5번 기통의 보어(11,12,14,15)의 크기를 여타 기통의 보어에 대비하여 크게 설계한다.
그리고 신기 유입의 편차가 약 3~8% 정도이므로(각 rpm 별 해석 결과) 이를 실린더 체적에 의해 보상해야 함에 따라 상기 1, 2, 4, 5번 기통을 다른 기통에 대비하여 5% 큰 체적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3, 6, 7, 8 기통의 보어(13,16,17,18) 크기를 B라고 한다면,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11,12,14,15) 크기는 1.025B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1, 2, 4, 5번 기통의 흡기밸브 크기 또한 다른 기통의 1.025배를 유지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통간 발생하는 토크 편차로 인한 크랭크 축의 불균일한 모멘트 발생 및 배기가스 제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V8 엔진의 각 기통마다의 크기를 달리하였다.
이에 따라 각 기통으로 유입되는 신기 양의 불균일을 해소하였고, 기통간 불균일한 토크 편차 및 공연비 편차 해소시 얻을 수 있는 배기가스, 연료 소비율(토크), 운전 안정성 향상을 이루게 되었다. 이에 대한 결과가 도 5의 표로 나타내 보였다.
그리고 엔진 적용시 나타나는 불균일 토크 편차 해소 계산 결과를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 있는 도 1의 종래의 기술 적용에 비해 현저하게 토크 편차가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8 엔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크랭크 축의 균일한 모멘트로 인해 운전 안정성이 향상되고, 기통별 균일한 공연비 제어가 가능하여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8개의 1, 2, 3, 4, 5, 6, 7 및 8번 기통이 구비된 V8엔진에 있어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보어의 크기는, 다른 기통의 보어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8 엔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통의 점화 순서는, 1-2-7-8-4-5-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8 엔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2, 4, 5번 기통은 다른 기통에 대비하여 5% 큰 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8 엔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상기 보어의 크기는 상기 3, 6 ,7, 8번 기통의 상기 보어의 크기에 비해 1.025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8 엔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2, 4, 5번 기통의 흡기밸브 크기는 다른 기통보다 1.025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8 엔진 구조.
KR1020040108188A 2004-12-17 2004-12-17 V8 엔진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97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88A KR100974600B1 (ko) 2004-12-17 2004-12-17 V8 엔진 구조
KR1020050024072A KR101092535B1 (ko) 2004-12-17 2005-03-23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기 및 그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88A KR100974600B1 (ko) 2004-12-17 2004-12-17 V8 엔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095A true KR20060069095A (ko) 2006-06-21
KR100974600B1 KR100974600B1 (ko) 2010-08-09

Family

ID=371633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1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4600B1 (ko) 2004-12-17 2004-12-17 V8 엔진 구조
KR10200500240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2535B1 (ko) 2004-12-17 2005-03-23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기 및 그 수신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0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2535B1 (ko) 2004-12-17 2005-03-23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기 및 그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746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1423B2 (en) 2015-09-17 2018-08-07 Hyundai Motor Company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with different control modes based on state of charge of batte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with different control modes based on state of charge of battery
US10086820B2 (en) 2015-09-17 2018-10-02 Hyundai Motor Company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having transient state control mode
US10099681B2 (en) 2015-09-17 2018-10-16 Hyundai Motor Company User interface apparatus of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user interface apparatus of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US10202111B2 (en) 2015-09-17 2019-02-12 Hyundai Motor Company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employing cylinder deactiv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employing cylinder deac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42A (ko) * 1993-07-16 1995-02-17 이헌조 에어콘의 취침운전 제어방법
KR970055098U (ko) * 1996-03-20 1997-10-13 자동차용 다기통 엔진의 구조
KR19980029151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차량용 v형 엔진의 드레인 홀
US20020127982A1 (en) 2001-03-07 2002-09-12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station receiver operable for both single and multi-carrier reception
US7161987B2 (en) * 2001-09-26 2007-01-09 Conexant, Inc. Single-carrier to multi-carrier wireless architecture
KR100992402B1 (ko) * 2004-12-20 201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휴지 엔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1423B2 (en) 2015-09-17 2018-08-07 Hyundai Motor Company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with different control modes based on state of charge of batte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with different control modes based on state of charge of battery
US10086820B2 (en) 2015-09-17 2018-10-02 Hyundai Motor Company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having transient state control mode
US10099681B2 (en) 2015-09-17 2018-10-16 Hyundai Motor Company User interface apparatus of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user interface apparatus of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US10202111B2 (en) 2015-09-17 2019-02-12 Hyundai Motor Company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employing cylinder deactiv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uniform displacement engine control system employing cylinder deac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535B1 (ko) 2011-12-13
KR100974600B1 (ko) 2010-08-09
KR20060069214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4130B2 (en) Using cylinder firing history for combustion control in a skip fire engine
ATE405734T1 (de) Verbrennungsmotor mit dampfexpansionshub
US6705293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215125B2 (en) Process of controlling operation in a multi-cylinder engine
AU2003276186A1 (en)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ree opposed pistons
JP4525441B2 (ja) 内燃機関
Bozza et al. A quasi-dimensional three-zone model for performance and combustion noise evaluation of a twin-spark high-EGR engine
GB1492949A (en) Two-stroke spark-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60069095A (ko) V8 엔진 구조
Turner et al. Ultra Boost for Economy: realizing a 60% downsized engine concept
JP6406398B2 (ja) 筒内噴射エンジンの制御装置
CN110905669A (zh) 在带有废气锁入的气缸关断时补偿气体弹簧作用的方法
KR20070003624A (ko) 왕복동 피스톤 연소 엔진의 작동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방법 및 왕복동 피스톤 연소 엔진
ATE386202T1 (de) Seitenventilanordn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EP0598275A1 (en) High-performance internal-combustion engine, particularly of the four-stroke type
JP2021139773A (ja) 内燃機関の設計方法
JP4274112B2 (ja) 内燃機関
JPH078830Y2 (ja) 2気筒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4415840B2 (ja) 内燃機関
KR20230103070A (ko) 2기통 디젤 엔진의 흡기 효율 향상을 위한 흡기 매니폴드 형상
Nork et al. HoLeGaMo High Performance Natural Gas Engin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Blundell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ELEVATE two-stroke automotive engine
JP3919598B2 (ja) 二サイクル内燃機関
JPS59122763A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JPH06173821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