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068A -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068A
KR20060069068A KR1020040108160A KR20040108160A KR20060069068A KR 20060069068 A KR20060069068 A KR 20060069068A KR 1020040108160 A KR1020040108160 A KR 1020040108160A KR 20040108160 A KR20040108160 A KR 20040108160A KR 20060069068 A KR20060069068 A KR 20060069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rane device
wall
mechanism par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019B1 (ko
Inventor
조종래
김영환
조광찬
정광석
김서주
Original Assignee
Stx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tx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Stx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019B1/ko
Priority to JP2005208008A priority patent/JP4270346B2/ja
Priority to TW94124599A priority patent/TWI306440B/zh
Priority to CNA200510090162XA priority patent/CN1789107A/zh
Publication of KR2006006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내벽에 다량의 자재를 족장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배제하여 신속한 내벽 작업의 수행을 유도하고, 또한 족장의 설치 및 철거시의 위험성과, 족장을 설치함에 따른 선체 내벽의 파손을 해소하도록 한 대형 선박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선체의 내부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기구부와, 상기 고정기구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 변경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기구부 및 상기 신축기구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내부에 작업자 및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공구가 탑재되는 버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기구부는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고정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는 지지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힌지, 분진, 실린더, 전동기, 크레인, 붐, 베어링, 족장

Description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A Crane Device For An Inside Wall Of Operations A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의 정면도,
도 2은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의 작업 반경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에 의해 선체의 내벽에 대한 여러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기구부 11: 고정프레임
12: 스윙포스트 12a: 제 1회전베어링
20: 지지기구부 21: 지지대
21a: 핸들 21b: 볼스크류
21c: 바퀴 30: 신축기구부
31: 붐 31a: 체인
32: 브러쉬, 고무판 41: 제 1실린더
42: 제 2실린더 43: 보호커버
50: 버킷 51: 고정대
52: 제 3실린더 53: 제 2회전베어링
53a: 유압모터 60: 컨트롤러
100: 크레인장치 200: 선체
본 발명은 대형 선박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내벽에 다량의 자재를 족장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배제하여 신속한 내벽 작업의 수행을 유도하고, 또한 족장의 설치 및 철거시의 위험성과, 족장을 설치함에 따른 선체 내벽의 파손을 해소하도록 한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PG 운반선, 유조선, 대형 여객선, 컨테이너선 및 화학약품 운반선 등의 선체 내부는 해수 및 운반물에 대한 방수 및 도장 등의 여러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은 선체의 내벽면 측에 다층의 족장을 설치하고, 족장을 이동하며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된 족장은 작업자가 벽체 측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이동하기 위한 발판으로 발판을 선체의 일정 높이지점에 고정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연결프레임, 사다리 등의 부재를 필수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된 발판 또는 부재는 선체의 내벽에 용접, 볼트결합 등에 의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족장의 설치작업은 선체 내부의 기본 형태를 형성하고, 각각의 부재를 그 내부로 운반한 후, 흡사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때와 같이 일정 높이마다 다층으로 가설하여 작업자가 선체 내벽의 높이 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된 것과 같은 족장의 설치구성은 족장자체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선체를 제작하는 전체 작업시간의 지연이 발생되는 요인이 되고, 상당한 높이의 족장 설치 및 해체시 작업자 또는 작업기구가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이 고정력을 제공받기 위해 선체의 내벽면에 용접,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선체내벽의 강도저하 및 파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된 종래의 족장 설치구성은 작업시간의 지연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고,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아짐에 따른 작업성의 현저한 감소 및, 선체의 강도저하 및 파손에 따른 도장, 방수 시공작업등의 작업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이에, 상기 선체의 벽면에 족장이 설치되는 구성자체를 배제하고, 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족장의 설치구성이 배제되어 선체 내벽에 대한 여러작업의 신속한 수행 및 선체 내벽의 파손우려를 해소하고, 작업구간을 이동하며 수행하는 작업이 작업자의 보행이 아닌 이동장치의 이동에 의해 실시되도록 하여 작업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대형 선박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선체의 내부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기구부와, 상기 고정기구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 변경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기구부 및 상기 신축기구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내부에 작업자 및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공구가 탑재되는 버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기구부는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고정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는 지지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은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체(200)의 내벽에 다량의 자재를 족장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배제하여 신속한 내벽 작업의 수행을 유도하고, 또한 족장의 설치 및 철거시의 위험성과, 족장을 설치함에 따른 선체 내벽의 파손을 해소하도록 한 대형 선박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고정기구부(10)와, 신축기구부(30)와, 버킷(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기구부(10)는 선체(20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그 중심을 잡아주는 고정프레임(11)와,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회전베어링(12a)이 구비된 스윙포스트(1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고정기구부(10)는 선체(200)의 바닥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고정되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는 지지기구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윙포스트(12)는 고정프레임(11)과의 사이에 제 1회전베어링(12a)이 구비되어 360°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지지기구부(20)는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4개의 지지대(21)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지지대(21)는 상기 크레인장치(100)가 소정 높이로 승강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핸들(21a)과, 상기 핸들(21a)에 축설된 볼스크류(21b)와, 상기 볼스크류(21b)의 단부에 결합된 바퀴(21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크레인장치(100)가 선체(200)의 바닥면에서 상기 볼스크류(21b)의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신축기구부(30)는 상기 고정기구부(10)의 스윙포스트(12)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붐(31)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붐(31)은 상호 연결되는 체인(31a)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붐(31)은 신축 시 이물질(분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에 브러쉬(32) 또는 고무판이 삽입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신축기구부(30)는 상기 스윙포스트(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가 변경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기구부(10) 및 신축기구부(30)에 상호 연결 되는 제 1실린더(41) 및 제 2실린더(42)로 가능하다. 상기 제 1,2실린더(41,42)는 피스톤로드에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43)가 외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43)는 탄력적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재질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버킷(50)은 수평유지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버킷(50)의 저면 및 상기 신축기구부(30)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대(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51)는 버킷(5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 2회전베어링(53)과, 상기 제 2회전베어링(5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버킷(50)의 수평을 유지해주는 제 3실린더(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모터(53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사람이 탑승된 버킷(50)을 소망하는 각도로 수평 회전시키는 동시에 버킷(50)이 기울려져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러한 구조의 버킷(50)은 상기 신축기구부(3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내부에 작업자 및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공구가 탑재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버킷(50)은 작업자 및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공구를 탑재하기 위한 작업수행공간이며, 이 버킷(50)은 바(Bar) 형태의 프레임을 격자형태로 결합시키 소위 케이지(Cage)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각각의 실린더(41,42,52)는 유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의 작업 반경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에 의해 선체의 내벽에 대한 여러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장치(100)는 선체(200)의 내부에 1 이상의 지점에 다수 장착되고, 신축기구부(30)가 목적하는 각도로 회전된 후 각 붐(31)이 신축되면 버킷(50)이 소망하는 작업지점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신축기구부(30)는 상/하 회전 반경은 약 90°내지 -20°정도의 작업 범위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버킷(50) 내에서 선체(200)의 내벽에 도장, 방수시공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스윙포스트(12)의 회전 및 각 붐(31)의 신축과 버킷(50)의 회전을 적절히 조절하며 상, 하, 좌, 우의 일정구간을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크레인장치(100)는 외부작업자가 크레인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윙포스트(12)에 컨트롤러(60)가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버킷(50)에 탑승한 작업자 역시 크레인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버킷(50)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제 2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100)는 선체의 내벽 공사에 국한되어 설명하였지만, 선체의 외벽 작업에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선박에 국한되지 않고, 건축물의 내/외장 공사에 설치되는 족장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족장의 설치구성 배제에 따른 선체의 제작과정이 신속하게 수행되어 선박 건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동장치에 탑승한 상태에서 여러작업이 수행되어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에 따른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작업 크레인장치에 의한 작업수행에 따라 선체의 내벽에 각종 설치구성이 배제되어 선체의 강도저하 및 파손의 우려가 해소되므로써 작업불량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1)

  1. 선체(200)의 내부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기구부(10);
    상기 고정기구부(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 변경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기구부(30); 및
    상기 신축기구부(3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내부에 작업자 및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공구가 탑재되는 버킷(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기구부(10)는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고정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구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부(10)는 선체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고정프레임(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상부에 배치되되,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회전베어링(12a)이 구비된 스윙포스트(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부(20)는 상기 고정기구부(10)의 고정프레임(11)에 방사상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다수의 지지대(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대(21)는 승강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핸들(21a)과, 상기 핸들(21a)에 축설된 볼스크류(21b)와, 상기 볼스크류(21b)의 단부에 결합된 바퀴(21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기구부(30)는 상기 고정기구부(10)의 스윙포스트(12)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붐(31)이 순차적으로 삽입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붐(31)은 신축 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각 단부에 브러쉬(32) 또는 고무판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부(10) 및 신축기구부(30)는 상기 고정기구부(10)에 대해 신축기구부(30)가 상/하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제 1실린더(41) 및 제 2실린더(42)로 상호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린더(41) 및 제 2실린더(42)는 피스톤 로드에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로드에 외장된 보호커버(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50)은 수평유지와 더불어 회전하기 위해 상기 버킷(50)의 저면과, 상기 신축기구부(30)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정대(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51)는 상기 버킷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 2회전베어링(53)과, 상기 버킷(50)의 수평을 유지해주는 제 3실린더(52)와, 상기 제 3실린더(5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모터(53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내벽 작업 크레인장치.
KR1020040108160A 2004-12-17 2004-12-17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KR10060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60A KR100601019B1 (ko) 2004-12-17 2004-12-17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JP2005208008A JP4270346B2 (ja) 2004-12-17 2005-07-19 高所作業のための非駆動式伸縮多関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船舶内部の作業システム
TW94124599A TWI306440B (en) 2004-12-17 2005-07-20 Non-power-driven telescopic-articulated appartus for high place working and working system using in a vessel
CNA200510090162XA CN1789107A (zh) 2004-12-17 2005-08-11 用于高空作业的非动力驱动可伸缩铰接装置及其工作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60A KR100601019B1 (ko) 2004-12-17 2004-12-17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068A true KR20060069068A (ko) 2006-06-21
KR100601019B1 KR100601019B1 (ko) 2006-07-18

Family

ID=3678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160A KR100601019B1 (ko) 2004-12-17 2004-12-17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1019B1 (ko)
CN (1) CN1789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44B1 (ko) * 2019-07-30 2020-03-02 (주)경성정기 인력이송용 바스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068A1 (en) * 2006-12-29 2008-07-10 Joon-Yul Lee Apparatus for interior work of a tank-type structure
CN103803453A (zh) * 2013-04-26 2014-05-21 黎罕 一种多功能可移动式液压平衡小吊车
CN108364043A (zh) * 2017-01-16 2018-08-03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can转以太网的电子拣货标签系统
US10875753B2 (en) * 2018-09-20 2020-12-29 Manitou Equipment America, Llc Telehandler boom extension monitor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44B1 (ko) * 2019-07-30 2020-03-02 (주)경성정기 인력이송용 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019B1 (ko) 2006-07-18
CN1789107A (zh)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37081A1 (zh) 一种水平结构的拆除清运方法
JP2018502776A (ja)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CN108002244B (zh) 用于高墩柱钢筋模板的吊装系统及其方法
JP2005002875A (ja) 風力発電タワー等の補修工法及び補修装置
KR100601019B1 (ko) 선박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
KR20130004699U (ko) 리프팅 러그의 제거용 안전 지그
JP6503119B2 (ja) 床版切断装置
EP2015313B1 (en) Reactor servicing platform
KR100619532B1 (ko) 비구동식 신축다관절장치를 이용한 선박 내부의 작업시스템
KR100781316B1 (ko) 탱크형 구조물 내부공사를 위한 슬라이딩캐리지장치
KR101145292B1 (ko) 교량의 기초구조물용 거푸집
JP4270346B2 (ja) 高所作業のための非駆動式伸縮多関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船舶内部の作業システム
JP5351372B2 (ja) はしご
CN210561720U (zh) 一种墩柱养护修补操作平台
KR100681661B1 (ko) 러더 혼 탑재 전용 서포트 타워
JP2010150039A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KR100638119B1 (ko) 선박 내부의 고소작업을 위한 비구동식 신축다관절 장치의 설치 및 해체 방법
JP4839052B2 (ja) 貯槽の回転解体工法
CN114412154B (zh) 一种用于拆除竖向桅杆的操作系统
JP7213515B2 (ja) 塔上可動足場用構造、塔上可動足場および塔上作業方法
CN211173165U (zh) 用于筒状异型钢结构的搭建装置
JP2006161432A (ja) クライミング足場
JP2014129169A (ja) クライミング方法、及び、旋回体固定用構台
JP3847520B2 (ja) 移動式足場装置を用いた建築物の点検・補修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移動式足場装置
JPH10131520A (ja) 貯槽の解体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