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145A - 피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145A
KR20060066145A KR1020060042680A KR20060042680A KR20060066145A KR 20060066145 A KR20060066145 A KR 20060066145A KR 1020060042680 A KR1020060042680 A KR 1020060042680A KR 20060042680 A KR20060042680 A KR 20060042680A KR 20060066145 A KR20060066145 A KR 2006006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skin
composition
extract
wild chrysanthe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박귀흠
Original Assignee
김종현
박귀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박귀흠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06004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6145A/ko
Publication of KR2006006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보습기능을 가진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들국화 추출물 및 식물성보습성분인 베테인과 천연보습인자인 젖산나트륨의 보습 복합물을 형성시켜 피부의 보습 효과를 향상 시켜주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습 복합물은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10.0 중량%를 사용하며, 보습 복합물에 있어서 들국화추출물(건조추출물기준)에 대한 베테인의 중량 비율이 0.01 내지 10.0, 들국화추출물(건조추출물기준)과 베테인의 전체에 대한 젖산나트륨의 중량 비율이 0.001 내지 0.5 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라, 보습 복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사용후의 보습력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가 있었다.
보습, 피부, 세정제, 베테인, 들국화

Description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mposition of body cleanser}
본 발명은 피부의 보습기능을 가진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들국화 추출물 및 식물성보습성분인 베테인과 천연보습인자인 젖산나트륨의 보습 복합물을 형성시켜 피부의 보습 효과를 향상 시켜주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피부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면역 시스템의 기능저하와 선진대사 능력 저하로 거칠고 건조하며 잦은 세정에 의한 피지의 과다한 제거로 인한 피부의 수분 부족으로 피부의 건조현상이 항시 존재 한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에는 수분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각층에서는 약 10~30%가 된다. 진피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손실된다. 이러한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은 피부를 매끄럽고 유연한 피부표면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피부 세정제의 사용에 있어서 본래의 목적인 세정효과에 치중하다 보면 잦은 세정에 의한 피부 각질층의 손상으로 인해 피부 건조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따라서 피부 세정은 기본이고 피부의 건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습 효과가 우수한 피부 세정제가 바람직하다.
종래의 피부 세정제는 단순히 세정기능만 가진 것과 보습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추출물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국화추출물을 사용하는 피부 세정제의 국화속 식물로는 산과 들에 많이 자생하는 들국화로서 구체적으로는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산국(Chysanthemum Zawadski Var Leiophyllum), 산구절초(Chysanthemum Zawadski Herbich), 구절초(Chysanthemum Zawadski Var Lotilobum Kitamura)등이 있다. 국화속 식물들은 물, 메탄올, 에탄올을 각각 사용하거나 그 혼합을 사용하여 유효성분들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유효성분들은 문헌상에서도 항염작용, 자음작용, 해독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피부 세정제 중 단순히 세정기능만을 가진 것은 피부의 보습기능에 문제점이 있고 보습기능을 가진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특히 들국화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세정제의 특성상 피부와 접촉시간이 짧아서 기대 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접촉시간이 짧아도 보습능력이 우수한 보습 복합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들국화추출물과 사탕무우에서 추출된 천연의 식물성 보습성분이 베테인과 천연보습인자 성분인 젖산나트륨을 혼합한 보습 복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보습능력을 극대화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습 복합물로 사용되는 국화추출물은 국화속 식물 중에서 산과 들에 자생하는 들국화를 사용한 것이다. 피부 보습효과를 주기 위해서 수용성성분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들국화 추출시에 사용되는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수용성 들국화추출물을 본 발명에서 사용하였다.
보습 복합물의 다른 구성성분으로 사탕무우에서 추출된 천연의 식물성 보습성분이 베테인과 천연보습인자 성분인 젖산나트륨을 사용한다. 베테인은 흡수력 및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고, 피부에 신속히 흡수되어 피부 수분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여 피부 각질을 부드럽게 해 주며 피부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부여해 준다. 젖산나트륨은 국화 추출물과 베테인의 보습성분과 함께 피부에 쉽게 흡수되어 피부수분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수분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습 복합물에 있어서 들국화추출물(건조추출물기준)에 대한 베테인의 중량 비율이 0.01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0 이다. 또한 들국화추출물(건조추출물기준)과 베테인의 전체에 대한 젖산나트륨의 중량 비율이 0.001 내지 0.5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 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습 복합물은 세정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10.0 중량%를 사용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중량%를 사용한다. 0.001 중량% 이하에서는 보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10.0 중량% 이상에서는 기대효과에 비해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피부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세정목적으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와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피부보호제, 보습제, 기타 첨가제 등을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제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성 들국화추출물 제조]
시판하는 감국을 0.5kg을 정제수 10kg에 섞은 후 환류 냉각 장치에서 70℃에서 7시간 가열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진공증발기에서 농축하여 1kg의 수용성 추출물을 얻는다.
[보습 복합물 제조]
수용성 들국화추출물 1kg에 베테인 50g과 젖산나트륨 5g 넣고 50℃에서 30분 교반 복합물을 형성시킨 후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160g 보습 복합물을 얻는다.
하기의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는 통상의 바디 세정제 조성물에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것이다.
* 제조방법
정제수에 지방산을 넣은 후 80℃까지 가열 교반 하면서 중화제로 중화시키다. 계면활성제류 70℃에 넣고 그 외 피부보호제, 보습제를 60℃에 보습 복합물 및 기타 첨가제를 50℃에 넣은 다음 30℃까지 냉각하여 숙성한다.
[표 1]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테드라소듐 EDTA 0.02 0.02 0.02 0.02
수산화칼륨(45%) 10.2 10.2 10.2 10.2
라울릴 산 8.0 8.0 8.0 8.0
미리스틱 산 5.0 5.0 5.0 5.0
스테아릭 산 5.0 5.0 5.0 5.0
라우릭/미리스틱 산 디에탄올 아미드 6.0 6.0 6.0 6.0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30%) 10.0 10.0 10.0 10.0
코코낫아미도플로필 베테인 8.0 8.0 8.0 8.0
글리세린 1.0 1.0 1.0 1.0
토코페롤 0.1 0.1 0.1 0.1
보습 복합물* 3.0 1.0 - -
들국화추출물(건조물) - - 1.0 -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 보습 복합물 : 들국화추출물 + 베테인 + 젖산나트륨
상기 [표1]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에 대한 효능을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보습력 효과 실험
a. 시험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분보유능 시험을 행하였다. 남녀 각각 20명씩 전체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시험자의 팔 하박 안쪽에 직경 40mm 원의 면적에 1.0g의 시료를 사용하여 세정한 후 물로 깨끗이 헹궈 낸다. 헹굼 후 피시험자를 온도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30분 측정실에서 머무르게 한 후 코네오메타(Corneometer) CM820을 사용하여 피부의 보습 상태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의 10분 경과시의 측정치를 사용한다. 측정부위를 5번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보습변화율 = ((B-A)/A)×100(%)
∵ A : 비교예 2 사용 후의 보습력
B : 실시예 사용 후의 보습력
b.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보습력 54 52 45 41
보습변화율 31.7% 26.8% 9.8% 0%
보습 복합물를 함유한 실시예의 보습효과가 보습 복합물을 미함유한 비교예 또는 국화추출물만 함유한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사용감 평가
a. 시험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 미용인 30명에게 의뢰하여 헹굼성, 사용감, 기포력에 대한 항목을 7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b.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헹굼성 6.2 6.1 6.2 6.2
사용감 6.5 6.7 6.4 6.4
기포력 6.0 6.2 6.0 6.1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보습 복합물을 사용하여도 보습 복합물을 미사용한 비교예와 헹굼성, 사용감, 기포력이 별차이가 업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습 복합물 적용시에도 기본 물성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보습 복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사용후의 보습력 향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다른 물성인 헹굼성, 사용감, 기포력에는 악영향을 주지 않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가 있었다.

Claims (6)

  1. 들국화추출물, 베테인, 젖산나트륨의 보습 복합물을 총 조성물에 대한 건조 추출물의 중량으로 0.001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보습 복합물에 있어서 들국화추출물(건조추출물기준)에 대한 베테인의 중량 비율이 0.01 내지 1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보습 복합물에 있어서 들국화추출물(건조추출물기준)과 베테인의 전체에 대한 중량 비율이 0.001 내지 0.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들국화추출물은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산국(Chysanthemum Zawadski Var Leiophyllum), 산구절초(Chysanthemum Zawadski Herbich), 구절초(Chysanthemum Zawadski Var Lotilobum Kitamura) 중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들국화추출물은 들국화의 꽃, 잎, 줄기 및 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이 보디클린저, 고형 비누, 액상 비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0060042680A 2006-05-11 2006-05-11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060066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680A KR20060066145A (ko) 2006-05-11 2006-05-11 피부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680A KR20060066145A (ko) 2006-05-11 2006-05-11 피부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145A true KR20060066145A (ko) 2006-06-15

Family

ID=3716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680A KR20060066145A (ko) 2006-05-11 2006-05-11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61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379A (zh) * 2013-05-17 2013-08-14 浙江遂昌惠康药业有限公司 一种菊米护肤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379A (zh) * 2013-05-17 2013-08-14 浙江遂昌惠康药业有限公司 一种菊米护肤品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03433B (zh) 一种婴幼儿用温和洗护用品及其制备方法
WO2008148694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alacto-oligosaccharides
CN105287284A (zh) 一种婴幼儿用含有艾叶提取物的沐浴露
CN109106621B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339111A (zh) 一种含矿物温泉的清洁组合物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CN111184654A (zh) 一种干湿两用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20100077554A (ko) 무환자 나무로부터 사포닌을 정제하는 방법, 무환자 나무의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006067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산업현장작업자용 바디세정제 조성물
CN112430510A (zh) 一种含植物表面活性剂的抑菌洗洁精及其制备方法
KR20060066145A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CN112515995A (zh) 一种含有茶籽油的洗发沐浴液及其制备方法
CN103142430B (zh) 洗净剂
KR20170099098A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90131575A (ko) 겔 또는 밤 타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CN113893196A (zh) 一种含有天然植物提取物成分的沐浴用品
KR20060059233A (ko) 상엽, 상백피 또는 오디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샴프 또는 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316369B (zh) 一种洁面慕斯及其制备方法
KR101508559B1 (ko) 목화다래 및 목화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1759753A (zh) 一种温和氨基酸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950005382B1 (ko) 들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료
KR100509910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009945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