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021A -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021A
KR20060066021A KR1020050029307A KR20050029307A KR20060066021A KR 20060066021 A KR20060066021 A KR 20060066021A KR 1020050029307 A KR1020050029307 A KR 1020050029307A KR 20050029307 A KR20050029307 A KR 20050029307A KR 20060066021 A KR20060066021 A KR 2006006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portable terminal
fus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485B1 (ko
Inventor
장재득
최송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6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정보를 음성, 데이터, 영상의 형태로 송수신할 수 있는 융합 단말기로서, 단말기를 통한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복수의 기능 모듈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며, 개방형 구조의 플랫폼에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융합 휴대 단말;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음성 통화를 위하여 셀룰러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셀룰러 모듈;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웹브라우징, 메시징 서비스 또는 데이터/파일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랜 모듈;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이동 중인 휴대용 단말 보유 가입자에게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위성 DMB 모듈;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모바일 서비스 관련 가입자 식별을 수행하는 생체 인식 장치를 포함한다.
융합 휴대폰, 위성 DMB, 무선랜, MLS, 셀룰러, 디지털 카메라

Description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A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for multi-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기능 및 서비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위성 DMB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을 제어,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디지털 카메 라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종 정보를 음성, 데이터, 영상의 형태로 송수신할 수 있는 융합 단말기로서, 단말기를 통한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휴대 단말 장치의 대부분은 커뮤니케이션 기능 중심이었지만, 최근에 들어서 차세대 휴대폰은 통신 기능 중심에서 음악이나 동영상 녹음 및 재생과 같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디카폰, TV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MP3폰, 게임폰 등 미디어 기능에 설계 개념을 맞추어 특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즉, 최근 휴대폰이 음성 위주에서 벗어나 데이터 통신, AV 코덱 기능, 컴퓨터 기능 등이 통합된 복합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변모하고 있고, 향후 이동통신, 무선랜, 무선인터넷, 멀티미디어, 모바일 게임, 방송, 센서(스마트태그, 생체인식) 등의 기능들이 휴대폰에 접목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최근 기술 개발은 네트워크 진화와 무관하게 기존에 존재하는 카메라, 방송(TV, 라디오), GPS, Biometrics 등의 기능을 휴대폰에 융합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이렇게 특정 기능을 강화시킨 융합 휴대 단말 제품은 기술 진보와 소비자의 틈새(Niche)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더욱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향후 융합 휴대 단말의 진화 방향은 완전 융합형 단말과 특정 기능 위주의 융합형 단말 형태로 양분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향후 몇 년 동안은 외형적, 기술적, 가격 등 다양한 요건을 적용하여 일부 기능을 특화시켜 기존 정보 단말과 경쟁을 하고, 시장이 안정화되는 시점 이후에는 강화된 기능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는 방식의 완전 융합형 단말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진화에 따라 다양화, 지능화 및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아직까지 특정 기능을 강화시킨 융합 휴대 단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네트워크와 독립된 디바이스 중심의 단말 진화가 시작되었지만 네트워크 진화보다는 한 발 앞서 단말기를 통한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정보를 음성, 데이터, 영상의 형태로 송수신할 수 있는 융합 단말기로서, 네트워크 진화보다는 한 발 앞서 단말기를 통한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모듈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며, 개방형 구조의 플랫폼에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융합 휴대 단말;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음성 통화를 위하여 셀룰러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셀룰러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웹브라우징, 메시징 서비스 또는 데이터/파일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랜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이동 중인 휴대용 단말 보유 가입자에게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위성 DMB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위치 서비스(Mobile Location Service: MLS)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모바일 서비스 관련 가입자 식별을 수행하는 생체 인식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휴대 단말은 멀티미디어화, 융합화, 통합화의 진전으로 기능 및 형태가 보다 다양화되고, 제품간 차별성이 심화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 발전 방향을 고려할 때, 향후의 융합 휴대 단말은 무선 인터넷, 방송 기능, 컴퓨팅 기능 등이 추가됨으로써 그 기능이 다양화되는 한편, 제품별로 기능 차별화가 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여러 가지 기능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입력 방식,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화 개선될 것이며, 이에 따라 디자인이나 제품 사양 및 형태가 다양화될 수 있다.
또한, 융합 휴대 단말 부품의 통합 및 소형화, 저전력화 기술과의 융합을 통하여 인터넷/통신/방송/멀티미디어/게임/센서 등의 융합 휴대 단말이 필수적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기능 및 서비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복수의 기능 모듈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며, 개방형 구조의 플랫폼에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융합 휴대 단말(101); 상기 융합 휴대 단말(101)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음성 통화를 위하여 셀룰러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셀룰러 모듈(102); 상기 융합 휴대 단말(101)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웹브라우징, 메시징 서비스 또는 데이터/파일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랜 모듈(103); 상기 융합 휴대 단말(101) 내에 모듈 형식으 로 탑재되며, 이동 중인 휴대용 단말 보유 가입자에게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위성 DMB 모듈(105); 상기 융합 휴대 단말(101)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위치 서비스(Mobile Location Service: MLS) 모듈(107); 상기 융합 휴대 단말(101)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104); 및 상기 융합 휴대 단말(101)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모바일 서비스 관련 가입자 식별을 수행하는 생체 인식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룰러 모듈(102)은 음성 통화를 위하여 무선 채널 신호 세기 및 품질 측정 기능, 무선 신호의 변복조 및 송수신 기능,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기능, 페이징, 전력 제어 및 레이크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랜 모듈(103)은, 5㎓에서 54Mbps를 지원하는 802.11a 표준 규격을 만족하며, 웹브라우징, 단순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데이터 및 파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 모듈(104)은 200만 화소 이상급 디지털 카메라로서, 줌 기능,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성 DMB 모듈(105)은 MPEG-4 Part 10 AVC(H.264) 비디오 규격, MPEG-2 AAC+ SBR 오디오 규격을 지원하며, CD 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 서비스 등의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중인 휴대용 단말 보유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생체 인식 장치(106)는 모바일 전자 상거래, 가입자 인식/인증, 모바일 지불 서비스를 지원한다.
상기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107)은 위치 인식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위치 기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101)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기능을 살펴보았지만,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각 모듈을 융합하여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101)를 구현하는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모듈(102); 무선랜 모듈(103); 디지털 카메라 모듈(104); 위성 DMB 모듈(105); 생체 인식 장치(106); 및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Mobile Location Service: MLS)(107)을 포함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위성 DMB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위성 DMB 모듈(105)은 위성 DMB 안테나(201), S-Band 처리기(202), CDM 복조부(203), 역다중화부(204) 및 DMB 신호 복호화부(205)를 포함할 수 있고, 뉴스 서비스, 기상 예보 서비스,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 주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성 DMB 안테나(201)는 방송 또는 통신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 중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S-Band 처리기(202)는 위성 및 위성 중계기(Gap Filler)에서 송출된 2.535㎓∼2.655㎓의 주파수 대역을 처리한다.
상기 CDM 복조부(203)는 상기 S-Band 대역의 주파수 코드 분할 다중 방식(CDM) 신호를 복조하게 되며, 상기 CDM 복조부(203)를 통해 복조된 신호를 위성 DAB 규격의 System-E 방식의 규격에 맞게 신호가 처리된다.
상기 역다중화부(204)는 위성 DAB 규격의 System-E 방식의 규격에 맞게 처리된 신호에 대해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디코딩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DMB 신호 복호화부(205)는 비디오 복호화부(206), 데이터 방송 복호화부(207) 및 오디오 복화화부(208)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역다중화부(204)로부터 입력받는 디코딩 방식에 의해 각 방송 방식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게 된다.
상기 비디오 복호화부(206)는 상기 역다중화부(204)를 통하여 복조된 CDM 수신 신호를 받아 MPEG-4(H.264)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 복화화부(208)는 AAC+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복호화부(207)는 복조 및 역다중화된 수신 신호 데이터를 제어 신호와 함께 시리얼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를 위한 셀룰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셀룰러 모듈(102)과 웹브라우징, 단순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데이터 및 파일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랜 모듈(103)은 유사한 동작에 대해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및 무선랜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 밴드(Multi-band) 단말의 경우, 디플렉서(Diplexer: 210)는 안테나(209)를 통하여 셀룰러 CDMA와 5㎓ 대의 WLAN을 동시에 소화할 수 있고, 상기 디플렉서(210)에서 CDMA는 CDMA 스위치(211)로 분기되고, WLAN은 WLAN 스위치(214)로 분기된다.
예를 들어, 신호 수신의 경우, 상기 CDMA 스위치(211) 및 WLAN 스위치(214)에 연결되어 있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213, 216)는 공기중의 잡음이 포함된 수신 신호를 상기 잡음까지 증폭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하여 AFE(Analog Front End: 217) 내의 Rx ADC(218)로 수신된다.
상기 Rx ADC(218)는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저 대역 모뎀(223)으로 수신되어 수신 신호가 복조된다.
다음으로, 신호 송신의 경우, 상기 기저 대역 모뎀(223)에서 변조된 신호를 Tx DAC(219)로 송신하여 송신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전력 증폭기(212, 215)를 통하여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를 내보낼 수 있도록 전력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증폭된 송신 신호를 CDMA 스위치(211) 및 WLAN 스위치(214)로 송신하며, CDMA 및 WLAN 송신 신호는 상기 디플렉서(210)에서 각각 분기되어 해당 안테나(209)를 통하여 송신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107)은 A-GPS 안테나(220), GPS 저잡음 증폭기(222), Rx ADC(218) 및 Baseband Modem(223)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 인식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위치 기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A-GPS 안테나(220)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 수신 신호나 위성 신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기반 방식 또는 단말기에 장착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단말 기반 방식을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GPS 신호가 미약한 실내에서도 사용자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A-GPS 신호가 GPS BPF(Base Band Filter: 221)에서 GPS 대역을 통과여 GPS 저잡음 증폭기(222)로 전송된다.
상기 GPS LNA(222)에서 잡음을 억제하여 GPS 신호를 증폭한 후 Rx ADC(218)로 송신된다. 상기 Rx ADC(218)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Baseband Modem(223)로 송신되어 GPS 수신 신호가 복조된다.
결국, 상기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107)이 탑재된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위치 인식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위치 기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을 제어,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CDMA/WLAN/GPS Processor(224), DDR/SDRAM(226), NOR/NAND Flash(227) 및 ROM/ Flash/SRAM(2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DMA/WLAN/GPS Processor(224)는 상기 셀룰러 모듈(102), 무선랜 모듈(103) 및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107)의 제어,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DR/SDRAM(226)는 메가픽셀 카메라의 탑재와 동화상 메일, 화상 전화 등 미디어 기능이 확대되면서 해당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메모리이고, 상기 NOR/NAND Flash(227)는 프로그램 실행과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미디어 저장용 메모리이며, 상기 ROM/Flash/SRAM(228)는 시스템의 초기화, 메모리 관리, 부트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이다. 여기서, 상기 ROM/Flash/SRAM(228)은 기본적인 운영체제와 기본 소프트웨어가 들어 있는 ROM과 사용자 파일을 저장하는 SRAM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여러 메모리(226, 227, 228)를 접속하여 주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225)는 멀티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MMC), SD(Secure Digital),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의 외부 메모리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가 수행할 서비스 프로그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는 대부분의 과정을 ARM Core(229)가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저전력 고성능 디지털 신호 처리기인 DSP(230)는 비디오, 이미지 및 그래픽 처리를 지원하고, 광대역 스테레오 코덱의 하드웨어 가속 기능, 기저 대역 모뎀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전력 관리부(231)는 배터리 관리, 전압 변동, 컬러 LCD 백라이트(Backlight) 전원 공급, USB OTG 트랜시버 전원 지원, 자동 파워-온 복구 기능 및 셀 배터리 백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부(Connectivity: 232)는 키패드(239)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키패드 인터페이스(233), 타 단말 장치와 각종 프로그램을 주고받을 수 있는 PCMCIA/CF(234), 모바일 전자 상거래, 가입자 인식/인증, 모바일 지불 서비스를 지원하는 생체 인식 장치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지문 인식(240)을 사용하여 지문 추출 정보의 송수신과 이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위한 USB Device(235), PC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직렬 포트 단자에 연결된 범용 통신장치(UART: 236), 각종 프로그램을 주고받을 수 있고 노트북처럼 적외선 포트를 갖춘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외선 포트인 IrDA(237), 위성 DMB의 비디오 출력 신호를 컬러 LCD(241)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 제어기(238)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액세스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에서, 디지털 카메라 모듈(104)은 카메라폰(243), 카메라 I/F(242), 핸드셋 스피커(244), 스테레오 헤드셋(245), 마이크로폰(246) 및 스테레오 입력단자(247)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폰(243) 내의 이미지센서는 고체촬상소자(CCD) 또는 CMOS 방식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며, 상기 Camera I/F(242)는 이러한 고체촬상소자(CCD) 또는 CMOS 방식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드셋 스피커(244) 및 스테레오 헤드셋(245)은 음성 및 오디오 출력 단자를 지원하며, 상기 마이크로폰(246) 및 스테레오 입력단자(247)는 음성 및 오디오 입력 단자를 지원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합 휴대 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도별로 분리된 단말을 하나의 단말로 서비스와 기술이 융합된 휴대 단말 수요 증가가 예측되며, 융합 휴대 단말 구성 요소 기술을 만족하는 표준화 및 규격을 모듈화로 접속하여 개방형 구조의 플랫폼에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로 모듈 포트를 꼽으면 바로 동작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세대 융합 휴대 단말은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여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기보다는 기존의 단말기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부가 가치를 창출해 기존에 보이지 않던 틈새(niche) 시장을 개척하고 교체 시장을 획득해 나가기 위한 단말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모듈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 장치를 구성하며, 개방형 구조의 플랫폼에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융합 휴대 단말;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음성 통화를 위하여 셀룰러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셀룰러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웹브라우징, 메시징 서비스 또는 데이터/파일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랜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이동 중인 휴대용 단말 보유 가입자에게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위성 DMB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위치 서비스(Mobile Location Service: MLS) 모듈;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융합 휴대 단말 내에 모듈 형식으로 탑재되며, 모바일 서비스 관련 가입자 식별을 수행하는 생체 인식 장치
    를 포함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휴대 단말은,
    상기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의 제어,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CDMA/WLAN/GPS 프로세서;
    상기 융합 휴대 단말이 수행할 서비스 프로그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이를 처리하는 ARM 코어;
    비디오, 이미지 및 그래픽 처리를 지원하고, 광대역 스테레오 코덱의 하드웨어 가속 기능, 기저 대역 모뎀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인(DSP); 및
    배터리 관리, 전압 변동, 컬러 LCD 백라이트(Backlight) 전원 공급, USB OTG 트랜시버 전원 지원, 자동 파워-온 복구 기능 및 셀 배터리 백업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 관리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DMB 모듈은,
    이동 중인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위성 및 위성 중계기(Gap Filler)에서 송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받는 위성 DMB 안테나;
    상기 위성 DMB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2.535㎓∼2.655㎓의 S-Band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S-Band 처리기;
    상기 S-Band 처리기에서 처리된 주파수 코드 분할 다중 방식(CDM) 신호를 복조하는 CDM 복조부;
    상기 CDM 복조부를 통해 복조된 신호를 System-E 방식의 규격에 맞게 신호를 처리하고, 이렇게 처리된 신호를 비디오와 오디오의 디코딩 방식을 결정하는 역다중화부; 및
    상기 역다중화부로부터 입력받는 디코딩 방식에 의해 각 방송 방식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는 DMB 신호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MB 신호 복호화부는,
    상기 역다중화부를 통하여 복조된 CDM 수신 신호를 받아 MPEG-4(H.264)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복호화부;
    AAC+ 스트림을 복호화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복화화부; 및
    상기 역다중화부를 통하여 복조 및 역다중화된 수신 신호 데이터를 제어 신호와 함께 시리얼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데이터 방송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은, 상기 융합 휴대 단말이 셀룰러 및 무선랜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 밴드(Multi-band) 단말의 경우, 안테나를 통하여 셀룰러 CDMA와 WLAN을 동시에 소화할 수 있는 디플렉서(Diplexer)를 포함하며,
    상기 디플렉서에 의해 CDMA는 CDMA 스위치로 분기되고, WLAN은 WLAN 스위치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은, 신호 수신의 경우, 상기 CDMA 스위치 및 WLAN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가 공기중의 잡음이 포함된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잡음까지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신호를 증폭하고, 수신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가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면, 기저 대역 모뎀이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은, 신호 송신의 경우, 기저 대역 모뎀에서 변조된 신호를 송신단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단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송신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면, 전력 증폭기가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를 내보낼 수 있도록 전력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증폭된 송신 신호를 CDMA 스위치 및 WLAN 스위치로 송신하며, CDMA 및 WLAN 송신 신호는 디플렉서에서 각각 분리되어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위치 서비스 모듈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단말 기반 방식의 A-GPS 신호를 수신하는 A-GPS 안테 나;
    상기 A-GPS 신호가 GPS 대역인 경우, 이를 통과시키는 GPS BPF(Base Band Filter);
    상기 GPS BPF를 통과한 A-GPS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억제하여 GPS 신호를 증폭하는 GPS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A-GPS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및
    상기 수신부 ADC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A-GPS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기저대역 모뎀(Baseband Modem)
    을 포함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장치는 지문 인식을 사용하여 지문 추출 정보의 송수신과 이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고체촬상소자(CCD)와 CMOS 방식을 지원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KR1020050029307A 2004-12-11 2005-04-08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KR100633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645 2004-12-11
KR20040104645 2004-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021A true KR20060066021A (ko) 2006-06-15
KR100633485B1 KR100633485B1 (ko) 2006-10-13

Family

ID=3716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307A KR100633485B1 (ko) 2004-12-11 2005-04-08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48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223B1 (ko) * 2005-10-04 2006-11-1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dmb 및 lbs 연동 위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683061B1 (ko) * 2005-10-27 2007-02-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플랫폼의 수정없이 신규 모바일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05164B1 (ko) * 2005-08-25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918B1 (ko) * 2005-11-29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접속방법
WO2009022876A1 (en) * 2007-08-14 2009-02-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935376B1 (ko) * 2006-12-19 2010-01-06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음성 데이터 rf 셀룰러 또는 wlan 집적회로
US7689174B2 (en) 2006-12-19 2010-03-30 Broadcom Corporation Voice data RF GPS integrated circuit
KR100963209B1 (ko) * 2006-12-19 2010-06-16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셀룰러폰 집적회로 및 그 애플리케이션
US7899410B2 (en) 2006-12-19 2011-03-01 Broadcom Corporation Adjustable antenna interface and applications thereof
US7920527B2 (en) 2006-12-19 2011-04-05 Broadcom Corporation Real-time/non-real-time/RF IC and applications thereof
US7953439B2 (en) 2006-12-19 2011-05-31 Broadcom Corporation Voice-data-RF integrated circuit
US8355749B2 (en) 2009-06-25 2013-01-15 Electronics And Tel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mod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ntent controller,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terminal cradle
KR101375566B1 (ko) * 2013-05-09 2014-03-19 넷코덱(주) 푸시 투 토크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N110557735A (zh) * 2018-05-30 2019-12-10 奥维飞越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域宽带无线网络的通信系统
CN112437503A (zh) * 2020-11-23 2021-03-02 北京航天泰坦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通导遥技术的智能终端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164B1 (ko) * 2005-08-25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0645223B1 (ko) * 2005-10-04 2006-11-1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dmb 및 lbs 연동 위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683061B1 (ko) * 2005-10-27 2007-02-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플랫폼의 수정없이 신규 모바일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12918B1 (ko) * 2005-11-29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접속방법
US7899410B2 (en) 2006-12-19 2011-03-01 Broadcom Corporation Adjustable antenna interface and applications thereof
US7920527B2 (en) 2006-12-19 2011-04-05 Broadcom Corporation Real-time/non-real-time/RF IC and applications thereof
US7689174B2 (en) 2006-12-19 2010-03-30 Broadcom Corporation Voice data RF GPS integrated circuit
US7702345B2 (en) 2006-12-19 2010-04-20 Broadcom Corporation Voice data RF disk drive IC
KR100956969B1 (ko) * 2006-12-19 2010-05-11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음성 데이터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KR100963209B1 (ko) * 2006-12-19 2010-06-16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셀룰러폰 집적회로 및 그 애플리케이션
US8374225B2 (en) 2006-12-19 2013-02-12 Broadcom Corporation Voice/data/RF integrated circuit
KR100935376B1 (ko) * 2006-12-19 2010-01-06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음성 데이터 rf 셀룰러 또는 wlan 집적회로
US7953439B2 (en) 2006-12-19 2011-05-31 Broadcom Corporation Voice-data-RF integrated circuit
WO2009022876A1 (en) * 2007-08-14 2009-02-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355749B2 (en) 2009-06-25 2013-01-15 Electronics And Tel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mod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ntent controller,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terminal cradle
KR101375566B1 (ko) * 2013-05-09 2014-03-19 넷코덱(주) 푸시 투 토크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CN110557735A (zh) * 2018-05-30 2019-12-10 奥维飞越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域宽带无线网络的通信系统
CN110557735B (zh) * 2018-05-30 2024-02-27 中泓慧联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区域宽带无线网络的通信系统
CN112437503A (zh) * 2020-11-23 2021-03-02 北京航天泰坦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通导遥技术的智能终端
CN112437503B (zh) * 2020-11-23 2024-03-15 航天科工(北京)空间信息应用股份有限公司 基于通导遥技术的智能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485B1 (ko) 200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485B1 (ko) 다기능 융합 휴대 단말 장치
US10104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JP4944945B2 (ja) 携帯電話機、システム、及び、遠隔デバイス
EP1610546A2 (en) High frequency signal receiving apparatus
KR101713930B1 (ko)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9538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WO2022262262A1 (zh) 终端设备通过蓝牙外设拾音的方法及终端设备
KR20110040590A (ko) 휴대단말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5117098B2 (ja) 単一アンテナで移動放送の受信とブルートゥース送受信とが可能な無線通信装置
US20080207262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N101340253B (zh) 移动多媒体广播接收装置、接收卡及接收终端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CN101877619A (zh) 兼具调频与多媒体广播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CN100555251C (zh) 在电脑上播放所连接手机接收的电台广播信号的方法
CN101217736B (zh) 一种带移动数字电视功能的手机
KR10080736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신호 처리방법
CN114125352A (zh) 屏幕共享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201315595Y (zh) 数字电视智能手机
CN107317981B (zh) 一种基于dvb-c与dtmb的信道接收切换控制装置及方法
CN101026767B (zh) 提高dmb接收终端中的信道改变速度的设备和方法
KR20070058140A (ko) 특수효과를 이용한 화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268994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using the same
KR200402071Y1 (ko) 디엠비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100609982B1 (ko) 이어잭을 이용하여 외장형 dmb 안테나를 착탈할 수있도록 한 dmb폰 및 이어잭을 이용하여 외장형 dmb안테나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dmb폰을 통한방송수신방법
CN101867429A (zh) 一种实现收音机功能的方法、系统及个人计算机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