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261A -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261A
KR20060065261A KR1020040104071A KR20040104071A KR20060065261A KR 20060065261 A KR20060065261 A KR 20060065261A KR 1020040104071 A KR1020040104071 A KR 1020040104071A KR 20040104071 A KR20040104071 A KR 20040104071A KR 20060065261 A KR20060065261 A KR 2006006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torage spa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건호
전혜정
도대원
배소영
최우영
조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5261A/ko
Publication of KR2006006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음성 신호, 음악 신호 혹은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시키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구성부간 상기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재생되거나 입출력 제어된 신호를 코딩/디코딩하는 코덱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구성부가 내장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코덱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수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로 기동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를 청취하는 경우에는 스피커가 외부로 기동되어 음향효과가 극대화된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고, 오디오 청취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가 이동통신단말기 내부로 접어넣어짐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큰 사이즈의 스피커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스피커가 외부로 기동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Device having pellicle type of sp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박막형 스피커가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박막형 스피커가 접혀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우징부 수납공간 및 박막형 스피커에 형성된 스냅핏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식 버튼 구조에서 스피커가 탄력편에 결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식 버튼 구조에서 스피커가 압박되어 탄력편이 후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식 버튼 구조에서 스피커가 압박된 뒤 탄력편으로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5: 제어부 110: 전원장치
115: 송수신부 120: DTMF부
125: 화면표시부 130: 키입력부
135: 링거부 140: 메모리부
145: 스피커 150: 스위치
155: 코덱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Book폰 등 휴대가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인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외에도 음악 및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기능, 통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다이어리 기능, 촬영/재생 기능 및 오락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기능은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지하철,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한다든지 약속한 사람을 기다리는 등의 일상 생활에서 음악을 청취하거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오디오 기능을 강화한 휴대폰(보통, "뮤직폰"이라 불리운다)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보통, "DMB폰"이라 불리운다)도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뮤직폰의 경우 MP3(MPEG-1 Audio Layer 3), WMA(Windows Media Audis file) 등 다양한 오디오 코덱을 적용시켜 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 못지 않은 음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DMB폰 역시 고품질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오디오 청취용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뮤직폰 및 DMB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피커 구조로는 효과적인 오디오 청취가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피커가 하나로 구비되고, 혹은 두 개로 구비된다고 하여도 스피커 배치의 제약으로 인하여 스테레오나 3D(Dimension) 음향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둘째, 이동통신단말기 상에 장착되는 스피커의 사이즈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음장효과를 느끼기 어렵다.
셋째, 고성능의 스피커를 구비한다 하여도 이동통신단말기 상에 내장됨으로써 스피커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 스피커를 마련하고 블루투쓰 모듈 혹은 FM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휴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스피커의 구조상 한계를 극복하여 스테레오, 3D 및 다양한 음장효과를 표현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며, 오디오를 청취하는 경우와 청취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여 스피커의 장착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음성 신호, 음악 신호 혹은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시키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구성부간 상기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재생되거나 입출력 제어된 신호를 코딩/디코딩하는 코덱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구성부가 내장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코덱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수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로 기동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휴대폰인 것으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폰은 제어부(105), 전원장치(110), 송수신부(115),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부(120), 메모리부(140), 화면표시부(125), 키입력부(130), 링거부(135), 코덱(CODEC; COder and DECoder)부(155) 및 스피커(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부간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송수신부(115)가 유/무선 네트워크(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함)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음성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상기 DTMF부(120)를 기능시킨다.
상기 제어부(105)는 페이징 채널, 액세스 채널, 역방향 트래픽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을 관리하여 호처리 및 로밍 등을 처리하며, 통화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링거부(135)를 기능시켜 사용자가 음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화면표시부(125), 키입력부(130) 및 스피커 (145)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고, 상기 메모리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각종 제어용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시켜 관리한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105)는 사용자 메뉴얼을 제공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 다이어리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기능, TV수신 기능 등의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5)는 DTMF 신호, 음성 신호, 링거 신호, 음악 신호 혹은 음향 신호 등의 여러 가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상기 코덱부(155)로 전달한다.
상기 송수신부(115)는 안테나, 듀플렉서, 송신기, 수신기, 시간/주파수 서브 시스템, 이득제어 시스템, FM기저 대역 신호처리기, 전이중 확산 변복조기 등을 구비하여 기지국 및 중계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05)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송신한다.
상기 DTMF부(120)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 중 DTMF 신호를 추출하여 디코딩하고 이를 사용자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어부(105)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인가받아 다시 DTMF신호로 인코딩하고 상기 송수신부(115)로 전달한다.
상기 화면표시부(12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05)가 처리한 사용자 메뉴 화면, 컨텐츠 화면, 카메라 화면 등을 화면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130)는 키패드 및 접점 스위치를 통하여 키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05)로 전달하는 입력칩셋을 구비한다.
전원장치(110)는 상기 제어부(105)를 비롯하여 각 구성부로 전원을 제공하는데, 보통 충전용 전원공급장치(이하에서, "배터리"라 한다)(112)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어서, 상기 코덱부(155)는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부호화(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데, 상기 스피커(145)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복호화된 신호를 전달한다.
가령, 상기 코덱부(155)는 상기 송수신부(115)로부터 수신된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에서 재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조하는데, 이하에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스피커(145)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제어부(105)가 재생시킨 음악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하우징은 상체부(예를 들면, 여러 가지 핸드폰 모델에 따라서 폴더형 혹은 슬라이딩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및 상기 상체부가 결합되는 본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LCD는 상체부에 위치되고, 키패드, 마이크(도시되지 않음), 스피커(145) 등의 장치는 본체부 상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 송수신부(115), 전원장치(110), 메모리부(140) 및 코덱부(155)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바로 저측으로 PCB(Printed Circuit Board)상에서 구현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전원장치(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2)가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하우징에 형성된 수납공간(a)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전술한 하우징 구조상에서 또 다른 수납공간(a)을 형성하는데, 상기 수납공간(a)은 박막형 스피커(145)가 내삽될 수 있는 사이즈의 판(박막)형 공간이다.
상기 수납공간(a)은 상기 키패드, PCB 등이 위치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측 및 상기 배터리(112)가 위치되는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양측면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상에서 박막형 스피커(145)가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상에서 박막형 스피커(145)가 접혀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피커(145)는 상기 코덱부(155)로부터 복호화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시키며, 상기 수납공간(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a)에 수납되거나 상기 수납공간(a)의 외부로 기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145)는 박막형 스피커로서 2개로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a)의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수납되거나 기동된다.
이때, 상기 박막형 스피커(145)는 힌지수단(b; 도5에 도시됨)을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a)에 각각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수납공간(a)의 양측면으로 개방된 면을 통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하우징부 수납공간(a) 및 박막형 스피커에 형성된 스냅핏 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스피커(145)는 상기 힌지축(b)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단부면에 스냅핏 컷(c)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145)가 상기 수납공간(a) 외부로 펼쳐진 경우 상기 스냅핏 컷(c)과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a) 내부면에는 스냅핏 돌기(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핏 체결 구조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145)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a)에 탄력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냅핏 체결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스냅핏 컷 및 스냅핏 돌기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피커(145)가 상기 수납공간(a) 내부로 접혀졌을 경우에도 상기 스피커(145)는 상기 수납공간(a)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때 상기 스냅핏 구조와는 달리 누름식 버튼 구조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식 버튼 구조에서 스피커(145)가 탄력편(20)에 결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식 버튼 구조에서 스피커(145)가 압박되어 탄력편(20)이 후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식 버튼 구조에서 스피커(145)가 압박된 뒤 탄력편(20)으로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의하면, 상기 스피커(145)는 걸림홈(15) 및 돌기(10)가 저면에 형성 되는데, 상기 걸림홈(15)은 상기 돌기(10)에 비하여 그 크기가 작고, 상기 돌기(10)에 바로 이어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의 수납공간(a) 내부 측벽에는 요철편(20)이 고정되는데, 상기 요철편(20)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홈(15)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a) 내부 측벽에는 상기 요철편(20) 상측으로 홈(22)이 형성되어 이동돌기(26)가 활주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홈(22)의 내부에는 용수철(24)이 내삽되어 상기 이동돌기(26)를 외부로 압박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스피커(145)가 접혀지면 상기 요철편(20)은 상기 걸림홈(15)에 체결되고, 상기 이동돌기(26)는 내측으로 밀어져 상기 용수철(24)을 수축시킨다. 여기서, 상기 용수철(24)의 탄성 강도는 상기 요철편(20)의 탄성 강도보다 크지만 상기 요철편(20)과 걸림홈(15)의 체결을 해지할 정도로 강하지는 않다.
도 6b에 의하면, 상기 스피커(145)가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지는 경우, 상기 이동돌기(26)에 의하여 상기 용수철(24)은 보다 강하게 수축되고, 상기 요철편(20)은 상기 스피커(145)의 돌기(10)에 의하여 후방으로 제껴져 있다.
도 6c에 의하면, 사용자가 눌렀다가 놓음으로써 상기 스피커(145)는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돌출되는데, 우선, 상기 용수철(24)이 강하게 팽창되어 상기 스피커(145)를 밀어내고 후방으로 제겨졌던 상기 요철편(20)은 원위치로 돌아온다. 그러나, 상기 요철편(20)이 원위치로 돌아오기 전에 상기 걸림홈(15) 구간은 지나치게 되고, 상기 스피커(145)의 체결 구조는 해지된다.
이러한 체결 해지 동작은 상기 용수철(24) 및 요철편(20)의 탄성강도 차이 및 상기 돌기(10)와 걸림홈(15)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145)가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일부 돌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145)를 끝까지 펼쳐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외의 여러가지 누름식 버튼 구조가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145)가 접혀진 경우에도 전술한 스냅핏 체결 구조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145) 및 상기 수납공간(a)은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체결되고, 걸림 구조의 해지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스피커(145)가 펼쳐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체결 구조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널리 공지된 기술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피커(145)는 스위치(150)를 구비하여 온/오프되는데, 스위치(150)는 수동형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수납공간(a) 내부의 이동돌기가 접점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이동돌기가 눌러지면 상기 스피커(145)가 오프되고, 돌출되면 상기 스피커(145)가 온되는 구조로 응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오디오를 청취하는 경우에는 스피커가 외부로 기동되어 음향효과가 극대화된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고, 오디오 청취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가 이동통신단말기 내부로 접어넣어짐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보다 큰 사이즈의 스피커를 장착시킬 수 있고, 스피커가 외부로 기동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신호, 음악 신호 혹은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시키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구성부간 상기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재생되거나 입출력 제어된 신호를 코딩/디코딩하는 코덱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구성부가 내장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코덱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수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로 기동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박막형 스피커이고,
    상기 수납공간은 박막형 수납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 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입출력 장치가 형성되는 본체의 상면부 및 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본체의 저면부 사이에 상기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형 스피커는
    힌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수납공간상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장착된 누름식 버튼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납된 스피커가 다시 눌러지는 경우 상기 체결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었을 경우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형성된 걸림 구조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걸림 구조의 해지 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체결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104071A 2004-12-10 2004-12-10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65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071A KR20060065261A (ko) 2004-12-10 2004-12-10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071A KR20060065261A (ko) 2004-12-10 2004-12-10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61A true KR20060065261A (ko) 2006-06-14

Family

ID=3716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071A KR20060065261A (ko) 2004-12-10 2004-12-10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52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880B2 (en) Hands-free function
US937445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1662605B1 (en) FM transmission antenna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JP2001007900A (ja) 多機能移動通信端末機
KR100312955B1 (ko) 휴대폰의 인터넷 데이터 다운링크 예약방법
KR101018262B1 (ko) 휴대형 전화기
KR20060065261A (ko) 박막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7694879B2 (en) Remote controller with hands-free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JP2002057768A (ja) 携帯型の電話装置
KR200241125Y1 (ko)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JP2002359666A (ja) 移動通信端末
KR100671302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KR100650572B1 (ko) 휴대폰과 에프엠트랜스미터 어셈블리
KR100689455B1 (ko)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모리 확장팩
KR100366274B1 (ko) 프론트 착탈식 자동차용 오디오 세트
KR20070050574A (ko) 귀걸이형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JP2002218019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移動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10060607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 통신 단말의 볼륨 설정 방법및 장치
KR20060041079A (ko) 팝노이즈 출력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7879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KR20050117755A (ko) 헤드셋 키값 변환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40093244A (ko)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무선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JP2001007903A (ja) 携帯オーディオ機器
KR20010018187A (ko) 엠피3 플레이어를 갖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중에 통화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