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260A -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 Google Patents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260A
KR20060065260A KR1020040104069A KR20040104069A KR20060065260A KR 20060065260 A KR20060065260 A KR 20060065260A KR 1020040104069 A KR1020040104069 A KR 1020040104069A KR 20040104069 A KR20040104069 A KR 20040104069A KR 20060065260 A KR20060065260 A KR 2006006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ubstrate
switch
button swit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3850B1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850B1/en
Publication of KR2006006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8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버튼 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르는 놉; 상기 놉 하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 누름부; 상기 스위치 누름부와 정렬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안착되는 기판; 상기 놉의 하측부와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놉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놉 지지구가 포함된다.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user presses the knob; A plurality of switch presse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of the knob;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to be aligned with the switch pressing part are seated; A knob support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knob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ubstrate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knob is included.

본 발명에 의해서 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가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누름 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배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button switch can be improved, and the user can find the push position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more conveniently.

다방향, 스위치Multi-directional, switch

Description

다방향 버튼 스위치{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놉 지지구의 배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knob support;

도 4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놉 2 : 놉 지지구 3 : 기판1: knob 2 knob support 3: substrate

4 : 외부패널 11 : 방향 지시부 21 : 홀더4 outer panel 11 direction indicator 21 holder

본 발명은 다방향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일의 구조물에 의해서 다수의 버튼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되는 버튼만이 적절히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a plurality of button switches by a single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n which reliability of operation is improved by allowing only selected buttons to be properly operated.

다방향 버튼 스위치는 단일의 몸체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 예를 들면 네 개의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특정 위치 및 방향의 특정 버 튼 스위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구물이다.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s a mechanism that allows a user to selectively operate only a specific button switch of a specific position and direc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button switches in a singl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

이러한 기구물은 오디오, 비디오, 휴대폰등에 다수 적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해당되는 버튼과 메칭되는 기기의 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좌우방향의 버튼 스위치에 의해서는 음향을 크게하거나 작게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하방향의 버튼 스위치에 의해서는 음반트랙의 위치가 이동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Many of these devices are applied to audio, video, mobile phones, and the like, and the user can induce the operation of a device matched with a corresponding button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For example, the fun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ound is performed by the left and right button switches, and the function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record track is performed by the up and down button switches.

한편, 종래의 다방향 버튼 스위치는, 스위치의 어느 일측을 누를 때 다른 쪽에 놓이는 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에 있는 버튼 스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고서 다방향 버튼 스위치를 동작시켜야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의 버튼 스위치가 눌려진 뒤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부재가 버튼 스위치의 내부에 부설되는데, 그러한 탄성 부재는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영구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다방향 스위치의 동작이 원하는데로 수행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since the button placed on the other side is often pressed at the same time when one side of the switch is pressed, the user visually confirms the exact position of the button switch in the desired dir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o operate. Then, in order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button switch of a particular position is pressed, a predetermined elastic member is placed inside the button switch, which is a multi-directional switch because the permanent deformation occurs as the use time becomes long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was not performed as desired.

또한, 다방향 버튼 스위치가 기기의 외부 패널에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 패널의 형상을 미려하게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고, 전체로서 기기의 디자인을 아름답게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s fixed to the external panel of the device, there is a limit in making the shape of the external panel beautifully, and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design of the device beautifully as a whole.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is improved.                         

또한, 버튼 스위치가 외부 패널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패널이 미려하게 구성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by allowing the button switch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panel, which can be beautifully configured.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버튼 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르는 놉; 상기 놉 하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 누름부; 상기 스위치 누름부와 정렬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안착되는 기판; 상기 놉의 하측부와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놉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놉 지지구가 포함된다.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knob that the user presses; A plurality of switch presse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of the knob;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to be aligned with the switch pressing part are seated; A knob support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knob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ubstrate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knob is included.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다방향 버튼 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르는 제공되는 놉; 상기 놉의 모서리와 정렬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안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외측에 제공되는 외부패널; 상기 놉과 결합되어 상기 놉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중심부는 상기 기판과 닿는 놉 지지구; 상기 놉 지지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아암; 및 상기 탄성 아암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외부패널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놉 지지구의 위치가 지지되도록 하는 홀더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ncludes a knob provided to be pressed by a user;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which are aligned with an edge of the knob, is mounted; An outer panel provided outside the substrate; A knob support coupled to the knob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knob, the center portion of the knob supporting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elastic arms extending outwardly of the knob support; And a holder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uter panel at an outer end of the elastic arm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knob support.

제안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에 의해서 버튼 스위치의 사용상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다수의 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oposed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use of the button switch,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a plurality of button switch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도면 및 그와 관련되는 설명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specific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s rela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기판(3)과, 상기 기판(3)의 바깥쪽에 놓이는 외부패널(4)과, 상기 외부패널(4)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측이 막혀진 상태로 대략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놉(knob)(1)과, 상기 놉(1)과 상기 기판(3)의 사이에 개입되어 놉(1)의 설치상태 및 동작이 가이드되는 놉 지지구(2)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a substrate 3 provided inside the device, an outer panel 4 placed outside of the substrate 3,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is blocked and protruded out of the outer panel 4 is blocked. A knob 1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knob support 2 interposed between the knob 1 and the substrate 3 to guide the installation state and operation of the knob 1 is provided. Included.

또한, 놉(1) 상측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는 놉(1)이 눌러지는 위치가 지시되는 방향 지시부(1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방향지시부(11)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놉(1)에 의한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top of the knob 1 are provided with a direction indicating unit 11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knob 1 is pressed, and the knob 1 is operated by a user pressing the direction indicating unit 11. By the operation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s made.

또한, 상기 놉 지지구(2)의 네 단부에는 홀더(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21)는 외부패널(4)과 기판(3)의 사이 공간에 개입되어 접촉됨으로써, 놉(1)의 위치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21)는 네 군데에 형성됨으로써, 놉(1)의 눌려지는 부위가 상하좌우 어느 쪽이더라도 놉(1)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로 안전하게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21)에는 상기 외부 패널(4)로 부터 연장되는 돌기가 삽입되어, 외부 패널(4)과 홀더(21)의 위치가 상호간에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 holders 21 are formed at four ends of the knob support 2, and the holders 21 are interposed in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anel 4 and the substrate 3 to thereby contact the knobs 1. The position of is supported.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21 is formed in four places, the position of the knob 1 can be safe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even if the pressed part of the knob 1 is up, down, left, or right. In addition,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outer panel 4 may be inserted into the holder 21 to allow the positions of the outer panel 4 and the holder 21 to be mutually supported.

또한, 상기 외부 패널(4)에 상기 놉(1)의 외주 단턱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놉(1)은 외부 패널(4)의 바깥으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p portion of the knob 1 is caught by the outer panel 4, the knob 1 may be firmly supported without falling out of the outer panel 4.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놉 지지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놉(1)과, 놉 지지구(2)와, 기판(3)의 형상 및 상호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knob support.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the shape and mutual relationship of the knob 1, the knob support 2, and the board | substrate 3 are demonstrated in detail.

먼저, 상기 놉(1)은 전체적으로 원형틀의 형상으로서 상면에는 방향지시부(11)가 표시되어 있고, 놉(1) 하측의 네 군데의 모서리에는 스위치 누름부(12)가 형성되고, 놉(1)의 가운데 부분에서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놉 연장부(13)가 형성된다. First, the knob 1 has a circular frame as a whole, and a direction indicating portion 11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witch pressing portion 12 is formed at four corners below the knob 1, and the knob 1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he knob extension portion 13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상세하게, 상기 방향지시부(11)는 사용자에게 놉(1)의 누름 부위가 정확하게 알려지도록 하는 역할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누름부(12)는 놉(1)의 누름 동작 시에 스위치(도 4의 31참조)와 닿는 부분으로서, 놉(1)이 눌려질 때 스위치(31)가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31) 및 스위치 누름부(12)는 네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위치(31)의 필요개수에 따라서 적절히 증감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놉 연장부(13)는 상기 놉 지지구(2)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놉(1)과 놉 지지구(2)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In detail, the direction indicating unit 11 serves to accurately inform the user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knob 1. In addition, the switch pressing part 12 is a part which contacts the switch (see 31 in FIG. 4)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knob 1, so that the switch 31 is operated when the knob 1 is pressed. Although the switch 31 and the switch pressing part 12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four, they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quired number of switches 31. In addition, the knob extension 13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knob support 2 so that the knob 1 and the knob support 2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놉 지지구(2)에는 상기 놉 연장부(13)가 삽입되는 놉 안착구(24)와, 상기 놉 안착구(24)에서 네 곳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아암(22)과, 상기 탄성 아암(22)의 끝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더(21)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knob support 2 has a knob seat 24 into which the knob extension 13 is inserted, and an elastic arm 22 extending in four directions from the knob seat 24. And a holder 21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elastic arm 22.

상세하게, 상기 놉 안착구(24)는 놉 연장부(13)가 삽입될 때, 놉 안착구(24)가 일정 길이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절개부(25)가 네 방향에 형성된다. 그리 고, 상기 홀더(21)는 기판(3)과 외부패널(4)의 사이에 놓여 지지됨으로써, 기판(3) 및 외부패널(4)에 대한 놉(1)의 상대적인 위치가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아암(22)은 놉(1)이 눌려질 때 부드럽게 탄성변형되어, 놉(1)을 누르는 사용자에게 경쾌한 느낌을 주고, 놉(1)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놉(1)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놉(1)이 눌러질 때 놉(1)의 변위가 부드럽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아암(22)은 놉 안착구(2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정도 연장된 뒤에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놉(1)을 누르는 외력이 가하여질 때 부드러운 탄성이 가하여지게 되어 사용자의 취미감이 증진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knob seat 24 has a cutout 25 formed in four directions to open the knob seat 24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knob extension part 13 is inserted. Then, the holder 21 is placed between the substrate 3 and the outer panel 4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nob 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3 and the outer panel 4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elastic arm 22 is softly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knob 1 is pressed to give a light feeling to the user who presses the knob 1 and when the force to press the knob 1 is removed. This provides a forc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particular, the elastic arm 22 extends outwardly to some ext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knob seat 24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knob 1 is smoothly supported when the knob 1 is pressed. Is formed. By forming in this way, it is expected that the soft elasticity is applied when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knob 1 is applied, thereby enhancing the user's hobby.

또한,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놉 지지구(2)의 하측부에는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3)가 제공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23)는 기판(3)의 가이드 홈(도 4의 32참조)에 안착됨으로써, 놉(1)이 전체적으로 눌려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놉(1)의 다른 부분을 누르는 경우에도 두군데의 스위치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놉(1)을 누를 때, 상기 방향지시부(11)를 정확하게 누르지 않고, 놉(1)의 중심으로 치우친 쪽으로 누를 때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3)가 기판(3)과 닿아서 놉(1)이 하측으로 밀려내려가지 않으므로, 두개 이상의 스위치가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도 4의 단면도를 통해서 정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knob support 2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23 extending further downward, the guide protrusion 23 is a guide groove (Fig. 4) of the substrate (3). And the knob (1) as a whole, so that it is not pressed entirely. Therefore, even if the user inadvertently presses another part of the knob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o switches from being operated at the same time. In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knob 1, the guide protrusion 23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3 when the user presses the direction indicating part 11 accurately and pushes toward the center of the knob 1. Since the knob 1 is not pushed downward, the case where two or more switches are pressed simultaneously does not occur. This description can be understood precisely through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도 4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버튼 스위치는 다수의 특징이 있는데, 먼저, 놉 지지구(2)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23)와, 상기 가이드 돌기(23)가 안착되기 위하여 기판(3)에 가공되는 홈(32)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놉(1)의 중심부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가이드 돌기(23)가 홈(3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놉(1)은 하측으로 눌려지지 않게 되고, 어느 스위치(31)도 동작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사용자는 정확한 위치를 찾아서 다시 놉(1)을 누르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umber of features. First, a guide protrusion 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knob support 2 and the guide protrusion 23 are provided. A groove 32 is included in the substrate 3 to be seated.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er of the knob 1, since the guide protrusion 23 is supported by the groove 32, the knob 1 is not pressed downward, and neither switch 31 is operated. No. Therefore, no action occurs and the user finds the correct position and presses the knob 1 again.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23)와 홈(32)은 상호 정렬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놉 지지구(2)가 기판(3)에 대하여 놓이는 위치가 정확하게 찾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uide protrusion 23 and the groove 32 are accurately seated at the mutually aligned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where the knob support 2 is placed relative to the substrate 3 can be accurately found.

또한, 상기 놉 지지구(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곳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더(21)와, 상기 홀더(21)와 놉 안착구(24)를 연결하는 탄성 아암(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놉(1)의 특정 지점이 눌려질 때, 사용자에게 경쾌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긴 간격으로 탄성아암(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되는 과도한 힘에 의해서도 탄성아암(22)이 변형되지 아니하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ders 21 are form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knob support 2, and an elastic arm 22 connecting the holder 21 and the knob seat 24 is formed. Therefore, when a specific point of the knob 1 is pressed, it can give a light and soft feeling to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arm 22 is formed at a relatively long interval, the elastic arm 22 is not deformed even by repeated excessive forc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연질의 놉 지지구(2)에 놉(1)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세하게는 놉 안착구(24)에 놉 연장부(13)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놉(1)과 놉 지지구(2)의 상호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knob 1 is fitted to the soft knob support 2, the knob extension portion 13 is fitted to the knob seat 24, so that the knob 1 and the knob support ( The mutual fixing of 2) can be made firm.

또한, 외부패널(4)은 실질적으로 놉(1)과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놉(1)이 바 깥쪽으로 빠지지 않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외부패널(4)은 간단하고 미려하게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panel 4 is substantially a separate part from the knob 1, the outer panel 4 only serves to prevent the knob 1 from falling outwards, so that the outer panel 4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beautifully. There is an advantage.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시각에서 놉(1)의 동작 내지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operations and actions of the knob 1 from the user's perspecti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놉(1)의 특정 지점으로서 상기 방향지시부(11)가 형성되는 지점을 누르면, 상기 방향지시부(11)가 형성되는 놉(1)의 일측은 하측으로 밀려내려간다. 그리고, 특정의 방향지시부(11)와 정렬 형성되는 스위치 누름부(12)가 하측으로 밀려내려가고, 상기 스위치 누름부(12)는 대응되는 스위치(31)를 눌러 스위치(31)를 동작시킨다. 물론, 상기 놉(1)이 내려갈 때에는 눌려지는 스위치 누름부(12)에 인접하는 두 군데의 탄성아암(22)이 하측으로 부드럽게 꺾이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아암(22)의 단부에 제공되는 홀더(21)가 탄성아암(22)의 동작 지지점이 되는 것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when a user presses a point at which the direction indicating unit 11 is formed as a specific point of the knob 1, one side of the knob 1 on which the direction indicating unit 11 is formed is pushed downward. In addition, the switch pressing portion 12 aligned with the specific direction indicating portion 11 is pushed downward, and the switch pressing portion 12 presses the corresponding switch 31 to operate the switch 31. Of course, when the knob 1 is lowered, two elastic arms 22 adjacent to the switch pressing portion 12 that are pressed are gently bent downward. At this time, it can be easily guessed that the holder 21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astic arm 22 becomes an operation support point of the elastic arm 22.

그리고, 사용자가 놉(1)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아암(22)의 복원력에 의해서 놉(1)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knob 1 is removed, the knob 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arm 22.

한편, 상기 탄성아암(22)의 복원력이 경쾌하게 작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아암(22)은 각 스위치 누름부(12)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어느 하나의 스위치 누름부(12)가 눌려지면, 스위치 누름부(12)의 양측에 있는 탄성아암(22)이 탄성변형되어 두 방향으로부터의 탄성력이 스위치 누름부(12)로 제공되고, 스위치 누름부(12)의 동작시에 사용자는 경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arm 22 to act lightly, the elastic arm 2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switch pressing portion 12. Therefore, when either switch pressing portion 12 is pressed, the elastic arms 22 on both sides of the switch pressing portion 12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elastic force from both directions is provided to the switch pressing portion 12, The user may have a light feeling when the switch pressing unit 12 is operated.

한편, 사용자가 방향 지시부(11)가 형성되지 아니한 놉(1)의 다른 부분을 누 르면, 상기 가이드 돌기(23)와 상기 기판(3)이 닿아서 놉(1)이 눌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다른 스위치가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복수개의 스위치(31)가 동시에 눌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방향지시부(11) 사이 부분에서 놉(1)을 누르면, 놉(1)의 하측단부가 상기 탄성아암(22)에 걸려서 놉(1)의 하방이동이 방해되고, 놉(1)은 어느 스위치(31)에 대해서도 닿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위치가 틀린 것을 알게 되고, 다시 놉(1)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서 누르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another portion of the knob 1 in which the direction indicating unit 11 is not formed, the guide protrusion 23 and the substrate 3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knob 1 is not pressed. Other switches do not operat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uppress that the several switch 31 is pressed simultaneously. Then, when the knob 1 is pressed between the pair of direction indicators 11, the lower end of the knob 1 is caught by the elastic arm 22,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knob 1 is hindered. 1) is not in contact with any switch 31,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position is wrong, it is possible to find and press the correct position of the knob (1) again.

본 발명에 의해서 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가 다방향 버튼 스위치의 누름 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배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button switch can be improved, and the user can find the push position of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more conveniently. Thu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obtained.

또한, 버튼 스위치가 외부 패널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패널이 미려하게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놉과 놉이 지지되는 연정 재질의 놉 지지구만으로 다방향 버튼 스위치가 제공됨으로써, 버튼 스위치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 스위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면 버튼 스위치의 고장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switch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panel, the external panel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beautifully configured, the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s provided only by the knob support of the joint material that the knob and the knob is supported, the button switch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As such, when the structure of the button switch is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a failure of the button switch does not occur.

Claims (8)

사용자가 누르는 놉;A knob pressed by the user; 상기 놉 하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 누름부;A plurality of switch presse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of the knob; 상기 스위치 누름부와 정렬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안착되는 기판;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to be aligned with the switch pressing part are seated; 상기 놉의 하측부와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놉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놉 지지구가 포함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And a knob support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knob and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ubstrate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knob.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놉 지지구에는 상기 놉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놉 연장부가 삽입되는 놉 안착구가 형성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The knob support is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is formed with a knob seat is inserted into the knob extension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knob.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놉 지지구는 연질인 다방향 버튼 스위치.The knob support is a soft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놉지지구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기판과 맞닿는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And a guide protrusion provided below the knob support an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가이드 돌기가 닿는 상기 기판의 위치에는 홈이 형성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And a groov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touche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놉 지지구와 일체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 아암; 및A plurality of elastic arms extending outwardly integrally with the knob support; And 상기 탄성 아암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과 외부패널의 사이에 고정되는 홀더가 포함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And a holder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arm and fix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ute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탄성 아암의 사이 간격에 형성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The switch pusher is a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elastic arms. 사용자가 누르는 제공되는 놉;A provided knob pressed by the user; 상기 놉의 모서리와 정렬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안착되는 기판;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which are aligned with an edge of the knob, is mounted; 상기 기판의 외측에 제공되는 외부패널;An outer panel provided outside the substrate; 상기 놉과 결합되어 상기 놉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중심부는 상기 기판과 닿는 놉 지지구;A knob support coupled to the knob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knob, the center portion of the knob supporting the substrate; 상기 놉 지지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아암; 및A plurality of elastic arms extending outwardly of the knob support; And 상기 탄성 아암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기판과 상기 외부패널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놉 지지구의 위치가 지지되도록 하는 홀더가 포함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 치.And a holder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uter panel at an outer end of the elastic arm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knob support.
KR1020040104069A 2004-12-10 2004-12-10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KR101083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069A KR101083850B1 (en) 2004-12-10 2004-12-10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069A KR101083850B1 (en) 2004-12-10 2004-12-10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60A true KR20060065260A (en) 2006-06-14
KR101083850B1 KR101083850B1 (en) 2011-11-15

Family

ID=3716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069A KR101083850B1 (en) 2004-12-10 2004-12-10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8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83B1 (en) * 2005-12-22 2007-12-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asy to assemble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with the capacity to prevent the rattling of driv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2677A1 (en) * 2000-08-23 2002-02-27 Thomson Licensing S.A. Electronic switch designed for manual actuation of several switching elements
JP2003036768A (en) * 2001-07-23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83B1 (en) * 2005-12-22 2007-12-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asy to assemble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with the capacity to prevent the rattling of driv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850B1 (en)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378B1 (en) Webbed keyboard assembly
US7294795B1 (en) Slide switch
US4197437A (en) Snap-action switch
US8399789B2 (en) Keyboard
KR101083850B1 (en)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JP6045288B2 (en) keyboard
JP2000353456A (en) Multi-direction switch
JP3762562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JP2018032508A (en) Keyboard switch
JP2013026093A (en) Switch device
JPH11120862A (en) Push-button switch
JP2020161252A (en) Hinge structure of button and electronic apparatus
JP3467484B2 (en) Push button switch
JP5415875B2 (en) Pushbutton structure
JP4937994B2 (en)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JP4320877B2 (en) Electronics
JP3195298B2 (en) Push button switch
JPH05282965A (en) Multiple connected pushbutton device
JP4364037B2 (en) Operation panel for electronic parts
JP5722738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components
JP2010272484A (en) Push-button switch device
JP3043541U (en) Switch operation mechanism
JP2009252624A (en) Movable contact body and panel switch formed by using the same
JPH05342943A (en) Pushbutton switch
JP2000243181A (en) Pressed-type switc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