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795A -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795A
KR20060064795A KR1020040103445A KR20040103445A KR20060064795A KR 20060064795 A KR20060064795 A KR 20060064795A KR 1020040103445 A KR1020040103445 A KR 1020040103445A KR 20040103445 A KR20040103445 A KR 20040103445A KR 20060064795 A KR20060064795 A KR 2006006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le
subject
call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795A/ko
Publication of KR2006006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통신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일정 간격을 가지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과,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을 수납시키되, 외주면 적소에는 상기 공간까지 공동 입사홀을 형성시키고, 하부에는 상기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까지 관통되는 후방 관통홀이 형성되는 러버 하우징과, 상기 러버 하우징의 공동 입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프레임 적소에 형성되는 전방 입사홀 및 상기 러버 하우징의 후방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단말기 측면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는 후방 입사홀을 포함하여, 하나의 마이크로폰 설치 장소에 하나의 어셈블리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에 이바지한다.
Figure 112004057988140-PAT00001
마이크로폰, 듀얼 마이크로폰, 입사홀, 러버 하우징, 도파로

Description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DUAL MICROPHONE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용 무지향성 마이크로폰과 피사체 촬영용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함께 실장하여 단말기상의 공간 확보 및 이로 인한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폰(dual microphone)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개인별로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단말기 제조업자들을 좀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반면, 좀더 경박 단소화시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단말기에 꼭 구성되어야 할 필수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폰 장치, 마이크로폰 장치등, 의 제기능을 수행하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좀더 적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본체인 메인 바디(120)와 상기 메인 바디(120)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유동가능한 슬라이드 바디(11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10)는 상기 메인 바디(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겹쳐진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20)에서 슬라이드 바디(110)가 상측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통화 동작등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1의 상태에서 역시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10)상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상부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스피커폰 장치(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하측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어셈블리(113)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3)는 네이게이션 키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메인 바디(110)상에서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메인 바디(120)의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122)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숫자 키 버튼(3×4 키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22)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에 의해 음성 입력이 가능한 입사홀(123)이 형성된다.
상술한 마이크로폰 장치는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이 메인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1의 A부분). 이와 동시에 단말기 후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작, 즉 캠코더등의 기능을 수행할 시, 외부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가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와 별도의 위치(도 1의 B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피사체 촬영을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이 내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의 후면상에 역시 후방 입사홀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와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의 단말기 설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이로 인한 단말기의 부피 증가가 초래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단말기들의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는 스피커폰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병행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와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를 하나의 어셈블리로써 설치하여 단말기의 설치 공간을 최대한 축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와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를 하나의 어셈블리로써 설치함으로써,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와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를 기존의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의 설치 위치에 병행하여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의 설치 공간을 배제시키도록 구성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통신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일정 간격을 가지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과,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을 수납시키되, 외주면 적소에는 상기 공간까지 공동 입사홀을 형성시키고, 하부에는 상기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까지 관통되는 후방 관통홀이 형성되는 러버 하우징과, 상기 러버 하우징의 공동 입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프레임 적소에 형성되는 전방 입사홀 및 상기 러버 하우징의 후방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단말기 측면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는 후방 입사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외한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고 그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피사체 촬영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통화용 마이크로폰(50)과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은 종래의 단말기와 달리 통화용 마이크로폰이 위치되는 부분에 함께 설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용 및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이하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라 함)(10)는 하나의 음성 입사홀(21)을 갖는다. 또한,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이 지향성 마이크로폰이기 때문에 후방 입사홀(31)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단면도로써, 메인 바디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20)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30)이 이루는 공간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10)는 무지향성 통화용 마이크로폰(50)과 지향성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을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용 마이크로폰(50)과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은 일정 공간을 가지며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폰(50, 60)은 소정의 러버 하우징(40)내에 고정되는데, 중앙에는 소정의 공간(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러버 하우징(40)의 외면에서 상기 공간까지는 일정 직경을 갖는 소정의 공동 입사홀(41)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화용 마이크로폰(50)을 사용할 때와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을 사용할 때 모두 상기 공동 입사홀(21)에 의해 음성이 입력될 것이다. 또한, 상기 러버 하우징(40)의 하부에는 상기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까지 일정 직경을 갖는 후방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이 지향성 성격을 갖기 때문에 양 방향의 홀 즉 공동 입사홀(41)과 후방 관통홀(42)에 동시에 입력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음성을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 프레임(20)상에는 소정의 전방 입사홀(21)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 입사홀(21)은 소정의 전방 도파로(22)에 의해서 상기 러버 하우징(40)의 공동 입사홀(41)까지 연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도파로(22)는 상기 상부 케이스 프레임(20)이 사출될 때 일체로 사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30)에는 소정의 후방 입사홀(31)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 입사홀(31) 역시 소정의 후방 도파로(32)에 의해 러버 하우징(40)의 후방 관통홀(42)까지 연통된다. 역시, 상기 후방 도파로(32)는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30)이 사출될 때 일체로 사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말기의 크기, 마이크로폰 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후방 입사홀은 상부 케이스 프레임 또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후방 도파로(32)의 적소에는 소정의 스크린(33)이 설치되는데, 이는 피사체 촬영시 후방 입사홀(31)로 입력되는 음성을 전방 입사홀(21)에 입력되는 음성과 상쇄시키기 위한 딜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33)은 공지의 PDE(Phase Delay Element)이며, 동분말 압축 소결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50)과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은 메인 보드(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51, 61)가 상기 러버 하우징(40)에서 메인 보드(70)의 방향으로 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51, 61)는 각 마이크로폰(50, 6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메인 보드(70)의 상, 하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의 마이크로폰(50, 6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데, 통화중에는 단말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통화용 마이크로폰(50)을 동작시키고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은 단락시킬 것이며, 피사체 촬영중에는 통화용 마이크로폰(50)을 단락시키고,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60)을 동작시킬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음성은 단말기 전방에 형성되는 하나의 전방 입사홀(21)에 의해 입력된다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는 하나의 마이크로폰 설치 장소에 하나의 어셈블리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통신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
    통화용 마이크로폰;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일정 간격을 가지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을 수납시키되, 외주면 적소에는 상기 공간까지 공동 입사홀을 형성시키고, 하부에는 상기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까지 관통되는 후방 관통홀이 형성되는 러버 하우징;
    상기 러버 하우징의 공동 입사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 프레임 적소에 형성되는 전방 입사홀; 및
    상기 러버 하우징의 후방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단말기 측면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는 후방 입사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입사홀부터 상기 러버 하우징의 공동 입사홀 입구까지 음성 전달을 위한 소정의 전방 도파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입사홀부터 상기 러버 하우징의 후방 관통홀 입구까지 음성 전달을 위한 소정의 후방 도파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파로와 후방 도파로는 각각 상부 케이스 프레임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의 사출시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용 마이크로폰 장치와 피사체 촬영용 마이크로폰 장치는 소정의 가요성 인쇄회로(FPC)에 의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이크포론 장치.
KR1020040103445A 2004-12-09 2004-12-09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KR2006006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445A KR20060064795A (ko) 2004-12-09 2004-12-09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445A KR20060064795A (ko) 2004-12-09 2004-12-09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795A true KR20060064795A (ko) 2006-06-14

Family

ID=3716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445A KR20060064795A (ko) 2004-12-09 2004-12-09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7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47B1 (ko) * 2007-07-09 200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WO2010135280A2 (en) * 2009-05-18 2010-11-25 Knowles Electronics, Llc Microphone having reduced vibration sensitivity
CN111510539A (zh) * 2020-04-24 2020-08-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麦克风声道结构及电子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47B1 (ko) * 2007-07-09 200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WO2010135280A2 (en) * 2009-05-18 2010-11-25 Knowles Electronics, Llc Microphone having reduced vibration sensitivity
WO2010135280A3 (en) * 2009-05-18 2011-03-03 Knowles Electronics, Llc Microphone having reduced vibration sensitivity
CN102428711A (zh) * 2009-05-18 2012-04-25 美商楼氏电子有限公司 具有降低的振动灵敏度的麦克风
CN111510539A (zh) * 2020-04-24 2020-08-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麦克风声道结构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FI106167B (fi) Kädet vapauttava moduuli
KR101534505B1 (ko) 이동 단말기
EP2066126A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KR20090102241A (ko) 휴대 단말기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N101964446A (zh) 便携式终端
US8228240B2 (en) Portable terminal
JP2006344950A (ja) 電子機器のfpcb
CN108390967B (zh) 电子组件和电子设备
US7054670B2 (en) Cellular phon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0745572B1 (ko) 일체형 피씨비 모듈
KR20060064795A (ko) 듀얼 마이크로폰 장치
JP4111891B2 (ja) 携帯機器
KR101474440B1 (ko) 휴대 단말기
KR1011066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 접속 구조
JP4087311B2 (ja) 携帯機器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4239441B2 (ja) 電子機器
JP2009290600A (ja) アンテナ素子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90022470A (ko) 휴대 단말기
JP4225876B2 (ja) 通信装置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JP424308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