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336A -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336A
KR20060064336A KR1020040103148A KR20040103148A KR20060064336A KR 20060064336 A KR20060064336 A KR 20060064336A KR 1020040103148 A KR1020040103148 A KR 1020040103148A KR 20040103148 A KR20040103148 A KR 20040103148A KR 20060064336 A KR20060064336 A KR 2006006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verter
mode
detect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651B1 (ko
Inventor
이정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651B1/ko
Priority to ES200503023A priority patent/ES2303420B2/es
Priority to US11/295,565 priority patent/US7122992B2/en
Priority to DE102005059220A priority patent/DE102005059220A1/de
Priority to CNB2005101297321A priority patent/CN100367663C/zh
Publication of KR2006006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9Restarting, e.g. after power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1Protection against "no voltage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버터로 구동중인 전동기 시스템에 있어 정전 발생시 전동기를 정지시킨후 인버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도전동기를 구동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에 따라 정전모드, 정상모드 또는 복전모드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평활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주파수가 가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유도 전동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VERTER}
도 1은 일반적인 유도전동기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인버터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링크전압의 전압레벨에 따른 해당 모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회생량 연산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방법을 통한 실험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방법을 통한 실험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인버터 21: 3상교류전원
23: 정류부 25: 평활부
30: 제어부 31: 전압 검출부
33: 회생량 연산부 35, 51: 감산기
37: 초기값 연산부 39: 주파수 발생부
53: 피아이(PI) 제어기 IM: 유도 전동기
본 발명은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버터로 구동중인 전동기 시스템에 있어 정전 발생시 전동기를 정지시킨후 인버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로 구동되는 전동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회전부하의 특성을 갖고 있어, 기계계 자체가 관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다. 기계계가 가지고 있는 관성에너지 E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4057849933-PAT00001
여기서, 상기 ω는 회전체의 회전 각속도를 나타내며, 상기 J는 관성 모멘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기계계중 대표적인 것으로, 인버터에 의해 주파수가 가변되어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유도전동기의 시스템 구성은 첨부한 도 1과 같다.
상기 도 1에서 인버터(11)는 정류 및 평활된 3상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유도 전동기(IM)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유도 전동기(IM)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한 토오크를 발생시켜 부하(13)를 동작시킨다.
Figure 112004057849933-PAT00002
여기서, 상기 J는 관성 모멘트를 나타내고, 상기 B는 마찰계수, 상기 ω 회전각속도를 나타내며, 상기 TL은 부하 토크를 의미한다.
도 2는 종래 인버터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3상 교류전원(21)은 정류부(23)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부(25)에 의해 평활된후 인버터(11)에 인가된다. 이때, 전압 검출부(27)는 상기 정류부(23)에서 평활부(25)의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저전압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저전압이 아니면, 주파수 발생부(29)는 상기 전압 검출부(27)에 의해 저전압 상태가 아님을 인식한후 속도 지령치에 따른 주파수 가변신호를 상기 인버터(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11)는 상기 주파수 가변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평활부(25)의 출력 직류전압을 3상 교류전압으로 인버팅하여 유도전동기(IM)에 인가한다.
반면,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저전압(정전전압)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파수 발생부(29)는 전압 검출부(27)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인버터(11)는 유도 전동기(IM)측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도전동기(IM)는 상기 수학식 2에 의한 토오크 방정식을 통해 일정 토오크를 발생시키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즉, 관성에너지를 마찰부 하로 전부 소모하는 시간동안 회전을 유지한 후 정지한다.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인버터 정지 지령에 의하여 인버터 출력 주파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유도 전동기(IM)의 속도가 '0' 이 되나, 전원사고 등 예기치 못한 정전 상태가 발생되면 인버터(11)는 출력을 차단하고, 유도 전동기(IM)는 상기 관성에너지에 의하여 일정기간 회전을 유지한 후 정지하게 된다.
이에, 종래 유도전동기는 전원 사고 등의 예측 하지 못한 정전 사고가 발생에 따라 직류 링크전압이 저전압 이하가 되면, 인버터 입력 전원이 차단되어 유도 전동기(IM)로 인가되는 전압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차단 후 인버터(11)의 출력이 차단되는 시간은 부하 양(정격의 몇 %) 및 인버터 주 전해 콘덴서 용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에, 정격부하 기준으로 일정 토오크(Constant Torque) 부하인 경우 차단시간은 16mSec이고, 가변 토오크(Variable Torque) 부하인 경우 차단시간은 8mSec가 된다. 이에, 상기 8mSec 또는 16 mSec 이후 복전이 되더라도 유도 전동기는 정지하게 된다.
하기의 표 1은 미국 연구기관이 미국내의 한 공단을 대상으로 1년 동안 10mSec 이상 3Sec 이내의 순시 정전이 발생되는 회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Figure 112004057849933-PAT00003
즉, 종래 인버터(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시정전이 발생되면 정지되어 사용자가 다시 운전 지령을 하여야만 운전이 가능하므로 수시로 사용자가 시스템을 감시하여야 한다.
또한, 정전이 발생되어 인버터 출력이 차단되더라도 유도 전동기는 일정기간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사용자가 인버터 상태만을 보고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전원사고 등에 의한 순시정전이 발생되더라도 전동기를 연속운전하여 시스템 정지를 예방하고, 완전 정전이 발생되면 전동기를 안전하게 감속 시켜 전동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인버터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도전동기를 구동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에 따라 정전모드, 정상모드 또는 복전모드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평활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주파수가 가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유도 전동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상태를 감지하여 그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류 링크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을 기 설정된 정전 기준전압과 기 설정된 정상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정전모드, 정상모드 또는 복전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모드에 따른 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하여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도전동기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3상교류전원(21)은 정류부(23) 및 평활부(25)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인버터(11)에 인가된다.
이때, 제어부(30)는 상기 평활부(25)의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에 따라 정상모드, 정전모드 또는 복전모드에 따른 전압을 인버터(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다음과 같은 내부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직류 링크전압과 기 설정된 정상 기준전압, 정전 기준전압과 복전 기준전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정상 모드, 정전모드 또는 복전 모드를 판단하고,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검출부(31)와;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과 상기 기 설정된 정전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회생량으로 출력하는 회생량 연산부(33)와; 상기 직류 링크전압을 통해 판단된 모드가 복전 모드일 경우, 정상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로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전압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초기값 연산부(37)와; 상기 복전 모드시 상기 초기값 연산부(37)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그 인가된 전압만큼을 제외한 전압을 인버터(11)로 인가하고, 정상모드시, 가감속 시간과 목표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인버터(11)로 인가하는 주파수 발생부(39)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의 출력 전압에 회생량 연산부(33)의 출력전압을 감산하여 출력되는 전압을 인버터(11)에 인가하는 감산기(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30) 내부의 전압 검출부(31)는 도 4와 같이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A)을 정전 기준전압(B)과 복전 기준전압(C) 및 정상 기준전압(미도시)과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상기 정전 기준전압(B), 복전 기준전압(C)과 정상 기준전압(D) 및 저전압 트립기준전압(E)이 기 설정된다. 이때,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A)이 상기 정전 기준전압(B)보다 큰 상태인 정상모드,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A)이 상기 정전 기준전압(B)보다 작은 상태인 정전모드,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A)이 상기 복전 기준전압에 도달하게 되는 복전모드 구간으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전모드는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복전 기준전압에 도달후 정전없이 그 복전 기준전압을 소정시간(T) 유지하며 유도 전동기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모드이다.
이후, 회생량 연산부(33)는 도 5와 같이 감산기(51)와 피아이(PI) 제어기(53)로 구비되어, 상기 감산기(51)는 기 설정된 정전 기준전압(B)에 상기 전압 검출부(31)의 출력 검출전압을 감산하여 오차 전압을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피아이(PI) 제어기(53)는 상기 오차 전압을 입력받아 비례적분하여 회생량을 출력한다. 이때, 전압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모드가 복전모드이면 상기 회생량 연산부(33)는 회생량으로 '0'을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전압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모드가 정전모드이면 상기 회생량 연산부(33)는 회생량으로 '0'보다 큰 양수를 출력한다. 이로서,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인가되는 전압상태가 정상모드, 정전모드 또는 복전모드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기 회생량 연산부(33)의 출력 회생량은 감산기(35)로 입력되어, 정전모드시에 곧바로 정지하지 않는 유도전동기(IM)가 갖고 있는 관성에너지(수학식 1)가 인버터(11)로 회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정전모드시 유도 전동기(IM)가 정지한이후 인버터(11)는 유도전동기(IM)로 공급되는 출력전압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전압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모드가 복전모드이면 유도 전동기 시스템을 재기동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일정 주파수로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전압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주파수 발생부(39)는 상기 초기값 연산부(37)의 출력값인 초기 전압을 입력받아 복전모드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켜 정상모드시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상승시켜 감산기(35)로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35)는 복전모드시 회생량 연산부(33)의 회생량 '0'이므로, 상기 주파수 발생부(39)의 출력은 그대로 인버터(11)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11)는 감산기(35)의 출력전압에 의해 입력되는 평활부(25)의 출력전압(직류 링크전압)을 주파수 가변하며 유도 전동기(IM)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611단계에서 전압 검출부(31)는 평활부(25)의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고, 613단계에서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과 기 설정된 정전기준전압의 대소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기 설정된 정전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615단계에서 유도 전동기 시스템의 전원상태를 정전모드라고 판단하고, 617단계로 진행하여 유도전동기(IM)의 관성 에너지가 인버터(11)로 회생되도록 회생량을 연산하여 인버터(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회생량 연산은 기 설정된 정전기준전압에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을 감산하여 얻은 오차 전압을 비례적분하여 출력함을 의미한다.
그러면, 유도 전동기(IM)는 관성 에너지에 의한 회전운동을 정지하게 되고, 그 유도 전동기(IM)의 정지후 인버터(11)도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613단계의 비교결과,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정전 기준전압보다 크면, 619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과 정상 기준전압의 대소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정상 기준전압보다 크면, 정상 모드라고 판단하여 일반적인 인버터 제어를 수행하여 유도 전동기(IM)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정상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623단계에서 복전시간을 카운팅한다.
625단계에서 카운팅된 복전시간이 기 설정된 복전 기준시간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카운팅된 복전시간이 기 설정된 복전 기준시간이상이면, 627단계로 진행 하여 회생량을 연산한다.
이후, 629단계에서 상기 연산된 회생량이 '0'보다 큰가(양수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회생량이 '0'보다 크면 631단계에서 정전 모드로 인식한다. 그러면 633단계에서 유도전동기(IM)의 관성 에너지가 인버터(11)로 회생되도록 회생량을 연산하여 인버터(11)로 출력한다. 즉, 상기 617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회생량이 '0'보다 크지 않으면(회생량 '0') 635단계에서 복전모드로 인식하고, 637단계로 진행하여 복전모드시 필요한 일정전압(복전 전압)을 통해 일정 주파수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초기값을 연산한후 인버터(11)에 이를 인가하여 유도 전동기 시스템을 복전모드로 동작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방법을 통한 실험결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방법이 적용된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순시정전이 발생한 경우 인버터 주파수와 직류 링크전압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상기 도 7의 (b)는 종래 인버터 제어방법이 적용된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수신정전이 발생한 경우 인버터 주파수와 직류 링크전압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도 7의 (a)는 저전압 트립 기준전압이 발생되는 순시정전인 경우에 인버터 주파수ⓐ는 서서히 감소함을 나타내고 있고, 직류 링크전압ⓑ은 일정 레벨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버터 제어방법이 적용된 유도 전동기 시스템은 상기 도 7의 (b)와 같이 인버터 주파수ⓒ와 직류 링크전압ⓓ이 일정하게 감소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과 종래 실험 파형은 도 8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즉, 저전압 트립 기준전압 발생시, 본 발명에서는 회생량을 연산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 8의 (a)와 같이 인버터 출력전류와 인버터 출력주파수가 서서히 감소하여 유도 전동기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종래 인버터 제어방법 이용시에는 상기 도 8의 (b)와 같이 인버터 출력전류와 인버터 출력주파수가 저전압 트립기준전압 발생시점에 순간적으로 인버터 출력전류와 인버터 출력주파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전 발생시, 전동기를 안전하게 감속시켜 전동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인터버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시정전을 보장하는 시간을 확보함으로 빈번히 발생되는 순시정전에도 시스템을 연속 운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유도전동기를 구동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에 따라 정전모드, 정상모드 또는 복전모드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평활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주파수가 가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유도 전동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직류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그 직류 링크전압과 기 설정된 정상 기준전압, 정전 기준전압과 복전 기준전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정상 모드, 정전모드 또는 복전 모드를 판단하고,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과 상기 기 설정된 정전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회생량으로 출력하는 회생량 연산부와;
    상기 직류 링크전압을 통해 판단된 모드가 복전 모드일 경우, 정상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로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전압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초기값 연산부와;
    상기 복전 모드시, 상기 초기값 연산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그 인가된 전압을 통해 정상 기준전압을 생성하여 인버터로 인가하고, 정상모드시, 가감속 시간과 목표주파수에 따른 정상 기준전압을 생성하여 인버터로 인가하는 주파수 발생부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의 출력 전압에 회생량 연산부의 출력전압을 감산하여 출력되는 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하는 감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량 연산부는,
    기 설정된 정전기준전압에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을 감산하여 오차 전압을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오차 전압을 비례 적분하여 회생량을 출력하는 파아이(PI)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복전 기준전압에 도달후 그 복전 기준전압을 소정시간유지하면 복전모드로 판단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장치.
  5.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상태를 감지하여 그 유도 전동기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류 링크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을 기 설정된 정전 기준전압과 기 설정된 정상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정전모드, 정상모드 또는 복전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모드에 따른 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하여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과정은,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기 설정된 정전 기준전압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정전 기준전압이상이면, 정전모드로 인식하고 회생량을 연산하여 그 연산된 회생량을 인버터에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기 실정된 정전 기준전압이상이 아니면,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정상 기준전압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정상 기준전압이상이면, 정상모드로 인식하고, 인버터에 정상모드시의 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검출된 직류 링크전압이 정상 기준전압이하이면, 회생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된 회생량이 양수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회생량이 양수이면, 정전모드로 인식하고 회생량을 연산하여 그 연산된 회생량을 인버터에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회생량이 양수가 아니면, 복전모드로 인식하고 정상기준전압을 인버터에 인가하기 위한 초기값을 연산하여 인버터로 그 초기값에 해당하 는 전압을 인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회생량을 인버터에 인가하는 과정은,
    복전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복전시간이 기 설정된 복전 기준시간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카운팅된 복전시간이 기 설정된 복전 기준시간이상이면 회생량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량 연산은,
    정전기준전압과 직류 링크전압을 감산하여 오차 전압을 획득하고, 그 획득한 오차 전압을 비례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방법.
KR1020040103148A 2004-12-08 2004-12-08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48A KR100675651B1 (ko) 2004-12-08 2004-12-08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ES200503023A ES2303420B2 (es) 2004-12-08 2005-12-07 Sistema de inversor para controlar un motor de induccion.
US11/295,565 US7122992B2 (en) 2004-12-08 2005-12-07 Inverter system for driving induction motor
DE102005059220A DE102005059220A1 (de) 2004-12-08 2005-12-08 Stromrichter zum Antrieb eines Induktionsmotors
CNB2005101297321A CN100367663C (zh) 2004-12-08 2005-12-08 用于驱动感应电机的换流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48A KR100675651B1 (ko) 2004-12-08 2004-12-08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36A true KR20060064336A (ko) 2006-06-13
KR100675651B1 KR100675651B1 (ko) 2007-02-02

Family

ID=3657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48A KR100675651B1 (ko) 2004-12-08 2004-12-08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2992B2 (ko)
KR (1) KR100675651B1 (ko)
CN (1) CN100367663C (ko)
DE (1) DE102005059220A1 (ko)
ES (1) ES2303420B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79B1 (ko) * 2006-12-2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교류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의 전동기 급정지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860524B1 (ko) * 2006-12-28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입력전원 이상발생시 인버터 운전제어장치
KR20150140963A (ko) * 2014-06-09 2015-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유도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
US10073485B2 (en) 2015-01-19 2018-09-11 Lsi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instantaneous power failure in medium voltage inverter and medium voltage inverter system using the same
KR20200111394A (ko) * 2019-03-19 2020-09-29 엘에스일렉트릭(주) 인버터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489B1 (ko) * 2005-05-11 2007-06-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입력 전압 변동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825323B1 (ko) * 2007-03-05 2008-04-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위 셀 역률 동일 제어 장치를 가지는 캐스케이드 방식을이용한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896678B1 (ko) 2007-10-24 2009-05-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공기압축모터제어장치
KR100942114B1 (ko) * 2007-11-06 2010-02-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칭 소자의 구동장치
KR101097267B1 (ko) * 2010-03-02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021807A (ja) * 2011-07-11 2013-01-31 Toshiba Corp モータ駆動回路、および、モータ装置
KR101260611B1 (ko) * 2011-07-20 2013-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 인버터의 제어장치 및 방법
DE102013200637A1 (de) * 2013-01-17 2014-07-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elektrischen Fehlers in einer Generatoranordnung und Mittel zu dessen Implementierung
KR101566621B1 (ko) * 2014-06-16 2015-11-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긴급 상황 발생 대응을 위한 인버터 운전 제어 시스템
JP6193831B2 (ja) * 2014-09-19 2017-09-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機械の保護動作開始判定機能を有するモータ制御装置
JP6441180B2 (ja) * 2015-07-31 2018-12-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侵入異物による回路異常を未然に検出する機能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GB2549740B (en) * 2016-04-26 2019-04-17 Dyson Technology Lt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motor
WO2017213182A1 (ja) * 2016-06-07 2017-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5167A (en) * 1981-10-05 1984-04-24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Inverter system
JPS62107698A (ja) * 1985-10-31 1987-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タ装置の停電時停止回路
JPH0697875B2 (ja) * 1987-05-20 1994-11-30 日本オ−チス・エレベ−タ株式会社 エレベ−タ駆動用インバ−タ
JP3156346B2 (ja) * 1992-03-19 2001-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装置及びその瞬時停電再始動方法
DE69306703T2 (de) * 1992-09-16 1997-04-30 Hitachi Ltd Verfahren zur Messung charakteristischer Konstanten für Wechselstrommotoren und auf diesem Verfahren basierender Regler
KR950003875B1 (ko) * 1992-11-30 1995-04-20 금성계전주식회사 범용 인버터의 순시 정전 재시동 방법
US5731681A (en) * 1995-06-28 1998-03-24 Hitachi Koki Co., Ltd. Motor control system for centrifugal machine
KR0162371B1 (ko) * 1995-07-07 1999-01-15 구자홍 순간정전보호장치
JPH10191646A (ja) * 1996-12-26 1998-07-21 Hitachi Ltd インバータ装置
US5959430A (en) * 1997-03-07 1999-09-28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conversion system
CA2402426A1 (en) * 2000-03-08 2001-09-13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Pwm cycloconverter and power supply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US6686718B2 (en) * 2001-11-27 2004-02-03 York International Corp. Control loop and method for variable speed drive ride-through capability improve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79B1 (ko) * 2006-12-2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교류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의 전동기 급정지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860524B1 (ko) * 2006-12-28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입력전원 이상발생시 인버터 운전제어장치
KR20150140963A (ko) * 2014-06-09 2015-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유도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
US10073485B2 (en) 2015-01-19 2018-09-11 Lsi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instantaneous power failure in medium voltage inverter and medium voltage inverter system using the same
KR20200111394A (ko) * 2019-03-19 2020-09-29 엘에스일렉트릭(주) 인버터 제어장치
US11711028B2 (en) 2019-03-19 2023-07-25 Ls Electric Co., Ltd. Inverter control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22992B2 (en) 2006-10-17
ES2303420B2 (es) 2009-04-01
DE102005059220A1 (de) 2006-07-20
CN1787360A (zh) 2006-06-14
US20060119311A1 (en) 2006-06-08
KR100675651B1 (ko) 2007-02-02
CN100367663C (zh) 2008-02-06
ES2303420A1 (es) 200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651B1 (ko)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5540060B2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
US7982421B2 (en) Electric vehicle controller
US9118270B2 (en) Motor control device including electric storage device and resistance discharge device
JP5559263B2 (ja) 高圧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523321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371161A (zh) 逆变器装置
KR20140122179A (ko) 모터 제어장치
JP4776310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8306901A (ja) インバータ装置
US20140035507A1 (en) Motor deceleration method and motor driving apparatus applying the motor deceleration method
JP6394865B2 (ja) 電動機駆動装置
JP2906636B2 (ja) 誘導電動機用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KR100393793B1 (ko) 비엘디씨 모터의 센서리스 제어장치
KR100434137B1 (ko) 인버터 시스템의 속도추종 방법
JP3972171B2 (ja) 圧縮機駆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1840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JP4164646B2 (ja) 停電時におけるモータの減速停止制御方法及びモータ可変速駆動装置
JP5652975B1 (ja) モータ制御装置
KR101549788B1 (ko) 자동문의 회생제동 장치
JP2003230202A5 (ko)
KR100408063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 모터를 채용한 세탁기의 제동방법
JPH0715989A (ja) 電動機制御装置
JPH05215386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5056135B2 (ja)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