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965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965A
KR20060062965A KR1020040101980A KR20040101980A KR20060062965A KR 20060062965 A KR20060062965 A KR 20060062965A KR 1020040101980 A KR1020040101980 A KR 1020040101980A KR 20040101980 A KR20040101980 A KR 20040101980A KR 20060062965 A KR20060062965 A KR 2006006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locking knob
body case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965A/ko
Publication of KR2006006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로방향 배터리팩 착탈장치에서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에도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에 배터리팩을 체결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케이스에서 착탈가능하게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돌기와 직교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록킹노브;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이 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노브에 결합되며 본체케이스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의 착탈시에 잠김 또는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록킹노브, 가이드부재, 플레이트부, 원형부, 스프링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Attachable apparatus of battery pack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구조 및 록킹노브가 잠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착탈장치의 평면도.
도3은 도1에 나타낸 착탈장치에서 록킹노브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구조 및 착탈장치가 잠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5는 도4에 나타낸 착탈장치의 평면도.
도6은 도4에 나타낸 착탈장치의 요부인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도6에 나타낸 가이드부재의 평면도.
도8은 도4에 나타낸 착탈장치에서 록킹노브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케이스 110: 결합홀
120: 수용부 130: 유동홈
200: 록킹노브 210: 록킹돌기
220: 체결돌기 300: 가이드부재
310: 플레이트부 320: 원형부
330: 지지부 410: 스프링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방향 배터리팩 착탈장치에서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에도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상으로 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및 스윙형 단말기로 구분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량보급에 따른 공중파를 이용한 통신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자인 및 기능 등이 현저하게 발달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선 송, 수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에너지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반복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그 기능에 따라서 단말 기의 수신율, 통화거리 및 시간 등의 성능을 좌우하게 되며, 무게나 부피에 따라서 단말기의 크기가 좌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구조 및 록킹노브가 잠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나타낸 착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본체케이스(10); 상기 본체케이스(10)에 구비되는 배터리팩(미도시)을 착탈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록킹노브(20); 상기 록킹노브(20)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이 가능하게 상기 록킹노브(20)와 결합되면서 본체케이스(10)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30); 및 상기 록킹노브(20)가 잠김 또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 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스프링(40)을 포함한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착탈장치에서 록킹노브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록킹노브(20)는 스프링(40)에 의해 잠김상태를 유지하다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면 열림상태가 된다. 배터리팩을 착탈시킨 후에 상기 록킹노브(20)를 놓으면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잠김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 록킹노브(20)와 가이드 플레이트(30)는 스크류(50)로 결합된 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의 일단은 본체케이스(10)에 스크류(50)로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 플레이트(30)에 스크류(50)로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서 스프링을 스크류로 결합시키는데, 상기 스프링의 유연성으로 인해 스크류를 조여서 고정할 때, 스프링이 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조립시에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조립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없으며, 조립 후에도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로방향 배터리팩 착탈장치에서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에도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에 배터리팩을 체결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케이스에서 착탈가능하게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돌기와 직교방향 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록킹노브;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이 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노브에 결합되며 본체케이스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의 착탈시에 잠김 또는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측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노브와 결합되어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록킹노브를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부; 타측부는 원형봉 형상으로서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는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부와 원형부의 접촉부분에 형성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원형부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원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 상기 록킹노브가 수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록킹노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이동시에 상기 체결돌기가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원형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의 착탈시에 잠김 또는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지지부에 접촉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구조 및 착탈장치가 잠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 나타낸 착탈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가로방향 배터리팩 착탈장치에서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에 배터리팩(미도시)을 체결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케이스(100)에서 착탈가능하게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2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돌기(210)와 직교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220)가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록킹노브(200); 상기 록킹노브(200)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이 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노브(200)에 결합되며 본체케이스(100)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부재(300); 및 상기 록킹노브(200)가 배터리팩의 착탈시에 잠김 또는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0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노브의 록킹돌기(210)는 배터리팩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도4에 나타낸 착탈장치의 요부인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7은 도6에 나타낸 가이드부재의 평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00)는, 일측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체결돌기(220)가 수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노브(200)와 결합되어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록킹노브(200)를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부(310); 타측부는 원형봉 형상으로 상기 탄성부재(400)가 구비되고 본체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원형부(320); 및 상기 원형부(32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는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부(310)와 원형부(320)의 접촉부분에 형성되는 지지부(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돌기(220)에는 가이드부재의 플레이트부(310)와 스크류(140)로 체결되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330)는 원형부(32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400)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원형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노브(200)가 배터리팩의 착탈시에 잠김 또는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100)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지지부(330)에 접촉되는 스프링(41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400)가 스프링(41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즉, 복원력)을 지니고 있다면 다른 임의의 부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즉, 스프링(410))가 스프링(410)보다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 지지부(330)에 지지되므로 스프링(410)의 탄성력으로 인해 이탈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원형부(320)가 결합가능하도록, 즉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부(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110); 상기 록킹노브(200)가 수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록킹노브(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부(120); 및 상기 록킹노브(200)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이동시에 상기 체결돌기(220)가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돌기(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동홈(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부(120)와 유동홈(130)은 록킹노브(200)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정도의 유동공간이면 족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노브(200)와 가이드부재의 플레이트부(310)는 스크류(140)로 체결되어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결합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8은 도4에 나타낸 착탈장치에서 록킹노브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 다.
도4 내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 조립시에 문제가 되는 스프링(410)을 가이드부재의 원형부(320)에 끼운 후에 상기 원형부(320)를 본체케이스의 결합홀(110)에 삽입시키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플레이트부(310)와 록킹노브(200)를 스크류(140)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410)의 일단은 본체케이스(100)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부(33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시에 용이하고 조립 후에도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구현한다.
상기 록킹노브(200)는 탄성부재(즉,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잠김상태가 유지되다가, 상기 록킹노브(200)에 외력을 가하여 배터리팩을 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밀면 열림상태가 된다. 이때 배터리팩을 체결한 후에 상기 록킹노브(200)를 놓으면 스프링(41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잠김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방향 배터리팩 착탈장치에서 스프링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에도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케이스에 배터리팩을 체결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케이스에서 착탈가능하게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돌기와 직교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록킹노브;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이 되도록, 일단은 본체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노브에 결합되며 본체케이스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의 착탈시에 잠김 또는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측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체결돌기가 수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노브와 결합되어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록킹노브 를 이동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부;
    타측부는 원형봉 형상으로서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는 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부와 원형부의 접촉부분에 형성되는 지지부
    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원형부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원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
    상기 록킹노브가 수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록킹노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록킹노브가 배터리팩을 착탈하기 위하여 이동시에 상기 체결돌기가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유동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본체케이스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지지부에 접촉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20040101980A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60062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980A KR20060062965A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980A KR20060062965A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965A true KR20060062965A (ko) 2006-06-12

Family

ID=3715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980A KR20060062965A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9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7132B (zh) * 2019-06-12 2021-04-27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带板簧的动力电池直冷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7132B (zh) * 2019-06-12 2021-04-27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带板簧的动力电池直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CN100374773C (zh) 诸如调制解调器的电子装置的安装组件
KR200407607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KR200600629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CN215183804U (zh) 用于断路器的外部手柄机构
US810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tching assembly
KR2003436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배터리록킹장치
CN213213572U (zh) 电子设备保护壳
JP2011150996A (ja) 携帯式電子装置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35325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록킹장치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19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JPH0733518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装着機構
KR20060022537A (ko) 이너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212659987U (zh) 一种无线充电器的支座及无线充电座
CN211378067U (zh) 一种手机壳组件
KR2003958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200600987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600987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2009252602A (ja) 充電台
KR200600309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19738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