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399A -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 Google Patents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399A
KR20060062399A KR1020040101224A KR20040101224A KR20060062399A KR 20060062399 A KR20060062399 A KR 20060062399A KR 1020040101224 A KR1020040101224 A KR 1020040101224A KR 20040101224 A KR20040101224 A KR 20040101224A KR 20060062399 A KR20060062399 A KR 20060062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server
console server
modu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7725B1 (en
Inventor
전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Priority to KR102004010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725B1/en
Publication of KR2006006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외부기기의 콘솔을 모듈화하여 홈네트워크라는 범주안에서 자사가 제공하는 여러 기기(자사의 프로토콜과 자사의 호환이 인증된 제품)의 설치 및 인식이 용이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cognize a number of devices (products whose products are compatible with their protocols) provided by the company in the category of a home network by modularizing the consol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 would like to.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콘솔서버(100)는 광대역통합망(BcN)을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콘솔용 모듈(111); 상기 콘솔용 모듈(111)이 입출력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슬롯(slot)에 장착된 메인 컴퓨터 시스템(112); 상기 메인 컴퓨터 시스템(112)에 의해 구동되는 콘솔별 구동 소프트웨어(113); 홈서버로서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 스토리지(114)를 포함한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이더넷(즉 랜선)을 지원하는 모듈 어댑터로서, 제어신호, A/V신호, 통신신호 및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칩셋과 하드웨어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와, 상기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에 각각의 케이블(131)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외부기기(200)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을 포함한다.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ole module 111 for connecting a network through a broadband integrated network (BcN); A main computer system 112 in which the console module 111 is mounted in a slot which is one of input and output interfaces; Console-specific drive software 113 driven by the main computer system 112; A mainframe 110 including a mass storage 114 for storing data as a home server, and a module adapter connected to the mainframe 110 and supporting Ethernet (that is, a LAN wire), including a control signal, an A / V signal,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ncludes a chipset and a hardware circuit designed to transmit communication signals and data, and are coupled to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through respective cables 131 so that the external device 200 can be connected.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configured to perform the control.

홈네트워크, 콘솔, 콘솔서버, 외부기기, 컨트롤러, 프레임Home Network, Console, Console Server, External Device, Controller, Frame

Description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Multi-Console Console Server System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외부 네트워크 구성도,1 is an external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model of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댁내 네트워크 구성도,FIG. 2 is a premises network diagram of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유선 설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d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비즈니스 수익 창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profit gener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FI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무선 설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콘솔서버 110 : 메인프레임100: console server 110: mainframe

111 : 콘솔용 모듈 112 : 메인 컴퓨터 시스템111: console module 112: main computer system

113 : 콘솔별 구동 소프트웨어 114 : 스토리지113: driving software for each console 114: storage

115 : 멀티 콘솔 컨트롤러 116 ∼ 120 : 콘솔서버모듈115: multi console controller 116∼120: console server module

200 : 외부기기 300 : 백본망200: external device 300: backbone network

1000 : 주 관리서버 1100 : 로컬 관리서버1000: main management server 1100: local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댁내 주거 환경 솔루션에 해당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corresponding to a residential residential environment solution.

일반적으로 댁내 주거 환경 솔루션 상품중 하나인 WoIP(Windows over IP)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일종으로서, 컴퓨터, 모니터, 디지털 TV, LCD TV, LCD 모니터 등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존 PC의 유휴자원을 경제적으로 확장 활용하는 형태로 일반 가정 및 학교, 사무실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Generally, Windows over IP (WoIP), one of the residential residential solution products, is a network protocol that is widely applied to computers, monitors, digital TVs, LCD TVs, and LCD monitors. It is a new technology that can be widely applied to general homes, schools, and offices.

예컨대, WoIP는 컴퓨터의 운영체제(OS) 중 윈도2000 또는 XP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멀티유저 사용 기능의 확장 형태로서, 하나의 컴퓨터에 적용될 경우, 복수개의 오피스 스테이션을 이더넷으로 연결 및 사용하거나, 복수개의 모니터를 연결 및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oIP is an extension of the multi-user usage function that is basically supported in Windows 2000 or XP of the computer's operating system. When applied to one computer, WoIP connects and uses a plurality of office stations via Ethernet, Monitors can be connected and used.

그러나, 종래의 WoIP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외부기기를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하는 장치들은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기종간 연결에서 인식률이 떨어지거나 기기 업그레이드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devices that connect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o a single computer using conventional WoIP have a disadvantage in that recognition rates are inferior or device upgrades are inconvenient in incompatible models.

특히, 이런 종래의 WoIP를 단순 네트워크가 아닌 홈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서로 다른 기술 스팩을 갖고 있는 댁내의 복수개의 디지털 TV의 세톱박스와, 본 출원인에 자체 개발한 매직미러(magic mirror : 거울 배면에 선택적 투과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임베디드 컴퓨터 본체를 장착함에 따라 기본적인 거울 기능과 함께 홈네트워크상의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음)의 콘솔 및 기타 홈오토메이션 콘솔의 다중접속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onventional WoIP is applied to a home network rather than a simple network, a set-top box of a plurality of digital TVs in the house having different technical specifications, and a magic mirror developed by the applicant As the optional transmissive display device and the embedded computer main body are mounted on the device, multiple accesses of the console and other home automation consoles are not possible.

만일, 모든 외부기기들이 윈도우XP 또는 WinCE 등을 장착한 이더넷 통신이 가능한 장비들로만 이루어진 경우, 앞서 언급한 WoIP 기술을 이용하여 이들을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시킬 수 있으나, 불행하게도 현재의 보일러, 에어컨, 전자렌지, 냉장고, 방범 마그네틱 센서, 인체감지기, A/V기기 등이 모두 컴퓨터 및 윈도우XP를 탑재하고 있지 못하는 현실 가운데, 서로 다른 통신 규격[예 : 홈PNA, S-cube(삼성전자의 홈네트워크 프로토콜), PLC]에 대응한 서버 장치의 연결 및 장기적인 업그레이드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상태이다.If all external devices consist only of Ethernet communication devices equipped with Windows XP or WinCE, the above-mentioned WoIP technology can be used to connect them to a single computer. Unfortunately, current boilers, air conditioners and electronics Microwave ovens, refrigerators, security magnetic sensors, human body detectors, A / V devices, etc. are not all equipped with computers and Windows XP, and they have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home PNA and S-cube. ), The connection of the serve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LC] and the long-term upgrade are structurally impossible.

비록, 홈네트워크 내에는 이종 기기간에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연유로, 홈멀티플렉서, 게이트웨이, 월패드 등과 같은 연결장비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역시, 연결장비의 업그레이드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기기별로 분산 환경에 처해 있으며, 특히 연결장비의 통신회로 자체가 해당 외부기기의 콘솔만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홈네트워크 구성이 매우 획일적이면서 자사의 장비만을 인식하게 되는 불편함과 비경제성이 존재하게 된다.Although, in the home network, because of supporting different communication standards among different devices, connection equipment such as home multiplexer, gateway, wall pad, etc. is used, but they are not only inconvenient to upgrade the connection equipment but also distributed environment by device.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circuit itself of the connected equipment is designed to support only the console of the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As a result, the home network is very uniform and the inconvenience and inconsistency of recognizing only its own equipment exist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는 모든 외부기기의 세톱박스 내지 컴퓨터 단말 등이 댁내에 존재함과 함께 분산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원활한 애프터 서비스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that a smooth after-sales service is difficult because the three-top box or computer terminal of all external devices are present in the home and distributed.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는 연결라인을 신설로 배선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축 세대에 적용이 매우 어렵고 힘든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to apply to the main shaft generation because the connection line must be newly w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외부기기의 콘솔을 모듈화하여 홈네트워크라는 범주안에서 자사가 제공하는 여러 기기(자사의 프로토콜과 자사의 호환이 인증된 제품)의 설치 및 인식이 용이하고, 임의의 특정 설치 장소 한 곳을 통해 애프터 서비스 편의성 및 고객 편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modularize the consol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o the various devices provided by the company in the category of home network (certification of compatibility with its own protocol) It is to provide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cognized, and can contribute to improved after-sales service and customer convenience through any one specific installation pl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외부기기의 콘솔을 모듈화하여 신설로 연결라인을 배선할 필요 없이 기축 세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base generation without the need to wire the connection line newly modularized the consol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at support wireles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통신규격을 지원하는 수요대응형 댁내 네트워크망에 결합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댁내 네트워크망과 연동 하는 인터넷을 통해서 주 관리서버와 원격제어 솔루션로 원격제어되는 로컬 관리서버와; 상기 로컬 관리서버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복수개의 콘솔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솔서버의 메인프레임에 관련된 복수개의 하드웨어에 대한 작동 상태 모니터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소프트웨어의 원격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coupled to a demand-compliant home network that support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tandard, and remotely controlled by a main management server and a remote control solution through the Internet interworking with the home network. A local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console servers remotely controlled by the local management server, wherein operating status monitoring for a plurality of hardware related to the mainframe of the console server and remote control of a plurality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mainframe are performed. It is achieved by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솔서버는 광대역통합망을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콘솔용 모듈; 상기 콘솔용 모듈이 입출력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슬롯에 장착된 메인 컴퓨터 시스템; 상기 메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콘솔별 구동 소프트웨어; 홈서버로서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 스토리지를 포함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고 이더넷을 지원하는 모듈 어댑터로서, 제어신호, A/V신호, 통신신호 및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칩셋과 하드웨어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콘솔 컨트롤러와, 상기 멀티 콘솔 컨트롤러에 각각의 케이블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네트워크망에 복수개의 외부기기를 상기 콘솔서버 한 곳으로 다중 접속시켜서 홈네트워크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le server includes a console module for connecting a network through a broadband integrated network; A main computer system in which the console module is mounted in a slot which is one of input / output interfaces; Console-specific driving software driven by the main computer system; Mainframe including mass storage for data storage as a home server, and a module adapter connected to the mainframe and supporting Ethernet, and a chipset and hardware designed to transmit control signals, A / V signals, communication signals and data. A multi-console controller including a circuit and a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coupled to the multi-console controller through respective cables and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indoor network. It is desirable to realize a home network by multiple access to one console serv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외부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댁 내 네트워크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유선 설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비즈니스 수익 창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의 무선 설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n external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d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block for explaining a business profit gener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shown in FIG. 1.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서는, 주 관리서버(1000 : main management server)가 댁네 네트워크망과 연동하는 인터넷(10)을 통해 로컬 관리서버(1100)를 통상의 원격제어 솔루션에 의해서 원격제어할 수 있게 결합되며, 또한 로컬 관리서버(1100 : local management server)도 동일 또는 유사한 원격제어 솔루션에 의해서 복수개의 콘솔서버(100, 100', 100")의 메인프레임(110)에 관련된 하드웨어의 작동 상태 모니터링 및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결합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in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anagement server (1000: main management server) to the local management server 1100 via the Internet 10 in conjunction with your network; Combined for remote control by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solution, the local management server (1100) is also connected to the main of the plurality of console servers (100, 100 ', 100 ") by the same or similar remote control solution. It is coupled to perform operating status monitoring of the hardware related to the frame 110 and remote control of the installed software.

이런 복수개의 콘솔서버(100, 100', 100") 중 어느 하나는 로컬 관리서버(1100)를 통해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하여, 주 관리서버(1000) 및 로컬 관리서버(11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원격 제어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하게 된다.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sole servers (100, 100 ', 100 ") is accessible to the Internet through the local management server 1100, by any one of the main management server 1000 and the local management server 1100 It is remotely controlled to realize the business model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콘솔서버(100)들은 이더넷(패스트이더넷) 또는 광가입자망(FTTH)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복수개의 외부기기(200)를 한 곳으로 다중 접속시켜 홈네트워크를 완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consol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 in one of a communication method of Ethernet (Fast Ethernet) or optical subscriber network (FTTH). The home network is completed by multiple accesses.

여기서, FTTH란 'Fiber To The Home'의 약어로서, 홈네트워크를 위해 댁내까지 광 케이블망이 연결되고 기존의 ADSL, VDSL에 이은 차세대 초고속인터넷 방식을 의미한다.Here, FTTH is an abbreviation of 'Fiber To The Home' and means a next generation high-speed Internet method connected to an optical cable network to a home for home network, followed by existing ADSL and VDSL.

콘솔서버(100)의 업링크 단자에는 외부망에 접속되어 홈네트워크에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IDF 스위치(도시 안됨)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IDF 스위치는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의 약어로서 중간 배선반을 의미한다. 즉, IDF 스위치는 통합배선시스템 설치 시 주배선과 수평 배선 사이의 변환점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시스템의 유지와 확장을 위한 집선, 분배는 물론 네트워크 구분이나 층간 배선을 위한 중간 배선실로 사용되고, LAN의 메인 허브, 스위치, 광 장비 등이 이곳에 위치한다.The uplink terminal of the console server 100 is connected to an IDF switch (not show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network and providing communication to a home network. Here, the IDF switch is an abbreviation of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and means an intermediate wiring board. In other words, the IDF switch serves as a transition point between the main wiring and the horizontal wiring when installing the integrated wiring system. The IDF switch is used as an intermediate wiring room for concentrating and distributing the system, as well as for network separation and interlayer wiring. Main hubs, switches and optical equipment are located here.

콘솔서버(100)의 다운링크 단자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더넷(패스트이더넷) 또는 광가입자망(FTTH) 방식에 상응하여 직접 또는 소정의 통신 연결장치(허브)를 통한 수요 대응형 댁내 네트워크망에 해당하는 홈네트워크 백본망(300)이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wnlink terminal of the console server 100 may be connected to a demand-enabled home network network through a direct communication or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device (hub) in accordance with the Ethernet (fast Ethernet) or optical subscriber network (FTTH) scheme.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backbone network 300 is connected.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홈네트워크 백본망(300)은 이더넷, WoIP, R/F, Zigbee, S-cube, 시리얼(RS485), 무선 네트워크 통신(IEEE802.11a/b/e/g/x)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The home network backbone network 30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thernet, WoIP, R / F, Zigbee, S-cube, serial (RS485),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IEEE802.11a / b / e / g / x), etc. Various protocols are supported.

이런 백본망(300)의 종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연결단자(outlet)에는 외부기기(200)의 일종인 매직미러 콘솔(210) 및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11); A/V, 인터넷TV, 게임장치, 원격제어장치와 같은 세톱박스 콘솔(220) 및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221); 홈오토메이션 콘솔(230)이 접속된다. 물론, 네트워크가 가능한 PC, 홈게이트웨이, PDA, 노트북, Tablet PC 등도 백본망(300)에 접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connection terminal (outlet)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backbone network 300 includes a magic mirror console 210 and a display device 211, which is a kind of external device 200; A set-top box console 220 such as an A / V, an Internet TV, a game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21; 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is connected. Of course, a network capable PC, home gateway, PDA, notebook, Tablet PC, etc.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backbone network (300).

홈오토메이션 콘솔(230)에는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 입출력 컨버터 기능 및 해당 서비스기기의 출력처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서비스 콘솔(240)이 결합된다.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combines a multi-input / output converter function supporting the various protocols and a service console 240 serving as an output destina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device.

그리고, 서비스 콘솔(240)에는 하기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 중 하나인 서비스 콘솔서버모듈(119)에 의해 홈네트워크로서 작동되는 각종 서비스 기기(250 ∼ 253)가 접속된다.The service console 240 is connected to various service devices 250 to 253 operated as a home network by the service console server module 119 which is one of the following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서비스 기기(250 ∼ 253)는 외부기기(200)로서 예컨대, 인터넷 애견관리장치(250), 날씨 정보기(251), 욕조 수위 조절기(252), 가스, 난방, 방범, A/V용 폰(phone), 접점센서, 감지기, 경보장치 등과 같은 기타 제어장치를 포함한 홈오토메이션 기기(253)가 사용 가능하다.The service devices 250 to 253 are external devices 200, for example, the Internet dog management device 250, the weather information device 251, the bath water level controller 252, gas, heating, crime prevention, A / V phone ( A home automation device 253 is available, including other controls such as phones, contact sensors, detectors, alarms, and the like.

만일 이와 같은 상황에서 종래의 홈네트워크의 연결이라면, 상기 백본망(300)에는 상기와 같은 콘솔이 아니라 해당 외부기기(200)의 통상적인 그리고 서비스 제공업체별로 서로 다른 세톱박스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각종 네트워크 단말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물리적으로 부피를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기기간 인식이 어렵고 업그레이드가 불편하며, 특히 무선의 경우 간섭 발생이 있을 것이다.In this situation, if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is connected, the backbone network 300 is not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consoles, but different three-top boxes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service providers of the external device 200, or Since various network terminals are directly connected, as a result, they are not only physically bulky, but also difficult to recognize between devices and inconvenient to upgrade, especially in the case of wireless.

그러나,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는 임의의 특정 설치 장소 한 곳에 설치된 후 댁내에 설치된 외부기기 각각의 작동 제어에 필요한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을 구비함에 따라, 외부기기(200)의 콘솔의 물리적 및 전자통신적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설치 장소 한 곳만의 애프터 서비스를 통해 고객 편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콘솔서버 시스템 비즈니스를 수행 가능케 한다.However, since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external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fter being installed at any one specific installation place, the external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ysical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volume of the console, and to perform a console server system business that can contribute to customer convenience through the after-sales service of only one installation sit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는 기본적으로 광대역통합망(BcN)을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콘솔용 모듈(111)과, 이런 콘솔용 모듈(111)을 통해 해당 규격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서버로서 작동하도록 기억장치(주기억장치 :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 하드디스크, ODD), 중앙처리장치(CPU), 각종 컨트롤러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인 칩셋,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로 이루어진 메인 컴퓨터 시스템(112)과,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는 콘솔별 구동 소프트웨어(113)와, 적어도 홈서버로서의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대용량 스토리지(114)를 포함한 메인프레임(110)을 갖는다.To this end,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console module 111 for connecting a network through a broadband integrated network (BcN), and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of the corresponding standard through such a console module 111 Main computer system 112, which consists of main memory with main memory with various controllers and video interfaces, memory (main memory: memory, auxiliary memory: hard disk, ODD), CPU, various controllers and video interfaces to operate as a server. ), Console-specific drive software 113 recorded in the storage device and operated by a system program driven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ss storage 114 corresponding to hardware for at least data storage as a home server. It has a mainframe 110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된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를 구비하되,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에는 앞서 언급한 바 있고, 콘솔서버(100)의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이 외부기기(200)의 확장 수만큼 결합된다.In addition,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console controller 115 coupled to the mainframe 110,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has been mentioned above, the hardware of the console server 100 A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mbined.

따라서,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에는 댁내에 홈네트워크 기기의 신설에 따라 신규 외부기기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이 크래들(130)의 여분의 모듈 삽입 슬롯(slot)을 통해 새로이 설치된다.Accordingly,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ewly installed through the extra module insertion slot of the cradle 130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home network devices in the home. do.

각각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통상의 랜카드와 같이 RJ-45잭이 통신 가능하게 삽착되는 연결잭을 갖고 있고, 그러한 연결잭은 UTP랜 케이블을 통해서 벽면에 설치된 백본망(300)의 연결단자(outlet)에 연결된다.Each console server module (116-120) has a connection jack into which an RJ-45 jack is inserted to communicate with a common LAN card, and such connection jack is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ckbone network 300 installed on a wall through a UTP LAN cable. connected to the outlet.

이후, 연결단자(outlet)에는 신규 외부기기의 소형 콘솔을 해당 통신 규격의 케이블로 연결 및 설치하는 것만으로 홈네트워크의 확장이 이루어지게 된다.After that, the extension of the home network is achieved by simply connecting and installing a small console of a new external device with a cable of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tandard.

해당 외부기기(20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경우, 임의의 특정 설치 장소에서 콘솔서버(100)의 해당 콘솔서버모듈(116 ∼ 120)만을 정비함에 따라 댁내의 외부기기(200)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hardware and software upgrade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required, the performance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home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only the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of the console server 100 at any particular installation site.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을 기반으로 외부기기(200)의 세톱박스 또는 콘솔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mounted on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of a set-top box or a console of the external device 200 based on the mainframe 110.

예컨대,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매직미러 콘솔(210), 세톱박스 콘솔(220),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서비스 콘솔(240) 등을 위한 것으로서, 해당 콘솔(210 ∼ 240) 각각에 대응한 매직미러 콘솔서버모듈(116), 세톱박스 콘솔서버모듈(117), 홈오토메이션 콘솔서버모듈(118), 서비스 콘솔서버모듈(119) 및 무선 콘솔서버모듈(120)을 의미한다. 여기서, 무선 콘솔서버모듈(120)은 무선 솔루션 적용을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are for the magic mirror console 210, the set-top box console 220, 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the service console 240, and the corresponding consoles 210 to 240. ) Refers to the magic mirror console server module 116, the set-top box console server module 117, the home automation console server module 118, the service console server module 119, and the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respectively. . Here, the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for applying a wireless solu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어 있지 않았지만, 콘솔을 갖는 소정의 외부기기가 홈네트워크에 더 신설된 다면, 역시 해당 외부기기의 콘솔에 대응한 해당 콘솔서버모듈(도시 안됨)이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의 크래들(130)의 여분의 모듈 삽입 슬 롯에 추가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having a console is newly established in the home network, the corresponding console server modu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onsole of the external device is also referred to as the console server ( It is added to the extra module insertion slot of the cradle 130 of 100, which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광대역통합망(BcN)을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콘솔용 모듈(111)은 메인 컴퓨터 시스템(112)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슬롯(slot)에 장착됨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런 메인프레임(110)은 콘솔서버(100)의 메인 컨트롤러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console module 111 for connecting a network through a broadband integrated network (BcN) is mounted in a slot, which is one of input / output interfaces of the main computer system 112, and thus the mainframe. Coupled to 110. This mainframe 110 serves as the main controller of the console server 100.

또한, 메인프레임(110)과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 사이의 연결은 이더넷, USB, 1394, 시리얼, 485기반 등을 범용으로 지원하도록 소정 커넥터 및 복수개의 라인을 갖는 범용 데이터 내부케이블(115a)에 의해 구현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frame 110 and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s connected to the universal data internal cable 115a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lines to universally support Ethernet, USB, 1394, serial, 485, and the like. Is implemented.

여기서, 범용 데이터 내부케이블(115a)은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인터넷 계열이면 이더넷 라인을 통해서, 데이터 계열이면 USB 또는 1394 라인을 통해서, 시리얼 통신이면 시리얼 라인을 통해서, 485기반이면 485 통신 라인을 통해서 메인프레임(110)에 전달된다.In this case, the universal data internal cable 115a may be connected via an Ethernet line if the signal output from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s an internet series, through a USB or 1394 line if a data series, or through a serial line if serial communic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frame 110 through the 485 communication line.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는 이더넷을 지원하는 모듈 어댑터로서, 제어신호, A/V신호, 통신신호 및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소정의 칩셋과 해당 하드웨어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는 하위 시스템의 프로토콜과 상위 시스템의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에도 상호 통신을 가능하도록 프로토콜 번역 및 변환 기능을 갖고 있고, 대한민국의 삼성전자의 공개 홈네트워크 프로토콜인 S-cube를 지원한다. 이런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는 그의 컨트롤러 칩에 결합되어 2의 n승 개의 입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선으로 전달하는 OR 게이트 형식의 먹스(MUX) 회로와, 소정의 멀티 사용 하드웨어 드라이버(Multi Use H/W Driver)로 세팅된다. 멀티 사용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외부기기(200)의 설치와 동시에 강력한 인프라 확장성을 발휘하도록 새로운 디바이스 인식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콘솔서버(100)의 콘솔별 구동 소프트웨어(113)에 기록 관리되는 통합 드라이버이다.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s a module adapter supporting Ethernet, and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chipset and a corresponding hardware circuit designed to transmit control signals, A / V signals, communication signals, and data. In addition,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has a protocol translation and conversion function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even when the protocol of the lower syste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upper system. Support. Such a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s coupled to its controller chip, OR MUX circuit of the OR gate type to select one of the n power of 2 input line to the output line, and a predetermined multi-use hardware driver (Multi Use H / W Driver). The multi-use hardware driver corresponds to a new device recognition program so as to exhibit strong infrastructure scalability at the same time as the install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and is an integrated driver that is recorded and managed in the console-specific driving software 113 of the console server 100.

또한,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는 장착대 형상의 크래들(130)을 서버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하며, 하우징 내, 외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래들(130)에는 해당 콘솔서버모듈(116 ∼ 120)을 다단계로 적층 배열 또는 삽입 배열시킬 수 있도록 모듈 삽입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모듈 삽입 슬롯에는 각 콘솔당 필요한 케이블(131)이 각각 설치되어 멀티 콘솔 컨트롤러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 콘솔당 필요한 케이블은 향후 USB난 내부 온 보드 케이블(On Board Cable)로 대체 가능하다. 각각의 모듈 삽입 영역에 해당 콘솔서버모듈(116 ∼ 120)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에 1:1로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130 having a mount shape in the inside of the server housing, and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cradle 130 has a module insertion slot is formed so that the console server module (116 ~ 120) in a multi-stage stacking or insertion arrangement, the module insertion slot is provided with the necessary cable 131 for each console, respectively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multi-console controller. Here, the cable required for each console can be replaced with a USB or an internal on board cable. As the corresponding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are mounted in the respective module insertion regions, the respective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are connected 1: 1 to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또한, 각종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일종의 하드웨어적 클라이언트로서 앞서 설명처럼 슬롯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장착 및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various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are a kind of hardware client, and are configured to be mounted and detached as necessary in a slot manner as described above.

이런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각각 기본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고, 해당 콘솔의 제어를 위해 비디오 카드(RGB), 리모콘, 조이스틱용 소켓을 지원한다.Each of these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provides a basic display function, and supports a socket for a video card (RGB), a remote controller, and a joystick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sole.

또한,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신축 세대의 경우 유선 연결라인 또는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병행하여 종단의 해당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기축 세대의 경우,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종단의 해당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ew generation, the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ar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of a terminal in parallel with a wired connection line or a wireless access point. It is preferred to be connected.

즉, 연결라인이 미 매설되어 있거나, 연결라인의 매설이 사실상 불가능한 기축 세대의 경우는, 무선 네트워크 웨어(예 : 무선 액세스포인트 등)로서 본 발명 콘솔서버용 유선 배선라인을 대체 시공하여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6을 통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That is, in the case of a key generation that is not buried connection line, or the buried connection line virtually impossible,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 by replacing the wired wiring line for the consol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ireless network wear (for example, wireless access point, etc.) This can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에 해당하는 유선(예 : 랜선)을 매설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대내의 각종 외부기기,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11)를 갖는 매직미러 콘솔(210);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21)를 갖는 세톱박스 콘솔(220); 서비스 콘솔(240)이 결합된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각각은 해당 통신 규격(이더넷, USB, A/V, 리모컨, 시리얼 등)을 랜선 하나를 통해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이더넷 랜포트인 연결단자(311, 312, 313)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매직미러 콘솔(210), 세톱박스 콘솔(220),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서비스 콘솔(240) 각각은 해당 콘솔 근처의 전원플러그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in the case of using a wire (e.g. LAN line) corresponding to the wiring, magic mirror console 210 having a variety of external devices in the household, such as the display device 211; A sawtop box console 220 having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21; Each of the home automation consoles 230 in which the service console 240 is combined is an Ethernet LA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ideo, audio, and data through a single LAN using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tandard (Ethernet, USB, A / V, remote control, serial, etc.).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311, 312 and 313 which are ports, respectively. Here, the magic mirror console 210, the set-top box console 220, 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the service console 240 is connected to a power plug near the console is supplied with power.

연결단자(311, 312, 313)는 콘솔서버(100)로부터 연장되어 댁내 매설된 랜선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및 교환하는 접속구 또는 통상의 인터넷을 제공하는 인터넷 수구 내지 이더넷 랜포트 등을 의미한다.The connection terminals 311, 312, and 313 extend from the console server 100 and are connected to a LAN line embedded in the home, and are provided with connection ports for providing and exchanging audio, video and data services, or Internet apparatuses for providing a general Internet. Ethernet LAN port.

본 발명의 콘솔서버(100)가 설치되는 임의의 특정 설치 장소 한 곳은, 예컨대, 세대 단자함, 세대 배전반, 아파트 서버 관리실 등과 같이 서버 전원을 공급받고 랜망을 통해 외부라인과 내부라인이 중개되는 장소를 의미한다.One particular installation place where the console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for example, a place where the external line and the internal line are relayed through the LAN network by receiving server power such as a generation terminal box, a generation switchboard, an apartment server management room, and the like. Means.

예컨대, 세대 단자함은 공시청안테나텔레비전 설비(MATV, 도시 안됨)와 케이블텔레비전 설비(CATV)와 전원차단스위치를 포함한 전원공급부 및 콘솔서버(100)를 설치할 수 있는 크기 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다.For example, the generation terminal box ha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 installing a console antenna 100 and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public announcement antenna television facility (MATV, not shown), a cable television facility (CATV), and a power cutoff switch.

이때, 상기 매직미러 콘솔(210), 세톱박스 콘솔(220),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서비스 콘솔(240)은 통신라인을 통해 콘솔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USB방식의 DC12V 작동전력을 공급받게 되며, 해당 콘솔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211, 221)는 댁내 전원공급소켓(AC220V)을 통해서 개별 작동전원을 공급받는다.At this time, the magic mirror console 210, the set-top box console 220, 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the service console 240 supplies the DC 12V operating power of the USB method delivered from the console server 100 via a communication line. The display apparatuses 211 and 221 related to the console receive individual operating power through the in-house power supply socket AC220V.

이하, 도 5를 통해서 본 발명의 콘솔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수익 창출 부분을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profit generation portion through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consol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및 인텔리전트 시스템으로서 업그레이드가 용이한 형태로 구축된다.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an easy upgrade form as an online service and intelligent system.

이런 연유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업그레이드 시장 장악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콘솔서버 네트워크를 위한 각종 서비스 장치의 제조, 판매, 유지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수익 모델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개별적인 종래의 홈네트워크 구축보다 저렴한 투자비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business model using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otential to grasp the upgrade market,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various profit models such as manufacturing, sales, and maintenance of various service devices for the console server network. . In addition,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sumers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applied at a lower investment cost than individual conventional home network construction.

예컨대, 복수개의 콘솔서버(100) 중 어느 하나는 로컬 관리서버를 통해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하여, 주 관리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sole servers 100 can access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management server, so that i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main management server.

여기서, 원번호 '①'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 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홈 컨트롤을 위한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및 서비스 콘솔(240)을 홈오토메이션용 하드웨어로서 판매 수익 창출이 가능하고, 이런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및 서비스 콘솔(240)에 연동되는 매립형 또는 일체형 미니 콘솔(254)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55)의 하드웨어 판매 수익 창출도 역시 가능하다. 여기서, 미니 콘솔(254) 및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55)는 가스, 난방, 방범 관련 제어 장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날씨 정보 단말기 등의 아이디어 상품이 될 수 있다.Here, as indicated by the original number '①', the business model using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ells home automation console 230 and service console 240 for home control as hardware for home automation. Revenue generation is possible, and hardware sales of the embedded or integrated mini console 254 and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55 linked to 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and the service console 240 are also possible. Here, the mini console 254 and the display device 255 may be an idea product such as a gas, heating and security control device, or a weather information terminal as mentioned above.

원번호 '②'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수요대응형 및 모듈형 네트워크를 실현하고, 인터넷 컨텐츠 전송의 주역으로서 로컬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콘솔서버(100)를 소비자와 홈네트워크 업계에 제공함에 따라, 콘솔서버(100)를 하드웨어로서 판매한 수익 창출과,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정보가전 서비스와 방송통신(방통)융합 기기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As indicated by the original number '②', the business model using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demand-responsive and modular network, and has a console server interworking with a local management server as a principal of Internet content delivery. Providing 100) to the consumer and home network industry,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as a revenue generation, system upgrade, information appliances service and broadcasting communication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device that sells the console server 100 as hardware.

원번호 '③'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콘솔서버(100)와 연동하는 각종 외부기기의 하드웨어 판매 및 인터넷 액세스 관리, 유지관리, 미디어 중심의 컨텐츠 서비스, 정보가전 서비스 등을 통해 수익 창출이 예상된다.As indicated by the original number '③', the business model using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ardware sales of various external devices linked with the console server 100, Internet access management, maintenance, media-centric content Profit is expected from services and information appliance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콘솔서버(100)의 크래들(130)의 여분의 모듈 삽입 슬롯에 무선 콘솔서버모듈(120)을 더 추가 장착하여 기축 세대에 용이하게 홈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equipped with a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in the extra module insertion slot of the cradle 130 of the console server 100 to facilitate the base generation. Can form a home network.

즉, 앞서 설명한 다른 콘솔서버모듈(116 ∼ 119)과 동일한 장착 방식(슬롯 삽입 방식)에 의해서, 무선 콘솔서버모듈(120)이 콘솔서버(100)의 크래들(130)에 더 장착된다.That is, the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is further mounted to the cradle 130 of the console server 100 by the same mounting method (slot insertion method) as the other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19 described above.

이런 경우, 무선 콘솔서버모듈(120)은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며, 무선 신호를 유선 신호로 변환 전달하거나, 또는 유선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등의 유/무선 액세스를 수행함에 따라서, 해당 콘솔서버모듈과 해당 콘솔 각각을 연결하는 중개자 역할을 담당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mainframe 110 through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converts and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a wired signal, or converts and transmits a wired signal to a wireless signal, etc. As it performs wired / wireless access, it acts as an intermediary connecting the console server module and each of the consoles.

이때, 무선 콘솔서버모듈(120)은 이더넷라인을 통해 무선 액세스포인트(260)와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260 through the Ethernet line.

무선 액세스포인트(260)는 AC220V를 DC6V ∼ VDC12V로 변환하는 교류/직류전원변환기에 의해 작동 전원을 받아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IP를 설정함에 따라 홈네트워크 내에서 무선을 지원하는 기기들과 접속된다.The wireless access point 260 receives an operating power by an AC / DC power converter that converts AC220V into DC6V to VDC12V, and establishes wireless IP through a corresponding channel, thereby connecting to devices supporting wireless in the home network.

예컨대, 무선 액세스포인트(260)는 통상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규격의 프로토콜에 의해 무선 지원용 외부기기의 일종인 무선 매직미러 콘솔(210') 및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11); A/V, 인터넷TV, 게임장치, 원격제어장치와 같은 무선 세톱박스 콘솔(220') 및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21); 무선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및 홈오토메이션 기기(253); 무선 서비스 콘솔(240') 및 인터넷 애견관리장치(250)와 같은 해당 서비스 기기가 무선으로 접속된다. 물론, 무선 액세스가 가능한 PC, 홈게이트웨이, PDA, 노트북, Tablet PC 등도 무선 액세스포인트(260)에 접속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access point 260 may include a wireless magic mirror console 210 'and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11, which is a kind of external device for wireless support by a protocol of a conventional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tandard; A wireless set-top box console 220 'such as an A / V, an Internet TV, a game device,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221; A wireless home automation console 230 'and a home automation device 253; Corresponding service devices such as wireless service console 240 'and internet dog management device 250 are wirelessly connected. Of course, a PC, a home gateway, a PDA, a notebook, a Tablet PC, and the like, which are wirelessly accessible,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260.

여기서, 각각의 무선 액세스가 가능한 소정 콘솔(210', 220', 230', 240') 및 무선 액세스가 가능한 PC, 홈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웨어는 기기간 혼선 내지 간섭 발생을 없애기 위해서, 무선 액세스포인트(260)에서 구분하는 기기간 채널(CH) 설정에 의해 기기간 간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결국 기축 세대에도 손쉽게 홈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wireless network wear such as a predetermined console (210 ', 220', 230 ', 240') and each wireless accessible PC, home gateway, etc. that can be accessed wirelessly, in order to eliminate crosstalk or interference between devices, It is design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vice-to-device interference by the device-to-device channel (CH) set in step 260,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home network even in the base generation.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기기간 채널 설정을 통하여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콘솔에 연동하는 각각의 콘솔서버모듈의 USB 방식의 전원 공급을 실현하여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규모를 상대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댁내 주거 솔루션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terference through channel setting between devices, and realize a USB type power supply of each console server modul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console for power supply. It is a residential solution that can reduce wiring size relatively.

또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해당 외부기기의 콘솔에 대응하는 콘솔서버모듈을 콘솔서버에 모듈화시켜 추가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자사와 호환이 되거나 호환 가능하도록 제작된 전용 콘솔의 연결에서 뛰어난 인식률, 확장성, 범용성을 발휘하며, 물리적으로도 외부기기의 콘솔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성능은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by adding a console server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nsole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console server, the dedicated console made to be compatible or compatible with the company It provides excellent recognition rate, scalability, and universality in the connection of the controller, and can physically reduce the size of the console of the external device and double the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임의의 특정 설치 장소 한 곳에 설치됨에 따라 신속한 애프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고객 편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시 통신장애 해소가 필요한 해당 콘설서버모듈만을 교체하여 간단히 유지보수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quick after-sales service as it is installed in any one specific installation place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ustomer convenience, only replace the corresponding console server module that needs to solve the communication failure in case of fail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콘솔서버의 업그레이드를 통한 꾸준한 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먹스 회로 지원에 따라 1:N 접속 연결이 가능하여, 복수개의 동종 기종의 콘솔 내지 세톱박스를 확장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rvice quality through the upgrade of the console server, 1: N connection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MUX circuit support, multiple consoles of the same type to the three-top box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tended.

또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콘솔서버에 무선 콘솔서버모듈을 추가 구성하는 용이성만으로도, 기축 세대의 홈네트워크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ultiple-access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easily realize the home network of the main generation, even with the ease of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in the console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은 랜선만 연결하면 랜선을 통해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대가 기축이든 신축이든 이더넷 랜포트인 연결단자 및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용이한 홈네트워크의 범주 내에서 뛰어난 범용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connected console ser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video, audio, and data through a LAN line by simply connecting a LAN line, so that the home and the wireless access point of the Ethernet LAN port can be easily connected to a household or a new gen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excellent versatility within the scope of the network.

Claims (7)

소정 통신규격을 지원하는 수요 대응형 댁내 네트워크망에 결합된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coupled to the demand-response home network that support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tandard, 상기 댁내 네트워크망과 연동하는 인터넷(10)을 통해서 주 관리서버(1000)와 원격제어 솔루션로 원격제어되는 로컬 관리서버(1100)와;A local management server 1100 remotely controlled by the main management server 1000 and a remote control solution through the Internet 10 interworking with the indoor network; 상기 로컬 관리서버(1100)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복수개의 콘솔서버(100, 100', 100")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le server (100, 100 ', 100 ") that is remotely controlled by the local management server 1100, 상기 콘솔서버(100, 100', 100")의 메인프레임에 관련된 복수개의 하드웨어에 대한 작동 상태 모니터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소프트웨어의 원격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Operating status monitoring for a plurality of hardware related to the mainframe of the console server (100, 100 ', 100 "), and remote control of a plurality of software installed in the mainframe is performed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솔서버(100)는 광대역통합망(BcN)을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콘솔용 모듈(111); 상기 콘솔용 모듈(111)이 입출력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슬롯(slot)에 장착된 메인 컴퓨터 시스템(112); 상기 메인 컴퓨터 시스템(112)에 의해 구동되는 콘솔별 구동 소프트웨어(113); 홈서버로서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 스토리지(114)를 포함한 메인프레임(110)과,The console server 100 includes a console module 111 for connecting a network through a broadband integrated network (BcN); A main computer system 112 in which the console module 111 is mounted in a slot which is one of input and output interfaces; Console-specific drive software 113 driven by the main computer system 112; A mainframe 110 including mass storage 114 for data storage as a home server,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이더넷을 지원하는 모듈 어댑터로서, 제어 신호, A/V신호, 통신신호 및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칩셋과 하드웨어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와,A module adapter connected to the mainframe 110 and supporting Ethernet, comprising: a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ncluding a chipset and a hardware circuit designed to transmit control signals, A / V signals, communication signals, and data; 상기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에 각각의 케이블(131)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외부기기(200)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콘솔서버모듈(116 ∼ 120)을 포함하고,A plurality of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coupled to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via respective cables 131 and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 200, 상기 댁내 네트워크망에 복수개의 외부기기(200)를 상기 콘솔서버(100) 한 곳으로 다중 접속시켜서 홈네트워크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realize a home network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0) to the console server 100 in one place to the indoor network.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 사이는 이더넷, USB, 1394, 시리얼, 485기반 등을 범용으로 지원하도록 소정 커넥터 및 복수개의 라인을 갖는 범용 데이터 내부케이블(115a)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The mainframe 110 and 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s connected by a universal data internal cable 115a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lines to universally support Ethernet, USB, 1394, serial, 485, and the lik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멀티 콘솔 컨트롤러(115)는 그의 컨트롤러 칩에 결합되어 2의 n승 개의 입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선으로 전달하는 OR 게이트 형식의 먹스(MUX) 회로 와, 소정의 멀티 사용 하드웨어 드라이버(Multi Use H/W Driver)로 세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The multi-console controller 115 is an OR gate type mux circuit that is coupled to its controller chip and selects one of two n-th power input lines and transmits it to an output line, and a predetermined multi-use hardware driver (Multi). Use H / W Driv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지원하는 매직미러 콘솔서버모듈(116), 세톱박스 콘솔서버모듈(117), 홈오토메이션 콘솔서버모듈(118), 서비스 콘솔서버모듈(119), 무선 콘솔서버모듈(120)로서 슬롯 타입의 크래들(13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The console server module 116 to 120 is a magic mirror console server module 116, a set-top box console server module 117, a home automation console server module 118, a service console server supporting either wired or wireless, respectively. Module 119, a wireless console server module 120,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slot type cradle (130).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콘솔서버모듈(116 ∼ 120)은 각각은 해당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연결단자(311, 312, 313) 또는 무선 액세스포인트(26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매직미러 콘솔(210, 210'), 상기 세톱박스 콘솔(220, 220'), 상기 홈오토메이션 콘솔(230, 230'), 상기 서비스 콘솔(240, 240')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Each of the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s 311, 312, and 313 or the wireless access point 260, which supports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three-top box console (220, 220 '), the home automation console (230, 230'), the service console (240, 240 ') is connected to the multiple access console server system.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서비스 콘솔(240)에는 상기 콘솔서버모듈(116 ∼ 120) 중 하나에 의해 제어되는 인터넷 애견관리장치(250); 날씨 정보기(251); 욕조 수위 조절기(252) 및; 가스, 난방, 방범, A/V용 폰(phone), 접점센서, 감지기, 경보장치와 같은 홈오토메이션 기기(253)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콘솔서버 시스템.The service console 240 includes an Internet dog management device 250 controlled by one of the console server modules 116 to 120; Weather information 251; A bath water level regulator 252; A multi-connection console ser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home automation devices 253 such as gas, heating, security, A / V phone, contact sensor, detector, and alarm device are connected.
KR1020040101224A 2004-12-03 2004-12-03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KR100627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24A KR100627725B1 (en) 2004-12-03 2004-12-03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24A KR100627725B1 (en) 2004-12-03 2004-12-03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99A true KR20060062399A (en) 2006-06-12
KR100627725B1 KR100627725B1 (en) 2006-09-25

Family

ID=3715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224A KR100627725B1 (en) 2004-12-03 2004-12-03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7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8B1 (en) * 2006-10-10 2007-02-27 탑시스템주식회사 Integrated supervisory control/monito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duplex syste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53B1 (en) * 2007-06-29 2009-06-26 삼성물산 주식회사 Multimedia-concent attached to the wall
KR100980699B1 (en) 2010-06-28 2010-09-08 (주)아인톱시스템 Integrated system for remote detecting and controlling capable of replacing control board without shutting-dow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20424B1 (en) 2011-11-23 2013-10-22 (주)제이엠피시스템 Wireless consol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951B1 (en) * 2000-09-01 2002-09-12 부창완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HO through internet
JP2002111887A (en) * 2000-09-21 2002-04-12 Stuart Argyle Andrews Home automation centralized control system
KR20020037208A (en) * 2000-11-13 2002-05-18 허화영 Apparatus and method for state supervising and controlling of informatio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by using home server
KR100412364B1 (en) * 2002-02-23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KR100432044B1 (en) * 2002-06-14 2004-05-20 권욱현 Server/Client System For Managing Home Network And That Implement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28B1 (en) * 2006-10-10 2007-02-27 탑시스템주식회사 Integrated supervisory control/monito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duplex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725B1 (en)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87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WO2017119539A1 (en) Integrated gatew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smart home
CA281832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d linking electrical appliances for control and status report
KR20100035083A (en)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mi by using public ip networks and application to real time electric load responsive management
JP2006524012A (en) Electric appliance with wireless data that can be used by remote control
CN101312422A (en) Family gateway sub-system based on bus mode and digital family system
WO2000004427A1 (en) Internet utility interconnect method and means
US20050286900A1 (en) Intelligent modular multimedia data distribution system
US20210164227A1 (en) Modular pre-wired dwelling panel design
DK2426867T3 (en) Interface device for a måleanordnings network
KR100627725B1 (en) Console server system for multi connection
KR19990073164A (en) Device for constructing local area network with telephone lines and internet service using the same device
WO2001037535A1 (en) Home network using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CN2746685Y (en) Visual intercome system based on local network
WO2021000460A1 (en) Intelligent gateway and intelligent home system
CN201464896U (en) Embedded-type remote terminal controll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CN101127607A (en) Network adapter
JP2017108382A (en) House
KR20080002847U (en) Built-in type wireless IP sharer
CN105807695A (en) Hotel room control box and control system
JP5308195B2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0839033B1 (en) Smart home multiplexor input and output convertor having plural wall pad connector member
CN204928852U (en) Information inserts case
KR200363700Y1 (en) Gateway-type switching hub having distributor on voice communication line
WO2010035940A2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power demands in real time through ami gateway sharing public ip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