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900A - 흡착 필터 - Google Patents

흡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900A
KR20060061900A KR1020050116196A KR20050116196A KR20060061900A KR 20060061900 A KR20060061900 A KR 20060061900A KR 1020050116196 A KR1020050116196 A KR 1020050116196A KR 20050116196 A KR20050116196 A KR 20050116196A KR 20060061900 A KR20060061900 A KR 2006006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dsorptio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filter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커 브로인링
울리히 슈탈
우베 펠버
로베르트 바더
하이코 샤흐트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6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5Siz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02Dimensions
    • B01D2253/304Linear dimensions, e.g. particle shap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 입자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흡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착 필터의 목적은 가급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에서도 종래 필터에 비해 확실하게 개선된 통과 특성을 갖도록, 상기 유형의 흡착 필터를 개선하는 것이며, 적어도 20 중량%의 활성탄 입자는 0.180 m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활성탄의 전체 중량은 100 내지 5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는 자발적 흡착 능력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 필터 {ADSORPTION FILTER}
도 1은 n-부탄-통과율-측정과 관련하여 동력학적으로 최적화된 필터와 표준 필터를 비교한 다이아그램.
본 발명은 활성탄 입자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흡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특히 자동차 냉·난방 장치와 같은 다수의 시스템에서는 소위 콤비 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콤비 필터로서는, 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 층이 그 뒤에 연결된 입자 분리용 입자 필터가 이용된다. 이 경우 활성탄 층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체에 결합될 수 있는 입자형 석탄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사용되는 입자의 크기 및 석탄의 양은 흡착 용량, 통과율 특성 및 x통기성 간의 절충을 통해서 결정된다. 사용되는 활성탄 입자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20 x 60 메시(mesh)(ASTM 지정 D 2862-97에 따른 메시 사이즈)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은 범위는 0.25 mm 내지 0.85 mm의 입자 크기에 상응한다. 단위 면적당 활성탄 의 통상적인 제공량은 250 - 500 g/m2의 범위에 있다.
선행 기술에는, 흡착 필터의 통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수의 제안들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입자형- 또는 구형 석탄을 갖는 종래의 흡착 필터가 자발적 흡착율이 높은 필터 영역 주변에 보완되는 필터 구성이 이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DE 197 08 692호에는, 가급적 높은 통기성 및 가급적 높은 흡착 용량을 유지하는 동시에 통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2개의 필터 영역으로 분할된 흡착 필터가 공지되어 있다. 제 1 필터 영역은 유해 물질의 99 %까지 흡수해야 하고, 그에 따라 높은 용량을 가져야 한다. 제 2 영역은 용량은 낮지만 흡착 속도는 높아야 한다. 제 1 영역을 위해 상기 간행물에서는 흡착제로서 입자형 또는 구형 활성탄(입자 크기는 약 0.3 - 1.0 mm; 전체 석탄량은 약 400 - 500 g/m2)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며, 제 2 영역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직물 표면 형성체(surface formation)가 제안된다.
공지된 상기 필터에 의해서는, 매우 우수한 통과율 특성이 달성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필터 및 문헌에서 제안된 추가 필터의 단점은 일반적으로 재료 비용에서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에서도 축적되는 복잡하고도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급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에서도 종래 필터에 비해 확실하게 개선된 통과 특성을 갖도록, 서문에 언급한 유형의 흡착 필터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흡착 필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활성탄 입자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흡착 필터에서는, 적어도 20 중량%의 활성탄 입자가 0.180 m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고, 활성탄의 전체 표면 중량이 100 내지 500 g/m2인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는 매우 우수한 통과 특성을 갖는다.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사용함으로써, 흡착 속도는 현저히 상승될 수 있다. 입자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통상적으로는 필터 매체의 통기성도 원치 않게 감소된다.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활성탄의 양은 흡착 용량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보다 훨씬 더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고출력 흡착 필터가 우수한 흡착 속도 이외에도 가급적 높은 흡착 용량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서문에 언급된 DE 197 08 692 C2호에 공지된 고출력 흡착 필터는 흡착 속도가 높은 영역뿐만 아니라 활성탄 함량이 높음으로써 흡착 용량이 높은 영역도 포함한다는, 선행 기술에서 주도적인 의견과 반대로, 본 발명은 필터의 기능을 위해 달성 가능한 흡착 용량의 레벨에 사람들이 추측했던 의미가 부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히 도로 교통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 오염이 대부분 다만 단시간 동안만의 농도 피크로서 나타나고, 상기 농도 피크가 자발적 흡착율이 높고 신속하게 반응하는 흡착 필터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고 인식했으며, 이 경우 흡착 용량은 다만 하위적인 역할만을 담당한다. 또한, 종래의 흡착 필터와 조합된 콤비 필터의 연속 주행 테스트 및 주관적인 출력 판단(DIN 10950: "센서에 의한 트레이닝" 및 DIN 13725: "후각 검사(Olfactometry")의 틀 안에서는, DIN 71460/2에 따른 흡착 용량의 레벨이 콤비 필터의 필터 사용 시간 또는 주관적인 냄새 감소 특성에 대한 척도가 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는, 입자 크기가 0.180 mm 미만인 활성탄 입자의 함량이 20 중량%로 상승됨으로써 자발적 흡착 능력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활성탄의 전체 단위 면적당 중량은 100 내지 500 g/m2이다. 이 값은 필터 매체의 우수한 통기성과 충분한 흡착 용량 사이에서 절충된 값이다. 활성탄의 전체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 g/m2의 값에 미달되면, 활성탄과 흡착될 분자의 접촉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 결과 필터의 흡착 능력은 악화되고, 채널링(Channeling)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그와 달리 500 g/m2의 상부 한계를 초과하면, 필터 매체의 통기성이 매우 심하게 악화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가급적 우수한 통기성 및 필터 작용과 동시에 높은 흡착 속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활성탄의 미세 성분과 큰 성분의 혼합량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데 있다. 그 경우에 본 발명은, 활성탄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착 필터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혼합물은 큰 성분과 미세 성분을 포함하며, 이때 큰 성분과 미세 성분의 혼합 비율 그리고 활성탄 입자의 전체 양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의 필터 특성들이 구현되도록 선택되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활성탄 입자의 적어도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 0.180 m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흡착 속도가 증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통기성도 충분히 우수하다.
통기성과 관련한 매우 우수한 값은 250 g/m2의 활성탄의 전체 단위 면적당 중량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소비 특성, 통기성 및 흡착 용량과 관련한 특히 우수한 결과들은 150 내지 230 g/m2의 활성탄의 전체 단위 면적당 중량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활성탄 입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체 재료상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체 재료 내부에 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한 기술들은 공지되어 있고, 특허 문헌에 다양하게 기술되어 있다.
흡착 필터는 특히 입자를 필터링 하는 영역, 예컨대 정전기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입자 필터 및 유해 물질을 흡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콤비 필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착 필터는, 예를 들어 각각 특수한 유해 물질을 지향할 수 있고 상이한 흡착제를 가질 수 있는 다수의 입자 필터 및/또는 추가의 흡착 필터와의 조합에 의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 입자 및/또는 흡착 필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흡착제는 공지된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산성으로, 촉매 작용성으로 또는 염기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흡착 필터는 종래 필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레이트 필터 또는 지그-재그-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흡착 필터가 필터 카트리지로서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는 적합한 하우징 내부에 필터가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착 필터는 호흡 보호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폐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흡착 필터는 예를 들어 콤비 필터의 구성 부품으로서 특히 자동식 자동차(KFZ)-냉·난방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난방 장치는 점차적으로, 유해 가스 오염도 또는 그 농도가 높은 경우에 공기 순환 모드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 순환 모드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공급이 중단되는 대신에 자동차 내부 공간에 있는 공기가 펌핑에 의해 이송된다. 이 목적을 위해 공기 유입구에는 유해 가스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센서는 흡인된 공기의 유해 가스 오염도 또는 그 농도를 측정하고(탄화수소 및 질소산화물), 소위 공기 순환 플랩 밸브를 폐쇄하기 위해 냉·난방 장치의 제어부에 신호를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농도가 짙은 유해 가스가 외부 공기로부터 승객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 경우의 문제점은, 흡인 영역에서 유해 가스 농도가 초과되는 시점 그리고 그와 연관하여 유해 가스 센서가 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으로부터 공기 순환 플랩 밸브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수 초의 시간이 경과하며, 이 시간 동안에는 유해 가스가 짙은 농도로 냉·난방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해 가스가 콤비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유해 가스가 필터를 통과 하게 될 위험성은 크다. 심지어 유해 가스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는 시스템에 의하여 공기 순환 플랩 밸브가 폐쇄되는 수 초의 시간 동안 유해 가스가 차량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전반적으로 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우수한 자발 흡착 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필터를 사용할 때 공기 순환 플랩 밸브 시스템의 구조가 매우 단순해지고, 그럼으로써 상기 플랩 밸브의 폐쇄 동작이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당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의 흡착 용량은, 유해 가스 센서가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유해 가스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 관류하는 유해 가스를 흡착하기에 충분하다.
센서는 부분적으로는 선택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냄새와 유해 가스에 내재하는 모든 분자들을 검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흡착 필터는 센서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모든 분자들을 흡착함으로써, 원치 않는 유해 가스가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예컨대 뜨거운 공기를 유입시켜 필터를 가열하거나 또는 필터로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유해 물질을 흡착 필터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조치들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해 가스를 동반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방출 과정 동안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차량 내부 공간을 통과할 수밖에 없다.
상기 흡착 필터는 공기 순환 플랩 밸브의 수동 작동에 의해서도 장점을 야기한다.
특히 유해 물질 오염시 공기 순환 모드로의 전환 가능성과 관련하여, (DIN 71460/2에 따라) 측정 기술적으로만 검출 가능한 낮은 흡착 용량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기의 유해 물질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 실제로 적용할 때에는 공기 순환 플랩 밸브의 폐쇄에 의하여 필터가 "보호"되어 흡착 물질에 유해 가스가 동반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는 공지된 필터들과 동일한 필터 수명을 갖는다. 공기 순환 모드에서는, 흡착 필터가 공기 순환 플랩 밸브의 공기 공급 측에 존재함으로써, 공기 순환 플랩 밸브가 폐쇄된 경우에는 더 이상 외부 공기가 관류하지 않거나, 또는 공기 순환 플랩 밸브에 대하여 배출 측에 존재함으로써, 공기 순환 모드에서는 다만 차량 내부 공간의 공기만이 관류할 수 있게 된다. 공지된 필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에서는 사용, 즉 주관적인 냄새 감소가 확실하게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의 특성 및 장점은 자동차(KFZ)에 적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는 상기 적용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는 임의의 필터 장치, 예컨대 고정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또는 이동식 실내 공기 정화 장치에서 실내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n-부탄-통과율은 활성탄이 다양한 양으로 제공되는 흡착 필터를 구비한 콤비 필터에서 그리고 시장에서 구입 가능한 표준-콤비 필터-필터에서 검출되었다. 상기 필터는, 프레임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 잡힌 필터 매체를 구비한 공지된 주름 필터로서 형성되었다. 모든 필터는 부직포로 제작되었다.
필터의 제작은 변동된다. 이 경우에는, 활성탄의 실제 공급량이 설정량에서 20 g/m2만큼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정해진 입자 크기 미만의 크기를 갖는 활성탄 입자의 함량은 설정량으로부터 10 %만큼 벗어날 수 있다.
측정은 자동차 내부 공간 필터에 적용되는, 가스 흡착용 독일 공업 규격 DIN 71460-2에 따라 실행되었다.
개별적인 필터의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콤비 필터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한 개 층의 입자 필터를 포함했다. 상기 입자 필터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60 g/m2였고, 필터 재료는 정전기적으로 충전되었다. 섬유 직경은 20 - 40 ㎛였다.
화학적인 필터 영역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약 43 g/m2이고, 섬유 직경이 약 10 내지 25 ㎛인 폴리에스테르(PES)로 이루어진 지지체 재료를 포함했다. 단위 면적당 중량은 150, 200 및 250 g/m2였다. 입자 크기는 0.106 내지 0.425 mm였다. 이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에서는, 40 중량% 이상의 입자가 0.180 mm보다 작았다.
비교를 위해 이용되는 표준-콤비 필터는, 정전기적으로 충전되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필터층을 갖고, 단위 면적당 중량이 60 g/m2이며, 섬유 직경이 약 30 ㎛인 1개 층으로 구성된 입자 필터를 포함했다.
상기 화학적 필터 영역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350 g/m2인 입자형 활성탄 (0.25 - 0.6 mm)을 포함했다. 상기 활성탄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약 50 g/m2이고 PES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에 제공되었다. 입자 크기는 0.25 내지 0.6 mm였다. 이와 같은 입자 크기에서는 다만 약 1 중량 %의 입자만이 0.180 mm보다 작았다.
측정의 결과는 도면부의 단 하나의 도면에 도시되었다.
도면의 다이아그램은, 4개의 다양한 필터를 사용하여 n-부탄 소비율을 측정할 때 검출된 측정값들을 보여준다. 테스트는 23 ℃의 온도 및 50%의 상대적 습도에서 실시되었다. 소비율은 180 m3/h였다. 공기 중에는 80 ppm의 n-부탄이 투입되었다.
도 1의 다이아그램에서는, 표준-콤비-필터에서 약 7% 크기의 순간 통과율이 기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순간 통과율은 활성탄의 전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감소될 수는 있으나,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압력 손실의 증가로 인해 활성탄의 양이 임의로 증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콤비 필터의 경우에는, 순간 통과율이 활성탄의 양에 따라 현저하게 낮아진다. 다시 말해, 활성탄의 양이 150 또는 200 g/m2인 경우에는 순간 통과율이 2 및 3%이고, 250 g/m2인 경우에는 심지어 0의 값에 도달한다. 또한, 표준 필터에서의 통과율의 상승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흡착 필터의 경우보다 훨씬 더 급격하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공기 순환 플랩 밸브의 폐쇄를 위해 가정된 10초의 최대 시간격 후에, 표준 필터의 n-부탄-통과율의 값 은 17%로 이미 상대적으로 높으며, 150, 200 및 250 g/m2의 활성탄을 함유하는 필터의 경우에는 다만 10 %, 5 % 및 3.5 %로 훨씬 더 낮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가급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에서도 종래 필터에 비해 확실하게 개선된 통과 특성을 갖도록 흡착 필터를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활성탄 입자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흡착 필터로서,
    적어도 20 %의 활성탄 입자는 0.180 m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활성탄의 전체 중량은 100 내지 5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30 %의 활성탄 입자가 0.180 m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활성탄의 전체 단위 면적당 중량이 150 내지 23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필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활성탄용 지지체 재료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필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흡착 필터를 포함하는, 콤비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입자를 필터링 하는 상기 콤비 필터의 영역을 위한 재료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필터.
KR1020050116196A 2004-12-02 2005-12-01 흡착 필터 KR20060061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8167.3 2004-12-02
DE102004058167A DE102004058167A1 (de) 2004-12-02 2004-12-02 Adsorptions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900A true KR20060061900A (ko) 2006-06-08

Family

ID=3546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196A KR20060061900A (ko) 2004-12-02 2005-12-01 흡착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23991A1 (ko)
EP (1) EP1666125A1 (ko)
JP (1) JP2006159189A (ko)
KR (1) KR20060061900A (ko)
CN (1) CN1781578A (ko)
DE (1) DE102004058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1262B1 (en) 2001-06-22 2009-10-13 Argonide Corporation Sub-micron filter
US7311752B2 (en) * 2005-09-12 2007-12-25 Argonide Corporation Electrostatic air filter
US7390343B2 (en) * 2005-09-12 2008-06-24 Argonide Corporation Drinking water filtration device
DE202008000097U1 (de) * 2008-07-22 2008-10-09 Webasto Ag Mobiles Heizgerät
CN103189089A (zh) * 2010-09-07 2013-07-03 耐斯特科技有限公司 用于防毒面具筒及罐的剩余使用寿命指示
EP2866915A1 (en) 2012-06-27 2015-05-06 Argonide Corporation Aluminized silicious sorbent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8967128B2 (en) * 2013-06-03 2015-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 layer bypass hydrocarbon trap
EP3312031B1 (de) * 2017-05-05 2021-01-06 Carl Freudenberg KG Lüftungssystem in einer mobilen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üftungssystems in einer mobilen 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5965A (en) * 1968-01-19 1971-09-15 Bondina Ltd Formerly Bondina B Protective materials
DE3211322A1 (de) * 1982-03-27 1983-09-29 Hasso von 4000 Düsseldorf Blücher Flaechenfi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433024A (en) * 1982-07-23 1984-02-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duced-stress vapor-sorptive garments
DE3304349C3 (de) * 1983-02-09 1995-10-26 Bluecher Hubert Flächenfi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443900C2 (de) * 1984-12-01 1997-03-06 Bluecher Hubert Schutz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4797318A (en) * 1986-07-31 1989-01-10 Kimberly-Clark Corporation Active particle-containing nonwoven material, method of forma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DE3719418C1 (de) * 1987-06-11 1988-07-21 Sandler Helmut Helsa Werk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termaterials
DE3813563C2 (de) * 1988-04-22 2002-01-17 Mhb Filtration Gmbh & Co Kg Adsorptionsfilter mit hoher Luftdurchlässigkeit
US5338340A (en) * 1990-02-10 1994-08-16 D-Mark, Inc. Fil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753497B2 (ja) * 1990-07-14 1998-05-20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空気浄化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DE4034798C2 (de) * 1990-11-02 1996-07-11 Sandler Helmut Helsa Werk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dsorptions-Flächenfilters
US5328758A (en) * 1991-10-11 1994-07-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rticle-loaded nonwoven fibrous article for separations and purifications
JP2818693B2 (ja) * 1992-11-18 1998-10-30 ヘキスト・セラニ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固定された粒子物質を含有する繊維状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50443B2 (en) * 1993-04-19 1999-08-10 Von Hasso Bluecher Filter sheet material for passenger cabins in motor vehicles
US5902384A (en) * 1994-12-23 1999-05-11 Alliedsignal Inc. Wicking fiber with solid particulates for a high surface area odor removing filter and method of making
DE19514887C2 (de) * 1995-04-22 1998-11-26 Freudenberg Carl Fa Adsorbierendes, biegsames Filterflächengebild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728475B2 (ja) * 1996-04-12 2005-12-21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除塵フィルターの機能を有する吸着材
DE19708694A1 (de) * 1996-05-03 1998-09-10 Bluecher Gmbh Adsorptionsfilter
DE19708692C2 (de) * 1997-03-04 2002-01-31 Mhb Filtration Gmbh & Co Kg Hochleistungsadsorptionsfilter
JP2002095913A (ja) * 2000-09-22 2002-04-02 Tennex Corp 脱臭フィルター
DE60028973T2 (de) * 2000-10-11 2007-0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Kombinationsfiltersystem mit Filtermedium mit Strömungskanal und Adsorptionspartikelfiltermedium
JP2002204928A (ja) * 2001-01-12 2002-07-23 Toyobo Co Ltd 光触媒担持脱臭シート及び空気浄化用フィルター
TW541200B (en) * 2001-04-04 2003-07-11 Kuraray Chemical Kk Filter element,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filter using the element
WO2003026794A1 (fr) * 2001-09-21 2003-04-0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Feuille adsorbante et filtre de purification d'air
CA2477272A1 (en) * 2002-02-22 2003-09-04 Evan E. Koslow Air purifying filter systems for building air supply and respirators useful against nbc attacks
US6878193B2 (en) * 2003-01-13 2005-04-12 James W. Kasmark, Jr. Filter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324341B3 (de) * 2003-05-27 2005-02-24 Carl Freudenberg Kg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durchströmenden Mediu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58167A1 (de) 2006-06-08
EP1666125A1 (de) 2006-06-07
CN1781578A (zh) 2006-06-07
JP2006159189A (ja) 2006-06-22
US20060123991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1900A (ko) 흡착 필터
CA1116100A (en) Air purification system and process
KR20060108229A (ko) 필터 부재 및 필터 장치
US7101419B2 (en) Air filter assembly for low temperature catalytic processes
JP2841140B2 (ja) 車両の内部空間用の換気装置
EP1101641B1 (en) Air treatment system
EP3634791A1 (en) A smart multi-modal vehicular air filte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10898848B2 (en) Air filter for the interior air of cabins of vehicles, agricultural, construction, and work machines
US10780383B2 (en) Supply air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CN102421501A (zh) 用于重力过滤并经过改善的载有吸附剂的网
CN108025246A (zh) 气体过滤系统和方法
Heo et al. Comparison of filtration performance of commercially available automotive cabin air filters against various airborne pollutants
EP11557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chemical and biological agents from air
Sparks et al. Air and gas filtration
US9855825B2 (en) Use of a filter element for the adsorption of hydrocarbons
US20210162328A1 (en) Air Purifier Filter
US7150778B1 (en) Recirculation jacket filter system
KR20170055423A (ko) 실내 공기 및/또는 신선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정화 장치 및 방법
JPH09175164A (ja) 自動車用空気浄化方法及び装置
JPH09175163A (ja) 自動車用空気浄化方法及び装置
US20020119723A1 (en) Filter material for separating solid, particulate and gaseous substances from fluids
WO2005051521A1 (en) A cartridge in an air dryer
JPH0443685B2 (ko)
RU2467787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токсичных веществ
CN117157131A (zh) 一次性使用过滤器部件、用于处理空气的方法以及二乙烯基苯的聚合物或共聚物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