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105A -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105A
KR20060061105A KR1020040099983A KR20040099983A KR20060061105A KR 20060061105 A KR20060061105 A KR 20060061105A KR 1020040099983 A KR1020040099983 A KR 1020040099983A KR 20040099983 A KR20040099983 A KR 20040099983A KR 20060061105 A KR20060061105 A KR 2006006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obile communication
area
communication terminal
la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1105A/ko
Publication of KR2006006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with services dependent o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임 존(Time Zone)에 따른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 지역의 위도, 경보 및 시각 정보를 전파 공간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되, 이동통신 시스템에 최초 가입된 기본 지역에서 획득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지역과 상기 기본 지역 간의 시차를 계산하여 상기 기본 지역의 시각인 기본 지역 시각 및 상기 이동 지역의 시각인 이동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국제 로밍 등 시차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본국의 시각 정보를 바로 파악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한 각종 시각 관련 서비스를 본국의 시각 기준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시차, 기본 지역, 이동 지역, 국제 로밍, 통신 서비스 업체 망, GPS

Description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Time According to Time Zone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계시차표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GPS를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 이동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 지역의 시각을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통신 서비스 업체 망
122 : 신호 중계점 124 : 이동 교환국
126 : 무선 기지국 127 : 기지국 제어기
128 : 기지국 전송기 310 : 마이크로프로세서
320 : 메시지 저장부 330 : 시각 계산 모듈
340: 시각 정보 출력부 350 : LCD 표시부
410 : GPS 인공위성
본 발명은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래 지역에서 시차가 나는 지역 또는 국가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한 지역 또는 국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는 시각,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원래 지역의 시각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연락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연락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이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생활필수품으로까지 자리잡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시각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해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각 정보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창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알람(Alarm) 서비스, 일정 관리 서비스, 디데이(D-Day) 서비스, 국제 시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교통 수단이 발달하고 현대인들의 생활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긴 거리를 이동하거나 국가 간을 이동하여 여행을 하거나 업무를 처리하는 등의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긴 거리를 이동하거나 국가를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전의 지역 또는 국가와 이동 후의 지역 또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있는 시각 정보가 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이동 전과 이동 후의 지역 또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표준자오선이 달라지면 시각 정보가 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를 통해 이동 후의 지역에서도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고 있고, 이동 후의 지역에 설치된 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후 지역에서의 시각 정보를 확인하면서 생활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후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만능 표시할 뿐 이동 전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는 제공하지 있지 못한다. 다만,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세계시차표에 따른 다수 국가의 시각 정보를 알려주는 기 능을 탑재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다수 국가의 시각 정보를 알려주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이동 전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키버튼을 여러 번 조작하여야 하므로 이용하기에 불편하고 번거로운 실정이다.
더욱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시각 관련 서비스, 예컨대 일정 관리 서비스, 디데이 서비스 등은 이동 전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동작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동 후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래 지역에서 시차가 나는 지역 또는 국가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한 지역 또는 국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는 시각,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원래 지역의 시각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타임 존(Time Zone)에 따른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 지역의 위도, 경보 및 시각 정보를 전파 공간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되, 이동통신 시스템에 최초 가입된 기본 지역에서 획득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지역과 상기 기본 지역 간의 시차를 계산하여 상기 기본 지역의 시각인 기본 지역 시각 및 상기 이동 지역의 시각인 이동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각각 또는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 지역에서 기본 지역 위도 및 기본 지역 경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일정 시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 지역으로부터 이동 지역 위도,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이동 지역 위도가 상이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을 이용하여 기본 지역 시각을 계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지역 시각 또는 계산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 지역에서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기본 지역 위도 및 기본 지역 경도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일정 시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이동 지역에서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이동 지역 위도,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이동 지역 위도가 상이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을 이용하여 기본 지역 시각을 계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지역 시각 및 계산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2),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 신호 중계점(122), 이동 교환국(124), 무선 기지국(1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시차가 상이한 두 지역 또는 국가의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단말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이통통신 시스템에 원래 가입한 국가 또는 지역(이하, '기본 지역'이라 칭함)의 시각을 표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 시점마다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위치하고 있는 국가 또는 지역(이하, '이동 지역'이라 칭함)의 시각도 표시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이란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전원이 온(On)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으 로부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데, 수신한 위도 및 경도가 기본 지역에서 수신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이한지를 판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지역과 이동 지역에서 수신한 위도 및 경도 정보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내장된 시각 계산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지역의 시각을 계산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내장된 시각 계산 모듈이 이동 지역의 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기본 지역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기본 시차 표시 지역의 시각 정보를 기본 지역의 시각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2) 사용자의 기본 지역이 '서울'이고,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도 '서울'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기본 시차 표시 지역을 '뉴욕'으로 설정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지역인 서울의 시각 정보와 함께 기본 시차 표시 지역으로 설정한 '뉴욕'의 시각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내장된 시각 계산 모듈을 이용하여 기본 지역의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시차 표시 지역에서의 시각을 계산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원래 위치하고 있던 기본 지역인 A 지역(100)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시각 정보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호출 채널 (Paging Channel)을 통해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하고, 동기 채널(Synch Channel)을 통해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호출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 중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에 위도 및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는 위도 및 경도 정보뿐만 아니라, NID(Network ID), SCI(Slot Cycle Index), 패킷 존 ID(Packet Zone ID)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지역인 A 지역(100)으로부터 시차가 나는 이동 지역인 B 지역(120)으로 이동하는 경우, B 지역(120)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채널 및 호출 채널을 통해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지역인 A 지역(100)에서 수신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이동 지역인 B 지역(120)에서 수신한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A 지역(100)의 시각을 계산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B 지역(120)에서 수신한 시각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계산한 A 지역(100)의 시각 정보도 함께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지역으로 이동된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기본 지역의 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은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지역에서 이동 지역으로 이동하여 이동 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서 국제 로밍 서비스에 미리 가입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Cellu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향후 제 4세대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지칭한다.
통신 서비스 업체(TSI : Telecommunication Service Inc) 망(110)은 일반적으로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국가 또는 지역의 통신망 사이의 시그널링(Signaling) 기능, 각종 통신 메시지 처리(Message Handling) 기능, 과금 정산 기능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국가 또는 지역의 통신사업자들은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으로 국제 로밍 서비스를 받을 가입자 정보, 예컨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을 제공한다. 즉, 각각의 국가 또는 지역의 통신사업자들은 타 통신사업자들의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관리할 필요가 없이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에 대한 정보만을 관리하면 되므로 네트워크 DB의 관리 및 운용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 로밍 서비스망을 이용한 기본 지역 및 이동 지역의 시각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되는 국제 로밍 서비스망은 앞에서 설명한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을 이용하지 않고도 가능할 것이다. 즉,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을 이용하여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의 경우이고, 설계 단계에서부터 국제 로밍을 고려하여 설계된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망의 경우에는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을 이용하지 않고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중계점(STP : Signal Transfer Point)(122)은 ITU-T의 공통선 신호 방식(No.6 방식 또는 No.7 방식)에서 신호 메시지의 중계, 교환을 하는 신호 중계국 이다. 신호 중계점을 사용하여 구성한 신호망은 통화 회선과 신호 링크를 대응시키지 않는 비대응 모드로 운용되며, 각종 신호는 통화 회선을 갖는 교환국 이외의 신호 중계점을 경유하여 전송되므로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24)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호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IS(Interim Standard)-95 A/B/C 시스템에서의 이동 교환국은 분산된 호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126)은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이동성 보장,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기지국(126)은 기지국 전송기(128) 및 기지국 제어기(1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로 구성이 가능하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B 지역(120)으로 이동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B 지역(120)의 무선 기지국(126)으로부터 동기 채널을 통해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B 지역(120)의 무선 기지국(126)으로부터 호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계시차표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통상적으로 표준시라고 하는 것은 '한 나라 또는 한 지방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지방평균 태양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전적 의미로는 '법규 또는 일반적인 관례에 의하여 상용시로 확립되어 있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시간'을 뜻한다. 국제적으로 표준자오선의 채택 방법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경도 0도)를 기준으로 경도 15도 간격(1시간의 시차)의 자오선 중 각국의 위치에 따라 근접한 자오선을 채택하는 것이 국제적 관례이다. 여기서, 경도 15도 간격마다 1시간의 시차가 있다. 예컨대, 우리나라의 경우 경도를 15도씩 분할할 때 가장 근접한 자오선은 동경 135도와 동경 120도이나 국제적 관례에 따라 동경 135도를 표준자오선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세계시차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기본 지역을 기준으로 30분 및/또는 1시간 단위로 시차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의 위도 및 경도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일부 국가(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이란, 호주 일부 지역 등)는 30분 단위의 시차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30분 단위의 시차 차이로 위도 및 경도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지역과 기본 지역의 시차를 연산하여 기본 지역의 시각을 구한다. 예컨대, 이동 지역에서 획득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기본 지역과의 시차가 +3이고, 이동 지역에서의 시각의 오전 9시 15분이라면 기본 지역의 시각은 오전 6시 15분이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 메시지 저장부(320), 시각 계산 모듈(330), 시각 정보 출력부(340), LCD 표시부(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에도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사하게 프로그램 메모리부, 파라미터(Parameter) 저장부, 키입력부, 데이터 저장부, 가입자 정보 저장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 베이스밴드 변환부, RF 신호 처리부,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RF 안테나 등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각종 프로토콜(Protocol),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처리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시지 저장부(320)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채널 및 호출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시각 정보 및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시지 저장부(320)에 저장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는 해당 지역의 위도 및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시각 계산 모듈(330)는 기본 지역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수신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비교하여 두 지역 간에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각 계산 모듈(330)는 기본 지역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비교하여 두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또한, 시각 계산 모듈(330)는 특정 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지역과 특정 지역 간에 위도 및 경도 정보가 다르다고 판단되면 두 지역 간 시차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도 2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시각 계산 모듈(330)에는 기본 지역을 기준으로 1시간 단위로 시차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의 위도 및 경도 범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시각 계산 모듈(330)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하여 계산한 시차 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310)로 전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시각 계산 모듈(330)로부터 수신한 시차 정보를 시각 정보 출력부(340)로 전달한다.
시각 정보 출력부(3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로부터 수신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지역 및 이동 지역의 시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시각 정보 출력부(340)는 이동 지역과 기본 지역 간에 시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본 지역과 이동 지역의 시각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시각 정 보 출력부(340)는 이동 지역과 기본 지역 간에 시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 지역의 시각만 표시하거나, 기본 지역과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본 시차 표시 지역의 시각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기본 시차 표시 지역의 시각 표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할 것이다.
LCD 표시부(350)는 시각 정보 출력부(340)의 제어에 의해 기본 지역, 이동 지역 및 기본 시차 표시 지역의 시각 정보를 표시한다. LCD 표시부(350)에 의해 표시되는 각 지역의 시각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특정 문자, 기호, 숫자 등의 인식자가 함께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기본 지역 시각에는 'H', 이동 지역 시각에는 'M' 및 기본 시차 발생 지역 시각에는 'F' 등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지역과 이동 지역 사이에 시차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탑재하고 있는 각종 시각 관련 서비스을 기본 지역 시각을 기준으로 제공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기본 지역과 이동 지역 사이에 시차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프로그램 메모리부(미도시)에 탑재된 각종 시각 관련 프로그램을 시각 계산 모듈(330)로부터 수신한 기본 시각을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기본 지역과 시차가 있는 이동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기본 시각을 표시함과 아울러 탑재된 시각 관련 프로그램 또는 모듈을 기본 시각을 기준으로 동작시켜 해당 일자(예컨대, 기념일, 알람일, D-day 등)가 되면 사용자에게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 을 통해 통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GPS를 이용하여 시각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102), 통신 서비스 업체 망(110), 신호 중계점(122), 이동 교환국(124), 무선 기지국(1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GPS 인공위성(410)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기본 지역의 시각을 계산 및 표시하는 원리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기본 지역에서 획득하여 저장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이동 지역에서 획득하는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지역에서의 시각을 계산하고, 이동 지역 및 기본 지역의 시각을 함께 표시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계산한 기본 지역의 시각을 기준으로 탑재된 각종 시각 관련 프로그램을 동작시킨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지 않고, GPS 인공위성(410)을 통해 획득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GPS의 이용이 자체적으로 가능한 MS-Based GPS 단말기로서, GPS 수신칩(MS-Based GPS Chip)이 설치되어 있다. MS-Based GPS 단말기는 위치 파악을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도움을 받는 MS-Assisted GPS 단말기와 달리 GPS 인 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항법 메시지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각을 자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2)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국제 로밍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 이동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 지역의 시각을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기본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전파 공간으로부터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획득한다(S50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GPS 인공위성을 이용한다. 기본 지역의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획득한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시각 정보는 LC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S502).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도 2에서 설명하였듯이 기본 지역의 시각뿐만 아니라 사용자나 제조자가 미리 설정한 기본 시차 발생 지역의 시각도 표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도 및/또는 경도 정보가 기본 지역에서 획득하여 저장하고 있는 위도 및/또는 경도 정보와 상이한지를 판단한다(S504).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단계 S504의 판단 결과 위도 및/또는 경도 정보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기본 지역의 시각을 계산한다(S506). 여기서, 기본 지역의 시각 계산 방법은 도 2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기본 지역에서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이동 지역 에서 수신하는 위도, 경도 및 시각 정보 및 내장된 세계시차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단계 S506에서 계산한 기본 지역 시각과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 지역 시각 사이에 시차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508).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단계 S508에서 판단한 결과 두 지역 사이에 시차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계산한 시각차 정보를 저장한다(S510). 시각차 정보를 저장한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LCD 표시부를 통해 기본 지역 및 이동 지역 각각의 현재 시각을 함께 표시한다(S312).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단계 S508에서 계산한 기본 지역의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기본 지역의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종 시각 관련 서비스를 동작시킨다(S514).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단계 S504의 판단 결과 위도 및/또는 경도가 상이하지 않거나 단계 S508의 판단 결과 두 지역 간 시차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기본 지역이나 이동 지역에서 획득한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종 시각 관련 서비스를 동작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 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국제 로밍 등 시차가 발생하는 지역 또는 국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원래 지역이나 본국의 시각 정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차 발생 지역이나 국가에 있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각종 시각 관련 프로그램이 원래 지역이나 본국의 시각을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시각 관련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Claims (23)

  1. 타임 존(Time Zone)에 따른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 지역의 위도, 경보 및 시각 정보를 전파 공간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되, 이동통신 시스템에 최초 가입된 기본 지역에서 획득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지역과 상기 기본 지역 간의 시차를 계산하여 상기 기본 지역의 시각인 기본 지역 시각 및 상기 이동 지역의 시각인 이동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본 지역 시각 및 상기 이동 지역 시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역에 위치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계산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기준으로 탑재된 시각 관련 프로그램을 동작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세계시차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계시차표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본 지역을 기준으로 30분 및/또는 1시간 단위로 시차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의 위도 및 경도 범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위도, 상기 경도 및 상기 시각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도 및 상기 경도에 대한 정보는 호출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에 대한 정보는 동기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위도, 상기 경도 및 상기 시각에 대한 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각각 또는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 지역에서 기본 지역 위도 및 기본 지역 경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일정 시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 지역으로부터 이동 지역 위도,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이동 지역 위도가 상이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을 이용하여 기본 지역 시각을 계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지역 시각 또는 계산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기본 지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초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지역 또는 국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이동 지역은 일정 시간 경과 시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상기 이동 지역 시각을 수신하는 국가 또는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또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기본 지역 위도, 상기 기본 지역 경도,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상기 이동 지역 시각은 상기 기본 지역 및 상기 이동 지역에 구축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기본 지역 위도, 상기 기본 지역 경도, 상기 이동 지역 위도 및 상기 이동 지역 경도를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본 지역을 기준으로 30분 및/또는 1시간 단위로 시차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의 위도 및 경도 범위에 대한 세계시차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지역과 상기 이동 지역 간의 시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본 지역 시각과 상기 이동 지역 시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계산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기준으로 탑재된 시각 관련 프로그램을 동작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8.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 지역에서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기본 지역 위도 및 기본 지역 경도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b) 일정 시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이동 지역에서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이동 지역 위도,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및/또는 상기 이동 지역 위도가 상이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기본 지역 위도 및 상기 기본 지역 경도와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이동 지역 시각을 이용하여 기본 지역 시각을 계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지역 시각 및 계산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기본 지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초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지역 또는 국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이동 지역은 일정 시간 경과 시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이동 지역 위도, 상기 이동 지역 경도 및 상기 이동 지역 시각을 수신하는 국가 또는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본 지역을 기준으로 30분 및/또는 1시간 단위로 시차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의 위도 및 경도 범위에 대한 세계시차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지역과 상기 이동 지역 간의 시차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본 지역 시각과 상기 이동 지역 시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계산한 상기 기본 지역 시각을 기준으로 탑재된 시각 관련 프로그램을 동작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가 나는 두 지역의 시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KR1020040099983A 2004-12-01 2004-12-01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KR20060061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83A KR20060061105A (ko) 2004-12-01 2004-12-01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83A KR20060061105A (ko) 2004-12-01 2004-12-01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105A true KR20060061105A (ko) 2006-06-07

Family

ID=3715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83A KR20060061105A (ko) 2004-12-01 2004-12-01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11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05B1 (ko) * 2005-10-31 2007-06-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이한 타임 존간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837068B1 (ko) * 2007-03-05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엘알에서의 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35137B1 (ko) * 2008-12-12 2011-05-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로밍 국가에서 현재 시각을 자동 설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123871B1 (ko) * 2009-10-21 2012-03-16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위치에 따른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의 적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05B1 (ko) * 2005-10-31 2007-06-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이한 타임 존간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837068B1 (ko) * 2007-03-05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엘알에서의 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35137B1 (ko) * 2008-12-12 2011-05-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로밍 국가에서 현재 시각을 자동 설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123871B1 (ko) * 2009-10-21 2012-03-16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위치에 따른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의 적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4365B2 (ja) 無線緊急呼に対するネットワークサポート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FI108771B (fi) Menetelmä viestin lähettämiseksi matkaviestimelle
EP2180728B1 (en) Emergency call number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JP200625420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の移動局
EP1655644B1 (en) Providing time information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response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US20120196604A1 (en) Portable terminal
KR20060061105A (ko) 시간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간 표시방법
KR20100022147A (ko) 해외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651705A (zh) 一种协商定位能力的方法及装置
KR10146568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47873B1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JP2005210241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圏外位置情報送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70073150A (ko) 단말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62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지역의 위치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5123A (ko) 휴대폰의 로밍시 시간 표시 방법
KR20070079468A (ko) 자동 위치 저장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와시스템
KR101605126B1 (ko)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203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859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점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60114494A (ko) 비동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1140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 조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1434A (ko)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KR19980025284A (ko) 개인휴대통신을 이용한 셀위치정보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상태 제어방법
KR20050022999A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