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434A -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434A
KR20040071434A KR20030007393A KR20030007393A KR20040071434A KR 20040071434 A KR20040071434 A KR 20040071434A KR 20030007393 A KR20030007393 A KR 20030007393A KR 20030007393 A KR20030007393 A KR 20030007393A KR 20040071434 A KR20040071434 A KR 2004007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ceiving
mobile terminal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정
옥준호
명인식
강현주
김경희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0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1434A/ko
Publication of KR2004007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434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 1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해 발송하는 제 2단계;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제 3단계; 위치 확인 시스템이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센터에 저장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METHOD FOR LEAVING MESSAGE WITH SETTING UP THE RECEIVED LOCA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문자 메시지(SMS)나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작성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지리기반 시스템(LBS)의 개념을 도입하여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전송하면, 해당 수신측 이동 전화 단말기가 상기 수신 지역에 존재하거나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메시지 보존 기간 내에 상기 수신 지역에 들어 오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행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나 최근에 실시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는 발신자가 단순히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송하면 이동 통신망이 이를 수신자에게 바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존의 메시지 전송 방식을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모드로 들어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S10), 수신자 번호 및 회신받을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S12). 그리고 난 후,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메시지의 종류를 '긴급', '빠른', '보통' 중 하나를 선택하고(S14), 입력한 메시지의 저장 여부를 선택하여 통신망의 메시지 센터로 발송하게 된다(S16).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응답 신호를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S18). 그러면, 상기 수신측 이동 전화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 완료 신호를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한다(S20).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메시지 전송 방식은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여 메시지 센터로 발송하면 상기 메시지 센터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개념이었다. 이는 수신자가 위치하는 지역이나 현 상황과는 무관하게 전송이 되는 방식으로서 발신자는 수신자가 위치한 공간을 활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문자 메시지(SMS)나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전송함에 있어서 '공간' 또는 '장소'의 개념을 추가하여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에 해당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면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망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102: 발신측 기지국
104: 발신측 기지국 제어장치 200: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202: 수신측 기지국 204: 수신측 기지국 제어장치
300: 통신망 310: 교환기
320: 메시지 센터(MC) 330: 홈위치 등록기(HLR)
340: 위치 확인 시스템 342: 제어부
344: 정보 입출력부 346: 저장부
348: 위치 측정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 1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해 발송하는 제 2단계;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제 3단계; 위치 확인 시스템이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센터에 저장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메시지 보존 기간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이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센터가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메시지 내용', '수신자 번호', '메시지 수신 지역', '메시지 보존 기간' 및 '회신 전화 번호' 등의 5가지를 작성하여 입력한 후 통신망(300)을 통해 메시지를 발송한다. 상기 통신망(300)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위 발신자가 작성하여 입력한 5가지의 내용 중 '수신자 번호'를 근거로 그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측 단말기(200)의 현 위치 확인을 위하여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러면서,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설정한 '메시지 수신 지역'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현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신 지역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200)는 '메시지 내용'과 '회신 전화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같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기술은 SIS(Simple Image Service: 무선 통신용 이미지 압축 기술)를 이용하여 정지 또는 동화상 이미지를 단문 메시지에 실어 전송하며, 이미지 파일은 단문 메시지가 전달될 때 첨부되어 전송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망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우선, 도 3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통신망(300)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통신망(300)은 발신측 및 수신측 기지국(102, 202), 발신측 및 수신측 기지국 제어장치(104, 204), 교환기(310), 메시지 센터(320), 홈위치 등록기(330) 및 위치 확인 시스템(3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주파수부(미도시)를 통해 호 신호나 단문이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발신측 기지국 제어장치(104)의 망 연동 시스템과 연동하여 무선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게 된다.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호 신호나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메시지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는 상기 메시지를 오류없이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통신망(300)의 역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측 기지국(202) 및 기지국 제어장치(204)를 통해 상기 메시지 센터(320)로 전송한다.
상기 발신측 및 수신측 기지국(102, 202)은 발신측 및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200)와의 무선 접속 및 상기 단말기(100, 200)와 기지국 제어장치(104,204)간의 유무선 접속기능을 수행하여 단문이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신측 및 수신측 기지국 제어장치(104, 204)는 상기 기지국(102, 202)과 상기 교환기(3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지국(102, 202)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교환기(310)는 이동 전화 가입자에게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센터로서, 가입자간 회선 교환, 입출 중계 처리,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로밍 등의 기능을 가지며, 타 기지국에 등록된 가입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02, 202)으로부터의 단문이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중계 및 교환하고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홈위치 등록기(HLR)(330)는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 및 각종 서비스 관련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센터이다. 또한, 상기 홈위치 등록기(330)는 상기 교환기(310)로부터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위치 등록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340)으로 전달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도시 안 함)는 관할 영역 내에 타 기지국의 단말기가 들어 왔을 때, 이를 인지하여 타 기지국과 로밍을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시지 센터(320)는 상기 교환기(310)로부터의 메시지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310) 및 홈위치 등록기(330)와의 연동을 위한 SMS MAP(Mobile Application Part)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340)은 상기 도 4에서 나타나 있듯이, 제어부(342), 정보 입출력부(344), 저장부(346) 및 위치 측정부(34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344)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 사용자가 설정한 '메시지 수신지역' 및 본 발명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정보 등을 상기 저장부(346)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344)는 상기 저장부(346)에 저장된 '메시지 수신지역' 정보나 가입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를 확인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2)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저장부(346)에 조회하여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위치 측정부(348)에 수신측 단말기(200)의 위치 측정을 의뢰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 측정부(348)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342)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측정부(348)는 셀(Cell) 방식,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 방식, 도달각(AOA) 방식, 도달 시간 차(TDOA) 방식 또는, 개선된 시간차 관측(E-OTD) 방식을 이용하거나, 이들 방식을 복합해서 이용할 수있다.
AOA(Angle of Arrival)방식은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 안테나를 기지국에 설치한 후 수신된 신호의 각도 차를 산출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고층빌딩과 장애물로 인해 신호가 반사되거나 왜곡된 다중경로로 인해 다른 각도로 기지국에 도달하는 등 오차 발생 확률의 가능성이 있다.
TDOA(Time Difference Arrival) 방식은 지역에 따라 널리 흩어져 있는 다중 기지국에 TDOA 위치 수신기를 설치하여 일정한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신호파동을 이용한다. 즉, 세 개 이상의 쌍곡선이 만나는 점에 발신자가 있다고 가정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최소한 3개 이상의 기지국이 필요하며, 기지국 수신 신호가 미약할 때 실시간 위치 파악이 힘들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진 위치 확인 기술로서 GPS 자료를 수신 및 코드화하는 H/W 장치를 각 단말기에 장착하여 이동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반송파 신호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고가의 송수신 장치가 필요하며 GPS 신호가 미약할 경우 서비스가 불안정할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42)는 상기 위치 측정부(348)가 전송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위치가 상기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메시지 수신 지역'의 내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수신 지역'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320)에게 메시지 전송을 의로한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 센터(320)는 상기 제어부(342)가 의뢰한 바에 따라 상기 저장부(346)에 저장 중인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310), 기지국 제어장치(204) 및 기지국(202)을 경유하여 수신측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메시지 수신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한다(S500). 현행의 메시지 작성 내용에 '메시지 수신지역’을 부가하여 설정하게 되는데, 여기에 '메시지 보존기간'을 더 부가 설정하여 작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난 후,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발송하게 된다(S502).
상기 통신망(300)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데, 그 경로는 발신측 기지국(102), 기지국 제어장치(104) 및 교환기(310)를 거쳐 메시지 센터(MC)(320)에 저장하게 된다(S504).
그러면, 위치 확인 시스템(340)의 위치 측정부(344)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한다(S506).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현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로는 셀(Cell) 방식,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 방식, 도달각(AOA) 방식, 도달 시간 차(TDOA) 방식 또는, 개선된 시간차 관측(E-OTD) 방식 등이 있으며 이 중 한 가지 기술을 이용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기술을 복합하여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측정부(344)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342)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342)는 상기 위치 측정부(344)가 전송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200)의 현 위치가 상기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메시지 수신지역’내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8).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설정한 '메시지 수신 지역' 내부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320)는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340) 내부의 제어부(342)의 통지를 받고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한다(S510).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설정한 '메시지 수신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320)는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340) 내부의 제어부(342)의 통지를 받은 후,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메시지 보존 기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512).
상기 체크 결과 상기 '메시지 보존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340)의 위치 측정부(348)가 수신측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S506)를 다시 반복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 보존 기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메시지 수신지역' 내부에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320)는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하게 된다(S514).
한편, 상기 S510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S514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삭제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320)가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통지를 하게 된다(S516).
한편, 상기 S500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을 '메시지 수신지역'으로 설정하고, 수신받을 자를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 자신으로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발신자 자신이 해당 위치에 들어 갔을 때 자신이 메시지를 수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메시지 송수신의 개념이 '보낸다'라는 개념에서 '남긴다'라는 개념으로 전이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산업적 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즉, 기존의 문자 메시지(SMS)나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작성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지리기반 시스템(LBS)의 개념을 도입하여 발신자가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전송하면, 해당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수신 지역에 존재하거나 상기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메시지 보존 기간 내에 상기 수신 지역에 들어 오는 경우에 메시지를 수신받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메시지 서비스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으며, 해당 '메시지 수신 지역'을 활용한 정보와 위치 기반 광고의 활성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받을 자를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 자신으로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경우에는 발신자 자신이 해당 위치 내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어 자신이 알아야 할 정보를 각인시켜 주는 Remind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 1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해 발송하는 제 2단계;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제 3단계;
    위치 확인 시스템이 상기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센터에 저장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메시지 보존 기간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이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가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 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메시지 보존 기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메시지 보존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 보존 기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수신 지역 내에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저장된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삭제된 경우, 상기 메시지 센터가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시스템이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하는 단계는, 셀 방식,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 방식, 도달각(AOA) 방식, 도달 시간 차(TDOA) 방식 또는, 개선된 시간차 관측(E-OTD)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확인을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장치가 상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하는 단계는, 도달각(AOA) 방식 및 도달 시간 차(TDOA)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위치 확인을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10.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을 수신 지역으로 설정하고, 수신자는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 자신으로 설정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KR20030007393A 2003-02-06 2003-02-06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KR20040071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7393A KR20040071434A (ko) 2003-02-06 2003-02-06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7393A KR20040071434A (ko) 2003-02-06 2003-02-06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434A true KR20040071434A (ko) 2004-08-12

Family

ID=3735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7393A KR20040071434A (ko) 2003-02-06 2003-02-06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14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192A (ko) * 2004-12-14 2006-06-19 (주) 콘텔라 휴대 전화를 이용한 개인 방송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7057B1 (ko) * 2005-09-06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정보 기반의 조건부 sm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2044053A2 (en) * 2010-09-30 2012-04-05 Fobikr Co.,Lt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101477728B1 (ko) * 2012-12-07 2015-01-30 주식회사 마그나랩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192A (ko) * 2004-12-14 2006-06-19 (주) 콘텔라 휴대 전화를 이용한 개인 방송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7057B1 (ko) * 2005-09-06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정보 기반의 조건부 sm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2044053A2 (en) * 2010-09-30 2012-04-05 Fobikr Co.,Lt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WO2012044053A3 (en) * 2010-09-30 2012-05-31 Fobikr Co.,Ltd.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101477728B1 (ko) * 2012-12-07 2015-01-30 주식회사 마그나랩 위치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3077B2 (en) Method in a UE, a network node and a client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6259923B1 (en) Method for providing cell location service
US7809800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station based on DBM and TCP/IP
FI108771B (fi) Menetelmä viestin lähettämiseksi matkaviestimelle
KR20020092400A (ko) 요구가 있는 즉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알아내는 기능
EP2047692A2 (en) Short messaging system (sms) proxy communications to enable location based services in wireless devices
US81901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pecial number calls using text message format with automatic location function
KR20040071434A (ko) 수신 지역을 설정하여 메시지를 남기는 방법
KR1006277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US20040242211A1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with low frequency call alerting capability
KR10026958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위치정보 전송방법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662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지역의 위치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10176B1 (ko) 발신 단말에 착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29462B1 (ko) 사용자 부재시 위치정보 제공 방법
KR20070065473A (ko)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07912A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KR100813396B1 (ko) 이동중 상태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12151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제공 방법
KR101717779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제공 방법
KR101564682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출력 방법
KR20040009107A (ko)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1764A (ko) 착신단말이 통화중인 경우의 대화형 문자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