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599A -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599A
KR20060059599A KR20040098728A KR20040098728A KR20060059599A KR 20060059599 A KR20060059599 A KR 20060059599A KR 20040098728 A KR20040098728 A KR 20040098728A KR 20040098728 A KR20040098728 A KR 20040098728A KR 20060059599 A KR20060059599 A KR 2006005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video
sound
dat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9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경연정
엄봉수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9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9599A/ko
Publication of KR2006005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59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요청받은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적은 데이터 용량을 가지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저렴한 패킷 요금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 음향,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parating and Reconstructing Image and Sound of Multimedia Content and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이동통신망
112 : 기지국 전송기 114 : 기지국 제어기
116 : 이동통신 교환국 118 : PDSN/IWF
120 : 게이트웨이 130 : 스트리밍 서버
140 : 영상/음향 변환기 150 : 컨텐츠 서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면,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는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이처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예컨 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1X, 3X, EV-DO,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개인의 이동성 및 서비스 이동성을 포함한 전세계적인 직접 로밍, 유선 전화와 동일한 수준의 통화 품질,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및 유무선망의 결합에 의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구현 등을 목표로 등장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AOD, VOD 등)를 보다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IMT-2000과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면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음성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 사에서 제공하는 준(June)은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로서 준에 접속하여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 영화, 뮤직 비디오 등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문자, 음향, 동영상 등을 함께 서비스할 수 있다.
그러나, 준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패킷 단위로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대용량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게 되면 가입자들이 부담을 느낄 정도로 높은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뛰어난 이동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서비스 이용료로 인하여 서비스의 활성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이동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면,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망,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요청받은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망,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아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이트웨이 및 상기 이동통신망을 거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 부분을 추출하며,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요청을 받아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이동통신망(110), 게이트웨이(120), 스트리밍(Streaming) 서버(130), 영상/음향 변환기(140) 및 컨텐츠 서버(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 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무선 인터넷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시키는 무선 인터넷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으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가 내장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버(130)에 접속하게 되며, 스트리밍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은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에스케이텔레콤(SKTelecom)에서 WIPI를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WI-TOP(Wireless Internet-Terminal Open Platform), J2ME(Java 2 Micro Edi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한 WAP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TP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 각종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게이트웨이(120) 사이에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기지국 전송기(112), 기지국 제어기(114), 이동통신 교환국(116), PDSN(Packet Data Serving Node)/IWF(Inter-Working Function)(1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1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114)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기지국 제어기(114) 사이에서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1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14)는 기지국 전송기(112)를 제어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의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기지국 전송기(112)의 송신 출력 제어,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무선 접속망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16)은 다수의 전자식 교환기를 구비하여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교환국(116)은 분산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전화 교환국(116)은 셀(Cell) 단위의 패킷(Pack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PDSN/IWF(118)는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망(110)과 게이트웨이(12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110)이 IS(Interim Standard)-95 망인 경우에는 IWF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110)이 CDMA2000 망인 경우에는 PDSN을 이용할 수 있다.
IWF는 유무선 통신망과의 연동을 위한 망간 연동 장치로서,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하며, 이동통신 교환국(116)과 직접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망과 이동통신망(110)을 연결한다. PDSN은 무선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교환국(116)을 거치지 않고 기지국 제어기(114)와 직접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망과 이동통신망(110)을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110)은 IS-95 망 또는 CDMA2000 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GSM 망, WCDMA 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망,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 등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무 선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120)는 무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PDSN/IWF(118)와 스트리밍 서버(130)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PDSN/IWF(118)과 스트리밍 서버(130)를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면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20)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방식에 의한 WAP 게이트웨이가 주로 사용된다. WAP 게이트웨이는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상호간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스트리밍 서버(130)와 WAP 게이트웨이 사이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WAP 게이트웨이 사이에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면, 해당 컨텐츠를 게이트웨이(120) 및 이동통신망(110)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스트리밍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컨텐츠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영상/음향 변환기(140)에서 변환한 것으로,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여 재구성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이다.
스트리밍 서버(130)는 영상/음향 변환기(140)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전달받아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과 같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한 경우에는, 영상/음향 변환기(140)에 의해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컨텐츠 서버(15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아 해당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여 재구성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스트리밍 서버(130)로 전달한다.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컨텐츠 서버(150)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서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분리하게 되며,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일부분을 추출한 후에 추출한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다시 결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음향 변환기(140)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음향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되나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중에서 일부 프레임을 취하기 때문에 음향에 맞춰 비연속적으로 화면이 바뀌는 형태가 되며, 변환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비해 데이터 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저렴한 패킷 요금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컨텐츠 서버(150)로부터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해 당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분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여 인코딩(Encoding)하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후에 이들을 결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컨텐츠 서버(150)로부터 압축되지 않은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정지 영상 캡쳐(Capture)에 의해 영상 데이터 중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고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후에 이들을 결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에서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예컨대 0.5초, 1초 등과 같이 일정 주기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거나 정지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영상과 음향의 순서를 맞추기 위한 이미지 택(Tag)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이미지 택 단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음향 데이터와 결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디지털 포맷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VI(Audio Video Interleaved), RM(Real Media),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WMV(Window Media Video) 등의 각종 압축 형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전술한 디지털 포맷의 데이터를 디코딩/인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Decoder)/인코더(En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패킷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는 스프리터(Splitter),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에서 정지 영 상을 캡쳐할 수 있는 캡쳐 프로그램 및 음향 데이터를 압축하는 저대역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저대역 코덱은 8 Kbps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IMBE(Improved Multi Band Excitation), DoD-CELP(Department of Defense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VSELP(Vector Sum Excited Linear Prediction),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LD-CELP(Low Delay CELP),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law, u-law 등의 다양한 코덱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50)는 스트리밍 서버(130)에서 요청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음향 변환기(140)를 거쳐 스트리밍 서버(130)로 전달한다. 컨텐츠 서버(150)는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 영화, 애니메이션, 뮤직 비디오, 상품 광고, 온라인 강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130)와 컨텐츠 서버(15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버(130)에 접속하면, 스트리밍 서버(130)는 컨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컨텐츠 선택 메뉴에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하게 된다(S200).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스트리밍 서버(130)는 컨텐츠 서버(130)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며(S202), 컨텐츠 서버(150)는 스트리밍 서버(130)의 요청을 받아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음향 변환기(140)로 전달하게 된다(S204).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전달받은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결합하여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보다 적은 데이터 용량을 가지는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스트리밍 서버(130)로 전달하게 된다(S206). 스트리밍 서버(130)는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아 게이트웨이(120) 및 이동통신망(110)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하게 된다(S208).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과 같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서버(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서비스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50)로 요청하게 된다(S300). 스트리밍 서버(130)의 컨텐츠 요청을 받은 컨텐츠 서버(150)는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음향 변환기(140)로 전달하게 된다(S302). 영상/음향 변환기(140)는 전달받은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한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결합하여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보다 적은 데이터 용량을 가지는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영상/음향 변환기(140)에서 생성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스트리밍 서버(130)로 전달되어, 스트리밍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304).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스트리밍 서버(130)에 저장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30)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선택 메뉴에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S306). 이 경우, 도 2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스트리밍 서버(13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스트리밍 서버(130)는 영상/음향 변환기(140) 및 컨텐츠 서버(150)를 거칠 필요없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이트웨이(120) 및 이동통신망(110)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하게 된다(S308).
실시간으로 방송될 필요가 없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한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 (130)에 미리 저장한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이 있으면 바로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적은 데이터 용량을 가지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저렴한 패킷 요금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음성 컨텐츠에도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 측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용을 활성화시켜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이동통신망,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변환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요청받은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하며, 상기 스트리밍 서 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선택 메뉴에서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부분을 추출하여 인코딩(Encoding)한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정 주기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거나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택(Tag) 단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지털 포맷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VI(Audio Video Interleaved), RM(Real Media),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및 WMV(Window Media Vide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정지 영상 캡쳐(Capture)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한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정 주기별로 정지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8. 상기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코덱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IMBE(Improved Multi Band Excitation), DoD-CELP(Department of Defense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VSELP(Vector Sum Excited Linear Prediction),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LD-CELP(Low Delay CELP),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law 및 u-law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 영화, 애니메이션, 뮤직 비디오, 상품 광고 및 온라인 강좌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IS(Interim Standard)-95 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망, WCDMA(Wideband CDMA) 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망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1. 이동통신망,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멀티미디어 컨텐츠 를 변환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에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아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고, 추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달받아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부분을 추출하여 인코딩(Encoding)한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 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정 주기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거나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택(Tag) 단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지털 포맷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VI(Audio Video Interleaved), RM(Real Media),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및 WMV(Window Media Vide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정지 영상 캡쳐(Capture)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한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정 주기별로 정지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7.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코덱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IMBE(Improved Multi Band Excitation), DoD-CELP(Department of Defense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VSELP(Vector Sum Excited Linear Prediction),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LD-CELP(Low Delay CELP),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law 및 u-law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 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하며,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선택 메뉴에서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 영화, 애니메이션, 뮤직 비디오, 상품 광고 및 온라인 강좌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IS(Interim Standard)-95 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망, WCDMA(Wideband CDMA) 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망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21.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이트웨이 및 상기 이동통신망을 거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며, 추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결합한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음향 변환기;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요청을 받아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컨텐츠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부분을 추출하여 인코딩(Encoding)한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정 주기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거나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택(Tag) 단위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지털 포맷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VI(Audio Video Interleaved), RM(Real Media),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및 WMV(Window Media Vide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정지 영상 캡쳐(Capture)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한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대역 코덱으로 압축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음향 변환기는 상기 제 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일정 주기별로 정지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7. 제 22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 코덱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IMBE(Improved Multi Band Excitation), DoD-CELP(Department of Defense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VSELP(Vector Sum Excited Linear Prediction),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LD-CELP(Low Delay CELP),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law 및 u-law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 영화, 애니메이션, 뮤직 비디오, 상품 광고 및 온라인 강좌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 IS(Interim Standard)-95 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망,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망, WCDMA(Wideband CDMA) 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망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
KR20040098728A 2004-11-29 2004-11-29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59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8728A KR20060059599A (ko) 2004-11-29 2004-11-29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8728A KR20060059599A (ko) 2004-11-29 2004-11-29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599A true KR20060059599A (ko) 2006-06-02

Family

ID=3715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98728A KR20060059599A (ko) 2004-11-29 2004-11-29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95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16B1 (ko) * 2005-05-31 2007-04-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 실시간 인코딩 방법 및 그서버 장치
WO2010050640A1 (en) * 2008-10-28 2010-05-06 Sk Telecom Co., Ltd. A contents supply system, a method, a service server, a storage means, a relay method, an application server and a cellular phone for multi connected end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16B1 (ko) * 2005-05-31 2007-04-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 실시간 인코딩 방법 및 그서버 장치
WO2010050640A1 (en) * 2008-10-28 2010-05-06 Sk Telecom Co., Ltd. A contents supply system, a method, a service server, a storage means, a relay method, an application server and a cellular phone for multi connected end terminal
US8861518B2 (en) 2008-10-28 2014-10-14 Sk Planet Co., Ltd. Contents supply system, a method, a service server, a storage means, a relay method, an application server and a cellular phone for multi connected e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67B1 (ko) 이동통신망에서 3d 캐릭터를 이용한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801048B1 (ko)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 통신을 작성 및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TWI293533B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media signals
US20080090553A1 (en) Dynamic video messaging
CN102246491B (zh) 用于存储多源多媒体表示的系统和方法
US81032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receiver-side switching center
KR2002006780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200800254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Call-Side Switching Center
KR100741287B1 (ko) 통합 미디어 뷰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미디어 뷰잉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29142B1 (ko)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60059599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음향을 분리하고 재구성하여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5517A (ko) 패킷망에서의 통화 대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476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40063425A (ko) 멀티미디어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20020078800A (ko) 이동 통신을 이용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 장치
KR100573174B1 (ko) VoIP 링백톤을 이용한 통화중 배경음악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40908B1 (ko) 영상 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실시간 tv 방송 시청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432938B1 (ko) 개인별로 구분된 음성 사서함 배경 음악 구성 방법 및 장치
JP371296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747707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과 화상 전화 단말기의 연동을 통한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29460B1 (ko)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를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20076B1 (ko) 플래시 동영상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650201B1 (ko)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Yang et al. Mobile Content Delivery Technologies
CN1953570A (zh) 支持移动通信终端的文件传送服务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