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201B1 -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201B1
KR100650201B1 KR1020060075267A KR20060075267A KR100650201B1 KR 100650201 B1 KR100650201 B1 KR 100650201B1 KR 1020060075267 A KR1020060075267 A KR 1020060075267A KR 20060075267 A KR20060075267 A KR 20060075267A KR 100650201 B1 KR100650201 B1 KR 10065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ata
call waiting
sound
exchan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309A (ko
Inventor
박성수
이동학
우대식
이상신
구준모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20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 동작이 온/오프 조절되어7 착신 대기음 구간에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애니메이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보코더를 바이 패스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음성 통화 구간에는 통화 데이터가 다시 연결된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되어 발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 보코더의 온/오프 동작은, 착신 교환기에서 전송하는 메시지에 따라, 발신 교환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는 착신 대기음 구간과 음성 통화 구간을 구별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에는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재생하고, 음성 통화 구간에는 음성 압축된 통화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착신 대기음 구간에,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대신하여 품질이 뛰어난 대기음을 발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발신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다.
착신 대기음, 링백톤, 멀티미디어 데이터, 보코더,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단말기

Description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multimedia data in ring back tone section}
도 1은 종래의 착신 대기음 구간을 이용한 음악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는 발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능력과 착신 가입자의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의 활성 상태에 따른 보코더의 연결 여부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로 도시한 것이고,
도 6과 7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별하여 서로 다른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8은, 유선 전화기에서 통화를 시도한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발신 단말기 105, 205, 305 : 착신 단말기
110, 210, 215 : 발신 기지국 제어기 111, 211 : 보코더
220, 225 : 발신 교환기
130, 230, 235, 330 : 착신 교환기
140 : 음원 제공 장치
240, 340 :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245 :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장치
250, 255 : 착신 홈 위치 등록기 300 : 유선 전화기
360 : 모뎀
본 발명은 착신 대기음(Ring Back Tone)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착신 대기음이 송출되는 구간에 착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발신 단말기에서 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서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착신자 측의 교환기에서 착신자가 착신 대기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신자 측에 제공한다. 이러한 신호를 착신 대기음 또는 링백톤(Ring back tone)이라 한다. 이러한 착신 대기음은 발신자의 통화 시도에 대해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제공된다. 그리고,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착신 대기음이 제공되는 시간을 착신 대기음 구간 또는 링백톤 구간이라 한다.
최근에는 상기 착신 대기음 구간에 이동 통신망의 착신자가 지정한 특정 대기음을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가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각 이동 통신 사업자마다 컬러링, 링투유, 필링 등과 같이 불린다. 이동 통신 가입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가요, 팝송, 클래식 등의 음악 뿐 아니라, 자신이 직접 편집한 음악이나 자신의 목소리를 상기 특정 대기음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가입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발신 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은, 대역 폭이 제한되어 있고, 통화, 즉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목소리를 통한 의사 전달을 중심으로 설계되므로, 착신 대기음을 대신하여 제공되는 특정 대기음, 특히 음악으로 구성된 특정 대기음의 수신 품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일부 경우에는 착신자의 의도와는 반대로, 착신자가 지정한 특정 대기음의 전송 상태와 음질이 좋지 않아서 오히려 발신자에게 짜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도 1에서는 종래의 착신 대기음 구간을 이용한 음악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의 유선 및 이동 단말기에서는 발신 후 착신자가 수신할 때까지 착신 대기음을 듣게 된다. 착신 대기중에 착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에서는 PCM 방식의 착신 대기음을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착신자가 착신 대기음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착신 교환기(130)에서는, 음원 제공 장치(150)로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음원 제공 장치(150)에 저장된, 착신자가 지정한 특정 대기음이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발신자 측의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10)에서는, 상기 착신 교환기(130)와 발신 교환기(120)를 통해 전송되는 PCM 방식의 착신 측의 음성을 보코더(Vocoder)(111)를 이용하여 압축하여 발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보코더로는,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 통신망에서는 9.6kbps의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를 이용하여 음성 압축하고,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의 이동 통신망에서는 9.6kbps의 EVRC 또는 13.3kbps의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코덱을 이용하여 음성 압축한다.
여기서, EVRC는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할 때 필요 없는 잡음을 제거하고 통화자의 음성을 더 깨끗하게 전달하는 통화 음질 최적화 기술로, 음성의 정보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음성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고 소비 전력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110)에서는, 착신 대기음 구간 및 통화가 연결되어 끝날 때까지, 발신자 측에서 전송하는 착신 대기음 및 통화 목소리를 동일한 음성 압축 방식으로 변조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로가 연결되고, 착신 대기음 구간에, 착신자가 지정한 특정 대기음, 특히 음악이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되는 경우, 발신 기지국 제어기(110)에서는 전송되는 음악도 상기 보코더(111)를 통해 음성 압축한다. 하지만, 음악을 음성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EVRC 등의 보코더를 통해 압축하므로, 압축된 음악의 품질이 오히려 나빠지기도 한다.
한편, 특정 대기음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입장에서는, 발신자에게 착신 대기음 대신에 제공되는 특정 대기음의 음질이 향상되기를 바랄 뿐만 아니라, 착신 대기음 구간에 발신자에게 텍스트, 음악, 그림, 또는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하여 자신을 좀 더 적극적으로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하지만,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 대기음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나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 대기음 대신에 제공되는 특정 대기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 대기음 구간에, 문자, 음악, 그림,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발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착신 대기음, 최근에 제공되는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서비스 등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은, 착신 대기음 구간에는 정지 영상, 애니메이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하여 전송되고, 음성 통화 구간에는 통화 데이터가 다시 연결된 상기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발신 단말기에서는 착신 대기음 구간과 음성 통화 구간을 구별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에는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재생하고, 음성 통화 구간에는 음성 압축된 통화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출력한다.
착신 교환기는,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접속 요청이 있을 때,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부로 라우팅 하기 위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부에 접속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부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발신 교환기와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에서 호 응답이 있을 때, 발신 교환기에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부에 접속된 트렁크 호 해제를 요청한다. 상기 발신 교환기는,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다시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착신 대기음 구간에는 착신 대기음 또는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이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보코더를 바이 패스하여 전송되고, 음성 통화 구간에는 통화 데이터가 상기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착신 교환기는,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접속 요 청이 있을 때, 발신자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단말기의 정보와 착신자에 대한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활성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 바이 패스 여부와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 교환기는, 상기 보코더 바이 패스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 교환기는,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보코더의 바이 패스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한다.
또한, 착신 교환기는, 상기 결정에 따라, 착신 대기음을 제공하거나 또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에 트렁크 호를 접속하여 상기 결정된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착신자가 지정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에서 호 응답이 있을 때, 상기 발신 교환기에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다시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대기음 구간에 아날로그로 변조되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뎀; 및 상기 제 1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선 전화기;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 디어 데이터를 상기 유선 전화기에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뎀; 착신자가 지정한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 및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할 서비스를 결정하고, 착신 대기음으로 결정되는 경우 착신 대기음을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고,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음을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는 착신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유선 전화기는,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모뎀 동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재생한다. 또한, 상기 유선 전화기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상기 제 1 모뎀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제 1 모뎀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을 구분하고, 각각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코딩(Encoding) 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에서는, 종래와 같이, 통화 목소리가 EVRC 또는 QCELP와 같은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되어 단말기로 전송되고, 단말기에서는 음성 압축된 통화 목소리가 상기 보코더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 되어 출력된다. 대신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는, 착신자가 신청한 서비스에 따라, 착신 대기음 또는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이 EVRC 또는 QCELP와 같은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되어 전송되거나, 새로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보코더를 거치지 않고(By-passing Vocoder) 바로 발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단말기에서는, 상기 수신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대응되는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 하여, 단말기 화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단말기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할 수 있는 디코더가 구비된다.
한편, 단말기에는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교환기에서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포맷)을 통해, EVRC 또는 QCELP 보코더를 통해 음성 압축된 데이터인지 아니면 상기 보코더를 거치지 않은 새로운 멀티미디어 데이터인지를 판단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는 텍스트, 음악, 그림, 애니메이션 또는 동영상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대기음 구간에, 착신자가 지정한 시가 하이퍼 텍스트 형태로 전송되어, 착신자가 지정한 디스플레이 속성(예를 들어 텍스트 크기, 폰트, 색깔, 위치, 스크롤 속도 등의 표시 효과)에 따라 발신자의 단말기에 표시되거나, 착신자가 지정한 음악이 MP3,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4 High-Efficiency(HE) AAC(Advanced Audio Coding) 등의 높은 압축 효율의 오디오 포맷으로 전송되어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되거나, 착신자가 지정한 정지 영상, 플래쉬,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이 대응되는 포맷으로 전송되어 발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MPEG-4 HE AAC(일명 AAC+) 오디오 포맷은, 종래의 MP3에 비해 압축 효율이 더욱 높아, 48kbps의 전송률로 CD 음질 수준의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한다. 통신망에서는 한 채널(모노)만 전송하기 때문에, 24kbps의 전송률로 CD 음질 수준의 모노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무선 이동 통신망에서는 통화 데이터가, 셀룰러 방식의 경우 9.6kbps, PCS 방식의 경우 9.6kbps 또는 13.3kbps의 전송률로 전송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가 9.6kbps 또는 13.3kbps 전송률의 AAC+ 포맷으로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되면,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의 음질에 비해 훨씬 깨끗한 오디오 사운드가 발신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코더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등장할 새 규격의 데이터도 전송하는데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도 1에서는 종래의 착신 대기음 구간을 이용한 음악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발신 단말기(100)에서 착신 단말기(105)에 통화를 시도하면(S10), 착신 교환기(130)에서는 음원 제공 장치(150)에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음원을 요청한다(S11). 이에 대해 상기 음원 제공 장치(150)에서는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음원을 발신 교환기(120)와 발신 기지국 제어기(110)를 거쳐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2). 이때, 발신 기지국 제어기(110)의 보코더(111)가 동작하여 착신 음원 제공 장치(150)에서 전송하는 음원을 음성 압축하여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한편, 착신 교환기(130)에서는 착신 단말기(105)를 페이징(Paging) 한다(S13).
그리고, 착신 단말기(105)에서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면(S14), 상기 착신 교환기(130)에서는 음원 제공 장치(150)에 음원의 전송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고(S15),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6).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발신 기지국 제어기(110)에서는 보코더(111)가 동작하여 착신 단말기에서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목소리를 음성 압축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간략화 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시스템은, 음원 제공 장치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로 변경되고,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에서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코더(211)를 바이 패스 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시스템과 거의 일치한다. 한 편,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도 보코더를 온 오프 시키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큰 변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200)에서 착신 단말기(205)에 통화를 시도하면(S20), 착신 교환기(23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에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21). 이에 대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에서는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발신 교환기(220)와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를 거쳐 발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12). 이때,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에서 보코더(211)를 바이 패스하여 보코더를 거치지 않고 발신 단말기(200)에 전송된다. 물론, 착신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래 착신 대기음이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음원이 발신 단말기에 전송된다. 이 경우에는 발신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코더를 거쳐 음성 압축되어 발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리고, 착신 교환기(230)에서는 착신 단말기(205)를 페이징(Paging) 한다(S23). 착신 단말기(205)에서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면(S24), 상기 착신 교환기(23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고(S25), 착신 단말기(200)와 발신 단말기(205)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6).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에서는 보코더(211)가 동작하여 착신 단말기에서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목소리를 음성 압축한다.
한편,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되는 착신 대기음 또는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해야 한다. 발신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보코더의 바이 패스 여부는 착신 가입자가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즉, 착신 가입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여 활성화한 경우, 상기 착신 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측의 기지국 제어기에 구비된 보코더를 바이 패스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음성 압축 없이 발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따라서, 발신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보코더의 바이 패스 여부를 조절하기 위하여, 착신 교환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발신 교환기에 전송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에서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제어해야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홈 위치 등록기(HLR)(250)는 기존의 망 구성 요소로서의 기능을 모두 갖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로 라우팅 하기 위한 정보를 착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로서 추 가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착신 교환기(MSC)(230)는 기존의 망 구성 요소로서의 기능을 모두 갖고, 착신 가입자의 위치를 등록할 때 상기 홈 위치 등록기(250)와 통신하여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로 라우팅 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 접속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근거로, 착신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있는 경우 착신 대기음 구간에 발신 기지국 제어기(BSC)(210)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220)에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와 통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에 이를 발신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착신 단말기에서 페이징에 응답하여 호를 수락하는 경우, 상기 발신 교환기(220)에 상기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려, 상기 발신 교환기(220)가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를 다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 발신 교환기(220)는, 착신 교환기(230)로부터, 보코더 바이 패스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보코더가 바이 패스 되도록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를 제어하고,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보코더가 다시 연결되도록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를 제어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는,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게이트웨이(Gateway)(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교환기와 통신하고, 상기 착신 교환기(23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탐색하고, 탐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교환기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착신 가입자가 제공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은 가입자가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인터넷 망을 매개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가 상기 착신 교환기(230) 및 발신 교환기(220)로 제공해야 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 가입자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탐색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교환기로 제공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와는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도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 교환기(220)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 가입자와의 호 접속을 요청하면(S30), 해당 발신 교환기(22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31). 이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250)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230)에 전송하고(S32), 상기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220)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 교환 기(230)에게 트렁크(ISUP)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한다(S33).
이어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착신 대기음 구간에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기(220)에 전송한다(S34). 여기서, 상기 착신 대기음 구간에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도록 하는 메시지는 상기 발신 교환기(220)를 거쳐 발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보코더 바이 패스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220)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가 바이 패스 되도록 제어하여(S36)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로 라우팅 하기 위한 정보를 근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에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하고(S35), 착신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 중에는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통상의 착신 대기음을 송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발신 교환기(220), 상기 착신 교환기(230),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고,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디코더는 바이 패스 된 상태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는, 제공받은 착신자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를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에 전송한다(S37). 이때,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에서는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코더로 음성 압축하지 않고 발신 단말기에 바이 패스 한다.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중에 착신 단말기에서 페이징에 응답하여 호를 수락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220)에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고(S38),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240)에 호 해제를 요청한다(S39). 이에 상기 발신 교환기(220)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를 다시 연결한다(S40). 이후, 상기 착신 교환기(230)는 상기 발신 교환기(220)와 상호 형성된 트렁크 통화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41). 여기서, 상기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발신 교환기(220)를 거쳐 발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착신 대기음 구간에 무조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활성 여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S34에서,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에서 발신 교환기(220) 및 발신 단말기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발신 교환기(220)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는 발신 기지국 제어기(210)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고, 착신 대기음 구간이 종료되면 상기 보코더를 다시 연결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착신 가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새로운 서비스와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 제공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고, 또한 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한 실시예이다.
즉, 착신 가입자가 어떤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있는지 여부와 발신 단말기가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착신 대기음 구간에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할 것인지 아니면 보코더를 동작시켜 음성 압축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착신 가입자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을 수도 있고, 종래의 착신 대기음 대체 특정음 서비스를 신청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신청할 수도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 발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능력과 착신 가입자의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의 활성 상태에 따른 보코더의 연결 여부와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 착신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있더라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연결 하여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전송한다. 그리고, 발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착신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한 경우에 한하여,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착신 가입자가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한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발신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는 그대로 연결하고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음을 제공한다.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 교환기(225)에 착신자와의 호 접속을 요청하면(S50), 해당 발신 교환기(225)는 홈 위치 등록기(255)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51). 이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255)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235)에 전송한다(S52).
상기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225)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235)에게 트렁크(ISUP)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하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가능 여부에 관한 발신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53).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는, 단순히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1bit의 플래그 형태일 수도 있고, 아니면 여러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발신 단말기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는, 발신 단말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225)로 제공할 수도 있고, 발신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225)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착신 교환기(235)는, 전송되는 발신 단말기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해야 하는지 여부와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제공될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한다(S5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착신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한 경우에 한하여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모두 상기 보코더를 연결해야 한다고 결정한다. 또한,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고 착신 가입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활성화한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고, 대신 착신 대기음을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후, 상기 착신 교환기(235)는, 상기 S54에서 결정된 착신 대기음 구간에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 보코더의 바이 패스 여부를 가리키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기(225)에 전송한다(S55). 여기서,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 보코더의 바이 패스 여부를 가리키는 메시지는 상기 발신 교환기(225)를 거쳐 발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보코더 바이 패스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225)는, 상기 보코더 바이 패스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기초로,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거나(S57) 상기 보코더가 연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235)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장치(245) 에,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하면서, 제공할 서비스를 지정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56). 물론, 상기 착신 교환기(235)는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장치(245)에 착신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이러한 과정 중에는 통상의 착신 대기음을 송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발신 교환기(225), 상기 착신 교환기(235), 및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장치(245)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된다.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장치(245)는, 제공받은 착신자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착신자가 지정한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에 전송한다(S58).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특정음은 상기 보코더를 통과하여 음성 압축된 상태로 발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착신 교환기(235)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중에 착신 단말기에서 페이징에 응답하여 호를 수락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225)와 발신 단말기에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고(S59),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장치(245)에 호 해제를 요청한다(S60). 여기서, 상기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는 상기 발신 교환기(225)를 거쳐 발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발신 교환기(225)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기(215)의 보코더가 바이 패스 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코더를 다시 연결한다(S61). 이후, 상기 착신 교환 기(235)는 상기 발신 교환기(225)와 상호 형성된 트렁크 통화로를 통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62)
물론, 착신 가입자가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거나 활성화 하지 않은 경우에는, S56 내지 S60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할 수 있는 디코더가 구비된 단말기에서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대응되는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 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디코딩 동작과 통화 디코딩(Speech decoding) 동작을 구별하기 위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단말기는, 교환기로부터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받는 방법 또는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을 분석하는 방법에 의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별하고 작동할 디코더도 구별할 수 있다.
도 6과 7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별하여 서로 다른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 메시지를 받아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별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기가 010-xxxx-xxxx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고(S70),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 교환기와 상기 착신 교환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된다(S71). 상기 발신 단말기는 발신할 때,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가능 여부에 관한 발신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 단말기는, 도 3의 S34과 도 4의 S55 과정과 같이, 착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교환기를 거쳐 보코더가 바이 패스 메시지가 전송되는지 확인한다(S72).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보코더 바이 패스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S74),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동작시켜 재생한다(S75).
반면, 상기 보코더 바이 패스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종래의 착신 대기음 또는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이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일반 통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한다(S77).
상기 발신 단말기는, 도 3의 S38과 도 4의 S59 과정과 같이, 착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교환기를 거쳐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되는지 확인한다(S73). 상기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통화 구간이 시작된다고 판단하여, 일반 통화 디코딩 동작을 수행한다(S77). 그렇지 않은 경우,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가 계속 진행된다고 판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동작(S74)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디코딩 및 재생 동작(S75)을 연결된 통화로가 끊어질 때까지 계속한다(S76).
그리고, 통화 디코딩 동작을 연결된 통화로가 끊어질 때까지 계속한다(S78).
도 7은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을 분석하여 착신 대기음 구간과 통화 구간을 구별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기가 010-xxxx-xxxx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고(S80),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 교환기와 상기 착신 교환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된다(S81). 상기 발신 단말기는 발신할 때,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가능 여부에 관한 발신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 단말기는, 연결된 통화로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여(S82), 이를 분석한다(S83).
분석 결과, 수신된 데이터가 발신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코더를 바이 패스하여 전송된 데이터인 경우(S84),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동작시켜 재생한다(S85). 그리고, 상기 발신 단말기는, 데이터를 수신하여(S82), 분석하고(S83),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 이를 디코딩 하여 재생하는 동작(S85)을 연결된 통화로가 끊어질 때까지 계속한다(S86).
반면, 수신된 데이터가 발신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코더를 통과한 데이터인 경우(S84), 착신 대기음 구간에 종래의 착신 대기음 또는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이 전송되거나 통화 구간에 상대방의 통화가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일반 통화 디코딩 동작(S87)을 통화가 끝날 때까지 계속한다(S88).
한편, 발신 단말기가 유선 전화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유선 발신 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재생, 및 출력이 가 능하고, 모뎀이 내장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 착신 대기음 구간에 상기 모뎀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 받아 재생할 수 있다.
도 8은, 유선 전화기에서 통화를 시도한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유선 발신 전화기(300)에서 착신 단말기(305)에 통화를 시도하면(S90), 착신 교환기(23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340)에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91). 이에 대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340)에서는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교환기에 구비된 모뎀(360)을 통해 유선 발신 전화기(300)에 전송한다(S92). 이때, 착신 교환기(330)에서는, 먼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유선 발신 전화기(300)에 보내 전화기에 내장된 모뎀을 동작시키고, 교환기에 구비된 모뎀(360)을 통해 상기 유선 발신 전화기(300)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유선 발신 전화기(300)에서는, 전화기 내부에 구비된 모뎀을 통하여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착신 교환기(330)에서는 착신 단말기(305)를 페이징(Paging) 한다(S93). 착신 단말기(305)에서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면(S94), 상기 착신 교환기(33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34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할 것을 요청한다(S95). 또한, 상기 착신 교환기(330)에서는, 상기 유선 발신 전화기(300)에 착신 대기음 구간의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 상기 유선 발신 전화기(300)에 내장된 모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착신 단말기(305)와 발신 단말 기(300) 간에 종래의 음성 통신 방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96).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는,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되어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코딩 하여 전송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상청에 근무하는 착신 가입자는 현재의 일기 예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문자, 음성, 또는 간단한 그래픽 등으로 인코딩 하여 전송하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에 근무하는 착신 가입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인코딩 하여 전송하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 제어기에서 EVRC 보코더는 64kbps의 PCM 데이터를 9.6kbps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 발신 교환기, 그리고 발신 기지국 제어기 간의 통화로에서는 64kbps의 전송률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기지국 제어기와 단말기 간의 통화로에서는 9.6kbps의 전송률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따라서,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를 바이 패스 하는 경우, 64kbps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9.6kbps로 출력되므로 보코더에 입력된 데이터가 적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코더에는 입력되는 64kbps 전송률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 하여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는, 9.6kb의 의미 있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나머지는 의미 없는 데이터로 채워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64kbps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의미 있는 9.6kb의 데이터만 추출하여 9.6kbps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위의 두 경우 모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는 실질적으로 9.6kbps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저장하면 되므로, 종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 서비스에서 64kbps로 전송되는 특정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보다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 온다.
먼저,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성 압축 없이 전송되므로, 착신 대기음 대신에 제공되는 특정 대기음의 음질이 개선된다.
또한, 착신 대기음 구간에, 문자, 음악, 그림,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착신자는 좀더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발신자에게 통화 시도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만을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규격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서도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좀더 우수한 새로운 규격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의한 서비스의 질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한 착신 대기음 및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 대기음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착신 대기음 및 종래의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서비스와 호환을 위해서 필요한 현재 시스템에 대한 변경을 최소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착신 대기음 구간에 아날로그로 변조되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뎀; 및
    상기 제 1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선 전화기;
    착신 대기음 구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유선 전화기에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뎀;
    착신자가 지정한,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특정음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 및
    착신 대기음 구간에 전송할 서비스를 결정하고, 착신 대기음으로 결정되는 경우 착신 대기음을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고, 착신 대기음을 대체하는 특정음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음을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시키기 위한 정보를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상기 유선 전화기로 전송하는 착신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에서 호 응답이 있을 때, 상기 유선 전화기에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부와 접속된 트렁크 호 해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기는, 착신 대기음 구간에 상기 제 1 모뎀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대기음 구간 종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제 1 모뎀의 동작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애니메이션, 동영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대기음 대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60075267A 2006-08-09 2006-08-09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65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67A KR100650201B1 (ko) 2006-08-09 2006-08-09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67A KR100650201B1 (ko) 2006-08-09 2006-08-09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220A Division KR100629142B1 (ko) 2004-07-06 2004-07-06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309A KR20060100309A (ko) 2006-09-20
KR100650201B1 true KR100650201B1 (ko) 2006-11-29

Family

ID=3763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267A KR100650201B1 (ko) 2006-08-09 2006-08-09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2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309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0107B2 (ja) マルチメディア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機及び端末機の制御方法
JP4430108B2 (ja) マルチメディア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コーデック設定方法及びシステム
JP4374053B2 (ja) 発信側交換機を用いてマルチメディア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1032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receiver-side switching center
KR100629142B1 (ko)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590539B1 (ko) 패킷망에서의 통화 대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476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능력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650201B1 (ko)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695265B1 (ko) 착신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730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23697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과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6398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198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음성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63289A (ko) 브이오아이피 망을 이용한 착신 전화 벨소리 제공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