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568A -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568A
KR20060058568A KR1020040097654A KR20040097654A KR20060058568A KR 20060058568 A KR20060058568 A KR 20060058568A KR 1020040097654 A KR1020040097654 A KR 1020040097654A KR 20040097654 A KR20040097654 A KR 20040097654A KR 20060058568 A KR20060058568 A KR 2006005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assword
setting
encryption
encryp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8568A/ko
Publication of KR2006005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12Details relating to cryptographic hardware or logic circuitry
    • H04L2209/125Parallelization or pipelining, e.g. for accelerating processing of cryptographic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의 경과에 따라 암호설정 수준을 다르게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암호가 설정된 특정기능이 선택되면,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설정수준이 결정되면, 수준별 암호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입력된 암호와 상기 수준별 암호가 일치되면, 암호를 해지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특정기능에 대해서는 암호 입력수를 감소시켜 암호입력의 편의성 및 휴대단말기의 안정성을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PASSWORD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4개의 숫자로 설정된 암호에서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의 경과에 따라 암호설정 수준을 다르게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는 타인의 남용 및 사용자의 정보 보호를 위하여 암호설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암호를 설정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특정한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암호를 요구하게 되고, 미리 설정된 암호와 다른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안전성을 위하여 암호를 설정한 경우,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매번 암호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암호가 설정된 휴대단말기의 특정기능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있어서, 매번 사용할 때 마다 전체 암호키 숫자를 모두 입력해야만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의 경과에 따라 암호설정 수준을 다르게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호가 설정된 특정기능이 선택되면,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설정수준이 결정되면, 수준별 암호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입력된 암호와 상기 수준별 암호가 일치되면, 암호를 해지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암호가 설정된 특정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1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1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1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간에서 마지막으로 암호해지를 위해 암호를 입력한 시간을 뺀 시간(t)를 계산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t)이 작을수록, 자주 사용하는 특정기능임을 감지하고 암호키 입력수를 감소시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t)이 클수록, 자주 사용하지 않는 특정기능임을 감지하고 암호키 입력수를 증가시켜 설정한다.
상기 암호키 입력수는 미리 설정된 암호 숫자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시간(t)이 작을수록 미리 설정된 암호 숫자개수 중 적은 암호키 입력수가 설정되며, 상기 시간(t)이 클수록 미리 설정된 암호 숫자개수 중 많은 암호키 입력수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암호키 입력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 숫자개수 중 랜덤하게 추출되거나 순서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 숫자개수가 4개일 때 암호설정수준 결정과정을 하기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102단계의 암호설정수준 결정과정에 따라 암호키 입력수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102단계에서 결정된 수준별 암호키 입력수를 요구하는 1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사용자가 104단계에서 암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 고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키와 상기 요구된 암호키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키와 상기 요구된 암호키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1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암호를 해지하며 상기 암호해지시간을 저장하는 1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암호해지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107단계를 진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4개의 숫자로 설정된 암호에서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가 4개의 숫자로 암호가 설정된 특정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간에서 마지막으로 암호해지를 위해 암호를 입력한 시간을 뺀 시간(t)를 계산한다.
상기 시간(t)이 암호설정을 위한 제1기준시간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4개의 암호숫자 중 어느 하나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한 후, 상기 하나의 암호키 입력을 요구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시간(t)이 암호설정을 위한 상기 제1기준시간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시간(t)를 제2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상기 시간(t)이 상기 제2기준시간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4개의 암호숫자 중 어느 두 개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한 후, 상기 두 개의 암호키 입력을 요구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시간(t)이 상기 제2기준시간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시간(t)를 제3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상기 시간(t)이 상기 제3기준시간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4개의 암호숫자 중 어느 세 개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한 후, 상기 세 개의 암호키 입력을 요구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시간(t)이 상기 제3기준시간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시간(t)를 제4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상기 시간(t)이 상기 제4기준시간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4개의 암호숫자 중 어느 네 개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한 후, 상기 네 개의 암호키 입력을 요구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암호키 입력의 요구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211단계에서 요구된 개수의 암호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키와 상기 요구된 암호키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키와 상기 요구된 암호키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암호를 해지하며 상기 암호해지시간을 저장하는 21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암호해지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21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2에서 암호가 "1234" 미리 설정되어 있고, 순서적으로 암호키 입력수가 추출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204단계에서는 하나의 암호키 입력수인 "1"을 요구하고, 상기 206단계에서는 두 개의 암호키 입력수인 "12"을 요구할 것이다. 또한 상기 208단계에서는 세 개의 암호키 입력수인 "123"을 요구하고, 상기 210단계에서는 네 개의 암호키 입력수인 "1234"을 요구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의 경과에 따라 암호설정 수준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암호설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특정기능에 대해서는 암호 입력수를 감소시켜 암호입력의 편의성 및 휴대단말기의 안정성을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암호가 설정된 특정기능이 선택되면,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설정수준이 결정되면, 수준별 암호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입력된 암호와 상기 수준별 암호가 일치되면, 암호를 해지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이,
    현재시간에서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을 뺀 시간(t)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작을수록 암호키 입력수를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클수록 암호키 입력수를 증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이,
    현재시간에서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을 뺀 시간(t)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암호설정 기준시간보다 작으면 암호키 입력수를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암호설정 기준시간보다 크면 암호키 입력수를 증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설정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이,
    4개의 암호가 설정된 특정기능이 선택되면, 현재시간에서 마지막 암호해지시간을 뺀 시간(t)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1기준시간보다 작으면, 하나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1기준시간보다 크면, 상기 시간(t)과 제2기준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2기준시간보다 작으면, 두개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2기준시간보다 크면, 상기 시간(t)과 제3기준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3기준시간보다 작으면, 세개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3기준시간보다 크면, 상기 시간(t)과 제4기준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t)이 제4기준시간보다 작으면, 네개의 암호키 입력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키 입력수는 미리 설정된 암호 숫자개수에서 순서적으로 추출되거나, 랜덤하게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수준별 암호가 일치되면, 암호해지시간을 저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KR1020040097654A 2004-11-25 2004-11-25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KR20060058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654A KR20060058568A (ko) 2004-11-25 2004-11-25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654A KR20060058568A (ko) 2004-11-25 2004-11-25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568A true KR20060058568A (ko) 2006-05-30

Family

ID=3715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654A KR20060058568A (ko) 2004-11-25 2004-11-25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85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0143A (zh) * 2022-03-16 2022-06-21 福州汇思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方法及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0143A (zh) * 2022-03-16 2022-06-21 福州汇思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方法及终端
CN114650143B (zh) * 2022-03-16 2023-11-24 福建汇思博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方法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098B2 (en) Secure and usable protection of a roamable credentials store
US6986050B2 (en) Computer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WO2016106989A1 (zh) 多系统安全验证方法、多系统安全验证装置和终端
US8272040B2 (en) Preventing inadvertent lock-out during password entry dialog
JP6706007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電子機器
US20160241400A1 (en)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60132676A1 (en) Secure password storage and recall system
US10706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private browsing data
US201000833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ypher authentication
US20050015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mobile device data and content security
JP2005208763A (ja) パスワード認証方法
KR20060058568A (ko) 휴대단말기의 암호설정 방법
KR101837852B1 (ko) 스크롤 기반의 사용자 인증장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어플리케이션
JP2007310819A (ja) パスワード解析への耐性を高めたパスワード生成方法及びこのパスワードを用いた認証装置
JP2018518779A (ja) 少なくとも1つのパスワードを生成する方法とデバイス
KR101965613B1 (ko) 분할형 오티피를 이용한 공유카 제어방법
KR20170073843A (ko) 보안실행환경 온라인본인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6780A (ko)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멜로디 기반의 잠금 및 해제 방법
KR1006641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 방법
KR20070056578A (ko) 휴대 단말기의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
KR101455027B1 (ko) 이동단말기의 비밀모드 제공방법, 비밀모드 어플리케이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WO2018163122A1 (en) Secure data and password storage and recall system
KR100651914B1 (ko) 숫자 합산에 의한 비밀 번호 입력 기능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70057532A (ko)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289969B1 (ko) 인증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