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294A -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294A
KR20060058294A KR1020040097264A KR20040097264A KR20060058294A KR 20060058294 A KR20060058294 A KR 20060058294A KR 1020040097264 A KR1020040097264 A KR 1020040097264A KR 20040097264 A KR20040097264 A KR 20040097264A KR 20060058294 A KR20060058294 A KR 2006005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cleaning
struc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323B1 (ko
Inventor
이동윤
박윤희
정명순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323B1/ko
Priority to US11/072,668 priority patent/US20060107488A1/en
Priority to DE602005015071T priority patent/DE602005015071D1/de
Priority to EP05290649A priority patent/EP1661498B1/en
Publication of KR2006005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4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 A47L9/065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with mechanical actuation, e.g. using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는, 경사진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굴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피청소면이 경사각을 가지더라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청소기의 흡입성능이 그대로 유지되며, 청소도중 흡입구조립체가 피청소면과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흡입구조립체, 제1흡입체, 제2흡입체, 경사각, 내각, 계단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A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조립체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흡입구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흡입구조립체의 다른 실시예,
도 4은 도 3의 제2흡입체가 제1흡입체에 포개진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제1피청소면 20..제2피청소면
100..진공청소기 200..흡입구조립체
210..제1흡입체 211..힌지홈
212..제1흡입공 213..흡입통로
220..제2흡입체 221..힌지돌기
222..제2흡입공 230..힌지핀
240..탄성부재 250..청소모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청소면의 오물이 흡입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오물수거실 및 진공원이 내장된 청소기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 상기 흡입구조립체에서 흡입한 오물을 상기 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연장관과, 플랙시블호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흡입구조립체는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피청소면이 경사진 경우에 청소가 불편하고, 청소기의 흡입성능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청소도중 흡입구조립체가 피청소면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피청소면의 경사각이 90도인 계단을 청소하는 경우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계단에 먼지가 쉽게 쌓일 수 있는 카펫트가 깔려 있어 그 청소주기가 짧은 경우에 보다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경사각을 가진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페트가 깔려있는 계단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흡입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는, 경사진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굴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복수개의 흡입체가 관절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흡입체는, 제 1 흡입체 및, 상기 제 1 흡입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흡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흡입체는, 피청소면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제 1 흡입체에 대하여 다양한 내각을 갖도록 회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흡입체와 상기 제 1 흡입체가 이루는 내각이 항상 6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각의 변화 범위는 0도 내지 1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제1흡입체에는 연장관과 결합하는 흡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체의 하면에는 제1 및 제2흡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공은 상기 흡입통로와 연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흡입체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청소모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절은, 상기 제1흡입체에 형성된 힌지홈; 상기 제2흡입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홈에 삽입된 힌지돌기; 상기 힌지홈 및 상기 힌지돌기를 결합한 힌지핀; 및 상기 힌지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조립체(20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는, 오물수거실(미도시) 및 진공원(미도시)이 내장된 청소기본체(110), 진공청소기(100)를 조작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진공원(미도시)에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200), 청소기본체(110)와 조작부(130)를 연결하는 플랙시블호스(120)와, 조작부(130)와 흡입구조립체(200)를 연결하는 연장관(1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흡입구조립체(200)는 제1흡입체(210)와, 제2흡입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흡입체(210)는 제1피청소면(10)을 청소한다. 이를 위해 제1흡입체(210)의 상면에는 흡입통로(213)가 형성되며, 제1피청소면(10)과 접하는 제1흡입체(210)의 하면에는 제1흡입공(212)이 형성된다.
흡입통로(213)는 제1흡입체(210)와 일체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된 원형의 파이프로서, 이러한 흡입통로(213)에는 연장관(140)이 결합된다.
제1흡입공(212)은 제1흡입체(210)의 우측면(210a)까지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구멍으로 제1피청소면(10)과 직접 접촉하며 이러한 제1흡입공(212)을 통해 제1피청소면(10)의 먼지가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제1흡입공(212)의 외곽에는 제1피청소면(10)에 고착되어 있는 먼지를 타격 및 스크래치하여 분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청소모(250)가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제1흡입공(212)의 형상은 경우에 따라 직사각형외에 원형, 타원형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체(220)는 제1피청소면(10)에 대하여 경사각(θ1)을 가진 제2피청소면(20)을 청소한다. 이를 위해 제2흡입체(220)의 하면에는 제2흡입공(222)이 형성된다.
제2흡입공(222)은 제2흡입체(220)의 좌측면(220a)까지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구멍으로 제2피청소면(20)과 직접 접촉하며 이러한 제2흡입공(222)을 통해 제2피청소면(20)의 먼지가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제2흡입공(222)의 외곽에는 제2피청소면(20)에 고착되어 있는 먼지를 타격 및 스크래치하여 분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청소모(250)가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제2흡입공(222)의 형상은 제1흡입공(2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외에 원형, 타원형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흡입공(212)과 제2흡입공(222)은 흡입통로(213)와 연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흡입공(212)은 제1흡입체(210)에 형성된 관계로 흡입통로(213)와 직접적으로 연통된다.
그리고 제1흡입공(212)이 제1흡입체(210)의 우측면(210a)까지 형성되어 있고, 제2흡입공(222)이 제2흡입체(220)의 좌측면(220a)까지 형성되어 있어, 제2흡입공(222)은 제1흡입공(212)을 거쳐 간접적으로 흡입통로(213)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피청소면(10)의 먼지는 제1흡입공(212)을 거쳐 흡입통로(213)로 빨려들어가고, 제2피청소면(20)의 먼지는 제2흡입공(222) 및 제1흡입공(212)을 거쳐 흡입통로(213)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도 2을 참조하면, 제2흡입체(220)는 경사진 제2피청소면(20)을 청소하기 위하여 제1흡입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관절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흡입체(210)에는 힌지홈(211)이 형성되며, 제2흡입체(220)에는 힌지홈(211)에 삽입되기 위한 힌지돌기(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힌지홈(211) 및 힌지돌기(221)를 결합하기 위한 힌지핀(230)과, 힌지핀(230)에 설치된 탄성부재(240)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홈(211)을 형성하기 위해 제1흡입체(210)의 상면 우측에는 힌지핀(230)이 관통되기 위한 구멍이 뚫린 2개의 지지물(211a, 211b)이 제1흡입체(210)와 일체 또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힌지돌기(221)은 힌지홈(211)에 삽입되기 위해 제2흡입체(220)의 상면 좌측에 제2흡입체(220)와 일체 또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된 돌기로서, 돌기의 좌우측면에는 힌지핀(230)이 관통되기 위한 구멍이 뚫려있다.
힌지핀(230)은 힌지홈(211)에 힌지돌기(221)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축으로서, 지지물(211a, 211b)의 구멍과 힌지돌기(221)의 구멍을 차례로 관통한다.
힌지핀(230)에는 코일스프링 같은 탄성부재(24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40)는 제2흡입체(220)를 항상 화살표 B방향(도 1참조)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피청소면(10)과 제2피청소면(20)이 평탄하여 경사각(θ1)이 0도일 경우, 탄성부재(240)에 의해 제1흡입체(210)와 제2흡입체(220)의 내각(θ2)이 자동적으로 180도가 되어, 제2흡입체(220)는 제1흡입체(210)에 대하여 수평으로 펴지게 된다. 그리고, 내각(θ2)이 0도가 되면 제2흡입체(220)가 제1흡입체(210)에 포개진 다.
상기와 같은 제1흡입체(210)와 제2흡입체(220)의 결합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제1피청소면(10)과 경사진 제2피청소면(20)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청소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피청소면(10)에 대한 제2피청소면(20)의 경사각(θ1)이 크면, 사용자는 연장관(140)을 화살표 F1방향으로 밀어 흡입구조립체(200)를 화살표 F2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이때 제2흡입체(220)는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각(θ2)이 작아진다.
반면, 제1피청소면(10)에 대한 제2피청소면(20)의 경사각(θ1)가 작으면, 사용자는 연장관(140)을 화살표 F3방향으로 당겨 제1흡입체(210)를 화살표 F4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이때 제2흡입체(220)는 탄성부재(240)의 힘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각(θ2)이 커진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경사각(θ1)에 따라 제1흡입체(210)와 제2흡입체(220) 사이의 내각(θ2)이 가변되고, 이렇게 내각(θ2)이 가변됨에 따라 제1피청소면(10)에 제1흡입체(210)를 밀착하면서, 제2피청소면(20)에 제2흡입체(2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의 흡입성능이 그대로 유지되며, 청소도중 흡입구조립체(200)가 피청소면(10,20)과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흡입구조립체(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피청소면(10)과 제2피청소면(20)을 동시에 청소하기 위하여 경사각(θ1)에 따라 내각(θ2)을 가변시킨다. 이를 위해 연장관(140)을 화살표 F1방향으로 민다. 이 경우 제1흡입체(210)는 제1피청소면(10)과 접촉하면서 화살표 F2방향으로 전진하고, 제2흡입체(220)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피청소면(20)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제1흡입체(210)가 제1피청소면(10)에 접촉되고 제2흡입체(220)가 제2피청소면(20)에 접촉된 상태에서 흡입구조립체(200)를 화살표 E나 F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피청소면(10)과 제2피청소면(20)을 청소한다.
이때, 제1흡입공(212)의 외곽에 설치된 청소모(250)에 의해 제1피청소면(10)에 고착된 먼지가 타격 및 스크래치 되어서 분리되며, 이렇게 분리된 먼지와 제1피청소면(10)의 먼지는 제1흡입체(2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흡입공(212)을 거쳐 흡입통로(213)에 모이게 된다.
또한, 제2흡입공(222)의 외곽에 설치된 청소모(250)에 의해 제2피청소면(20)에 고착된 먼지가 타격 및 스크래치 되어서 분리되며, 이렇게 분리된 먼지와 제2피청소면(20)의 먼지는 제2흡입체(220)의 하면에 형성된 제2흡입공(222)과 이와 연통된 제1흡입공(212)을 거쳐 흡입통로(213)에 모이게 된다.
이후, 흡입통로(213)에 모인 먼지는 연장관(140), 플랙스블호스(120)를 거쳐 청소기본체(110)내의 오물수거실(미도시)에 집진되게 된다.
한편, 흡입구조립체(3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청소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400은 계단(300)에 깔려있는 카페트를 나타낸다.
흡입구조립체(300)를 계단청소전용으로 구성할 경우 제1흡입체(310)와 제2흡입체(320)가 이루는 내각(θ4)은 항상 60도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 게는 90도로 고정하는 것이 더 좋다. 이를 위해 제1흡입체(310)의 우측모서리(310a, 도 4참조)와 제2흡입체(320)의 좌측모서리(320b, 도 4 참조)를 상호 접촉시킨다. 이렇게 90도로 고정시키는 이유는, 제1피청소면(30)과 제2피청소면(40)의 경사각(θ3)이 항상 90도이므로, 청소시에는 내각(θ4)이 가변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흡입구조립체(300)가 계단청소전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흡입구조립체(300)에 내각(θ4)을 자동적으로 조절해 주는 탄성부재(240, 도 2참조)가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내각(θ4)이 90도로 고정될 경우, 도 4와 같이 제2흡입체(320)를 제1흡입체(310)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제1흡입체(310)에 포개지도록 하여, 흡입구조립체(300)의 보관상 편리함을 기할 수 있다. 이 밖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흡입구조립체(20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흡입구조립체(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피청소면(30)과 제2피청소면(40)을 동시에 청소하기 위하여 제1흡입체(310)를 제1피청소면(30)에, 제2흡입체(320)를 제2피청소면(30)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가진 흡입구조립체(200)와 달리 경사각(θ3)과 내각(θ4)이 90도로 고정된 관계로, 경사각(θ3)에 따라 내각(θ4)을 가변시키기 위해 연장관(140)에 별도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제1흡입체(310)가 제1피청소면(30)에 접촉되고 제2흡입체(320)가 제2피청소면(40)에 접촉된 상태에서 흡입구조립체(300)를 화살표 G나 H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피청소면(30)과 제2피청소면(40)을 청소한다. 이후 과정은 도 1 및 도 2 의 구성을 가진 흡입구조립체(2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청소면이 경사각을 가지더라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청소기의 흡입성능이 그대로 유지되며, 청소도중 흡입구조립체가 피청소면과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특히, 피청소면의 경사각이 90도인 계단을 청소하는 경우와, 계단에 먼지가 쉽게 쌓일 수 있는 카펫트가 깔려 있어 그 청소주기가 짧은 경우에 더 크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경사진 피청소면과 밀착되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굴절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복수개의 흡입체가 관절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흡입체는,
    제 1 흡입체 및, 상기 제 1 흡입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흡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흡입체는, 피청소면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제 1 흡입체에 대하여 다양한 내각을 갖도록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입체와 상기 제 1 흡입체가 이루는 내각이 항상 6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각의 변화 범위는 0도 내지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체에는 연장관과 결합하는 흡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체의 하면에는 제1 및 제2흡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흡입공은 상기 흡입통로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체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청소모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은,
    상기 제1흡입체에 형성된 힌지홈;
    상기 제2흡입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홈에 삽입된 힌지돌기;
    상기 힌지홈 및 상기 힌지돌기를 결합한 힌지핀; 및
    상기 힌지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20040097264A 2004-11-25 2004-11-25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0596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264A KR100596323B1 (ko) 2004-11-25 2004-11-25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US11/072,668 US20060107488A1 (en) 2004-11-25 2005-03-04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DE602005015071T DE602005015071D1 (de) 2004-11-25 2005-03-24 Saugmundanordnung für Staubsauger
EP05290649A EP1661498B1 (en) 2004-11-25 2005-03-24 Suction port assembly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264A KR100596323B1 (ko) 2004-11-25 2004-11-25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294A true KR20060058294A (ko) 2006-05-30
KR100596323B1 KR100596323B1 (ko) 2006-07-06

Family

ID=3589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264A KR100596323B1 (ko) 2004-11-25 2004-11-25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07488A1 (ko)
EP (1) EP1661498B1 (ko)
KR (1) KR100596323B1 (ko)
DE (1) DE60200501507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1815A1 (fr) * 2007-10-05 2009-04-10 M B H Dev Sarl Appareil de nettoyage et de decapage des plinthes
KR101335516B1 (ko) 2007-11-27 201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외선발생 유닛을 구비한 노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US9723960B2 (en) * 2012-05-31 2017-08-08 Richard Borges Vacuum nozzle
JP5920174B2 (ja) * 2012-11-09 2016-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GB2544919A (en) * 2013-12-09 2017-05-31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Apparatus for cleaning a floor surface
JP2017136303A (ja) * 2016-02-05 2017-08-1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電気掃除機ヘッド
WO2017135699A1 (ko) * 2016-02-05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헤드
GB2575048B (en) * 2018-06-26 2022-04-20 Stock Sweepers Ltd Attachment for a road sweeping vehicle
US11678779B2 (en) * 2018-08-14 2023-06-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Vacuum cleaner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1216A (en) * 1941-07-22 1943-10-05 Risdon Mfg Co Powder compact
US2482920A (en) * 1945-06-27 1949-09-27 Samuel J Levi Cigarette and cigar case
US3085267A (en) * 1960-08-24 1963-04-16 Jacuzzi Bros Inc Swimming pool cleaner head
US3108311A (en) * 1962-01-23 1963-10-29 Electrolux Corp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s
US3360816A (en) * 1966-05-19 1968-01-02 Nicholas A. Fontecchio Articulated swimming pool vacuum fixture
US3795027A (en) * 1972-10-25 1974-03-05 A Lindberg Vacuum nozzle for cleaning underwater surfaces
FR2269317B2 (ko) * 1973-12-26 1977-03-11 Chandler Michael
US4397060A (en) * 1981-03-26 1983-08-09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tool for use on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DE8617077U1 (de) * 1986-06-26 1986-10-23 Maier, Siegfried, 7022 Leinfelden-Echterdingen Saugmundstück für Saugreinigungsgerät
US5502870A (en) * 1993-12-16 1996-04-02 Ragner; Gary D. Five-function vacuum cleaner nozzle
US5398361A (en) * 1994-03-21 1995-03-21 Cason; Kurt N. Vacuum cleaner for submerged non-parallel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1498A2 (en) 2006-05-31
US20060107488A1 (en) 2006-05-25
EP1661498B1 (en) 2009-06-24
KR100596323B1 (ko) 2006-07-06
EP1661498A3 (en) 2006-09-27
DE602005015071D1 (de)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608B2 (en) Vacuum-cleane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EP1661498B1 (en) Suction port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7996954B2 (en) Path-conversion valv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2006192248A (ja) 真空掃除機の屈折延長管
KR10050084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니트
KR100545266B1 (ko) 진공청소기의 접이식 브러시
AU2008207344B2 (en) Brush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44580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 호스 조립체
KR100414255B1 (ko) 접이식 진공청소기 브러시
KR200477155Y1 (ko) 진공청소기
JP3759414B2 (ja) 真空掃除機用ブラシヘッド
JP5069626B2 (ja) 真空掃除機用の吸引ノズル掛け装置
KR200253098Y1 (ko) 접이식 진공청소기 브러시
KR10056557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254205Y1 (ko) 로울러가 장착된 접이식 진공청소기 브러시
KR20060083095A (ko) 진공청소기용 굴절 연장관
KR100565578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950000225Y1 (ko) 소형습식 진공청소기
KR200266935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ATE365017T1 (de) Staubsauger mit mobilem motorgehäuse
KR100985371B1 (ko) 청소기의 연장관
KR20200001988U (ko)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100546589B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344833Y1 (ko) 닦는 기능이 구비된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