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768A -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 Google Patents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768A
KR20060057768A KR1020040096817A KR20040096817A KR20060057768A KR 20060057768 A KR20060057768 A KR 20060057768A KR 1020040096817 A KR1020040096817 A KR 1020040096817A KR 20040096817 A KR20040096817 A KR 20040096817A KR 20060057768 A KR20060057768 A KR 2006005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height
height adjustment
partition bod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3894B1 (en
Inventor
조명구
Original Assignee
조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구 filed Critical 조명구
Priority to KR102004009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894B1/en
Publication of KR2006005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8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a number of smaller components rigidly or movably connected together, e.g. interlocking, hingedly connected of particular shape, e.g. not rectangular of variable shape or size, e.g. flexible or telescopic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파티션 본체;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이 가능한 보조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된 상기 보조 파티션을 고정시키는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파티션 구매 없이도 사무환경의 특성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파티션의 구현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한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partition, in particular, a partitio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having an overall shape in a rectangular shape; An auxiliary partition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partition body and capable of being pulled upward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ner space; And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body to fix the auxiliary partition drawn out to the upper part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bod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artition having various heigh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the office environment without a purchase, an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by the user.

파티션, 높이조절용 고정수단, 화이트 보드, 프로젝터용 스크린Partitions, height adjustment fixtures, white boards, screens for projectors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and main portion enlarged view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FIG.

도 3은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3 is a partial sectional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the height-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구성중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5 is a front sectional view and a main portion enlarged view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FIG.

도 6은 도 4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6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the height-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FIG. 4;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중 보조 파티션에 화이트 보드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white board is installed on an auxiliary partition among height-adjustable part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중 보조 파티션에 프로젝터용 스크린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creen for a projector is installed in an auxiliary partition among height-adjustable part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파티션 본체 200 : 보조 파티션100: partition body 200: secondary partition

201 : 화이트 보드 202 : 프로젝터용 스크린201: white board 202: screen for the projector

300 : 높이조절용 고정수단 310 : 반구형 볼 부재300: fixing means for height adjustment 310: hemispherical ball member

311 : 연장면 312 : 스프링 삽입홀311: extension surface 312: spring insertion hole

313 : 반구 320 : 돌기313: hemisphere 320: projection

330 : 스프링 부재 340 : 홈330: spring member 340: groove

350 : 볼트구멍 360 : 볼트체결부재350: bolt hole 360: bolt fastening member

361 : 손잡이 362 : 볼트361: handle 362: bolt

400 : 이동수단 401 : 이동용 바퀴400: vehicle 401: wheel for movement

402 : 스톱바 500 : 고정용 받침대402: stop bar 500: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무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파티션의 내부공간으로 보조 파티션을 삽입하고,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삽입된 보조 파티션의 상부 인출을 통한 높낮이를 사무환경의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자유로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part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insert the auxiliary partition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partitioning the office space, the height through the upper withdrawal of the auxiliary partition inserted by using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It is about a height-adjustable partition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adjust it to suit the purpose of the office environment.

주지하다시피, 칸막이를 포함하는 개념의 광범위한 파티션은 개방형 사무실에서 사무공간의 효율적인 분할 및 구획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인별 혹은 부서별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사무용 기구의 하나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a wide range of partitions, including partitions, is used for efficient partitioning and partitioning of office space in open offices, and is widely used as one of the important office apparatuses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or departmental work.

이러한 용도의 파티션은, 통상적으로 별도의 벽체 시공없이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칸막이가 구비되어 각 사무 환경에 적합하게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Partitions for this purpose are generally configured to be easi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without a separate wall construction, and at least two partitions are generally provided and used to suit each office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은 구매시에 그 파티션의 높이가 정해져 시공됨에 따라 사무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사무환경의 목적에 따라 파티션의 높낮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전문 시공업자를 통하여 별도의 파티션을 구매하여 재시공해야 함에 따라 별도의 파티션 구매 비용 및 시공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parti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perly respond to changes in the office environment as the height of the partition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purchase, and if you wan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office environment, As a separate partition must be purchased and reconstructed through a contractor,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additional partition purchase cost and construction cos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파티션 구매와 추가 비용 없이 사무환경의 특성 및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티션의 높낮이가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adjus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the office environment without additional partition purchase and additional costs. To provide a partition with adjustable heigh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은, 다수의 파티션 간의 연결 조립을 통해 사무실의 실내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파티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ight-adjustabl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and partitioning an interior space of an office through a connection assembly between a plurality of partitions,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파티션 본체;A partition body having an inner spa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n overall shape in a quadrangular shape;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이 가능한 보조 파티션; 및An auxiliary partition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partition body and capable of being pulled upward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ner space; And

상기 파티션 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된 상기 보조 파티션을 고정시키는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for fixing the auxiliary partition drawn out to the top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body.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은 파티션 본체(100)와, 보조 파티션(200), 및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and a main portion enlarged view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Figure 1,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largely composed of a partition body 100, the auxiliary partition 200, and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300).

상기 파티션 본체(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partition body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structure having an inner space with an open top.

이러한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하부면 양측에는 파티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이동용 바퀴(401)와, 그 이동용 바퀴(4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이동용 바퀴(401)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바(402)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400)이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이동성을 보장하게 된다.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100, a movement wheel 401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and a stop bar 40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ement wheel 401 to fix the movement wheel 401. Moving means 400 made of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is further installed, to ensure the mobility of the partition body (100).

또한, 상기 파티션 본체(100)에는 그 파티션 본체(10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보" 형상의 고정용 받침대(500)가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하부면 양측에 추가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body 100 may be additionally mounted and u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100 in order to stably fix the partition body 100 in a "beam" shape. have.

이때, 상기 "보" 형상의 고정용 받침대(500)는 "ㅂ"의 형상중 중간의 "ㅡ"가 제거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edestal 500 of the "beam" shape is made of a shape in which the middle "-" is removed from the shape of "ㅂ".

그리고, 상기 보조 파티션(200)은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상부로 인출되어 파티션의 높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파티션 본체(100)와 같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body 100, is drawn out by the user to adjust the height from the internal space is used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partition, the overall shape is The partition body 100 is formed in the same square shape.

이때, 상기 보조 파티션(200)은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본체(100)로부터 상부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교육이나 회의 등 임시 칠판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그 전면 또는 후면에 화이트 보드(201)를 추가로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drawn out from the partition body 100 as shown in Figure 7, the front or rear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temporary blackboard, such as education or meeting in the height adjustment is completed state The white board 201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it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또한, 상기 보조 파티션(200)은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본체(100)로부터 상부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강의나 회의 및 교 육 등을 위해 프로젝터가 사용되는 경우, 그 전면 또는 후면에 프로젝터용 스크린(202)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projector is used for lectures, meetings, and education,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pulled upward from the partition body 100 and the height adjustment is completed. An additional screen 202 for the projector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the front or rear side.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은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된 상기 보조 파티션(2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nd,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3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body 100, to stabilize the auxiliary partition 200 drawn out to the top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body 100. It serves to fix it.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300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이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예로서 아래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First, Figures 1 to 3 is shown in th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s an exampl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은 도 2 또는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상부면 양측 내부공간에 절곡된 일측이 삽입 고정되고, 그 절곡이 이루어진 연장면(311)을 따라 스프링 삽입홀(312)이 형성된 반구(313)가 일체로 형성된 반구형 볼 부재(310)와,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의 반구(313)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내부공간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돌기(320)와,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의 스프링 삽입홀(312)에 일측이 삽입되고, 또 다른 일측이 상기 돌기(320)에 삽입되어 압축 및 인장되는 스프링부재(330) 및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의 일측에 형성된 반구(313)와 장,탈착되는 홈 (34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300, as shown in detail in FIG. 2 or 3, one side of the bent in the inner spac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100 is inserted and fixed, the extension surface (bending) The partition body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e ball member 310 and the hemisphere 313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hemisphere 313 having a spring insertion hole 312 along the 311.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320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and the spring insertion hole 312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320 is compressed and A plurality of spring members 330 to be tensioned and formed at a plurality of vertically at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at regular intervals, the hemispheres 313 formed on one side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and long, removable grooves ( 340).

이때,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는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판 스프링의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of the leaf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330)는 일측이 반구(313)의 스프링 삽입홀(312)에 끼워져 안정되게 고정되고, 또 다른 일측이 상기 돌기(320)가 제거된 위치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돌기(320)는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3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fixed to the spring insertion hole 312 of the hemisphere 313 and is stably fixed,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320 is removed. In this case, the protrusion 320 may be selectively removed and used.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은 볼에 스프링을 삽입한 단순 결합의 볼 스프링 구조로도 변형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300 can also be modified to a ball spring structure of a simple coupling into which the spring is inserted into the ball.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to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의 또 다른 형태는 도 5 또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상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구멍(350)과, 일측에 손잡이(361)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으로 상기 볼트구멍(350)과 나사결합되는 볼트(362)가 형성된 볼트체결부재(360)로 구성되어 있다.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300 is a bolt hole 350 formed through the uppe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body 100,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5 or 6, the handle (on one side) 361 is formed and the bolt fastening member 360 is formed with a bolt 362 to be screwed to the bolt hole 350 to the other side.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 및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height adjustment and use state of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partial sectional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a height adjus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무환경의 목적 및 조건에 따라 상기 파티션 본체(100)에 삽입된 보조 파티션(200)을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출하고, 고정하여 파티션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의 반구(313)가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최상위 홈(340)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있다.First,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nserted into the partition body 100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dition of the office environment is drawn out to the upper by using the height adjusting fixing means 300, and fix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A, the hemisphere 313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is stably seated in the uppermost groove 340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이어서, 상기 파티션 본체(100)에 삽입된 보조 파티션(200)이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최상위의 홈(340)에 안착되어 있던 반구(313)가 도 3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홈(340)과 홈(340) 사이의 공간에 의해 눌려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상부측 내부공간으로 밀려나가고, 그와 함께 상기 스프링 삽입홀(312)과 돌기(320)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330)가 도 6의 (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완전히 압축된다.Subsequently, as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nserted into the partition body 100 is pulled out to adjust the height, the hemisphere 313 seated in the groove 340 at the top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shown in FIG. 3. As shown in (b) of the secondary partition 200 is pressed by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340 and the groove 340 is pushed out into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body 100, with the The spring member 330 mounted between the spring insertion hole 312 and the protrusion 320 is completely compressed as shown in FIG.

그런후, 도 6의 (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측면에 형성된 새로운 홈(340)에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의 반구(313)가 위치되고, 그와 함께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 부재(330)가 인장되어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의 반구(313)가 그 새로운 홈(34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Then, as shown in FIG. 6 (d), the hemisphere 313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is positioned in a new groove 340 formed in the side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with which The compressed spring member 330 is tensioned to insert the hemisphere 313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into the new groove 340.

이때, 상기 반구형 볼 부재(310) 또한 탄성력을 가지는 판 스프링의 금속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반구(313)와 홈(340)의 장착시 더욱 안정되게 고정이 이 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310 is also made of a metal material of the leaf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is more securely fixed when the hemisphere 313 and the groove 340 is mounted.

상술한 바와 같은 도 6의 (a)-(b)-(c)-(d)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되고, 그 보조 파티션(200)의 높낮이는 측면에 형성된 홈(340)의 위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nserted into the partition body 100 is easily increased through the continuous process of FIGS. 6 (a)-(b)-(c)-(d).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adjusted, and various settings are made according to the position selection of the groove 340 formed on the side surface.

한편, 도 5 또는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의 다른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or FIG. 6, another form of height adjustment of the parti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사무환경의 목적 및 조건에 따라 상기 파티션 본체(100)에 삽입된 보조 파티션(200)을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300)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출하고, 고정하여 파티션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볼트구멍(350)으로부터 볼트체결부재(360)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보조 파티션(200)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6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파티션(200)이 사용자에 의해 일정 높이 상부로 인출된다.First,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nserted into the partition body 100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dition of the office environment is drawn out to the upper by using the height adjusting fixing means 300, and fix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6 (a), the bolt fastening member 360 is drawn out from the bolt hole 350 of the partition body 100 in the state that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not pressurized As shown in FIG. 6 (b),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drawn out by a user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높이가 설정되면, 도 6의 (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체결부재(360)의 볼트(362)가 상기 파티션 본체(100)의 볼트구멍(350)에 나사결합되어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후 도 6의 (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체결부재(360)의 볼트(362)가 진입을 완료하고, 상기 보조 파티션(200)의 측면 가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높낮이가 설정된 상기 보조 파티션(200)을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set by the user, as shown in (c) of FIG. 6, the bolt 362 of the bolt fastening member 360 is a bolt hole of the partition body 100. Screwed to the 350 to enter the interior, and then, as shown in Figure 6 (d), the bolt 362 of the bolt fastening member 360 completes the entry, the auxiliary partition 200 The side partition is fixed to the auxiliary partition 200 is set by the user through the height of the height.

또한, 상기 높이 조절용 고정수단(300)의 조작에 의해 그 높낮이가 설정되는 상기 보조 파티션(200)은 도 7 또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무환경의 조건 또는 목적에 따라 실내공간의 분할 구획은 물론, 그 전면 또는 후면에 화이트 보드(201)나 프로젝터용 스크린(202)을 추가로 설치하여 게시판이나 칠판용 및 회의용 스크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artition 200 whose height is set by the operation of the fixing means 300 for adjusting the height, as shown in Figure 7 or 8, divided partitions of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r purposes of the office environment Of course, a white board 201 or a projector screen 20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board, and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bulletin board or a blackboard and a meeting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의하면, 사무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파티션의 내부공간으로 보조 파티션을 삽입하고,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삽입된 보조 파티션의 상부 인출을 통한 높낮이를 사무환경의 목적에 맞게 자유로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별도의 파티션 구매 없이도 사무환경의 특성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파티션의 구현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한 파티션의 높낮이 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artition which can b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partition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partitioning the office space, and the height through the upper withdrawal of the auxiliary partition inserted by using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means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it to the purpose of the office environment, s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partitions having various heigh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the office environment without purchasing a separate partition, and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by the user.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provided.

또한, 높낮이 조절되는 보조 파티션에 화이트 보드 또는 프로젝터용 스크린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무공간의 분할 및 구획 뿐만 아니라, 교육이나 회의 및 강의 등을 위한 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white screen or a projector screen in the height-adjustable auxiliary part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pace for education, meetings, lectures, as well as partitions and partitions of the office space.

Claims (8)

다수의 파티션 간의 연결 조립을 통해 사무실의 실내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파티션에 있어서,In the partition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office through the assembly of connections between a plurality of partitions,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파티션 본체;A partition body having an inner spa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n overall shape in a quadrangular shape;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이 가능한 보조 파티션; 및An auxiliary partition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partition body and capable of being pulled upward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ner space; And 상기 파티션 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높이 조절을 위해 상부로 인출된 상기 보조 파티션을 고정시키는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Height-adjustable partitio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body, the height adjust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auxiliary partition drawn out to the upper for height adjustmen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bod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상부면 양측 내부공간에 절곡된 일측이 삽입 고정되고, 그 절곡이 이루어진 연장면을 따라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된 반구가 일체로 형성된 반구형 볼 부재;The height-adjusting fixing means may include a hemispherical ball member in which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both inner spac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and a hemisphere with a spring insertion hole is formed along the extension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상기 반구형 볼 부재의 반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파티션 본체의 내부공간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돌기;A protrusion integrally protruding from an inner space side of the partition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e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상기 반구형 볼 부재의 스프링 삽입홀에 일측이 삽입되고, 또 다른 일측이 상기 돌기에 삽입되어 압축 및 인장되는 스프링부재; 및A spring member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spring insertion hole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to be compressed and tensioned; And 상기 보조 파티션의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 볼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반구와 장,탈착되는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A plurality of partitions formed vertically at both sides of the auxiliary partition at regular intervals, the hemispherical formed on one side of 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and a height-adjustabl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groov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반구형 볼 부재는, 상기 보조 파티션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판 스프링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The hemispherical ball member, th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 material of the leaf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partition can be easily ma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높이조절용 고정수단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상부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구멍과,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으로 상기 볼트구멍과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된 볼트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The fixing means for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olt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body, the bolt is formed with a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bolt is screwed to the bolt hole to the other side Height adjustable partition.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보조 파티션에는 상기 파티션 본체로부터 상부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교육이나 회의 및 게시판 등 임시 칠판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그 전면 또는 후면에 화이트 보드가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The auxiliary partition has a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hite board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auxiliary partition to be used for temporary boards, such as education, meetings and bulletin board in the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ment is completed from the partition body is completed. Possible partition.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보조 파티션에는 상기 파티션 본체로부터 상부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강의나 회의 및 교육 등을 위해 프로젝터가 사용되는 경우, 그 전면 또는 후면에 프로젝터용 스크린이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When the projector is used for lectures, meetings, and educ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is completed by drawing the upper portion from the partition body to the auxiliary partition, a screen for the projector is additionally installed and used in front or rear of the partition. Height adjustable partition.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부면 양측에는 파티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이동용 바퀴와, 그 이동용 바퀴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이동용 바퀴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바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이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means consisting of a connecting wheel of the movement whee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and the stop ba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ement wheel for fixing the movement wheel is further installed. Height adjustable partition.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상기 파티션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 형상의 고정용 받침대가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부면 양측에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Height-adjustable part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 shaped fixing pedestal for fixing the partition body is further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body.
KR1020040096817A 2004-11-24 2004-11-24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KR1006738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817A KR100673894B1 (en) 2004-11-24 2004-11-24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817A KR100673894B1 (en) 2004-11-24 2004-11-24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768A true KR20060057768A (en) 2006-05-29
KR100673894B1 KR100673894B1 (en) 2007-01-24

Family

ID=3715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817A KR100673894B1 (en) 2004-11-24 2004-11-24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89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3Y1 (en) * 2012-12-05 2013-01-22 주식회사 리바트 Beams for the partition
KR101257195B1 (en) * 2011-11-02 2013-04-22 김유신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KR102273918B1 (en) * 2020-12-30 2021-07-06 (주)선명테크 A partition
KR20230054936A (en) 2021-10-18 2023-04-25 장동원 A Partition screen position of height adjus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70B1 (en) * 2015-01-23 2015-07-17 유인규 Height adjustable partitions are assembled
KR101600859B1 (en) 2015-10-30 2016-03-08 (주)태영파티션 High and low adjustable partition
CN108360714A (en) * 2018-02-07 2018-08-03 魏熙圆 A kind of Mobile type indoor decoration partition
CN112267613B (en) * 2020-11-02 2022-06-28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Adjustable cable suspension device
KR102346123B1 (en) 2021-02-09 2021-12-31 백일현 A partition cap able of height adjust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95B1 (en) * 2011-11-02 2013-04-22 김유신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KR200464763Y1 (en) * 2012-12-05 2013-01-22 주식회사 리바트 Beams for the partition
KR102273918B1 (en) * 2020-12-30 2021-07-06 (주)선명테크 A partition
KR20230054936A (en) 2021-10-18 2023-04-25 장동원 A Partition screen position of height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894B1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894B1 (en) A partition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US20070034584A1 (en) Assembling type sectional shelf structure
US20060137267A1 (en) Canopy-like decorative structure
KR200407303Y1 (en) A prefabricated partition
KR101312790B1 (en) Removable partition
JP6299163B2 (en) Connecting device in seismic partitioning device
KR100623960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JP4822627B2 (en) Ceiling structure using ceiling plate fixing frame
JP3879826B2 (en) Frame furniture
KR102350755B1 (en) Desk frame
JP3008869U (en) Installation device for temporary partition boards
KR101844351B1 (en) Frame assbly for install sports equipment
WO2003008729A1 (en) Canopy-like decorative structure
KR20050029871A (en) Pole of tent
CN108917158A (en) A kind of filter screen connection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KR101081957B1 (en) Floor frame fixing device
JP6299161B2 (en) Panel plate locking device in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ing device
JP4350643B2 (en) desk
JP6815056B1 (en) Assembled desk with partition
JP6949228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5083748A (en) Hinge and tonal panel group
KR200214807Y1 (en) Universal Screen Hanger for Hanging Type Screen
JP3225209U (en) Assembled shield structure
JP2023065079A (en) Assembled booth, and booth assembly kit
KR20180002398U (en) Metal ceil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