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491A -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491A
KR20060057491A KR1020040107354A KR20040107354A KR20060057491A KR 20060057491 A KR20060057491 A KR 20060057491A KR 1020040107354 A KR1020040107354 A KR 1020040107354A KR 20040107354 A KR20040107354 A KR 20040107354A KR 20060057491 A KR20060057491 A KR 2006005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connection
fixed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정
Original Assignee
이석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정 filed Critical 이석정
Publication of KR2006005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주관의 위치변화에 따라 분기관을 연결한 접속길이가 융통성있게 조절되도록 구성하여서, 지반이 부등침하되어 주관이 가라앉게 되더라도 분기관이 이탈하여 분리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는 주관(100)에 형성된 통공(110)에 내부가 트여져서 끼움통로(210)가 형성된 유동 접속관(200)을 연통되도록 고정시켜 두고,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 내에 역시 내부가 트여져서 통수로(310)가 형성된 고정 접속관(300)을 밀실하게 끼워서 신축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 접속관(300)의 외측단에 분기관(400)이 연결 고정되도록 배관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ing structure for divergence conduit connected to main conduit}
도 1은 종래 우수연결관용 접속구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를 단면도로서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의 유동 접속관과 고정 접속관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로서 유동 접속관을 주관에 연결 고정한 상태를 일부발췌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주관 110: 통공 200: 유동 접속관
210: 끼움통로 220: 단턱 230: 걸침턱
240: 고정부재 250: 마구리캡 A: 기밀패킹
260: 가변형 요철 270: 가스켓 280: 이물질차단용 패킹
300: 고정 접속관 310: 통수로 320: 가스켓
330: 1쌍의 반원호형 소켓 340: 이탈방지턱 350: 가변형 요철
360: 가스켓 370: 내측 걸림링 380: 외측 걸림링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주관에 하수 배출구 또는 우수 집수구로부터 연장되는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반이 부등침하되어 매설된 주관이 가라앉게 되더라도 분기관이 이탈하여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는 주관에는 가정집이나 상가에 설치되는 하수 배출구 또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우수 집수구로부터 연장되는 분기관을 연결시켜서, 가정집이나 상가에서 발생된 하수 또는 도로에 떨어진 우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시설하여 왔다.
이와 같이 주관에 연결하기 위한 분기관의 접속기술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0119658호(1998. 03. 24일 등록)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가지며 선단부(11)가 하수본관(1)의 본관구멍(1a) 내측으로 끼워지는 이음관부(10)와, 상기 이음관부(10)의 선단부(11)의 반대편 말단부에는 우수연결관(2)이 연결되는 우수연결부(20)로 구성되며, 상기 우수 연결부(20)가 우수연결관(2)과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이음관부(10)의 상측벽부(10a)의 길이에 비하여 하측벽부(10b)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우수연결부(20)의 말단부에는 우수연결관(2)을 알맞은 길이만큼만 삽입할 수 있도록 소켓부(21)을 일체로 성형하여 간편하면서도 밀실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연결관용 접속구"가 게재되어 있다.
이 선출원 등록고안의 우수연결관용 접속구는 우수연결부(20)에 소켓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소켓부(21) 내부로 우수연결관(2)을 알맞은 길이만큼만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우수연결관(2)의 접속작업이 간편하면서도 밀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 등록고안의 우수연결관용 접속구는 하수본관(1)의 위치변화에 따라 우수연결관(2)의 접속길이를 융통성있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하수본관(1)에 우수연결관용 접속구로서 우수연결관(2)을 접속한 경우에 도 1에서와 같이, 시간이 경과되면서 연약지반이 부등침하됨에 따라 매설된 하수본관(1)이 가라앉게 되면, 그 하수본관(1)의 본관구멍(1a)에 삽입되어 패킹(30)에 의하여 이음관부(10)가 긴밀하게 고정된 상태의 우수관연결관용 접속구가 함께 가라앉게 되고, 이때 우수연결관용 접속구의 소켓부(21)에 상대적으로 고정상태가 취약하게 삽입되어 있는 우수연결관(2)이 이탈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우수연결관(2)이 이탈 분리된 접속부위를 통하여 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주관의 위치변화에 따라 분기관을 연결한 접속길이가 융통성있게 조절되도록 구성하여서, 지반이 부등침하되어 주관이 가라앉게 되더라도 분기관이 이탈하여 분리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관(100)에 형성된 통공(110)에 내부가 트여져서 끼움통로(210)가 형성된 유동 접속관(200)을 연통되도록 고정시켜 두고,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 내에 역시 내부가 트여져서 통수로(310)가 형성된 고정 접속관(300)을 밀실하게 끼워서 신축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 접속관(300)의 외측단에 분기관(400)이 연결 고정되도록 배관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가 끼움통로(210)가 형성되며 주관(100)의 통공(110)에 연통되도록 고정되는 유동 접속관(200)과, 내부에 통수로(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에 끼워지는 고정 접속관(300)이 서로 협동하여 신축되도록 한 구성으로, 주관(1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 접속관(300)을 통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배관된 분기관(400)에 대한 접속길이가 융통성있게 조절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연약지반에 매설 시공후 시간이 경과되 면서 부등침하로 인하여 주관(100)이 가라앉게 되더라도 분기관(400)이 이탈하여 분리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서, 분기관(400)이 분리된 접속부위를 통하여 하수 또는 우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의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원통체의 단면형상으로서 내부에 소요길이의 끼움통로(210)가 확보되도록 하되, 그 내측단을 주관(100)의 통공(110)에 연통되도록 고정시켜서 된다. 이러한 유동 접속관(200)은 그 끼움통로(210) 내에 상기 고정 접속관(300)을 끼워서 신축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여기에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형태유지능력이 탁월하고 외압에 대응하는 구조적강도가 탁월한 경질의 합성수지, 철판매립형 합성수지, 주철,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선택하여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내측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주관(100)의 통공(110)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단턱(220)과, 그 단턱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어 주관(100)의 통공(110) 외측에 걸쳐져서 별도의 고정부재(240)들로서 결착되도록 형성된 걸침턱(230)을 가져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내측단을 상기 주관(100)의 통공(110)에 연통되는 상태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240)들은 각각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걸침 턱(230)과 주관(100)의 외면에 감겨져서 조임볼트(214a) 및 너트(241b)로 체결되는 밴드(241)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40)들은 각각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걸침턱(230)을 관통하여 주관(100)에 미리 매립된 매립형 너트(242a)와 체결되는 앵커볼트(242)가 될 수도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40)들은 각각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걸침턱(230)을 관통하는 외측에는 노출형 너트(243a)가 체결되고 그 내측단에는 주관(100)의 내벽면에 걸어지는 걸림판(243b)이 일체로 형성된 체결볼트(243)가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때,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걸침턱(230)과 주관(100) 사이에는 기밀패킹(A)을 삽입하여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외측단에는 그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구리캡(250)을 가져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 내에 상기 고정 접속관(300)의 내측단을 끼워서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립된 고정 접속관(300)의 내측단이 이탈하지 않도록 단속하여 주는 역할을 감당하도록 한다. 이 마구리캡(250)은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외측단에 나사결합시키거나 고정나사로 고정시켜서 착탈될 수 있게 설치하여서 된다.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원통체의 단면형상으로서 내부에 소요길이의 통수로(310)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그 내측단을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 내에 끼워서 신축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며, 그 외측단에는 분기관(400)의 말단부를 연결 배관하여서 된다. 이러한 고정 접속관(30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 내에 끼워지며 분기관 (400)의 말단부가 연결 배관된 상태에서 지반이 부등침하되어 주관(100)이 가라앉게 되면, 그 고정 접속관(300)의 내측단이 끼워져서 신축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유동 접속관(200)이 가라앉는 주관(100)과 함께 거동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형태유지능력이 탁월하고 외압에 대응하는 구조적강도가 탁월한 경질의 합성수지, 철판매립형 합성수지, 주철,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선택하여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그 내측단 외면에 돌출된 결착홈(321)에 삽입 결착되는 가스켓(320)을 가져서, 그 고정 접속관(300)과 상기 유동 접속관(200) 사이에서 미끌림접촉하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접속관(300)의 외측단에 분기관(400)의 말단부를 맞대고, 그 고정 접속관(300)의 외측단과 분기관(400)의 말단부의 외면에 감싸지는 1쌍의 반원호형 소켓(320)을 조임볼트(331) 및 너트(332)들로서 체결하고 조여서 연결 배관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반원호형 소켓 이외에
연결수단을 채택하여 상기 고정 접속관(300)과 분기관(400)을 연결 배관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가변형 요철(260)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지반이 부등침하되어 주관(100)이 가라앉게 되면, 상기 유동 접속관(200)이 가변형 요철(260)들에 의하여 주관(100)이 가라앉는 방향으로 굴신되어서, 주관(100)의 통공(110)에 연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유동 접속관(200)이 이탈하게 됨을 방지하여 주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내,외측단 근처의 가변형 요철(260)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가스켓(270)을 가져서, 그 유동 접속관(200)과 상기 고정 접속관(300) 사이에서 미끌림접촉하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81)에 맞대어지는 환형의 대접판(282)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되는 고정볼트(283)로서 고정되는 이물질차단용 패킹(280)을 가져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외측단과 상기 고정 접속관(30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접속관(300)의 말단부 근처에는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가스켓(270)과 이물질차단용 패킹(280)에 의하여 단속되도록 이탈방지턱(34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 접속관(300)과 유동 접속관(200) 상호간이 분리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가변형 요철(350)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접속관(300)이 가변형 요철(350)들에 의하여 굴신되어서 하수 배출구 또는 우수 집수구로부터 연장되는 분기관(400)의 방향에 맞추어 융통성있게 연결 배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내측단 근처의 가변형 요철(350)에 삽입 설치되는 가스켓(360)을 가져서, 그 고정 접속관(300)과 상기 유동 접속관(200) 사이에 서 미끌림접촉하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81)에 맞대어지는 환형의 대접판(282)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되는 고정볼트(283)로서 고정되는 이물질차단용 패킹(280)을 가져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외측단과 상기 고정 접속관(30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구성은 위의 변형예에서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고정 접속관(300)에는 내측단 근처의 가변형 요철(350)에 내측 걸림링(370)을 외측단 근처의 가변형 요철(350)에 외측 걸림링(380)을 각각 삽입 설치하여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과 고정 접속관(300) 상호간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는 주관의 위치에 따라 분기관의 접속길이가 융통성있게 조절되도록 구성하여서, 연약지반에 매설 시공후 시간이 경과되면서 부등침하로 인하여 주관이 가라앉게 되더라도 분기관이 제위치에서 이탈하여 분리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줌으로써, 분기관이 이탈 분리된 접속부위를 통하여 하수 또는 우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의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주관(100)에 형성된 통공(110)에 내부가 트여져서 끼움통로(210)가 형성된 유동 접속관(200)을 연통되도록 고정시켜 두고,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끼움통로(210) 내에 역시 내부가 트여져서 통수로(310)가 형성된 고정 접속관(300)을 밀실하게 끼워서 신축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 접속관(300)의 외측단에 분기관(400)이 연결 고정되도록 배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내측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주관(100)의 통공(110)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단턱(220)과, 그 단턱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어 주관(100)의 통공(110) 외측에 걸쳐져서 별도의 고정부재(240)들로서 결착되도록 형성된 걸침턱(230)을 가져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내측단을 상기 주관(100)의 통공(110)에 연통되는 상태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의 외측단에는 그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구리캡(250)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그 내측단 외면에 돌출된 결착홈(321)에 삽입 결착되는 가스켓(320)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가변형 요철(260)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접속관(200)은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81)에 맞대어지는 환형의 대접판(282) 사이에 배치되며 관통되는 고정볼트(283)로서 고정되는 이물질차단용 패킹(280)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속관(300)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가변형 요철(350)들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KR1020040107354A 2004-11-23 2004-12-16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KR20060057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6484 2004-11-23
KR1020040096484 2004-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91A true KR20060057491A (ko) 2006-05-26

Family

ID=3715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354A KR20060057491A (ko) 2004-11-23 2004-12-16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4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61B1 (ko) * 2009-08-17 2010-03-26 주식회사 신평주철 파형 강관의 분기관 결속장치
KR101721206B1 (ko) * 2016-10-27 2017-03-30 나유진 올인원 빗물받이
KR102312832B1 (ko) * 2020-07-28 2021-10-13 이창훈 배기시스템용 분기관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61B1 (ko) * 2009-08-17 2010-03-26 주식회사 신평주철 파형 강관의 분기관 결속장치
KR101721206B1 (ko) * 2016-10-27 2017-03-30 나유진 올인원 빗물받이
KR102312832B1 (ko) * 2020-07-28 2021-10-13 이창훈 배기시스템용 분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536B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20060057491A (ko)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0770397B1 (ko)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CA2979153C (en) Catch basin trap with flexible outlet pipe connector
KR100732475B1 (ko) 관로의 방향변경이 가능한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100707816B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200431693Y1 (ko) 교량배수관용 연결구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624009B1 (ko) 맨홀의 관연결장치
KR200316598Y1 (ko) 상수도 밸브 설치를 위한 주물철재 조립식 맨홀 구조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1836935B1 (ko)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1279625B1 (ko) 굴착방지 가변형 제수밸브
KR101682393B1 (ko) 배수관의 연결구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US8511714B2 (en) Connector assemblies for flow restricting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