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522A -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522A
KR20060056522A KR1020040095639A KR20040095639A KR20060056522A KR 20060056522 A KR20060056522 A KR 20060056522A KR 1020040095639 A KR1020040095639 A KR 1020040095639A KR 20040095639 A KR20040095639 A KR 20040095639A KR 20060056522 A KR20060056522 A KR 2006005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title
capacit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522A/ko
Publication of KR2006005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브이디 레코더(DVD-Recorder)와 하드디스크 레코더(HDD-Recorder) 등이 일체화된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타이틀이 모두 기록될 수 있는 최적의 녹화모드를 선택하여 일괄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녹화 요청된 타이틀의 총 용량과 기록매체의 잔여용량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는 제 1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양 용량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이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영역에 모두 녹화될 수 있는 녹화모드를 선택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로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을 일괄 녹화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일일이 녹화모드를 선택하지 않아도 기록용량의 부족으로 인해 선택한 타이틀이 다 녹화되지 못하거나 또는 기록용량이 남아 있음에도 불필요하게 저화질로 녹화되는 일없이 최적의 상태로 녹화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DVDR, HDR, HDD, 녹화 모드, 용량

Description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Method for recording data in digital complex recorder}
도 1은 디지털 복합 녹화기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다수의 타이틀 중에서 광디스크에 녹화를 위해 선택된 타이틀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방법이 구현된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 선택된 녹화모드로 녹화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디스크 11 : 광픽업
20 : VDR 시스템 30 : 하드디스크
40 : HDR 시스템 50 : 마이컴
60 : 메모리 70 : OSD
본 발명은 디브이디 레코더(DVD-Recorder)와 하드디스크 레코더(HDD-Recorder) 등이 일체화된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타이틀이 모두 기록될 수 있는 최적의 녹화모드를 선택하여 일괄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브이디 레코더와 하드디스크 레코더가 일체화된 디지털 복합 녹화기가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는 외부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삽입 장착된 디브이디(예를 들어, DVD-RW/R), 또는 하드디스크(HDD)에 기록 및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는 상기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디브이디에 기록 가능하고, 또한 상기 디브이디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록시 사용자가 녹화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만약 사용자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타이틀(A, B, C,..., F) 중, HQ(High Quality) 모드로 각각 기록된 타이틀 A(30Min), B(20Min), F(20Min)를 선택한 뒤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HQ 모드로 상기 디브이디(DVD-RW/R)(10)에 기록 요청한 경우, 상기 하드디스크로부터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이를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인 HQ 모드로 상기 디브이디의 잔여 기 록영역에 기록하는데, 이는 상기 디브이디에 기록된 타이틀을 상기 하드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녹화모드로 녹화도중 기록매체(예를 들어, 광디스크)가 기록 풀(Full)되는 경우에는 녹화동작이 종료되므로, 자칫 사용자가 녹화 선택한 타이틀을 미처 다 녹화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녹화 선택한 타이틀이 다 녹화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녹화 요청시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하는 타이틀의 전체 용량과 기록매체의 녹화 가능한 잔여 용량을 일일이 확인 후 녹화모드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우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번거로움으로 인해 만약 사용자가 녹화모드 선택시 무조건 저화질의 녹화모드(예를 들어, EQ(Extended Quality)를 선택하게 되면 자칫 녹화 가능한 잔여용량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필요하게 저화질로 녹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녹화할 타이틀의 전체 용량과 기록매체의 잔여용량을 비교하여 이로부터 녹화할 타이틀이 모두 녹화되는 범위 내에서 최고화질의 녹화모드를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녹화하는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은, 녹화 요청된 타이틀의 총 용량과 기록매체의 잔여용량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는 제 1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양 용량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이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영역에 모두 녹화될 수 있는 녹화모드를 선택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로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을 일괄 녹화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방법이 구현된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브이디 레코더(DVDR)와 하드디스크 레코더(HDR)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는, 광디스크(10), 광픽업(11), VDR(Video Disc Record) 시스템(20), 하드디스크(HDD)(30), HDR(Hard Disc Record) 시스템(40), 마이컴(50), 메모리(60), 그리고 OSD(70) 등이 포함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 상기 마이컴(5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HDR 시스템(40)을 동작 제어하여 장시간의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외부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HDD(30)에 기록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VDR 시스템(20)을 통해 재생되는 광디스크(10)의 기록데이터를 상기 HDD(30)에 기록 저 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5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VDR 시스템(20)을 동작 제어하여, 장시간의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외부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DVD-RW/R)(10)에 기록 저장할 수 있으며, HDR 시스템(40)을 통해 재생되는 HDD(30)의 기록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10)에 기록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60)에는 상기 디지털 복합 녹화기의 동작제어에 필요한 각종 제어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OSD(70)는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창, 정보창 등을 출력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녹화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의 녹화(Dubbing) 요청시(S10) 상기 마이컴(50)은 녹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창을 상기 OSD(70)를 통해 출력 제공하고(S11), 이로부터 사용자는 녹화시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게 되는데, 그에 대한 예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HDD(30)에 기록된 타이틀(A, B, C,..., F) 중, HQ 모드로 각각 기록된 타이틀 A(30Min), B(20Min), F(20Min)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광디스크(예를 들어, DVD-RW/R)(10)에 기록 요청한 경우,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총 용량과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용량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한다(S12).
상기 비교결과,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총 용량과 상기 잔여 기록용량이 거의 동일한 경우에는(S20)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원래 녹화모드, 즉 상기 HDD(30)에 기록된 녹화모드를 각각 확인 선택하여(S21)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로 기록하는데(S22), 즉 상기 선택된 타이틀 A, B, F의 원래 녹화모드가 모두 HQ인 경우라면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타이틀 A, B, F를 HQ 모드로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영역에 기록하되, 이를 위해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HDR 시스템(4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독출토록 하는 한편, 상기 VDR 시스템(20)을 제어하여 상기 독출되는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영역에 기록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녹화 타이틀에 대한 녹화모드를 포함하는 녹화 정보창을 상기 OSD(70)를 통해 출력 제공한다.
만약, 상기 비교결과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총 용량이 상기 잔여 기록용량 보다 작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50)은 최적의 녹화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영역에 모두 기록될 수 있는 하나의 녹화모드를 선택하게 된다(S23).
그 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타이틀(A, B, F)이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영역에 모두 기록될 수 있는 녹화모드가 SQ(Standard Quality)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마이컴(5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된 SQ 모드로 상기 선택된 복수의 타이틀을 일괄 기록하되, 이때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상기 잔여 기록영역에 모두 기록되는 범위 내에서 최고화질의 녹 화모드를 선택하여 기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녹화된 타이틀에 대한 녹화모드를 포함하는 녹화 정보창을 상기 OSD(70)를 통해 출력 제공한다.
도 5는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타이틀 C(LQ : Long Quality)와 타이틀 E(SQ)이고 상기 선택된 타이틀(C, E)의 전체 용량이 상기 잔여 기록용량 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도 상기 마이컴(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상기 잔여 기록영역에 모두 기록되는 범위 내에서 최고화질의 녹화모드(예를 들어, HQ)를 하나 선택하여 일괄 기록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녹화 타이틀 선택시 녹화모드도 함께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에 따른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총 용량과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용량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에 따른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총 용량이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로 상기 선택된 타이틀을 일괄 기록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 비교결과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에 따른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총 용량이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용량을 초과하거나 또는 작은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타이틀이 상기 광디스크(10)의 잔여 기록영역에 모두 기록되는 범위 내에서 최고화질의 녹화모드를 선택하여 일괄 기록하고, 이 경우에도 상기 녹화된 타이틀에 대한 녹화모드를 포함하는 녹화 정보창을 상기 OSD(70)를 통해 출력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로의 기록은 상기 선택된 타이틀의 녹화완료 시까지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S30).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방법이 상기 HDD(30)에 기록된 타이틀을 상기 광디스크(10)에 더빙하는 경우에 적용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녹화방법은 상기 광디스크(10)에 기록된 타이틀을 상기 HDD(30)에 녹화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은, 디지털 복합 녹화기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된 타이틀을 선택하여 삽입 장착된 광디스크 상에 녹화하거나 또는 광디스크 상에 기록된 타이틀을 선택하여 이를 하드디스크에 녹화하되, 녹화시에는 녹화할 타이틀의 총 용량과 기록매체의 잔여용량을 확인하여 이로부터 녹화할 타이틀이 모두 녹화될 수 있는 하나의 녹화모드를 선택하여 복수의 타이틀을 일괄 녹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녹화모드를 선택하지 않아도 기록용량의 부족으로 인해 선택한 타이틀이 다 녹화되지 못하거나 또는 기 록용량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필요하게 저화질로 녹화되는 일없이 최적의 녹화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녹화 요청된 타이틀의 총 용량과 기록매체의 잔여용량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는 제 1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양 용량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이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영역에 모두 녹화될 수 있는 녹화모드를 선택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선택된 녹화모드로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을 일괄 녹화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이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영역에 모두 녹화되는 범위 내에서 최고화질의 녹화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녹화 요청된 타이틀을 하드디스크로부터 독출하여 이를 광디스크 상의 잔여 기록영역에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KR1020040095639A 2004-11-22 2004-11-22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KR20060056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639A KR20060056522A (ko) 2004-11-22 2004-11-22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639A KR20060056522A (ko) 2004-11-22 2004-11-22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522A true KR20060056522A (ko) 2006-05-25

Family

ID=3715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639A KR20060056522A (ko) 2004-11-22 2004-11-22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5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079B1 (ko) * 2006-02-28 2007-09-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를 내장한 dvd 시스템에서 hdd 데이터의dvd 디스크 백업방법
KR101299482B1 (ko) * 2007-01-03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녹화기에서의 우선 순위별 녹화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079B1 (ko) * 2006-02-28 2007-09-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를 내장한 dvd 시스템에서 hdd 데이터의dvd 디스크 백업방법
KR101299482B1 (ko) * 2007-01-03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녹화기에서의 우선 순위별 녹화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231B1 (ko) 파이널라이즈 디스크의 재생 제어방법
KR20060056522A (ko)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KR100499608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더빙방법
JP4071347B2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20060159416A1 (en) Method for managing chapters
US8059938B2 (en) Picture recording apparatus
US20030210616A1 (en) Method for managing play lists in a rewritable storage medium
KR20060056521A (ko) 디지털 복합 녹화기에서의 녹화방법
KR20030069539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재생리스트 관리방법
KR100690124B1 (ko) 광디스크 기록 장치의 녹화 제어 방법
US754571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read speed of optical disc
KR100872368B1 (ko) 디지털 영상 녹화기기에서의 더빙 녹화 제어방법
KR100641931B1 (ko) 멀티 기록매체의 데이터 연결 기록 및 재생방법
KR100575518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재생 제어 정보 관리방법
KR100643438B1 (ko) 멀티 기록매체의 데이터 연결 기록 및 재생방법
JP4013143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701385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디펙트 관리방법과 그에 따른광디스크
KR101299482B1 (ko) 영상 녹화기에서의 우선 순위별 녹화 제어 방법
KR100675453B1 (ko) 디스크 레코더에서의 녹화 제어방법
KR20060043978A (ko) 콤보 시스템의 데이터 백업 방법
CN101180681B (zh) 在记录介质上记录导航信息的方法
KR20050090289A (ko) 광 기록기기의 데이터 기록제어방법
KR20040013417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네비게이션 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KR20060130457A (ko) 디지털 레코더에서의 녹화 모드 변경방법
KR20080040083A (ko) 디브이디 레코더에서의 저장 용량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