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098A - 차량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098A
KR20060056098A KR1020040095377A KR20040095377A KR20060056098A KR 20060056098 A KR20060056098 A KR 20060056098A KR 1020040095377 A KR1020040095377 A KR 1020040095377A KR 20040095377 A KR20040095377 A KR 20040095377A KR 20060056098 A KR20060056098 A KR 2006005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user
inpu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098A/ko
Publication of KR2006005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장치를 공개한다. 이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카드슬롯, 및 상기 카드슬롯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과 차량용 통신장치를 동일한 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통신장치{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텔레매틱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핸즈프리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휴대폰과 동일한 번호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핸드폰이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는 거의 모든 차량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및 운전의 편리성을 위해 단순한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역시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또는 차량용 텔레매틱스(Telematics)등 차량용 통신장치의 경우에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종래의 차량용 통신장치의 경우, 상기 통신수단 자체에 사용자의 개인인증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미 보유 하고 있는 핸드폰의 번호와 다른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텔레매틱스(Telematics)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통신부(10), 네비게이터부(20), 메모리(30), 제어부(40), 핸드프리부(50), 오디오 앰프(60), 영상 구동부(70), 라디오/비디오 모듈(80), 인터페이스부(90), 및 전원부(100)로 구성된 텔레매틱스(1)와 스피커(2), 표시부(3), 입력부(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ant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10)는 사용자의 개인인증번호 등과 같은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한다.
네비게이터(20)는 통신부(10)를 통하여 얻어지는 외부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메모리(30)는 텔레매틱스(1)의 운용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들을 저장하고,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이를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40)는 인터페이스부(90)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부(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텔레매틱스(1) 내부의 전체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핸드프리부(50)는 마이크(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통신부(10)를 통하여 전송하며, 통신부(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2)를 통하여 재생되는 음성신호가 다시 마이크(5)를 통해 증폭되어 발생되는 하우링(howling)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디오 앰프(60)는 핸드프리부(5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로 출력한다. 영상 구동부(70)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라디오/비디오 모듈(8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표시 장치(3)를 구동한다.
라디오/비디오 모듈(80)은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동작하며 일반적인 라디오 기능 및 네비게이터(20)를 이용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 등의 영상 정보를 표시 장치(3)를 통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90)는 복수개의 키(key)(또는, 버튼(button))등으로 구성된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40) 및 라디오/비디오 모듈(80)로 전달한다. 입력부(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발신전화번호,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기타 텔레매틱스(1)의 동작을 위한 기능신호 등을 포함한다.
전원부(100)는 텔레매틱스(1) 내부의 전체 블록들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통신장치의 경우에는 통신부(10)가 사용자의 개인인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통신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번호를 부여받아야 한다. 즉,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과는 별도로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아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핸드프리 기능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과 번호 호환성을 가지는 차량용 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카드슬롯, 및 상기 카드슬롯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 중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에 의한 하우링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프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의 상기 메모리 카드는 심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는 상기 핸드프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번호 및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영상 구동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핸드프리부, 상기 영상 구동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의 제1 실시예인 차량용 텔레매틱스(telematics)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통신부(12), 카드 슬롯(14), 네비게이터(20), 메모리(30), 제어부(40), 핸드프리부(50), 오디오 앰프(60), 영상 구동부(70), 라디오/비디오 모듈(80), 인터페이스부(90), 및 전원부(100)로 구성된 텔레매틱스(1)와 스피커(2), 표시부(3), 입력부(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ant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블록들 중 도 1에 나타낸 블록들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블록들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통신부(12)는 카드슬롯(14)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인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한다. 카드슬롯(14)은 상기 메모리 카드 등이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인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12)로 전송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차량용 텔레매틱스는 탈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개인인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할 때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를 텔레매틱스에 장착하고, 그 외에는 핸드폰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번호를 부여받지 않고 동일한 번호로 핸드폰과 차량용 텔레매틱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로는 심카드(SIM card)라고 불리는 개인정보 모듈카드(Subscriber Identify Module car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심카드(SIM card)는 GSM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 및 중국 등에 사용되는 휴대폰에 적용되는 일종의 스마트 카드로서, 개인인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의 제2 실시예인 차량용 핸드프리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통신부(12), 카드슬롯(14), 메모리(30), 제어부(40), 핸드프리부(50), 오디오 앰프(60), 영상 구동부(70), 인터페이스부(92), 및 전원부(100)로 구성된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6)와 스피커(2), 표시 장치(3), 입력부(4-1), 및 마이크(5)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에서 ant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블록들 중 통신부(12), 및 카드슬롯(14)의 기능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다른 블록들 중 도 1에 나타낸 블록들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블록들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영상 구동부(72)는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표시 장치(3)를 구동한다.
입력부(4-1)는 다이얼 키(key) 및 기능 키(key)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페 이스부(92)는 상기 입력부(4-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40)로 전달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차량용 핸드프리 역시 탈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개인인증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할 때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를 핸드프리에 장착하고, 그 외에는 핸드폰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번호를 부여받지 않고 동일한 번호로 핸드폰과 차량용 핸드프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카드로는 심카드(SIM card)라고 불리는 개인정보 모듈카드(Subscriber Identify Module card)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는 사용자의 개인인증번호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별도의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카드슬롯을 구비함으로써, 핸드폰과 통신장치를 동일한 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장치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과 차량용 통신장치를 동일한 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카드슬롯; 및
    상기 카드슬롯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 중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에 의한 하우링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프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심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통신장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통신장치는
    상기 핸드프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번호 및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영상 구동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핸드프리부, 상기 영상 구동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단거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장치.
KR1020040095377A 2004-11-19 2004-11-19 차량용 통신장치 KR20060056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77A KR20060056098A (ko) 2004-11-19 2004-11-19 차량용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77A KR20060056098A (ko) 2004-11-19 2004-11-19 차량용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98A true KR20060056098A (ko) 2006-05-24

Family

ID=3715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77A KR20060056098A (ko) 2004-11-19 2004-11-19 차량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0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015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시스템
JP2000115330A (ja) 携帯電話機及びこれと接続される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
US895404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JP5094279B2 (ja) 通信装置
KR101745910B1 (ko) 모바일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396283B1 (ko)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56098A (ko) 차량용 통신장치
KR100630047B1 (ko)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KR101091911B1 (ko) 무선 전자 라벨이 사용되는 사후-관리 수행 시스템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JP4660235B2 (ja) 親機
KR1008192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KR1011533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헤드 셋을 이용한 전화를 거는방법
KR200235508Y1 (ko) 핸즈 프리 기능을 갖춘 무전 통신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731935B1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시스템과 이를 위한핸즈프리 키트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JPH118823A (ja) 携帯端末、電子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KR200190082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조회장치
KR200214929Y1 (ko) 대화녹음장치를 가진 핸드폰
KR200291410Y1 (ko) 핸즈프리 편의장치
KR100865277B1 (ko) 발신자 정보의 음성 처리용 디지털 무선전화기
KR100685441B1 (ko) 핸즈프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