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12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123A
KR20060055123A KR1020040094452A KR20040094452A KR20060055123A KR 20060055123 A KR20060055123 A KR 20060055123A KR 1020040094452 A KR1020040094452 A KR 1020040094452A KR 20040094452 A KR20040094452 A KR 20040094452A KR 20060055123 A KR20060055123 A KR 20060055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veloper
waste
ima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철
차덕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5123A/ko
Priority to US11/270,573 priority patent/US7437118B2/en
Priority to US11/337,584 priority patent/US7593306B2/en
Publication of KR2006005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개의 감광체와, 감광체에 각각 설치되어 감광체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여 저장하되 현상제의 사용량이 많은 감광체측의 체적이 크게 형성된 폐현상제저장통과, 감광체 및 폐현상제저장통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하는 감광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량이 많은 현상제는 모노화상 출력이 가능한 것으로 흑색 현상제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폐현상제저장통을 빈번하게 교체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전사, 인쇄매체, 가이드, 감광체, 클리너, 폐토너통, 체적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상형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감광드럼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감광드럼부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의 폐현상제저장통에 저장된 폐현상제가 장치 본체측으로 회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6는 상기 도 5의 상형성유닛 및 중간전사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카트리지화 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상형성유닛 및 중간전사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카트리지화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3의 화살표 Ⅰ를 따른 사시도,
도 9a, 9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2폐현상제장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0a,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2폐현상제저장통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 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1 : 본체
110 : 인쇄매체공급유닛 130 : 인쇄매체이송유닛
150 : 광주사유닛 170 : 상형성유닛
171a,171b : 제1,2감광드럼(감광체) 175 : 현상유닛
180 : 정착유닛 190 : 전사유닛
200 : 클리닝유닛 211a,211b : 제1,2클리닝블레이드
213a,213b : 제1,2폐현상제저장통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감광체에 폐현상제저장통을 각각 복수개로 채용하되 그 폐현상제저장통을 현상제 사용량에 따라 체적을 다르게 형성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등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 드럼 또는 감광 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 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인쇄매체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상형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대전롤러(11)에 의해 감광드럼(13)의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도시되지 않은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드럼(13) 표면으로 소정의 광이 조사되면, 감광드럼(13)상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후, 감광드럼(13)상의 정전잠상은 현상유닛(15)에 의해 하나의 색으로 현상되어 가시화상을 이루고, 그 가시화상은 중간전사벨트(17)상에 일차 전사된다.
그후, 다시 대전롤러(11)에 의해 감광드럼(13)의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드럼(13)의 표면상에 또 다른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 정전 잠상은 현상유닛(15)에 의해 다른 색의 현상제로 현상되어 가시화상을 이루고, 그 가시화상은 중간전사벨트(17)상에 일차 전사된 화상에 중첩하여 전사된다.
여기서, 현상유닛(15)는 감광드럼(13)의 정전잠상을 색상별 현상제로 현상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4개의 현상기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현상과정 및 중간전사과정이 반복 실시되어 중간전사벨트(17)상에는 풀 컬러 화상이 재현된다.
이후, 중간전사벨트(17)에 외접되어 회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사유닛을 통하여 인쇄매체상에 중간전사벨트(17)상 재현된 풀컬러 화상이 전사된다.
한편, 이와 같이 동작하는 동안 감광드럼(13)상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클리닝유닛(20)을 통하여 클리닝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감광드럼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감광드럼부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1의 폐현상제저장통에 저장된 폐현상제가 장치 본체측으로 회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클리닝유닛(20)은 클리닝블레이드(21), 폐현상제수거통(23), 폐토너회수롤러(25) 및 폐현상제통(27)으로 구성된다.
클리닝블레이드(21)는 감광드럼(13)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며, 폐현상제수거통(23)은 클리닝블레이드(21)를 통해 제거된 폐현상제를 1차 저장한다.
한편, 폐토너회수롤러(25)는 폐현상제수거통(23)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그 축(25a)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그 축(25a)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취하는 블레이드(25b)를 갖는다.
폐토너회수롤러(25)를 통해 이송된 폐현상제는 장치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폐현상제통(27)으로 회수되며, 폐현상제통(27)에 폐현상제가 가득 채워지면 사용자는 새로운 폐현상제통으로 교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폐현상제 처리를 폐현상제수거통(23)에 수거된 후 폐현상제통(27)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회수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첫 번째 목적은 폐현상제저장통을 감광체에 각각 설치하되 감광체 및 폐현상제저장통을 하나의 프레임상에 일체로 설치하여 폐현상제 처리 구조를 간략하게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 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현상제저장통의 체적을 현상제 사용이 많은 측을 크게 하여 빈번한 폐현상제저장통의 교체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면, 복수개의 감광체; 상기 감광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여 저장하되 상기 현상제의 사용량이 많은 감광체측의 체적이 크게 형성된 폐현상제저장통; 및 상기 감광체 및 상기 폐현상제저장통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하는 감광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량이 많은 현상제는 모노화상 출력이 가능한 것으로서, 흑색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크게 본체(101), 인쇄매체공급유닛(110), 인쇄매체이송유닛(130), 광주사유닛(150), 상형성유닛(170), 중간전사유닛(180), 전사유닛(190), 정착유닛(210) 및 배지유닛(230)으로 구성된다.
인쇄매체이송유닛(130)은 인쇄매체공급유닛(110)에 적재된 다수매의 인쇄매 체(P)를 전사유닛(190)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인쇄매체공급유닛(11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31)와, 픽업롤러(131)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132,133) 및 제 1,2이송아이들롤러(134,135)로 구성된다.
광주사유닛(150)은 후술될 제 1,2감광드럼(171a,171b)에 소정의 정전잠상 형성에 필요한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제 1,2광주사유닛(151a,151b)으로 구성된다.
상형성유닛(170)은 광주사유닛(150)을 통해 조사되는 광에 의해 노광, 현상 과정을 수행하여 인쇄매체(P)에 전사될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에 광주사유닛(151a,151b)을 통해 조사되는 광을 통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이하, 제1,2감광드럼(171a,171b)으로 설명함.)와, 제 1,2감광드럼(171a,171b)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 1,2감광드럼(171a,171b)을 대전시키는 제 1,2대전롤러(173a,173b)와, 제 1,2감광드럼(171a,171b)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현상제로 현상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제1,2 감광드럼(171a,171b) 주위에 설치된 현상유닛(175)으로 구성된다.
현상유닛(175)은 제 1,2감광드럼(171a,171b)의 정전잠상을 색상별 현상제로 현상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옐로우(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및 블랙(Black)용의 4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현상유닛(175)은 현상롤러(175a), 현상제 공급롤러(175b), 현상제 케이스(175c) 등을 구비하며, 2개의 현상유닛, 예컨대, 옐로우용과 시안용은 상기 제 1 감광체(171a)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2개의 현상유닛, 즉, 마젠타용과 블랙용은 제 2 감광체(171b) 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유닛(175)에 의해 색상별로 현상된 제 1 및 제 2 드럼(171a,)(171b)상의 가시화상은 그 제 1,2감광드럼(171a,)(171b)과 접촉한 상태로 무한궤도 운동하는 후술될 중간전사벨트(181)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중간전사벨트(221)에 완전한 칼라 화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한편, 제1,2감광드럼(171a,171b)의 일측에는 제1,2감광드럼(171a,171b)상에 잔류하는 잔류 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200)이 설치된다. 그 클리닝유닛(200)에 관한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중간전사유닛(180)은 제 1 및 제 2 감광체(171a)(171b)와 접촉하며 무한궤도 운동하는 중간전사벨트(181), 중간전사벨트(181)를 지지하는 제 1 내지 제 3 롤러(182)(183)(184), 중간전사벨트(181)의 내측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감광드럼(171a,)(171b)과 대응하도록 설치된 제 1 및 제 2 중간전사롤러(185)(18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감광드럼(171a,171b), 클리닝유닛(200)은 감광프레임(230)에 일체로 설치되고, 중간전사유닛(180)을 이루는 각 구성 또한, 하나의 중간전사프레임(243)에 일체로 설치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카트리지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사유닛(190)은 상형성유닛(1700)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하도록 된 것으로서, 제 3롤러(184)와 대향하게 설치되며 그 사이로 중간전사벨트(181)를 개재시키는 전사롤러(191)로 구성된다.
정착유닛(210)은 전사유닛(190)을 통해 인쇄매체(P)상에 전사된 화상을 가열 압착 동작을 통해 정착시키것으로서, 가열롤러(211) 및 압착롤러(213)로 구성된다.
배지유닛(230)은 정착유닛(180)을 통해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를 본체(101)의 외부로 배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231)와 그에 상응하는 배지아이들롤러(233)로 구성된다.
도 6는 상기 도 5의 상형성유닛 및 중간전사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카트리지화 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5의 상형성유닛 및 중간전사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카트리지화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감광프레임(230), 중간전사프레임(240), 힌지유닛(250) 및 록킹유닛(260)이 구성된다.
감광프레임(230)은 제 1 및 제 2 감광드럼(171a)(171b), 제1,2대전롤러(173a,173b) 및 제 1,2클리닝블레이드(211a)를 포함하는 제 1,2폐현상제저장통(213a,213b)이 일체로 설치된다.
중간전사프레임(240)은 중간전사벨트(181), 제1,2,3롤러(182,183,184) 및 제 1,2중간전사롤러(185,186)가 일체로 설치된다.
힌지유닛(250)은 감광프레임(230)과 중간전사프레임(240)의 결합 및 분리시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감광프레임(23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251) 및 상기 중간전사프레임(240)에 힌지공(251)과 대응하도록 설치된 힌지축(2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유닛(260)은 감광프레임(230)과 중간전사프레임(24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간전사 프레임(240)에 설치된 록커(261) 및 이 록커(261)와 대응하도록 상기 감광프레임(230)에 형성된 록킹돌기(262)를 구비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1,2감광드럼(171a, 171b) 및 클리닝유닛(200)이 일체로 설치된 감광프레임(230)과, 중간전사유닛(180)이 일체로 설치된 감광프레임(230)이 하나의 유닛으로 카트리지화함에 따라 그 카트리지화된 유닛을 분리하거나 장착할때 현상유닛(400)에 간섭된다.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카트리지 유닛을 분리하거나 장착할때 현상유닛(400)은 제1,2광주사유닛(151a,151b)이 설치된 측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1)의 전면도어(미도시) 개폐에 연동하여 그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현상유닛(4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2광주사유닛(151a,151b)의 사이로 인출,입되도록 설치되어 제1,2광주사유닛(151a,151b)에 간섭되지 않는다.
도 8은 상기 도 3의 화살표 Ⅰ를 따른 사시도이고, 도 9a, 9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2폐현상제장통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a,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2폐현상제저장통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클리닝유닛(200)은 제 1감광드럼(171a)의 표면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제 1클리닝블레이드(211a)와, 제 1클리닝블레이드(211a)를 통해 제거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 1폐현상제저장통(213a)으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제 2감광드럼(171b)의 표면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제 2클리닝블레이드(211b)와, 제 2클리닝블레이드(211b)를 통해 제거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 2폐현상제저장통(213b)으로 구성된다.
제1,2폐현상제저장통(213a,213b)은 제1,2감광드럼(171a,171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감광프레임(230)상에 설치되어 제1,2감괌드럼(171)과 하나의 유닛을 이룬다.
제 1폐현상제저장통(213a) 또는 제 2폐현상제저장통(213b)은 현상제 사용이 많은측에 설치된 측의 체적을 크게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모노 화상 출력으로 사용되는 블랙용 현상유닛(175)이 적용되는 제 2폐현상제저장통(213b)은 제 1폐현상제저장통(213a)의 체적보다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블랙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유닛(175)이 제 2감광드럼(171b)에 적용되어 제 2폐현상제저장통(213b)의 체적을 크게 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1폐현상제저장통(213a)의 체적을 크게 할 수 도 있다. 또한, 모노 화상 출력을 블랙으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220: 221)은 전사유닛(190)측으로 진입하는 인쇄매체(P)의 상부로의 유동을 규제하는 인쇄매체가이드유닛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예틀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폐현상제저장통이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감광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함에 따라 폐현상제 클리닝 구조가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많이 사용되는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감광체측에 해당하는 폐현상제저장통의 체적을 크게 하여 폐현상제저장통을 자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적어도 두개의 감광체;
    상기 각 감광체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상으로 가시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
    상기 감광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여 저장하되 상기 현상제의 사용량이 많은 감광체측의 체적이 크게 형성된 폐현상제저장통; 및
    상기 감광체 및 상기 폐현상제저장통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하는 감광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이 많은 현상제는 모노화상 출력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흑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4452A 2004-11-12 2004-11-18 화상 형성 장치 KR20060055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452A KR20060055123A (ko) 2004-11-18 2004-11-18 화상 형성 장치
US11/270,573 US7437118B2 (en) 2004-11-12 2005-11-10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inting medium guide
US11/337,584 US7593306B2 (en) 2004-11-18 2006-01-24 Diffraction element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452A KR20060055123A (ko) 2004-11-18 2004-11-18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123A true KR20060055123A (ko) 2006-05-23

Family

ID=3715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452A KR20060055123A (ko) 2004-11-12 2004-11-1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5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7470B2 (en) Toner cartridge having sliding shutter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5837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US54712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depletion detection feature
US87682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utilizing interior space
KR100990568B1 (ko) 화상 형성 장치
US5444515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untable cartridge therein
JP5565011B2 (ja) 画像形成装置
JP4802872B2 (ja)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34809B2 (en)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reliably collecting matter deposited on endless belt in storage member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of storage member
JP4317313B2 (ja) 現像モジュールの自動カミング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現像ユニット並びに印刷機
US7020428B2 (en)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the same
EP2012189B1 (en) Developing Devic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2215848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着脱方法
US9423761B2 (en) Image forming device that facilitates maintenance of waste toner storage member
JP6029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987679B (zh) 成像装置
JP4666713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60055123A (ko) 화상 형성 장치
JPH09152757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JPH04215668A (ja) 画像形成装置
JP321281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119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4252389A (ja) 電子写真法カラー印刷装置
KR20240058563A (ko)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제거된 폐토너 이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