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502A -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502A
KR20060053502A KR1020040093743A KR20040093743A KR20060053502A KR 20060053502 A KR20060053502 A KR 20060053502A KR 1020040093743 A KR1020040093743 A KR 1020040093743A KR 20040093743 A KR20040093743 A KR 20040093743A KR 20060053502 A KR20060053502 A KR 2006005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q process
scheduling information
scheduling
terminal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278B1 (ko
Inventor
김영범
곽용준
이주호
허윤형
조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9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27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L05823755T priority patent/PL1769593T3/pl
Priority to RU2007117919/09A priority patent/RU2343635C1/ru
Priority to CNA2005800390270A priority patent/CN101057423A/zh
Priority to EP05823755.3A priority patent/EP1769593B1/en
Priority to AU2005302840A priority patent/AU2005302840B2/en
Priority to US11/272,823 priority patent/US8045513B2/en
Priority to ES05823755.3T priority patent/ES2473590T3/es
Priority to CN201510196683.7A priority patent/CN104796237B/zh
Priority to CA2582442A priority patent/CA2582442C/en
Priority to PT58237553T priority patent/PT1769593E/pt
Priority to EP10012932.9A priority patent/EP2323283B1/en
Priority to PCT/KR2005/003864 priority patent/WO2006052118A1/en
Priority to ES10012932.9T priority patent/ES2568456T3/es
Priority to JP2007541107A priority patent/JP4975632B2/ja
Publication of KR2006005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502A/ko
Publication of KR10066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IL182719A priority patent/IL182719A/en
Priority to JP2010178126A priority patent/JP5174865B2/ja
Priority to US13/281,061 priority patent/US8363614B2/en
Priority to US13/720,787 priority patent/US8958368B2/en
Priority to US14/615,094 priority patent/US91857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든 HARQ 프로세스마다 개별적으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DTX로 수신되었을 경우,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와 동일하게 해석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WCDMA, E-DCH, Node B controlled scheduling, HARQ, packet transmission, signaling overhead

Description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도 1은 전형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E-DCH를 통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전형적인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 2, 3, 및 4에 따른 기지국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 2, 3, 및 4에 따른 단말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흐름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절차도.
본 발명은 셀룰러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상된 역방향 전송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transport Channel)이 사용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을 사용하는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이동 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UMTS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으로의 역방향, 즉 상향링크(Uplink: UL)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 (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UDCH 또는 E-DCH라 칭함)이라는 전송채널을 사용한다. E-DCH는 보다 안정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응적 변조/부호화(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 짧은 TTI(Shorter Transmission Time Interval) 크기 등의 기술 등을 지원한다.
AMC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 채널의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을 결정해서, 자원의 사용효율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의 조합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라고 하며, 지원 가능한 변조 방식과 코딩 방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 MCS 레벨의 정의가 가능하다. AMC는 MCS의 레벨을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해서, 자원의 사용효율을 높여준다.
HARQ는 초기에 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오류 패킷을 보상해 주기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복합재전송 기법은, 오류 발생시 최초 전송시와 동일한 포맷의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체이스 컴바이닝 기법(Chase Combining: 이하 CC이라 칭함)과, 오류 발생시 최초 전송시와 상이한 포맷의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중복분 증가 기법(Incremental Redundancy: 이하 IR이라 칭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HAQR는 데이터 전송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N-channel SAW Stop And Wait(N-channel SAW Stop And Wait)방식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송신측에서 1번부터 N번째 TTI까지 매번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N+1번째 TTI부터 2N번째 TTI가 도래했을 때, 상기 1번째 TTI부터 N번째 TTI에 전송한 데이터의 ACK/NACK 수신 결과에 따라 재전송 혹은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N을 HARQ 프로세스 개수라 하고, N+I번째 TTI를 각각 I번째 HARQ 프로세스라 칭한다. 여기서, N은 0보다 큰 정수이고, I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이다.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은, E-DC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향 데이터의 전송 여부 및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의 상한치 등을 기지국에 의해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정보를 스케쥴링 명령으로서 단말로 전송하면, 단말이 상기 스케쥴링 명령을 참조하여 가능한 상향링크 E-DCH의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짧은 TTI 크기는, 현재 Rel5의 최소 TTI인 10ms 보다 작은 TTI를 허용함으로써 재전송 지연시간을 줄여주고 결과적으로 높은 시스템 throughput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전형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E-DCH를 통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10은 E-DCH를 지원하는 기지국, 즉 Node B를 나타내며(이하 기지국과 node B는 혼용하여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참조번호 101, 102, 103, 104는 E-DCH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들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들(101 내지 104)은 각자 E-DCH(111, 112, 113, 114)을 통해 기지국(1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110)은 E-DCH를 사용하는 단말들(101 내지 104)의 데이터 버퍼 상태, 요청 데이터 전송률 혹은 채널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각 단말별로 EUDCH 데 이터 전송 가능 여부를 알려주거나 혹은 EUDCH 데이터 전송률을 조정하는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한다. 스케쥴링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기지국의 측정 잡음증가(Noise Rise 또는 Rise over thermal: RoT, 이하 RoT) 값이 목표 값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기지국에서 멀리 있는 단말들(예를 들어 103, 104)에게는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할당하고, 가까이 있는 단말들(예를 들어 101, 102)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단말들(101 내지 104)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E-DCH 데이터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 내에서 E-DCH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여 E-DCH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향링크에서 서로 다른 단말들이 송신한 상향링크 신호들은 상호간에 동기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직교성이 없어서 상호간에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지국이 수신하는 상향링크 신호들이 많아질수록 특정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의 양도 많아지게 되어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특정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크게 할 수도 있지만, 이는 다시 다른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간섭으로 작용하여 수신 성능을 저하시킨다. 결국 기지국이 수신 성능을 보장하면서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체 전력은 제한되게 된다. RoT(Rise Over Thermal)는 기지국이 상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4053227939-PAT00001
상기에서 I0은 기지국의 전체 수신 대역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로서 기지국이 수신하는 전체 상향링크 신호의 양을 나타낸다. N0은 기지국의 열잡음 전력 스펙트럼 밀도이다. 따라서, 허용되는 최대 ROT는 기지국이 상향 링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무선자원이다.
기지국의 전체 ROT는 셀간 간섭, 음성 트래픽 그리고 E-DCH 트래픽의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을 사용한다면 여러 단말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전송율의 패킷을 전송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신 ROT를 목표(target) ROT로 유지하여 수신 성능을 항상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은, 특정 단말에게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수신 ROT가 목표 ROT 이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2는 전형적인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과정(202)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E-DCH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 과정(202)은 전용 전송 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전달 과정을 포함한다. E-DCH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과정(204)과 같이 단말은 기지국에게 스케쥴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스케쥴링 정보로는 역방향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송신 전력 정보,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 정보, 단말의 버퍼에 쌓여 있는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들의 양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중인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과정(206) 에서 각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의 스케쥴링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과정(208)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역방향 패킷 전송을 허용할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에게 스케쥴링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스케쥴링 명령은 단말한테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의 증가/유지/감소를 지시하거나 또는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와 전송이 허용된 타이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과정(210)에서 상기 스케쥴링 명령을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전송할 E-DCH의 전송 형식(Transport format: TF)을 결정하고, 과정(212)과 과정(214)에서 E-DCH를 통해 역방향(UL)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TF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TF 정보는 E-DCH를 복조하는데 필요한 자원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형식 자원 지시자(Transport Format Resource Indicator: 이하 TFRI라 칭함)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과정(214)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와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MCS 레벨을 선택하고, 상기 MCS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과정(216)에서 기지국은 과정(2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TF 정보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한다. 과정(218)에서 기지국은, 상기 판단 결과 어느 하나에라도 오류가 나타난 경우 NACK(Negative Acknowledge, 부정적 인지 정보)를, 모두 오류가 없을 경우는 ACK(Acknowledge, 인지 정보)를 ACK/NACK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어 단말은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를 E-DCH를 통해 보내지만, N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같은 내용의 패킷 데이터를 E-DCH를 통해 재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기지국이 스케쥴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버퍼상태와 파워 상태와 같은 정보를 단말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면 기지국은 멀리 있는 단말 또는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 서비스하려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낮은 단말에게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하거나 가까이 있는 단말 또는 채널 상황이 좋거나 서비스하려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에게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E-DCH에서 기지국이 단말한테 스케쥴링 명령으로서 단말의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의 증가/유지/감소를 지시하는 RG(relative grant) 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RG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에 의해 하향링크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을 위한 스케쥴링 명령을 전송함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전송채널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과 HARQ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의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 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전송채널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과 HARQ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의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한 스케쥴링 정보를 효과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UMTS 통신 시스템의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전송채널(E-DCH: 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을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은 기지국이 상향링크 RoT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throughput 과 커버리지의 향상을 꾀하는 기 술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기지국은 각 단말의 E-DCH 데이터 전송률을 제어한다. 단말의 E-DCH 데이터 전송율은 E-DCH 전송 형식(TF: Transport format) 또는 E-DCH 송신 전력과 매핑된다. 즉, E-DCH의 데이터 전송율이 높을수록 E-DCH 를 위해 많은 전력을 할당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고려된다. 첫째,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일정 단위만큼씩 증가/유지/감소시키는 방식이 고려된다. 이때, 단말은 매 전송시점(Transmission Time Interval: 이하 TTI라 칭함)마다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며, 기지국은 스케쥴링 명령으로서 최대 허용 전송율의 절대 값 대신 최대 허용 전송율의 증가/유지/감소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전송율 제어 정보(Relative Grant: RG)를 매 TTI마다 단말에게 시그널링한다. 일반적으로 전송율 제어 정보는 최대 허용 전송율의 증가/유지/감소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가 된다. 상기 1 비트의 RG 는 +1/0/-1 을 갖을 수 있고, 이는 각각 최대 허용 전송율의 증가/유지/감소를 의미한다. 상기 RG가 '0' 이면 실제 시그널링이 전송되지 않음(DTX)을 의미한다. 이때 증가 또는 감소되는 양은 사전 약속으로 정하게 되고, 따라서 한 단말에 대해서 한 순간에 기지국이 제어할 수 있는 전송율의 변화량은 상기 정해진 양만큼으로 제한된다. 둘째, 기지국이 단말에게 최대 허용 전송율의 절대 값과 전송시점을 직접 알려주는 스케줄링 할당정보(Scheduling Assignment: SA 또는 Absolute Grant: AG)를 시그널링하는 방식이 고려된다. 셋째, 전송율 제어 정보(Relative Grant: RG)와 스케줄링 할당정보(Scheduling Assignment: SA 또는 Absolute Grant: AG)를 조합하여 시그널링하는 방식이 고려된 다.
다음으로, E-DCH는 HARQ가 적용되는 서비스이므로 HARQ와 상기 기지국 스케줄링의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channel SAW Stop And Wait(N-channel SAW)방식을 이용하는 HARQ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N-channel SAW HARQ는, 송신측에서 1번부터 N번 TTI까지 매번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N+1번 TTI부터 2N번 TTI가 도래했을 때는, 상기 1번 TTI부터 N번 TTI에 전송한 데이터의 ACK/NACK 수신 결과에 따라 재전송 혹은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N을 HARQ 프로세스 개수라 하고, N+I번 TTI를 HARQ 프로세스 번호 I라 칭한다. 여기서, N은 0보다 큰 정수이고, I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스케줄링 방법으로써 전송율 제어 정보(Relative Grant: RG)가 적용되고, 단말의 E-DCH TTI가 2ms 이고 HARQ 프로세스가 1부터 5까지의 5개로 설정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즉, 상기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매 2ms TTI 마다 1, 2, 3, 4, 5, 1, 2, 3, 4,, 5,… 와 같이 반복해서 매핑된다. 이때, 상기 RG가 나타내는 증가/유지/감소는 동일 HARQ 프로세스 번호에 대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HARQ 프로세스2번에 대해 기지국이 '증가' 명령을 시그널링 했다면 이는 가장 최근 HARQ 프로세스 2번에 할당되었던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일정 단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하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상기 가정에서처럼 2ms TTI에 5개의 HARQ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E-DCH 시스템 에서 기지국 스케쥴러가 셀내의 RoT 및 채널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HARQ 프로세스 1번부터 5번까지 동일한 RG, 예를 들면 +1(상승)을 5번 연속해서 시그널링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단말로 하여금 상기 HARQ 프로세스 1번에 대한 RG 만으로 HARQ 프로세스 2번부터 5번까지의 RG를 알 수 있도록 한다면 RG로 인한 하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1/5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HARQ 프로세스에 동일한 스케쥴링 명령이 반복해서 생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에 개념은 기지국이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이하 RG_reference)와 비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이하 RG_non_reference)를 각각 구분하여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 HARQ 프로세스 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고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가 1번부터 5번까지 5개로 설정된 경우, HARQ 프로세스 1번을 기준 HARQ 프로세스로 하고 나머지 HARQ 프로세스 2번부터 5번까지를 비기준 HARQ 프로세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RG_non_reference 가 상기 RG_reference 와 같을 경우 RG_non_reference를 시그널링 하지 않음으로써 하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과 단말은 상기 RG_reference 및 RG_non_reference 에 대한 생성 및 해석을 다르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RG_reference 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RG_reference 에 대해서는 RG_non_reference 보다 높은 송신 전력으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 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300 에서 기지국은 전송율 제어 정보를 할당할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만약 현재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이면 단계 302로 이동해서 기지국 스케쥴러의 동작 결과에 따라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 를 위해 RG = '0', 즉 DTX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므로, 현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 '+1'은 '증가'로, RG = '0', 즉 DTX는 '유지'로, RG = '-1'은 '감소'로 해석하게 된다.
반면, 상기 단계 300에서 기지국이 전송율 제어 정보를 할당할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가 아니면 단계 304로 이동한다. 단계 304에서는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증가'인지 '유지'인지, 혹은 '감소'인지를 확인한다. 이 때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증가' 이면 단계 306으로 이동해서 기지국 스케쥴러의 결정에 따라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 를 위해 RG = '0', 즉 DTX로 설정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 아니고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가 '증가'이므로 RG = '+1'은 '감소'로, RG = '0', 즉 DTX는 '증가'로, RG = '-1'은 '유지'로 해석하게 된다.
상기 단계 304에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유지' 이면 단계 308으로 이동해서 기지국 스케쥴러의 결정에 따라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햐 RG = '0', 즉 DTX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 아니고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가 '유지'이므로 RG = '+1'은 '증가'로, 한RG = '0', 즉 DTX는 '유지'로, RG = '-1'은 '감소'로 해석하게 된다.
상기 단계 304에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감소' 이면 단계 310으로 이동해서 기지국 스케쥴러의 결정에 따라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RG = '0', 즉 DTX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 아니고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가 '감소'이므로 RG = '+1'은 '유지'로, RG = '0', 즉 DTX는 '감소'로, RG = '-1'은 '증가'로 해석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기지국이 비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를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와 동일한 명령을 하고자 하면, DTX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동작을 하기 [표 1] 및 [표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인 RG_reference가 가질 수 있는 값에 대하여 다음 [표1]과 같이 각각 ID_RG_reference 와 그에 상응하는 의미를 갖도록 한다. 즉, RG_reference 가 '+1' 이면 이에 대한 ID_RG_reference 는 '2' 가 되고, 그 의미는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에 대한 '증가'가 된다. RG_reference 가 '0' 이면 이에 대한 ID_RG_reference 는 '1' 이 되고, 그 의미는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에 대한 '유지'가 된다. RG_reference 가 '-1' 이면 이에 대한 ID_RG_reference 는 '0' 이 되고, 그 의미는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에 대한 '감소'가 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상기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를 [표 1]의 규칙에 따라 각각 생성 및 해석하게 된다.
Figure 112004053227939-PAT00002
다음으로 기지국과 단말이 비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를 각각 생성 및 해석하는 규칙을 기준 HARQ 프로세스의 RG에 대한 함수로서 나타내면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112004053227939-PAT00003
상기 [표 2]에서 'mod'는 모듈로 연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x mod y' 는 x 를 y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0 부터 y-1 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들 들면 '1 mod 3 = 1', '-1 mod 3 = 2' 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HARQ 프로세스가 1번부터 5번까지 5개로 설정되고, HARQ 프로세스 1번을 기준 HARQ 프로세스로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기준 HARQ 프로세스1번에 대해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 '증가'를 명령하기 위해 RG_reference 로서 '+1'을 시그널링 한 경우(RG_reference = '+1', ID_RG_reference = 2), 그 다음 프로세스인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1'로 시그널링 되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 1) mod 3 = (2+1) mod 3 = 0 이 된다. 따라서 단말은 [표 1]에 의해 '감소'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감소'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는 '+1'을 시그널링 하면 된다. 또한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0'으로 시그널링 되면, 즉 DTX 이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mod 3 = 2 mod 3 = 2 이된다. 단말은 [표 1]에 의해 '증가'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증가'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는 '0', 즉 DTX로 전송한다. 또한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1'로 시그널링 되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1) mod 3 = (2 1) mod 3 = 1 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유지'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유지'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 는 '-1'로설정하여 시그널링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음 번 기준 HARQ 프로세스 전까지, 즉 HARQ 프로세스 5번까지 기지국과 단말은 RG(RG_non_reference 및 RG_ reference)에 대한 생성과 해석을 수행한다.
기준 HARQ 프로세스1번에 대해 기지국이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에 대한 '유지'를 명령하기 위해RG_reference 로서 '0'을 시그널링 한 경우(RG_reference = '0', ID_RG_reference = 1), 즉 DTX인 경우, 그 다음프로세스인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 가 '+1'로 시그널링 되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 1) mod 3 = (1+1) mod 3 = 2 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증가'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증가'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 는 '+1'을 시그널링 하면 된다. 또한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0'로 시그널링 되면, 즉 DTX 이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mod 3 = 1 mod 3 = 1 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유지'로 해석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유지'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 는 '0', 즉 DTX를 하면 된다. 또한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가 '-1'로 시그널링 되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1) mod 3 = (1 1) mod 3 = 0 으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감소'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감소'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는 '-1'을 시그널링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음 번 기준 HARQ 프로세스 전까지, 즉 HARQ 프로세스 5번까지 기지국과 단말은 RG에 대한 생성과 해석을 수행한다.
기준 HARQ 프로세스1번에 대해 기지국이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에 대한 '감소'를 명령하기 위해RG_reference 로서 '-1'을 시그널링 한 경우(RG_reference = '-1', ID_RG_reference = 0), 그 다음 프로세스인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1'로 시그널링 되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 1) mod 3 = (0+1) mod 3 = 1 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유지'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유지'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는 '+1'을 시그널링 하면 된다. 또한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0'로 시그널링 되면, 즉 DTX 이면, ID_RG_ reference = ID_RG_reference mod 3 = 0 mod 3 = 0 으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감소'로서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감소'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는 '0', 즉 DTX를 하면 된다. 또한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가 '-1'로 시그널링 되면, ID_RG_non_reference = (ID_RG_reference 1) mod 3 = (0 1) mod 3 = 2 로서 단말은 이를 [표 1]에 의해 '증가'로서 해석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증가'를 명령하고자 하면 상기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한 RG_non_reference는 '-1'을 시그널링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음 번 기준 HARQ 프로세스 전까지, 즉 HARQ 프로세스 5번까지 기지국과 단말은 RG에 대한 생성과 해석을 하게 된다.
[표 3]은 기지국이 HARQ 프로세스별로 RG(RG_ reference 및 RG_non_reference)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한 한 것이다.
Figure 112004053227939-PAT0000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기지국 송신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RG(RG_non_reference 및 RG_ reference)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공통 코드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 4에서 기지국은 총 k 개의 직교수열을 사용하여 k개의 단말에 대해 하나의 공통 코드 채널을 통해 k개의 RG를 전송한다. 상기 직교수열로서 하다마드 수열(Hadamard sequence)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 스케쥴러(400)는 셀내의 RoT 및 각 단말의 자원 할당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여 각 단말에 대한 RG 명령(증가/유지/감소)을 생성하여 RG 시그널 매핑기(402, 416)로인가한다. 상기 RG 시그널 매핑기(402, 416)는 기지국 스케쥴러(400)로부터 인가 받은 RG 명령과 상기 RG 명령이 적용될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고려하여 상기 [표 3]의 규칙에 따라 RG 신호를 매핑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RG 신호는 이득 조절기(406, 420)에서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단말 별로 적절한 Gain_RG(408, 422) 만큼 송신 전력을 변환시켜 전송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즉 RG_ reference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Gain_RG(408, 422)를 높여서 전송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Gain_RG는 별도의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사전 정의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력 조정된 RG는 확산기(410, 424)에서 각각의 단말들을 구분하기 위해 단말별로 할당된 직교 수열(412, 426)로서 확산된 후 반복기(414, 428)에서 TTI 길이에 맞게 반복되어 제1합산기(432)에서 모든 단말에 대한 RG 신호를 합산한다. 상기 합산된 신호는 직병렬변환기(434)에서 병렬 신호로 분리 된 후, 채널확산부(436)에서 상기 E-RGCH를 위해 할당된 공통 채널 코드 Cch,SF,m(438)로 칩레벨 확산된다. 상기 공통 채널코드는 RNC로부터 시그널링 받게 된다. 상기 칩 레벨 확산된 신호에서 Q-branch 신호는 위상변화부(440)에서 90도 위상변환 후, 제2합산기(442)에서 I-branch 신호와 합쳐지고다중화기(444)에서 다른 채널 신호와 다중화 되고 스크램블러(446)에서 스크램블링되어 전송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단말 수신장치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RG를 전송하기 위한 공통 코드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상기 도 4에서 언급한 k개의 단말 중에서 임의의 1번 단말에 대한 수신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단말은 수신 신호를 역스크램블러(502)에서 역스크램블링하고, 채널보상기(504)에서 채널보상한 후, QPSK 복조기(506)를 통해 I/Q-branch 신호를 구분하게 된다. 상기 I/Q-branch 신호는 역확산기(508)에서 상기 E-RGCH 를 위해 할당된 공통 채널 코드 Cch,SF,m (510)로 각각 역확산 되고 다중화기(512)에서 다중화 된 후, 누적기(514)에서 상기 도4의 기지국 반복기(414, 428)에서 반복한 회수만큼 누적시킨다. 이 때, 상기 공통 채널 코드 Cch,SF,m (510)는 RNC로부터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알 수 있다. 상기 누적된 신호는 한 슬롯 구간 동안의 길이를 갖게 되고, 이를 임의의 1번째 단말이 상관기(516)에서 자신한테 할당된 직교 수열#1(518)로 상관값(correlation)을 취해 RG 신호 추출기(520)로 인가한다. RG 신호 추출기(520)는 상기 인가받은 상관값을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1/0/-1 세 가지 값 중 하나로 출력한다. RG 신호 결정기 (522)는 상기 RG 신호 추출기(520)으로부터 입력받은 RG 신호(+1/0/-1)와 현재HARQ 프로세스 번호를 고려하여 현재 HARQ 프로세스 번호가 기준 HARQ 프로세스이면 상기 [표 1]의 규칙에 따라 RG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현재 HARQ 프로세스 번호가 비기준 HARQ 프로세스이면 상기 [표 2]의 규칙에 따라 RG 신호를 해석한다.
<실시 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실시예 2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RG가 나타내는 증가/유지/감소는 동일 HARQ 프로세스 번호에 대해 적용된다.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기지국이 '증가' 명령을 시그널링 했다면 이는 최근 HARQ 프로세스 2번에 대해 할당되었던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에 대해 일정 단위만큼의 '증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6의 단계 600에서 현재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인지를 판단한다. 기준 HARQ 프로세스이면 602단계로 진행하여 최근 기준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었던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기준으로하여 전송율의 증가/유지/감소를 결정한다. 반면 현재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가 아니면 604단계로 진행하여 직전에 전송된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해 할당된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기준으로 하여 전송율의 증가/유지/감소를 결정한다. 이 경우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RG_ reference)는 에 대해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므로 송신 전력을 비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RG_non_ reference) 보다 높여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송신 전력 조정값(Gain_RG)은 별도의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사전 정의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대한 기지국 송신장치와 단말의 수신장치는 상기 도 4, 도 5의 설명과 같다. 다만 기지국이 RG를 생성하고 단말이 상기 RG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도 6에서와 설명한 것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는 차이가 있다.
<실시 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케쥴링 명령을 생성 및 해석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실시예 3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도 7의 단계 700에서 현재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인지를 판단한다. 기준 HARQ 프로세스이면 RG를 702단계로 진행하여 최근 기준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었던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기준으로하여 전송율의 증가/유지/감소를 결정한다. 반면 현재 HARQ 프로세스가 기준 HARQ 프로세스가 아니면 704단계로 진행하여 직전에 전송된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해 할당된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이 증가/유지/감소인지를 결정한다.
이 때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증가' 이면 단계 706으로 이동해서 직전에 전송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된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기준으로 하여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 를 위해 RG = '0', 즉 DTX로 설정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 아니고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가 '증가'이므로 RG = '+1'은 '감소'로, RG = '0', 즉 DTX는 '증가'로, RG = '-1'은 '유지'로 해석하게 된다.
상기 단계 704에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유지' 이면 단계 708으로 이동해서 직전에 전송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된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기준으로 하여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햐 RG = '0', 즉 DTX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 아니고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가 '유지'이므로 RG = '+1'은 '증가'로, 한RG = '0', 즉 DTX는 '유지'로, RG = '-1'은 '감소'로 해석하게 된다.
상기 단계 704에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 (RG_reference)가 '감소' 이면 단계 710으로 이동해서 직전에 전송된 기준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된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기준으로 하여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증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유지'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위해 RG = '+1'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고,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율을 '감소' 하고자 한다면 현재 HARQ 프로세스를 RG = '0', 즉 DTX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정보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 아니고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가 '감소'이므로 RG = '+1'은 '유지'로, RG = '0', 즉 DTX는 '감소'로, RG = '-1'은 '증가'로 해석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기지국이 비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를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와 동일한 명령을 하고자 하면, DTX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RG_ reference)는 에 대해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므로 송신 전력을 비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RG(RG_non_ reference) 보다 높여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송신 전력 조정값(Gain_RG)은 별도의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사전 정의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대한 기지국 송신장치와 단말의 수신장치는 상기 도 4, 도 5의 설명과 같다. 다만 기지국이 RG를 생성하고 단말이 상기 RG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도 7에서와 설명한 것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는 차이가 있다.
<실시 예4>
실시 예 3은 상기 RG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여 실시 예 3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은 단말한테 RG로서 '증가', '유지', '감소' 중 어떤 명령을 시그널링할지 결정한다.(단계 800) 기지국이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의 '증가' 또는 '감소'를 명령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 RG의 동작과 같이 '증가'면 '+1', '감소'면 '-1'을 시그널링하고 상기 명령은 스케쥴링 명령을 적용하고자 하는 현재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가장 최근 HARQ 프로세스 시점에서 단말이 사용한 데이터 전송율을 기준으로 적용한다.(단계 802, 804) 이때, '증가' 또는 '감소' 되는 데이터 전송율의 양은 사전 정의된 값이거나 또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동작에서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의 변경은 현재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가장 최근 HARQ 프로세스 시점에서 단말이 사용한 데이터 전송율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기지국 스케쥴러의 효율적인 RoT 자원의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기지국이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의 '유지'를 명령하고자 할 경우에는 '0', 즉, DTX를 하게 된다. 단, 상기 '유지' 명령은 스케쥴링 명령을 적용하고자 하는 현재의 HARQ 프로세스 번호보다 바로 직전의 HARQ 프로세스에 허용된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을 기준으로 적용한다.(단계 706) 상기 '유지' 명령을 적용함에 있어서 현재의 HARQ 프로세스 번호보다 바로 직전의 HARQ 프로세스에 허용된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현재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해 바로 직전의 HARQ 프로세스에 허용된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과 동일한 전송율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바로 직전에 허용된 단말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만큼 단말이 이전시점에서 실제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더라도 현재 HARQ 프로세스에서 시간 지연없이 이전에 허용됐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대한 단말의 동작을 수학식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G(k,n) = R_used(k,n-1) + delta
SG(k,n) = R_used(k,n-1) delta
SG(k,n) = SG(k-1,n)
SG(0,n) = SG(K-1,n-1)
k: HARQ 프로세스 번호로서, 0부터 K-1까지 총 K 개의 HARQ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n: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TTI 카운터로서, 상기 0부터 K-1까지 K개의 HARQ 프로세스 마다 하나씩 증가하는 값을 갖는다.
SG(k, n): Serving Grant, k 번째 HARQ 프로세스 및 n 번째 TTI에서 단말한 테 허용된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
R_used(k, n): k 번째 HARQ 프로세스 및 n 번째 TTI에서 단말이 실제 전송한 데이터 전송율
delta: RG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 되는 데이터 전송율의 양. 사전 정의된 값이거나 또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 번째 TTI 및 k번째 HARQ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RG(k, n)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n 번째 TTI 및 k번째 HARQ 프로세스에 단말한테 허용되는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은,
만약 RG(k, n) = +1 이면 RG는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말한테 허용되는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은, n-1 번째 TTI 및 k 번째 HARQ 프로세스에 단말이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한 데이터 전송율보다 'delta' 만큼 증가한 값이 된다. ([수학식 2])
만약 RG(k, n) = -1 이면 RG는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말한테 허용되는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은, n-1 번째 TTI 및 k 번째 HARQ 프로세스에 단말이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한 데이터 전송율보다 'delta' 만큼 감소한 값이 된다. ([수학식 3])
만약 RG(k, n) = 0 즉, DTX이면 RG는 '유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말한테 허용되는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은, HARQ 프로세스 번호 k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즉, n 번째 TTI 및 k번째 HARQ 프로세스에 단말한테 허용되는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은 k가 0이 아니면 n 번째 TTI 및 k-1번째 HARQ 프로세스에 단말한테 허용된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이 되고([수학식 4]), k가 0이면 n-1 번째 TTI 및 K-1번째 HARQ 프로세스에 단말한테 허용된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이 된다.([수학식 5])
실시예 4에 대한 기지국 송신장치와 단말의 수신장치는 상기 도 4, 도 5의 설명과 같다. 다만 기지국이 RG를 생성하고 단말이 상기 RG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실시 예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는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효과는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상향링크 전용 전송채널을 전송하는에 있어서,기지국이 단말의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한 스케쥴링 명령인 RG(Relative Grant)를 생성하고 단말이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효율설을 높일 수 있고, 기지국이 단말 에게 상기 RG(Relative Grant)를 빈번히 전송함 으로써 발생하는 하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9)

  1.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HARQ 프로세스별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일 경우 제 1 규칙에 따라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고,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일 경우 상기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고려하여 제 2 규칙에 따라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향상된 상향링크 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 이하 E-DCH)을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증가/유지/감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칙에 따라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1/0/-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이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가 증가인 경우, 상기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2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제 2 규칙에 따라 0/-1/+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이고, 상기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2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제 2 규칙에 따라 +1/0/-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이고, 상기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2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제 2 규칙에 따라 -1/+1/0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HARQ 프로세스별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일 경우 이전의 기준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된 최대 허용 전송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고,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일 경우 이전의 기준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된 최대 허용 전송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향상된 상향링크 채널(Enhanced uplink-Dedicated Channel : 이하 E-DCH)을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증가/유지/감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1/0/-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HARQ 프로세스별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은,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일 경우, 이전의 기준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된 최대 허용 전송률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규칙에 따라 제 1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고,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일 경우, 이전의 기준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된 최대 허용 전송률을 기준으로 하여 제 2 규칙에 따라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향상된 상향링크 채널(Enhanced uplink-Dedicated Channel : 이하 E-DCH)을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케줄링 정보는 증가/유지/감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제 1 규칙에 따라 +1/0/-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이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가 증가인 경우, 상기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2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제 2 규칙에 따라 0/-1/+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이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가 유지인 경우, 상기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2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 소는 제 2 규칙에 따라 +1/0/-1에 각각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이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가 감소인 경우, 상기 비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제 2스케줄링 정보인 증가/유지/감소는 제 2 규칙에 따라 각각 -1/+1/0에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HARQ 프로세스별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해석하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비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DTX로 수신되었을 경우, 기준 HARQ 프로세스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와 동일하다고 해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93743A 2004-11-15 2004-11-16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KR10066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43A KR100663278B1 (ko) 2004-11-15 2004-11-16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PCT/KR2005/003864 WO2006052118A1 (en) 2004-11-15 2005-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RU2007117919/09A RU2343635C1 (ru) 2004-11-15 2005-11-15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поддерживающей услугу передач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EP05823755.3A EP1769593B1 (en) 2004-11-15 2005-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AU2005302840A AU2005302840B2 (en) 2004-11-15 2005-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US11/272,823 US8045513B2 (en) 2004-11-15 2005-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ES05823755.3T ES2473590T3 (es) 2004-11-15 2005-11-15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y recibir información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que soporta un servicio de datos en paquetes de enlace ascendente.
CN201510196683.7A CN104796237B (zh) 2004-11-15 2005-11-15 移动通信系统中传送上行链路分组数据及控制信息的方法
ES10012932.9T ES2568456T3 (es) 2004-11-15 2005-11-15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transmitir y recibir información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que soporta un servicio de datos en paquetes de enlace ascendente
PT58237553T PT1769593E (pt) 2004-11-15 2005-11-15 Método e aparelho para transmitir e receber informação de controlo de ligação descendente n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suportando serviço de dados em pacote de ligação ascendente
PL05823755T PL1769593T3 (pl) 2004-11-15 2005-11-15 Sposób i urządzenie do nadawania i odbierania informacji sterującej łącza pobierania w systemie łączności bezprzewodowej obsługującej usługę danych pakietowych łącza wysyłania
CNA2005800390270A CN101057423A (zh) 2004-11-15 2005-11-15 在支持上行链路分组数据服务的移动通信系统中传送和接收下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CA2582442A CA2582442C (en) 2004-11-15 2005-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JP2007541107A JP4975632B2 (ja) 2004-11-15 2005-11-15 逆方向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順方向制御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EP10012932.9A EP2323283B1 (en) 2004-11-15 2005-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IL182719A IL182719A (en) 2004-11-15 2007-04-22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on the DOWNLINK tradition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uplink satellite transmission information packet service (UPLINK)
JP2010178126A JP5174865B2 (ja) 2004-11-15 2010-08-06 逆方向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順方向制御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13/281,061 US8363614B2 (en) 2004-11-15 2011-10-2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US13/720,787 US8958368B2 (en) 2004-11-15 2012-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US14/615,094 US9185723B2 (en) 2004-11-15 2015-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283 2004-11-15
KR20040093283 2004-11-15
KR1020040093743A KR100663278B1 (ko) 2004-11-15 2004-11-16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502A true KR20060053502A (ko) 2006-05-22
KR100663278B1 KR100663278B1 (ko) 2007-01-02

Family

ID=3633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743A KR100663278B1 (ko) 2004-11-15 2004-11-16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045513B2 (ko)
EP (2) EP1769593B1 (ko)
JP (2) JP4975632B2 (ko)
KR (1) KR100663278B1 (ko)
CN (2) CN101057423A (ko)
AU (1) AU2005302840B2 (ko)
CA (1) CA2582442C (ko)
ES (2) ES2568456T3 (ko)
IL (1) IL182719A (ko)
PL (1) PL1769593T3 (ko)
PT (1) PT1769593E (ko)
RU (1) RU2343635C1 (ko)
WO (1) WO20060521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510A1 (en) * 2007-08-21 200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 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8151B (zh) * 2005-08-10 2013-03-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操作一通信裝置與系統的方法,通信裝置及包含該通信裝置之系統
US8489128B2 (en) 2005-10-31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transmission on a shared data chann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625601B2 (en) * 2005-10-31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w-overhead packet data transmission and control of reception mode
US20070149132A1 (en) 2005-12-22 2007-06-28 Junyl Li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electing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US7660279B2 (en) * 2006-01-27 2010-02-0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scheduling uplink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39367A (en) 2006-06-20 2007-12-27 Nec Corp Separate ACK/NACK channel from a control channel
BRPI0714637A2 (pt) * 2006-08-21 2013-05-07 Interdigital Tech Corp mÉtodo e aparelho de alocaÇço dinÂmica de processos harq no link superior
US8848618B2 (en) * 2006-08-22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traffic spurts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0906332B1 (ko) * 2006-11-03 2009-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기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복합자동 재전송 기법수행 장치 및 방법
JP4829754B2 (ja) * 2006-11-29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4481316B2 (ja) 2007-01-09 2010-06-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および送信方法
KR100972405B1 (ko) 2007-03-14 2010-07-26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기능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9020413A1 (en) * 2007-06-14 2009-0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block size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s with soft combining
CN101682488B (zh) * 2007-06-18 2016-04-27 奥普蒂斯无线技术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基站及移动终端、基站中使用的方法
EP2076084A1 (en) * 2007-09-10 2009-07-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nit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9078269B2 (en) * 2007-09-2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HARQ interlaces
US9137806B2 (en) * 2007-09-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time reuse
US9066306B2 (en)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8824979B2 (en) * 2007-09-21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US9374791B2 (en) 2007-09-21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and attenuation profiles
US20090080499A1 (en) * 2007-09-21 2009-03-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code reuse
US8165035B2 (en) * 2007-10-02 2012-04-24 Nokia Siemens Networks Oy ACK/NACK DTX detection
JP5090843B2 (ja) * 2007-10-09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KR100943758B1 (ko) * 2007-11-01 2010-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처리방법
US8948095B2 (en) 2007-11-2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US8867456B2 (en) * 2007-11-27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fa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hybrid time reuse
KR101420879B1 (ko) * 2007-11-29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링 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전송방법
WO2009082333A1 (en) * 2007-12-21 2009-07-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989513B2 (ja) * 2008-02-22 2012-08-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EP2272219A4 (en) * 2008-04-30 201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ATION OF DATA SIZE IN USER EQUIPMENT
US8489950B2 (en) * 2008-08-06 2013-07-16 Nokia Siemens Networks Oy Discontinuous reception retransmission timer and method
EP3206443B1 (en) * 2009-02-13 2019-09-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of a wireless network node
IL197881A (en) 2009-03-24 2015-10-29 Sparkmotion Inc A method of treating wireless network with corrupted signals
US8386875B2 (en) * 2009-08-07 2013-0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HARQ operations during transmission mode changes
US8386876B2 (en) * 2009-08-14 2013-02-2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mission of different redundancy versions on different degrees of freedom
US9065584B2 (en) 2010-09-29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ise-over-thermal threshold
GB2489002A (en) * 2011-03-14 2012-09-19 Nujira Ltd Delay adjustment to reduce distortion in an envelope tracking transmitter
US20130176864A1 (en) * 2012-01-09 2013-07-11 Qualcomm Incorporated Rate and pow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20140376459A1 (en) * 2013-06-21 2014-12-25 Qualcomm Incorporated Aggregating data to improve performance at a user equipment (ue)
US10080214B2 (en) * 2015-09-04 2018-09-1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and decoding with cross-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or cross-carrier referencing
WO2017047875A1 (ko) 2015-09-16 2017-03-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645777B (zh) * 2016-07-22 2020-05-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传输中的方法和装置
US10547470B2 (en) * 2016-09-06 2020-01-28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Self-locking a network communications component transmission rate
US10484144B2 (en) * 2016-11-11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anagement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10652169B2 (en) * 2017-02-10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anagement for differing types of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2903A1 (de) 1994-02-02 1995-08-03 Deutsche Telekom Mobil Verfahren zur paketweisen Datenübertragung in einem Mobilfunknetz
CN100583805C (zh) 2001-08-22 2010-01-20 西门子公司 在使用共同混合自动请求重发过程的情况下数据包的传输方法和装置
US7539165B2 (en) * 2002-05-24 2009-05-26 Antti Toskal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ignaling for uplink rate control
US7356005B2 (en) * 2002-06-07 2008-04-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by which to facilitate scheduling of data communications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U2004200541B2 (en) * 2003-02-15 2006-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90485A1 (en) 2003-03-24 2004-09-30 Khan Farooq Ullah Method of scheduling gran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4669B1 (ko) * 2003-05-10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JP4116925B2 (ja) * 2003-05-13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制御局装置、通信端末装置、送信信号生成方法、受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50047433A1 (en) 2003-06-17 2005-03-03 Dmitri Rizer Physical coding sublayer transcoding
US7126928B2 (en) * 2003-08-05 2006-10-24 Qualcomm Incorporated Grant, acknowledgement, and rate control active sets
KR101000391B1 (ko) * 2003-09-01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방향 링크의 전송 데이터 레이트 제어 방법
US7693110B2 (en) * 2004-09-16 2010-04-0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signaling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JP5015785B2 (ja) * 2004-11-10 2012-08-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符号多重化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におけるピーク電力を低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60104240A1 (en) * 2004-11-12 2006-05-18 Benoist Sebire Trigger for send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HSUPA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510A1 (en) * 2007-08-21 200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 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40929B2 (en) 2007-08-21 2012-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32709B2 (en) 2007-08-21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93905B1 (ko) * 2007-08-21 2013-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을 지원하는 응답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10120B1 (ko) * 2007-08-21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을 지원하는 응답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8868996B2 (en) 2007-08-21 201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184566A (zh) * 2007-08-21 2014-12-03 三星电子株式会社 接收码元群组的装置及方法
US9166748B2 (en) 2007-08-21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215044B2 (en) 2007-08-21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496992B2 (en) 2007-08-21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03227B2 (en) 2007-08-21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44101B2 (en) 2007-08-21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hybrid-ARQ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184566B (zh) * 2007-08-21 2018-09-21 三星电子株式会社 接收码分复用cdm分段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3614B2 (en) 2013-01-29
EP2323283A1 (en) 2011-05-18
EP1769593B1 (en) 2014-04-02
EP1769593A1 (en) 2007-04-04
RU2343635C1 (ru) 2009-01-10
JP2011010344A (ja) 2011-01-13
PL1769593T3 (pl) 2014-09-30
WO2006052118A1 (en) 2006-05-18
CA2582442C (en) 2013-07-23
CN101057423A (zh) 2007-10-17
US8045513B2 (en) 2011-10-25
JP4975632B2 (ja) 2012-07-11
EP2323283B1 (en) 2016-01-27
AU2005302840B2 (en) 2008-12-11
JP2008521276A (ja) 2008-06-19
CA2582442A1 (en) 2006-05-18
EP1769593A4 (en) 2007-11-28
US20060104242A1 (en) 2006-05-18
CN104796237A (zh) 2015-07-22
ES2568456T3 (es) 2016-04-29
CN104796237B (zh) 2018-12-28
KR100663278B1 (ko) 2007-01-02
PT1769593E (pt) 2014-07-10
JP5174865B2 (ja) 2013-04-03
US20120044901A1 (en) 2012-02-23
AU2005302840A1 (en) 2006-05-18
IL182719A (en) 2011-11-30
IL182719A0 (en) 2007-07-24
ES2473590T3 (es)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278B1 (ko)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KR100922975B1 (ko)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자율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A2516176C (en)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9185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KR100876728B1 (ko)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10430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076084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unit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KR2015002358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50087373A (ko) 상향링크 패킷 전송의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서 전송형식조합 지시자를 이용한 스케쥴링 인가 정보의 전송 방법 및장치
KR20060016024A (ko)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율을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