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689A - 소스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스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689A
KR20060051689A KR1020050089881A KR20050089881A KR20060051689A KR 20060051689 A KR20060051689 A KR 20060051689A KR 1020050089881 A KR1020050089881 A KR 1020050089881A KR 20050089881 A KR20050089881 A KR 20050089881A KR 20060051689 A KR20060051689 A KR 2006005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block
parameter
block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144B1 (ko
Inventor
도미니끄 도리우
에도우아르드 프랑소이스
앤느 로레떼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05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 H04N19/6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involving unequal error protection [UEP], i.e. providing protec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04N19/8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in combination with error conceal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 화상의 텔레비젼 주사 순서에 따라서, 화상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1) - 상기 영역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인 블록들의 세트로 구성됨 - ,
- 인터 또는 인트라 블록 코딩 단계(3, 4) - 블록들은 영역들의 순서에 따라서 영역에 의해 코딩되고, 일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영역을 구성하는 일련의 블록들의 순서에 따름 -, 및
코딩된 블록 에러 정정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은,
이동 필드를 분석하는 단계(10)는, 이 블록에 관련된 이동 벡터에 따라서, 후속하는 화상에서의 존재 가능성에 상응하며 블록에 할당되는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분할 단계(1)는, 파라미터의 값을 고려해서, 최고 중요도에서 최저 중요도까지 화상의 영역들을 정의하고 순서화하고,
에러 정정 단계는, 이후 영역들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제1 영역들에 대응하는 코딩된 데이터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에러 정정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디오 시퀀스, 화상 코딩, 이동 필드 계산, 시간 상관, 가변 길이 코더, 마이크로블록

Description

소스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 SEQUENCE OF SOURCE IMAG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더의 블록도.
도 2는 줌 상황에서의 영역들의 분배도.
도 3은 좌측으로의 팬(pan) 상황에서의 영역들의 분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세분 및 영역 구성 회로
2 : 이동 추정 회로
3 : 감산기
4 : 이산 코사인 변환 및 양자화 회로
5 : 가변 길이 코더(VLC)
7: 가산기
8 : 화상 메모리
9 : 코딩 모드 결정 회로
10 : 이동 필드 분석 회로
11 : 이동 보상 회로
본 발명은 비디오 시퀀스의 화상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필드 계산에 기초하여 화상들 간의 시간 상관을 이용하는 화상 블록에 의한 코딩에 관한 것이다.
이 필드는, 예를 들어, H.264/AVC형 비디오 코딩의 필드이다.
종래의 비디오 코딩 표준들, H.261, H.263, MPEG2 또는 MPEG4와 달리, 연속된 마이크로블록들 또는 마이크로블록의 슬라이스는, 텔레비젼형 화상 주사 방향에 따라서, 화상에서 비연속의 마이크로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유동적 마이크로블록 오더링(FMO;flexible microblock ordering)으로 불린다. 이 툴은, 예를 들어, 2002년 5월, JVT-C089 ISO/MPEG&ITU에 S Wenger 및 M Horowitz가 기고한 논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패킷의 손실에 따른 전송 에러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벤더(multi-vendor) 네트워크를 통한 비디오 화상 전송에 있어서, 다수의 코드들 중 특히 리드 솔로몬(Reed-Solomon) 코드 또는 포워드 에러 정정(FEC;forward error correction) 연속 검사 코드와 같은 에러 정정 코드들을 사용해서, 압축된 데이터의 패킷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리던던시에 기초하며, 이에 따라 코딩 비용이 비싼 이러한 에러 정정 알고리즘들은, 코딩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화상 영역의 우선 순위화를 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화상을 화상의 블록들로 세분하고, 화상의 텔레비젼 주사 순서에 따라서, 화상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영역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인 일련의 블록들을 포함함 - ,
시퀀스의 현재 화상과 이전 화상 간의 이동을 추정하여, 화상 블록과 이동 벡터를 결합하는 이동 필드를 제공하는 단계,
인터(inter) 또는 인트라(intra) 블록 코딩 단계 - 블록들은 영역들의 순서에 따라서 영역에 의해 코딩되고, 일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영역을 구성하는 일련의 블록들의 순서에 따름 - , 및
코딩된 블록 에러 정정 단계
를 포함하고,
이동 필드를 분석하는 단계는, 이 블록에 관련된 이동 벡터에 따라서, 후속하는 화상에서의 존재 가능성에 상응하며 블록에 할당되는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분할 단계는, 파라미터의 값을 고려해서, 최고 중요도에서 최저 중요도까지 화상의 영역들을 정의하고 순서화하고,
에러 정정 단계는, 이후 영역들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제1 영역들에 대응하는 코딩된 데이터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에러 정정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시퀀스 코딩 방법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수명" 파라미터는 블록에 할당된 이동 필드 의 이동 벡터를 외삽(extrapolating)함으로써 계산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존재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화상 기준 베이스(image reference base)에서 고려되는 화상들은, 종래의 예측 양방향 B형의 화상들, 또는 종래의 예측 양방향 B 및 B-저장된 유형의 화상들과는 다른 화상들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시퀀스의 화상 번호 M에 대해 계산된 이동 벡터는, 화상 번호 M+m, M+2m, M+3m...에 대해 외삽되고, m은 양의 정수이며, 블록의 파라미터 값은, 이 블록에 할당된 벡터의 엔드가 이들 화상에 속하는 횟수에 따른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은 상기 파라미터의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정의되고, 영역은, 이 파라미터가 이 영역을 정의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블록들의 세트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코딩에 관한 데이터는, 패킷에 대응하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중요도에 따라 순서화된 데이터 패킷에서 조직화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은 H.264/AVC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슬라이스 그룹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화상을 세분하고, 영역을 구성하여, 화상을 화상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구성하고, 화상의 블록들을 영역의 시퀀싱 순서에 따라서, 이동 추정 회로 및 인터 및 인트라 코딩 회로로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코딩된 블록들은 에러 정정 회로로 전송되고, 상기 장치는, 이동 필드의 이동 벡터에 따라서 블록들의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한 이동 필드 분석 회로를 포함하고, 화상을 세분하고 슬라이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회로는, 수명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이 파라미터에 따라서, 최고 중요도에서 최저 중요도까지 상기 영역을 구성하고 순서화하며, 에러 정정 회로는, 이후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따라서, 장면의 콘텐츠, 특히, 이동 필드의 특성에 따라서 영역이 구성되고, 순서화된다. 영역의 중요도의 순서는, 영역의 블록 또는 마이크로블록의 수명, 즉, 후속 화상들의 예측 코딩을 위한 화상의 마이크로블록 또는 블록의 사용에 따라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원된 화상의 품질이 향상되고, 가장 필수적으로 고려되는 영역들이 가장 강력한 정정 코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필드의 분석에 기초한 디코더에서의 에러 처리가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고, 이는 첨부 도면에 기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더를 도시한다.
비디오 시퀀스의 소스 화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화상을 세분하고,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회로(1)에 전송될 코더 입력으로서 수신되며, 이 회로는, 화상을 마이크로블록으로 세분하고, 이 마이크로블록을 영역들로 구성한다. 마이크로 블록을 형성하는 화상들의 블록은 제1 출력에서 이동 추정 회로(2)로 전송되고, 제2 출력에서 감산기(3)의 제1 입력으로 전송된다. 인트라 또는 인터 코딩 모드에 따라서, 감산기(3)는, 제1 입력에서 수신된 현재 블록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이 정보로부터 제2 입력에서 이용가능한 예측 블록에 상응하는 정보를 감산한다. 감산기의 출력에서의 데이터는 이산 코사인 변환 및 양자화 회로(4)로 전송된다. 이 회로의 출력에서 양자화된 계수는 가변 길이 코더(5)(VLC;variable length coder)를 통해 엔트로픽 코딩(entropic coding)되게 된다.
현재의 화상은 예측 블록을 공급하도록 재구성된다. 따라서, 양자화된 계수는, 디코딩된 휘도값을 제공하도록, 기준 회로(6)를 통해 역 양자화 및 역 이산 코사인 변환된다.
가산기(7)는, 인터 모드에서 코딩되는 경우, 예측 블록을 디코딩된 계수 블록에 부가하는데 사용된다. 재구성된 블록은, 재구성된 현재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 메모리(8)에 저장된다.
이동 추정 회로(2)는, 화상 메모리(8)에 의해 저장된, 사전 디코딩된 또는 재구성된 화상에 관련된 정보, 및 화상 세분 및 영역 구성 회로(1)로부터 나온 소스 화상의 현재 마이크로블록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 회로는, 현재 마이크로블록과 공지된 원리에 따라 재구성된 화상 간의 상관 계산을 수행하여, 이동 벡터를 제공한다. 이들 벡터는, 코딩 비용 계산을 수행하여, 가장 적합한 코딩 모드를 결정하는 코딩 모드 결정 회로(9)로 전송되고, 이동 필드 분석 회로(10)로 전송된다. 적절한 코딩 모드 및 대응 이동 벡터가 이동 보상 회로(11)로 전송되고, 이 이동 보상 회로(11)는, 재구성된 화상에 대한 이동 보상을 제공하여, 이 재구성된 화상으로부터 나온 예측 화상 블록을 감산기(3)의 제2 입력으로 공급한다. 이동 벡터는 또한, 코딩 및 디코더로의 전송을 위해 엔트로픽 코딩 회로(5)로 전송된다. 이동 필드 분석 회로에 의해 계산된 정보는, 화상을 슬라이스(slice) 또는 슬라이스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영역들로 구성하고, 이 영역들을 순서화하여 화상 블록의 코딩 순서를 정의하는 영역 구성 회로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화상의 모든 마이크로블록을 상이한 영역들로 할당함으로써 화상을 영역들로 구성한 후에, 영역의 마이크로블록들은 H.264/AVC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슬라이스 또는 슬라이스들의 그룹으로 형성된다.
적합한 코더의 출력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은, 분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디코더로 송신되기 전에, 에러 정정 코드 적용 회로(도 1에 도시 생략)로 전송된다. 이 회로는, 각 영역 또는 각 슬라이스에 대해서 에러 정정 코드들을 통해 리던던시를 부가한다. 에러 정정 알고리즘은, 리던던시 레벨때문에 코딩 비용의 측면에서 보다 비용이 많이 드는, 화상의 제1 코딩된 영역들 또는 슬라이스들에 대해서 특히 효과적이고, 코딩에 대해 비용이 덜 드는 후속 영역들 또는 슬라이스들에 대해서는 점점 더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서 선택된다.
마이크로블록에 대한 이동 필드의 특성, 및 콘텐츠 관점에 있어서 화상의 영역 또는 영역들의 중요도에 따라서 영역들이 형성된다. 이동 필드의 특성에 따라서, 화상의 소정 부분들을 보호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들은, 화상 기준 베이스에서 마이크로블록의 수명의 개념에 기초해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필드 분석 회로는, 이동 추정 회로에 의해 공급된 이동 필드에 따라서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이 파라미터는 화상의 각 블록 또는 마이크로블록으로 할당되고, 그 이동 벡터에 따른다. 이 파라미터는, 코딩될 다음 화상들의 화상 블록의 존재 가능성에 상응한다. 처리될 블록이 배치되어야만 하는 화상의 수가 증가할 때, 이 파라미터는 모두 증가하게 된다. 이 값은 화상 블록에 대해 계산된 이동, 이동의 크기 및 방향에 따른다.
이동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계산은, 화상 M+m, M+2m, M+3m ...에 대한 화상 M의 마이크로블록에 할당된 이동 벡터들을 외삽하는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에서, m은, 다수의 화상에서, 화상에 대해 선택된 분석 기간이다. 파라미터의 값은, 마이크로블록이 나타나야만 하는 화상의 수가 클 때 훨씬 더 크다.
코딩될 화상은, 예측형 P의, (H.264/AVC 표준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따라서) B-저장된 유형의, 또는 종래의 B 양방향 예측형까지의 인트라-화상 및 인터-화상이다. I, P, 또는 B-저장된 유형까지의 기준 화상은, 예측 코딩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B형의 화상보다 더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마이크로블록이 배치될 후속 화상들의 수를 결정할 때, 종래의 B형 화상을 무시하고,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B-저장된 유형의 화상을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B-저장된 유형의 화상들은, 종래의 B 화상들 및 종래의 B형 화상들에 대해서만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상들이다. 그리고, m의 값은, P 또는 I형의 화상들만을 고려한 분석 기간이다.
FMO 툴은, 실제로 (H.264/AVC 표준에 따른) 슬라이스 그룹에서 영역들을 정의한다. 슬라이스 그룹에서 마이크로블록의 처리 순서는, 슬라이스 그룹의 마이크로블록만을 고려하여 텔레비젼 주사에 대응한다. 각 슬라이스 그룹 또는 영역은 그룹으로 할당된 수에 따라서 차례로 처리된다.
상술한 방법은, 이동 필드 분석을 통해, 화상 영역의 공간-시간 동작에 따라서 슬라이스 그룹을 조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스 그룹이 조직화되면, 이에 따라 화상 영역이 보호될 수 있어, 이 이동 필드 분석에 따라서 가장 필수적인 것으로 고려되는 그룹들이 가장 효과적인 정정 코드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영역 구성 회로는, "수명" 파라미터의 상위점(disparity)에 따라서 화상에서 상이한 영역들을 정의한다. 이 파라미터에 대해 동일한 값 또는 유사한 값을 포함하는 블록들은 영역들로 결합된다. 이들 영역은 번호가 매겨지고, 최초 슬라이스 그룹은 최고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것이고, 최후 슬라이스 그룹은 최저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것이다.
슬라이스가 이동 필드의 특성에 따라 구성되기 때문에, 디코더는 보다 효과적으로 에러 마스킹(error maskin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는, 잔류 에러, 즉, 에러 정정 코드들에 의해 정정되지 않는 에러의 일부로서 디코딩되지 않는 화상의 부분들을 재구성하도록, 여러 요소들 중에서 특히 이동 필드의 분석에 기초한 이러한 처리 유형에 대해, 효과적인 알고리즘이 디코더에 제공되는 조건 하에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MPEG 표준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시간-예측 마스킹 알고리즘이다. 실제로, 최고의 가능성을 갖는 마이크로블록은, 강력한 에러 정정 알고리즘으로 코딩된 후속 예측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도 2는 줌-인 상황에서 마이크로블록들로 세분된 화상, 및 이 마이크로블록들의 화상 영역들 또는 슬라이스 그룹들로의 분류를 나타낸다.
줌-인의 경우에, 화상의 중앙부로부터 제1 슬라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화상의 중앙부 영역은 시간 예측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화상의 영역이다.
따라서, 슬라이스 그룹의 분배예는 다음과 같이 도 2에서 도시된다:
- 슬라이스 그룹 n°1 :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까지 사선으로 크로스-해칭(cross-hatching)된 중앙의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2 : 그룹 n°1 주변의 크로스-해칭되지 않은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3 : 그룹 n°2 주변의 수평 크로스-해칭된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4 : 그룹 n°2 주변의 수직 크로스-해칭된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 5 : 화상의 우측 및 좌측 에지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까지 사선으로 크로스-해칭된 마이크로블록.
제1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1 내지 16으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2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17 내지 36으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3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37 내지 50으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4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51 내지 64로 번호가 매겨 지고, 제5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65 내지 80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3은, 좌측으로의 팬 상황에서, 마이크로블록들로 세분된 화상, 및 이 마이크로블록들의 영역들 또는 슬라이스 그룹들로의 분배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서, 제1 슬라이스들은 장면으로 들어가는 새로운 영역들에 속하는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고, 이후의 슬라이스들은, 이들 영역이 화상에 남아 있는 동안 예측을 위해 사용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슬라이스 그룹의 분배예는 다음과 같이 도 3에서 도시된다:
- 슬라이스 그룹 n°1 :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까지 사선으로 크로스-해칭된, 화상의 좌측에 있는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2 : 좌측에서 우측까지 사선으로 크로스-해칭된, 그룹 n°1의 우측으로의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3 : 그룹 n°2의 우측으로의, 수평 크로스-해칭된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4 : 그룹 n°3의 우측으로의, 크로스-해칭되지 않은 마이크로블록,
- 슬라이스 그룹 n°5 : 그룹 n°4의 우측으로의, 수직 크로스-해칭된 마이크로블록.
제1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1 내지 16으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2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17 내지 32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3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33 내지 48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4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49 내지 64로 번호가 매겨지고, 제5 그룹의 마이크로블록은 65 내지 80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따라서, 65 내지 80으로 번호가 매겨진, 화상의 필드를 떠날 제1 마이크로블록은 최후 슬라이스 그룹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이 최후 슬라이스 그룹은 덜 효과적인 에러 정정으로 코딩된다.
영역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서, "수명" 파라미터 값의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이들 영역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영역은, 관련된 파라미터가 영역을 정의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마이크로블록들의 세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한은 화상에 대한 파라미터의 상위점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화상 전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벤더 네트워크를 통해, 마이크로블록들을 슬라이스들로 분할하기 위해서, FMO형의 툴을 포함하는 비디오 코딩 표준을 사용하는 디지털 화상 전송에 관한 것이다.
화상 영역의 우선 순위화를 행하여, 효율적으로 비디오 시퀀스의 화상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0)

  1. 화상을 화상의 블록들로 세분하고, 상기 화상의 텔레비젼 주사 순서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1) - 상기 영역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인 일련의 블록들을 포함함 - ,
    시퀀스의 현재 화상과 이전 화상 간의 이동을 추정하여, 상기 화상 블록과 이동 벡터를 결합하는 이동 필드를 제공하는 단계(2),
    인터(inter) 또는 인트라(intra) 블록 코딩 단계(3, 4), 및
    코딩된 블록 에러 정정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의 시퀀스 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상기 영역들의 순서에 따라서 영역에 의해 코딩되고, 일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영역을 구성하는 일련의 블록들의 순서에 따르고,
    이동 필드를 분석하는 단계(10)는, 이 블록에 관련된 이동 벡터에 따라서, 후속하는 화상에서의 존재 가능성에 상응하며 블록에 할당되는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상기 분할 단계(1)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고려해서, 최고 중요도에서 최저 중요도까지 상기 화상의 영역들을 정의하고 순서화하고,
    에러 정정 단계는, 이후 영역들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제1 영역들에 대응하는 코딩된 데이터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에러 정정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상기 "수명" 파라미터는 상기 블록에 할당된 이동 필드의 이동 벡터를 외삽(extrapolating)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화상 기준 베이스(image reference base)에서 고려되는 화상들은, 종래의 예측 양방향 B형의 화상들과는 다른 화상들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화상 기준 베이스에서 고려되는 화상들은, 종래의 예측 양방향 B 및 B-저장된 유형의 화상들과는 다른 화상들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시퀀스의 화상 번호 M에 대해 계산된 이동 벡터는, 화상 번호 M+m, M+2m, M+3m...에 대해 외삽되고, m은 양의 정수이며, 블록의 상기 파라미터 값은, 이 블록에 할당된 벡터의 엔드(end)가 이들 화상에 속하는 횟수에 따르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영역은 상기 파라미터의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정의되고, 영역은, 이 파라미터가 이 영역을 정의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블록들의 세트로 구성되 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코딩에 관한 데이터는, 패킷에 대응하는 상기 영역에 할당된 중요도에 따라 순서화된 데이터 패킷에서 조직화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영역은 H.264/AVC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슬라이스 그룹으로 구성되는 방법.
  9. 상기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세분하고, 영역을 구성하여, 화상을 화상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구성하고, 화상의 상기 블록들을 상기 순서화된 영역의 순서에 따라서, 이동 추정 회로(2) 및 인터 및 인트라 코딩 회로(3, 4, 6, 7 , 8, 9, 11)로 공급하기 위한 회로(1)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된 블록들은 에러 정정 회로로 전송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 필드의 이동 벡터에 따라서 상기 블록들의 "수명"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한 이동 필드 분석 회로(10)를 포함하고, 화상을 세분하고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회로(1)는, 상기 수명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이 파라미터에 따라서, 최고 중요도에서 최저 중요도까지 상기 영역을 구성하고 순서화하며, 상기 에러 정정 회로는, 이후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보다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영역은 슬라이스 또는 슬라이스 그룹에 대응하는 장치.
KR1020050089881A 2004-09-28 2005-09-27 소스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07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2179 2004-09-28
FR0452179A FR2875974A1 (fr) 2004-09-28 2004-09-28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 d'une sequence d'images sour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689A true KR20060051689A (ko) 2006-05-19
KR101207144B1 KR101207144B1 (ko) 2012-11-30

Family

ID=3495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881A KR101207144B1 (ko) 2004-09-28 2005-09-27 소스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99119B2 (ko)
EP (1) EP1641279A1 (ko)
JP (1) JP4829581B2 (ko)
KR (1) KR101207144B1 (ko)
CN (1) CN1756363B (ko)
FR (1) FR2875974A1 (ko)
MY (1) MY147325A (ko)
TW (1) TWI3827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8125B2 (en) 2006-12-22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tent adaptive video frame slicing and non-uniform access unit coding
JP4958825B2 (ja) * 2008-03-28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R2932035B1 (fr) * 2008-06-03 2010-08-20 Thales Sa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de proteger un flux video en cours de compression contre les erreurs survenant lors d'une transmission
US8325796B2 (en) * 2008-09-11 2012-12-0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ding using adaptive segmentation
CN105357509B (zh) * 2009-01-29 2017-09-15 杜比实验室特许公司 视频编码方法、视频信号解码方法及视频装置
US8615039B2 (en) * 2009-05-21 2013-12-24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ed allocation of multi-core computation for video encoding
KR101495724B1 (ko) 2010-02-02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데이터 단위의 스캔 순서에 기반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20120014676A (ko) * 2010-08-10 2012-0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적응적 부호화/복호화 모드 인덱싱 기법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CN106878725B (zh) 2010-10-08 2020-03-17 Ge视频压缩有限责任公司 编码器和编码方法与解码器和解码方法
US10244239B2 (en) 2010-12-28 2019-03-2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Parameter set for picture segmentation
US9154799B2 (en) 2011-04-07 2015-10-06 Google Inc. Encoding and decoding motion via image segmentation
CN102148990B (zh) * 2011-04-28 2012-10-10 北京大学 一种运动矢量预测装置和方法
US9262670B2 (en) 2012-02-10 2016-02-16 Google Inc. Adaptive region of interest
US9392272B1 (en) 2014-06-02 2016-07-12 Google Inc. Video coding using adaptive source variance based partitioning
US9578324B1 (en) 2014-06-27 2017-02-21 Google Inc. Video coding using statistical-based spatially differentiated partitioning
JP7009252B2 (ja) * 2018-02-20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903A (ja) * 1995-10-16 1997-05-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階層化符号化装置および階層化復号化装置
JPH09191457A (ja) * 1995-11-09 1997-07-22 Sanyo Electric Co Ltd パケット化装置及びmpeg信号の誤り訂正符号化方法
US7123658B2 (en) * 2001-06-08 2006-10-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ulti-priority streams
US6496217B1 (en) * 2001-06-12 2002-12-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del-based coding and prioritzation techniques
US6952450B2 (en) * 2002-02-15 2005-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nequal error protection of video based on motion vector characteristics
US20030206590A1 (en) * 2002-05-06 2003-1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PEG transcod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7325A (en) 2012-11-30
JP4829581B2 (ja) 2011-12-07
CN1756363B (zh) 2010-08-18
CN1756363A (zh) 2006-04-05
TW200611577A (en) 2006-04-01
KR101207144B1 (ko) 2012-11-30
US20060114996A1 (en) 2006-06-01
JP2006101527A (ja) 2006-04-13
FR2875974A1 (fr) 2006-03-31
EP1641279A1 (en) 2006-03-29
US7899119B2 (en) 2011-03-01
TWI382763B (zh)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44B1 (ko) 소스 화상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970003789B1 (ko) 비디오 부호기의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한 비트 할당 방법
KR101681353B1 (ko) 이미지 시퀀스를 나타내는 코딩된 데이터의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 및 이미지 시퀀스를 코딩하는 방법
EP2192785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uting a quantization factor
US20070025444A1 (en) Coding Method
US201202303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image data,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image data
US20070025442A1 (en) Coding method for coding moving images
EP2375754A1 (en) Weighted motion compensation of video
EP1833256B1 (en) Selection of encoded data, setting of encoded data, creation of recoded data, and recoding method and device
US20070064809A1 (en) Coding method for coding moving images
CA2757789A1 (en) Image encoding apparatus,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encoding program
US9113174B2 (en) Predictive co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US20080260041A1 (en) Advance macro-block entropy coding for advanced video standards
JP7343817B2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及び符号化プログラム
US20110170599A1 (en) Method of coding, decoding, coder and decoder
JP4133346B2 (ja) 予測タイプの選択によるビデオデータブロックのイントラ符号化
KR20000053028A (ko)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예측 코딩 방법 및 장치
US6697430B1 (en) MPEG encoder
US10171807B2 (en) Picture-level QP rate control for HEVC encoding
EP1720356A1 (en) A frequency selective video compression
US20120121010A1 (en) Methods for coding and decoding a block of picture data, devices for coding and decoding implementing said methods
US10742979B2 (en) Nonlinear local activity for adaptive quantization
KR20050095648A (ko)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장치
US8326060B2 (en) Video decoding method and video decoder based on motion-vector data and transform coefficients data
JP3779066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