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301A -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301A
KR20060051301A KR1020050085847A KR20050085847A KR20060051301A KR 20060051301 A KR20060051301 A KR 20060051301A KR 1020050085847 A KR1020050085847 A KR 1020050085847A KR 20050085847 A KR20050085847 A KR 20050085847A KR 20060051301 A KR20060051301 A KR 2006005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erred frequency
frequency information
preferred
network controll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516B1 (ko
Inventor
곽노준
정경인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상기 방법은,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의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의 통신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망 제어기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BMS(Multimedia Multicast/Broadcast Service), FLC(Frequency Layer Convergence), Session start, Preferred Frequency Layer(PL), Iur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 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REFERRED LAYER INFORMATION IN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YSTEM }
도 1은 MBMS 방송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MBMS시스템에서 FLC 상황의 주파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NC들과 UE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호주파수 지시 메시지와 채널 타입 변경 지시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RNC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RNC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L 지시메시지 구성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RNC의 동작 중 전용 공지 프로시저 수행 단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선호 주파수에서 MBMS가 서비스되는 주파수 계층 수렴(Frequency Layer Convergence, 이하 "FLC"라 칭함) 상황에서 세션이 시작할 때 셀 전용채널(CELL_DCH(dedicatedchannel))상태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들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종래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서비스 통신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방송/통신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나 혹은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소스에서 다수의 UE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MBMS 서비스가 논의되고 있다.
MBMS 서비스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이때 다수의 수신자가 하나의 무선 채널을 공유하도록 해서 무선 전송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MBMS 서비스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 정지 영상, 문자 등 멀티미디어 전송 형태를 지원하며, 상기 멀 티미디어 전송형태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대량의 전송 자원을 요구한다. MBMS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셀들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각 셀별로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일대일(Point to Point, 이하 "PtP"라 칭함) 또는 일대다(Point to Multiple, 이하 "PtP"라 칭함)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MBMS 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노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하는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방식의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시스템에 MBMS 서비스를 적용한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UE들(161, 162, 163, 171, 172)은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혹은 가입자를 의미하며, 셀 1(160)과 셀 2(170)는 가입자들에게 MBMS 관련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 즉 노드 B에 의해 제어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인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다.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40)는 상기 다수의 셀들(160, 170)을 제어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특정 셀로 선별적으로 전송하고, MBMS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무선 채널을 제어한다. RNC(140)와 UE들(161, 162, 163, 171, 172) 사이의 접속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칭함)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상기 RNC(140)는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30)에 의해, 인터넷 등과 같은 패킷 교환 서비스(Packet Switched or Packet Service, 이하"PS"라 칭함) 네트워크로 접속된다. 상기 RNC(140)와 PS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은 PS 시그널링(Signal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RNC(140)와 SGSN(130) 간의 접속은 Iu-PS 인터페이스라 칭해진다. 상기SGSN(130)은 각 가입자들의 MBMS 관련 서비스를 제어한다. 상기 SGSN(130)이 담당하는 역할의 대표적인 예로는 각 가입자의 서비스 과금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특정 RNC(140)에게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역할 등이 있다.
운송 네트워크(Transit NW)(120)는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이하 "BM-SC"라 칭함)(110)와 SGSN(130)사이의 통신로를 제공하며,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 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BM-SC(110)는 MBMS 데이터의 근원지로서 MBMS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책임지고 있다.
한편 상기 RNC(140)는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150)에 의해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이하 "CS"라 칭함)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상기 CS 네트워크는 접속-기반인 음성 위주의 기존(legacy)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상기 RNC(140)와 상기 MSC(150) 사이의 통신은 CS 시그널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RNC(140)와 MSC(150) 간의 접속은 Iu-CS 인터페이스라 칭해진다.
상기 BM-SC(110)로부터 발생된 MBMS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운송 네트워크 (120), SGSN(130), RNC(140) 및 셀들(160, 170)을 거쳐서 UE들(161, 162, 163, 171 및 172)에게 도달하게 된다.
상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MBMS 서비스를 위해서 다수의 SGSN들과 각 SGSN에 대해서 다수의 RNC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각 SGSN은 다수의 RNC들로, 각 RNC는 다수의 각 셀들로 선별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각 노드들은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해야 할 하위 노드들의 명단(즉, SGSN의 경우 RNC들의 명단, RNC의 경우 셀들의 명단) 등을 저장해서 상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노드들로만 선별적인 MBMS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MBMS 시스템에서는 제공 가능한 MBMS 서비스들 각각에 대해 보다 바람직한 주파수 계층(이하 "선호주파수(PL:Preferred Frequency Layer)"라 칭함)를 할당하고, MBMS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UE들이 가능한 한 선호 주파수에서 원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FLC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상기 선호 주파수는 전체 서비스 영역에 대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주파수 정책 혹은 셀 상황에 의해 지역별로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MBMS시스템에서 FLC 상황의 주파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주파수 1 내지 3)를 각각 사용하는 3개의 계층들(221, 222, 223)이 공간적으로 중첩되어 있고,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기 이전에 상기 주파수 계층들(221 내지 223)에서는 복수의 UE들(211, 212, 213, 214)이 캠핑하고 있다. 상기 주파수 계층들(221 내지 223) 중 주파수 계층 2(222)가 상기 MBMS서비스의 선호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다.
CN(Core Network)(201)은 BM-SC, 전송 네트워크, MSC, SGSN 등의 노드들을 간략히 표시한 것이다. 상기 UE들(211 내지 214) 을 관리하는 RNC1(202)과 상기 주파수 계층들(221 내지 223)을 관리하는 RNC2(203)는 CN (20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CN (201)와 RNC들(202, 203)을 연결하는 유선 통로(231)는 Iu 인터페이스, RNC1(202)과 RNC2(203)를 연결하는 유선통로(232)는 Iur 인터페이스라 칭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계층들(221 내지 223)을 직접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RNC2(203)와 UE들(211 내지 214)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노드 B는 생략되었다. 여기서 RNC2(203)는 UE들(211 내지 214)이 위치하는 주파수 계층들(221 내지 223)을 직접 관리하는 드리프트(Dirft) RNC(이하 "DRNC"라 칭함)이며, RNC1(202)은 상기 UE들(11 내지 14)의 통신을 관리하는 서빙(Serving) RNC(이하 "SRNC"라 칭함)이다.
여기서, 전용 채널(DCH : Dedicate Channel)을 통하여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상기 UE("Cell_DCH 상태의 UE"라고 칭함)(예를 들어 211, 213, 214)들은 MBMS 제어 채널(MBMS Control Channel, 이하 "MCCH"라 칭함)을 읽지 않으므로 선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SRNC(202)가 CELL_DCH 상태의 UE들(211, 213, 214)에게 전용 제어채널을 통해 선호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함을 인지한 DRNC가 선호 주파수를 선택하여 SRNC에게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DRNC가 MBMS 서비스의 선호 주파수 정보를 SRNC에게 전달해 줌에 있어서, Iur 상의 시그널링 베어러를 사용하는RNSAP 프로시저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의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의 통신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망 제어기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들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이 위치하고 있는 셀들을 관리하는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의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을 관리하는 서빙 무선망 제어기와, 상기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송하는 드리프트 무선망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서빙 무선망제어기는,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 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할 때 CELL_DCH UE들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SRNC는 상기 MBMS서비스의 선호 주파수 정보를 상기 CELL_DCH UE들에게 전용 제어 채널로 전달해주며, DRNC와 SRNC가 다를 경우 SRNC가 RRC 메시지를 통해 선호 주파수 정보를 UE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DRNC는 선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SRNC에게 전달해 준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NC들과 UE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310과 311에서 SGSN(도시하지 않음)은 SRNC(301)와 DRNC(302)에게 각각 특정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됨을 알려준다. 단계 312에서 UE(303)는 CELL_DCH 상태이다. 상기 DRNC(302)는 단계 320에서 자신이 관리하는 셀들의 부하(load) 및 기존 MBMS 서비스가 실행되던 주파수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MBMS 서비스를 위한 선호 주파수(PL: Preferred Frequency Layer)을 선정한다. 단계 340에서 DRNC(302)는 SRNC(301)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고 단계 350에서 상기 SRNC(301)는 전용 공지(dedicated notification) 프로시저를 통하여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UE(303)에게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알려주게 된다.
상기 단계 340에서 DRNC(302)와 SRNC(301) 사이의 선호 주파수 정보의 전달 은 RNSAP(Radio Network System Application Part) 메시지인 선호주파수 지시(Preferred Layer Indication) 메시지를 사용하거나 채널 타입 변경 지시(Channel Type Reconfiguration Indication) 메시지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도 3에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변형된 실시예로서, 단계 340과 단계 350 사이에서 SRNC(301)는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DRNC(302)에게 PL 확인(CONFIRM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호주파수 지시 메시지와 채널 타입 변경 지시 메시지의 포맷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a의 선호주파수 지시 메시지에 나타낸 바와 같이, RNC에서 선호 주파수는 여러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MBMS 서비스는 상기 RNC가 관리하는 모든 셀에서 같은 선호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른 경우 각 노드 B 마다 혹은 여러 셀들을 묶은 셀 그룹마다 각기 다른 선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4a에서 maxNodeB, maxCellCroup, maxCell은 각각 DRNC 아래의 노드 B, 셀 그룹, 셀의 개수를 나타내고 DL UARFCN(Downlink 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은 선호 주파수로 선택된 주파수 계층을 나타낸다. 또한 한 위치에서 여러 주파수가 선호 주파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DL UARFCN은 RNC, 각 노드 B, 각 셀 그룹, 혹은 각 셀에 대해 미리 설정된 선호 주파수의 개수인 maxPL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선호 주파수 정보는 선택된 선호 주파수 영역에 대해, 상기 DRNC의 maxPL개의 선호 주파수들, maxNode B개의 노드 B들에 대해 maxPL 개의 선호 주파수들, maxCellGroup개의 셀 그룹들에 대해 maxPL개의 선호주파수들, 혹은 maxCell개의 셀들에 대해 maxPL개의 선호 주파수들을 나타낸다.
채널 타입 변경 지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선호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도 4b와 같이 각 셀의 선호주파수를 나타내는 maxPL개의DL UARFCN이 정보를 기존의 채널 타입 변경 지시 메시지의 MBMS 베어러 서비스리스트에 포함된다.
상기 MBMS 베어러 서비스 리스트는, 채널 타입의 변경을 위해, MBMS 서비스 ID를 나타내는 TMGI(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전송모드, MBMS를 위한 UE정보를 나타내는 S-RNTI(SRN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RNC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PL지시 메시지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DRNC는 단계 510에서 SGSN으로부터 MBMS 세션 시작 메시지를 받고 단계 520으로 진행하여 상기MBMS 서비스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DRNC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셀, 셀그룹의 노드 B들에 대해 선호 주파수를 결정한다. 단계 530에서 DRNC는 상기 DRNC에 속해 있는 CELL_DCH UE들의 SRNC를 검색하여 PL 지시메시지를 전송할 SRNC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SRNC들에게 전송할 PL 지시메시지를 구성한다. 단계 540에서 DRNC는 상기 PL 지시메시지를 상기 결정된 SRNC들에게 전송한다. 앞서 언급한 변형된 실시예의 경 우, DRNC는 상기 SRNC들로부터 PL 확인메시지를 대기하여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동작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RNC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RNC는 단계 610에서 DRNC로부터 PL 지시메시지를 받으면, 단계 630으로 진행하여 상기 DRNC하위의 셀들에 위치한 Cell_DCH UE들에게 MBMS 세션이 곧 시작할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전용통지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SRNC는 상기 PL 지시메시지를 잘 받았는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하여, 단계 620에서 DRNC에게 PL 확인메시지를 전송한 후 단계 6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도 5와 상기 도 6에서는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채널타입변경 지시 메시지를 사용하여 선호주파수 정보를 전달할 경우 상기 도 5의 단계 530, 540, 상기 도 6의 단계 610, 620의 PL 지시/확인 메시지를 대신하여 채널 타입 변경 지시/확인이 사용됨은 자명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세션 시작시 DRNC가 각 셀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한 후, 상기 도 3의 440 단계인 PL 지시메시지를 통해 SRNC에게 각 셀에서 선택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메시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2의 전반적인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상기 실시예 1의 도 3, 도 5 및 도 6의 프로시져는 실시예 2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의 도 4a처럼 한 메시지 안에 DRNC 아래에 존재하는 모든 셀의 선호 주파수 정보를 넣어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도 4c의 포멧과 같이, SRNC가 관리하고 현재 DRNC 아래에 위치하는 CELL_DCH UE들이 캠핑하고 있는 셀들의 선호주파수만을 전달해 준다.
또한 선호 주파수 정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셀들의 선호주파수 중 가장 빈번한 선호주파수를 기본 선호주파수 (default preferred frequency)로 설정하여 상기 기본 신호 주파수가 설정된 셀 아이디는 따로 전달해 주지 않으며, 상기 기본 선호주파수와 다른 선호주파수마다 관련된 셀 아이디 목록을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L 지시메시지 구성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은 실시예 2를 따르는 DRNC의 동작 중 도 5의 530단계인 PL 지시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을 좀 더 자세히 나타낸다.
단계 710에서 셀 카운트 값 n을 0으로 설정한 후, 단계 720에서 DRNC는 n이 상기 DRNC 아래에 존재하는 모든 셀의 개수 total_cell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만일 n이 작다면, 단계 730로 진행하여 만약 셀 n 아래에 SRNC가 관리하는 CELL_DCH UE가 존재한다면 단계 7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750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740에서는 셀 n에서 선호주파수로 설정된 주파수 i의 카운트 값 F_i를 하나 늘리고 상기 주파수 i에 관련된 셀 리스트 List_i에 현재 셀 아이디 Cell_n을 추가하고 단계 750으로 진행한다.
단계 750에서는 셀 카운트 값 n을 하나 늘린 후 단계 720에서 n값과 total_cell값을 비교하여 DRNC가 관리하는 모든 셀에 대하여 단계 730내지 750의 카운팅 과정을 마쳤는지를 판단한다. 모든 셀에 대해 카운팅 과정을 마쳤다면 단계 760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760에서는 상기 카운팅 과정에서 설정된 각각의 선호주파수 i의 카운트 값들 F_i를 비교하여 이들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선호 주파수를 기본 선호주파수 (default preferred frequency)로 설정하고 나머지 선호주파수마다 관련된 cell_id들의 리스트를 생성한다.PL 지시메시지는 상기 기본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기본 선호 주파수 정보와, 나머지 선호 주파수들의 셀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부가 신호 주파수 정보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RNC의 동작 중 전용 공지 프로시저 수행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은 실시예 2를 따르는 SRNC의 동작 중 도 6의 단계 630인 전용 공지 프로시저 수행 단계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 810에서 UE 카운트 값 n을 0으로 설정한 후, 단계 820에서 n이, 현재 DRNC 아래에 존재하고 전용채널을 가지는 모든 UE의 개수 total_UE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작다면, 단계 830으로 진행하여 DRNC로부터 받은 PL 지시메시지에 부가 선호 주파수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계 850으로 진행하여 UE_n의 선호주파수를 상기 PL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선호 주파수로 설정한 후 단계 870에서 UE_n에게 상기 설정된 선호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용공지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830에서 만약 PL 지시메시지에 부가 선호 주파수정보가 존재한다면 840단계로 진행하여 UE_n이 위치한 셀 ID인 CID_n이 상기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 내의 셀 아이디 리스트인 CID_list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만약 CID_n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 850으로 진행하여 UE_n의 선호주파수를 상기 기본 선호주파수로 설정한 후 단계 870에서 UE_n에게 상기 설정된 선호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용공지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에 만약 CID_n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단계 860에서 상기 리스트와 연관된 선호주파수를 상기 UE_n의 선호 주파수로 설정하고, 870단계에서 UE_n에게 상기 설정된 선호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용공지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DRNC 아래에 존재하는 모든 CELL_DCH UE들에 대해 반복하고, 단계 820에서 상기 n이 현재 DRNC 아래에 존재하는 모든 UE의 개수보다 작지 않다면,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 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DRNC는 특정 MBMS 세션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했을 때 DRNC에서 SRNC로 선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여 SRNC가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용채널을 가지는 UE들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3)

  1.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의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의 통신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망 제어기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상기 서빙 무선망제어기가 관리하는 전용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들이 존재하는 셀들에 대해 선택된 기본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기본 선호 주파수 정보와, 상기 기본 선호 주파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선호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해당하는 셀들을 나타내는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는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응용부(RNSAP)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들이 위치하는 셀들을 관리하는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NSAP 메시지는,
    선호 주파수 지시 메시지 혹은, 채널 타입 변경 지시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 는,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해 무선망 제어기, 기지국, 셀 그룹, 또는 셀마다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며 전용채널을 가지는 단말들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들의 통신을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무선망 제어기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며, 전용채널을 가지고 있는 단말들이 캠핑하고 있는 셀들의 선호 주파수들을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들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이 위치하고 있는 셀들을 관리하는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의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과,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전용채널을 가지고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이 존재하는 셀들에 대한 기본 선호주파수 정보와,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는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에게 상기 선호주파수를 통지하는 과정은,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받은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상기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제어기에 속하며 전용채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들이 위치하는 모든 셀들의 선호주파수를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기본 선호 주파수로 설정하는 과 정과,
    상기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전용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들이 위치하는 셀들 각각에 대해 해당 셀 아이디가 상기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 정보의 셀 아이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셀아이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셀의 선호주파수를 상기 기본 선호주파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셀아이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셀의 선호 주파수를 상기 셀 아이디 리스트와 연관된 선호 주파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든 셀들에 대해 설정된 선호 주파수들을 상기 전용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전용 제어 채널을 통해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응용부(RNSAP)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들이 위치하는 셀들을 관리하는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RNSAP 메시지는,
    선호 주파수 지시 메시지 혹은, 채널 타입 변경 지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 는,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해 무선망 제어기, 기지국, 셀 그룹, 또는 셀마다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에 대해 선호 주파수 계층과 비선호 주파수 계층을 설정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을 관리하는 서빙 무선망 제어기와,
    상기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시작하면, 상기 MBMS 서비스의 선호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선호 주파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에게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송하는 드리프트 무선망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서빙 무선망제어기는,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상기 서빙 무선망제어기가 관리하는 전용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들이 존재하는 셀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본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기본 선호 주파수 정보와, 상기 기본 선호 주파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선호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해당하는 셀들을 나타내는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부가 선호 주파수 정보는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성망 제어기는,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받은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제어기 아래에서 전용채널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용자 단말의 선호주파수를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기본 선호 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전용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들이 위치하는 셀들 각각에 대해 해당 셀 아이디가 상기 추가적인 선호 주파수 정보의 셀 아이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셀아이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셀의 선호주파수를 상기 기본 선호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셀아이디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셀의 선호 주파수를 상기 셀 아이디 리스트와 연관된 선호 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모든 셀들에 대해 설정된 선호 주파수들을 상기 해당 셀들에 위치하고 전용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통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응용부(RNSAP)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RNSAP 메시지는,
    선호 주파수 지시 메시지 혹은, 채널 타입 변경 지시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는,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해 무선망 제어기, 기지국, 셀 그룹, 또는 셀마다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선호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며 전용채널을 가지는 단말들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들의 통신을 관리하는 상기 서빙 무선망 제어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50085847A 2004-09-15 2005-09-14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0689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3972 2004-09-15
KR1020040073972 2004-09-15
KR1020040089671 2004-11-05
KR20040089671 2004-11-05
KR20040105897 2004-12-14
KR1020040105897 2004-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301A true KR20060051301A (ko) 2006-05-19
KR100689516B1 KR100689516B1 (ko) 2007-03-02

Family

ID=3614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847A KR100689516B1 (ko) 2004-09-15 2005-09-14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39493B2 (ko)
EP (1) EP1762022B1 (ko)
JP (1) JP4510083B2 (ko)
KR (1) KR100689516B1 (ko)
CN (1) CN101015142B (ko)
WO (1) WO2006031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434A2 (en) * 2000-02-14 2001-08-16 Novolytic, Inc. Diagnostic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ffecting tumor growth using oxygen mimetic agents
KR100724900B1 (ko) * 2004-09-1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주파수 계층 수렴을 사용하는 단말기를 위한 하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0689516B1 (ko) * 2004-09-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GB0502496D0 (en) * 2005-02-08 2005-03-16 Siemens Ag A method of cell re-selection
GB2439369A (en) * 2006-06-26 2007-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ing and transmitting mobile television services available to a mobile device user
CN101496310B (zh) * 2006-07-24 2013-07-24 Lg电子株式会社 用于广播服务的点对点无线承载
CN100456892C (zh) * 2006-10-13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多媒体广播业务迁移的方法及无线网络控制器
JP2008125081A (ja) * 2006-11-13 2008-05-29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のユーザー端末においてmbmsの動作周波数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CN100461970C (zh) * 2006-11-30 2009-0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多个移动多媒体广播网络间快速切换的方法
EP2165570B1 (en) * 2007-07-06 2015-06-17 Nokia Technologies Oy Reconfiguration of fractional dedicated channel slot format
US9113440B2 (en) * 2008-10-31 2015-08-18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re network node, control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5573676B2 (ja) 2008-10-31 2014-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局、基地局、通信方法、プログラム
KR101943322B1 (ko) 2011-04-03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51832A2 (ko) * 2011-10-03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관심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001737B2 (en) * 2012-03-29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EMBMS service activation and maintenance procedure in multi-frequency networks
CN104113914B (zh) 2013-04-17 2019-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多播信道的配置、发送和接收方法及系统
WO2016065631A1 (zh) * 2014-10-31 2016-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组通信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2396A (en) * 1928-02-13 1929-07-30 Winfield S Reiber Milk bottle
US3190546A (en) * 1959-03-27 1965-06-22 Raccuglia Giovanni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 mixtures
US3420437A (en) * 1967-02-15 1969-01-07 Sorvall Inc Ivan Cell washing centrifuge
US3645252A (en) * 1968-12-05 1972-02-29 Gilford Instr Labor Inc Apparatus for sampling blood or the like fluid
US3586484A (en) * 1969-05-23 1971-06-22 Atomic Energy Commission Multistation analytical photometer and method of use
US3603311A (en) * 1970-02-19 1971-09-07 Illinois Tool Works Sliding wedge-type removable guide needle
US3642163A (en) * 1970-03-20 1972-02-15 Lorrell C Mcfarland Multitubular pressure tank
US3605829A (en) * 1970-04-29 1971-09-20 Becton Dickinson Co Blood handling machine
US3774455A (en) * 1971-12-22 1973-11-27 D Seidler Urine testing apparatus
BE793544A (fr) * 1972-01-31 1973-04-16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Centrifugeur
IT954219B (it) * 1972-04-21 1973-08-30 Tomasello M Contenitore di urina destinata alle analisi
US3877634A (en) * 1973-05-25 1975-04-15 Du Pont Cell washing centrifuge apparatus and system
US3851817A (en) * 1973-05-29 1974-12-03 E Buck Method and means for centrifuging chilled blood samples
US3953172A (en) * 1974-05-10 1976-04-27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aying liquid materials
IT1028403B (it) * 1975-01-16 1979-01-30 Crippa Egidia Contenitore con provetta esterna per analisi di urine e altri liquidi acidi
US3951334A (en) * 1975-07-07 1976-04-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centrifuge tubes
US4066407A (en) * 1976-12-16 1978-01-03 Vincent Lupica Body fluid testing system and process
US4150089A (en) * 1977-09-06 1979-04-17 Linet Michael S Multi-chamber test tube
US4146172A (en) * 1977-10-18 1979-03-2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entrifugal liquid processing system
JPS5828529B2 (ja) * 1978-11-03 1983-06-16 株式会社日本クリンエンジン研究所 携帯用定容積比率混合容器
DE2929425A1 (de) * 1979-07-20 1981-02-12 Lothar Kling Vorrichtung fuer injektionsspritzen zur intramuskulaeren und subentanen injektion
US4285463A (en) * 1979-11-01 1981-08-2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Decanting centrifuge
US4431432A (en) * 1980-12-26 1984-02-1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mixed gas such as air
CA1216518A (en) * 1982-11-01 1987-01-13 Gail A. Rock Plasma-free medium for platelet storage
US4676775A (en) * 1984-06-27 1987-06-30 David M. Roxe Fluid admini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714457A (en) * 1986-09-15 1987-12-22 Robert Alterbaum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eparation of fibrinogen from a patient's blood
US4838282A (en) * 1987-02-26 1989-06-13 Manan Manufacturing Co., Inc. Bone biopsy needle assembly
DE68902698C5 (de) * 1988-06-23 2005-07-14 Asahi Medical Co. Ltd. Verfahren zur Trennung von Blut in Blutkomponenten und Einheit zur Trennung von Blutkomponenten.
FR2638359A1 (fr) * 1988-11-03 1990-05-04 Tino Dalto Guide de seringue avec reglage de la profondeur de penetration de l'aiguille dans la peau
US4932546A (en) * 1989-03-16 1990-06-12 Buttes Gas & Oil Co. Pressure vessel
US5045047A (en) * 1989-07-17 1991-09-03 Zymark Corporation Automated centrifuge
US5318524A (en) * 1990-01-03 1994-06-07 Cryolife, Inc. Fibrin sealant delivery kit
US5047004A (en) * 1990-02-07 1991-09-10 Wells John R Automatic decanting centrifuge
US5178602A (en) * 1990-02-07 1993-01-12 Wells John R Automatic decanting centrifuge
US5089146A (en) * 1990-02-12 1992-02-18 Miles Inc. Pre-storage filtration of platelets
US5209776A (en) * 1990-07-27 1993-05-1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Tissue bonding and seal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167641A (en) * 1991-05-29 1992-12-01 Arnis, Inc. Auto-retracting needle injector system
JP2705744B2 (ja) * 1992-11-13 1998-0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US5447245A (en) * 1993-07-20 1995-09-05 Merhar; Richard D. Graduated proportioning and mixing container
US5503284A (en) * 1994-12-23 1996-04-02 Li; Hofman Y. Single continuous wall, multi-chamber container
US5707331A (en) * 1995-05-05 1998-01-13 John R. Wells Automatic multiple-decanting centrifuge
US20020111166A1 (en) 2001-02-12 2002-08-15 Opuswave Network,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prefer red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0201949D0 (sv) * 2002-06-20 2002-06-20 Ericsson Telefon Ab L M MBMS Support in UTRAN
CN100551138C (zh) 2002-08-16 2009-10-1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由drnc发起为mbms建立与核心网的数据连接的方法
EP1467586B1 (en) 2003-04-09 201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ell reselection in an MBM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80999B1 (ko) * 2003-08-07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CA2534277C (en) 2003-08-22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 reselection method for receiving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bms
US20050147127A1 (en) * 2004-01-02 2005-07-07 Padmaja Putcha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436811B2 (en) * 2004-01-02 2008-10-14 Motorola Inc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141350B1 (ko) * 2004-05-06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bms서비스를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통지 송수신방법
KR20050107968A (ko)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US7948940B2 (en) * 2004-07-27 2011-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frequency layer for connected mode UE in an MBM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33143B1 (ko) * 2004-07-27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커넥티드 모드 단말기를 위한 주파수 선택/선택제어 방법 및 장치
CN101765058B (zh) * 2004-08-05 2015-12-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多媒体广播/组播业务的频率选择方法及其移动终端
KR100689516B1 (ko) * 2004-09-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0663417B1 (ko) * 2004-12-23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멀티미디어/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1069A1 (en) 2006-03-23
CN101015142A (zh) 2007-08-08
EP1762022A1 (en) 2007-03-14
EP1762022A4 (en) 2007-12-12
JP2008508785A (ja) 2008-03-21
KR100689516B1 (ko) 2007-03-02
US7539493B2 (en) 2009-05-26
US8050679B2 (en) 2011-11-01
US20080207211A1 (en) 2008-08-28
EP1762022B1 (en) 2011-09-14
JP4510083B2 (ja) 2010-07-21
CN101015142B (zh) 2010-12-29
US20060079239A1 (en)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16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JP4087857B2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ための制御情報を効率的に送信する方法
JP4494477B2 (ja) 端末の移動性に従うマルチメディア放送/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JP3908763B2 (ja) MBMSにおけるポイント対ポイント(PtP)チャンネルとポイント対マルチポイント(PtM)チャンネルの変更方法
JP4486087B2 (ja) Mbmsの受信方法、伝送方法、支援方法
US200601713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session non-interest indication information of UE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KR20060024756A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세션의 종료시 셀 재선택 방법
JP4688887B2 (ja) Mbmsに関する情報を伝送する装置及び方法
KR20060010682A (ko) 라디오 자원 상태에 따른 커넥티드 모드 단말기의 차별적flc 적용 방법
KR100790130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세션 무관심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6722A (ko)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성을 고려한 멀티미디어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의 핸드오버 방법
KR2004010033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