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244A -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방법 - Google Patents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244A
KR20060051244A KR1020050085135A KR20050085135A KR20060051244A KR 20060051244 A KR20060051244 A KR 20060051244A KR 1020050085135 A KR1020050085135 A KR 1020050085135A KR 20050085135 A KR20050085135 A KR 20050085135A KR 20060051244 A KR20060051244 A KR 2006005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s
phone
log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947B1 (ko
Inventor
앤드류 디 보킹
빈 레이몬드 피 밴더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은 축약 방식으로 로깅된 폰 호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향상된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데, 이 축약 방식은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호출이 저장되는 폰번호마다, 가장 최근 시간의 호출만이 호출 로그 상에 리스트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향상된 호출 로그로부터 어떤 폰 호출에 대한 호출 이력을 제공한다. 호출 이력은 선택된 호출 로그 호출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된 호출들의 모든 리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PHONE CALL LOG, AND ASSOCIATE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로그를 나타낸, 도 1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 로그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루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옵션 메뉴와 호출 로그를 나타내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부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이력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루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이력을 나타내는, 도 1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부분도.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4: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
43: 홈 스크린
48: 폰 애플리케이션
50: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더욱 자세하게는,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가진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신청, 수신 또는 수신 실패되는 폰 호출에 관한 정보를 로깅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유형의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컴퓨터, 쌍방향 페이저, 셀룰라 전화기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는 휴대형의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소형이다. 또한, 많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들은 그 외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없는 기능을 가진 독립형 디바이스이들이지만,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다.
많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들은 셀룰라 전화 기능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종종 디바이스에 의해 신청, 수신 또는 수신 실패되는 폰 호출의 로그를 저장하는데 이 폰 호출의 로그를 통상 호출 로그라 한다. 호출 로그 내에 포함되는 정보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액세스될 수도 있고 표시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정보는 언제 특정 폰 호출이 신청, 수신 또는 수신 실패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상기하도록 하여, 예를 들어, 관련 전화번호나, 호출과 관련된 사람의 이름, 주소, 또는 이메일 주소와 같은 호출에 대한 정보를 액세스하게 하는데 유용하다.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의 호출 로그들은 항상 가장 최근의 호출을 첫번째로 시작하여, 각각의 호출과 관련된 시간과 날짜에 기초하여 시간순으로 사용자에게 폰 호출 정보를 표시한다. 몇몇 종래 기술의 호출 로그는 호출이 누락된 것, 즉, 수신 실패된 호출, 또는 수신된 호출 또는 신청된 호출이 존재하는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로깅된 호출을 묶어 표시한다. 이 경우, 통상, 호출들은 여전히 시간순으로 표시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동일한 발신 또는 다이얼링된 폰 번호 또는 콘택트한 사람과 관련된 모든 로그 호출을 같이 묶어 링크시킴으로써,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폰 호출 이력 보기(view)를 기초하여 콘택트를 가질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호출 로그들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발신 또는 다이얼링된 폰 번호 또는 콘택트한 사람과 관련된 호출 이력을 알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 폰번호 또는 콘택트한 사람에 대한 모든 엔트리들의 시간순으로 발신된 호출 로그를 수동으로 탐색해야 한다.
본 발명의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은 축약 방식으로 로깅된 폰 호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향상된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데, 이 축약 방식 은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호출이 저장되는 폰번호마다, 가장 최근 시간의 호출만이 호출 로그 상에 리스트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향상된 호출 로그로부터 어떤 폰 호출에 대한 호출 이력을 제공한다. 호출 이력은 선택된 호출 로그 호출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된 호출들의 모든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형태 및 다른 형태들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상에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발신 및 착신한 복수의 폰 호출에 대한 호출 관련 정보를 저장하되, 각각의 폰 호출은 폰 번호와 관련되어 있는 것인, 호출 관련 정보의 저장 단계와, 호출 로그 폰 호출들의 리스트를 컴파일하되, 호출 로그 폰 호출은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저장된 폰 호출인 것인 컴파일 단계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호출 날짜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는 호출 로그 폰 호출 마다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로그는 가장 최근 호출을 첫번째 시작으로 하여 시간순으로 호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선택된 호출과 관련된 날짜, 시간, 기간 및 폰 번호와 같은 선택된 호출 로그 호출에 대한 호출 관련 정보의 부분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호출 로그 호출들 중 하나에 대한 호출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이력은 선택된 호출 로그 호출의 폰 번호와 관련된 모든 저장된 폰 호출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이 방법은 선택된 호출 이력 호출 또는 선택된 호출 로그 호출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 옵션의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사용자 옵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향상된 호출 로그 능력을 가진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호출 로그를 검증하는 개선된 방법의 여러 실시형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가 도 1과 도 2에 일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는 하우징(8), 디스플레이(12), 입력 장치(16), 및 마이크로프로세서(μP)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프로세서(20; 도 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는 입력 장치(16)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2)에 출력을 제공한다.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그러한 정보들은 저장될 수도 있고 하드카피 상에 인쇄되고, 컴퓨터 변환되고, 그 외의 데이터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모든 처리를 여기서는 "표시" 또는 "표시중"이란 용어로 나타내었다.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들의 예들로는, 미국 특허 제 6,452,588호 및 제6,489,95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그 내용을 참조로 포함한다. 아래 보다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는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 셀룰라 전화 능력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여기서 이용된, 용어 "폰" 또는 "전화"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시되거나 접속되는 어떠한 형태의 음성 통신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16)는 복수의 키(26) 및 회전가능 썸브휠(28; Thumbwheel)을 가진 키보드(24)를 포함한다. 여기에 이용된, 표현 "키" 및 이들의 변형물은 버튼, 스신청(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와 같은 여러 입력 부재를 넓게 의미한다. 키(26)와 회전가능 썸브휠(28)은 입력 장치(16)의 입력 부재이며, 입력 부재 각각에 그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여기에 이용된, 표현 "펑션" 및 그 변형물은 어떤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프로세스, 작업, 과정, 루틴, 서브루틴, 펑션 호출, 또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프로세서(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그 외 다른 형태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는 메모리(44)와 전자 통신하고 있다. 메모리(4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AM, ROM, EPROM(s), EEPROM(s) 등과 같이, 컴퓨터의 내부 저장 영역의 방식과 같이 데이터 저장에 대한 저장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내부 및/또는 외부 저장 매체의 여러 형태 중 어떠한 것도 될 수 있 으며,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다. 메모리(44)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프로세서(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과 같은 여러 형태 중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며, 용어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루틴, 서브루틴, 펑션 호출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포함한다.
도 2에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는 통신 서브시스템(45)과 전자 통신하고 있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통신 펑션들은 통신 서브시스템(45)을 통하여 수행된다. 통신 서브시스템(45)은 송신기 및 수신기(가능하다면, 단일 송수신기 구성요소로 결합됨)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국부 오실레이터와 같은 다른 알려진 구성요소들도 또한 통신 서브시스템(45)의 부분으로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45)의 구체 설계 및 구현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가 동작하도록 의도되는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는 MobiltexTM, Dat TACTM, 또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모바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AMPS, TDMA, CDMA, PCS, GSM 및 그 외의 적합한 네트워크와 같은 여러 음성 통신 네트워크 중 어떠한 것으로도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그 외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 및 음성 네트워크가 별도로 또는 통합되어,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프로세서(20), 메모리(44) 및 통신 서브시스템(45)이 (여러 형태의 기능성을 가진) 그 외의 구성요소들과 함께 프로세 싱 유닛으로도 될 수 있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12)는 폰 애플리케이션(48)과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한, 별도의 아이콘(46)으로서 나타내어지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43)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정보, 무엇보다도, 콘택트의 이름, 폰 번호, 집 및 사무소 주소, 이메일 주소, 및 사람과 콘택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그 외의 정보를 포함한 콘택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 홈 스크린(43)은 현재 활성 중이며,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2)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로 착신되는 폰 호출이 현재 있음을 나타내는 팝업 박스(52)를 보여준다. 팝업 박스(52)는 예를 들어, 호출자의 폰 번호를 포함하고, 호출자 및 폰 번호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에 의한 콘택트로서 저장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식별하는 착신 호출에 관한 어떤 정보를 제공한다. 도 1의 화살표(54)로 표시된 방향으로 섬브휠(28)을 회전시키고 섬브휠(28)을 이동시켜 선택 입력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입력 장치(16)를 통하여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폰 애플리케이션(48) 또는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과 같은 그 외의 애플리케이션이 홈 스크린(43)으로부터 개시될 수도 있다.
폰 애플리케이션(48)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에 의해 신청되는 모든 발신 폰 호출 및 수신 또는 수신 실패되는 착신 폰 호출에 관한 어떤 정보를 메모리(44) 에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호출의 날짜 및 시간, 호출과 관련한 폰 번호, 및 호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폰 애플리케이션(48)은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를 이용하여 신청되는 발신 폰 호출 및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에 의해 수신 및/또는 수신 실패되는 착신 폰 호출에 관한 정보를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향상된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호출(58)을 포함하는 호출 로그(56)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호출 로그(56)는 축약 방식으로 로깅된 호출을 표시하는데, 이 방식은 폰 애플리케이션(48)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는 호출 또는 호출들에 관한 정보를 가진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하여, 가장 최근 시간의 호출(58)만이 호출 로그(56) 상에 리스트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메모리(44)에 저장된 호출 또는 호출들에 관한 정보를 가진 개개의 폰 번호는 호출 로그(56)에서 단일 엔트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호출 로그(56) 상에 리스트된 호출 로그 호출들(58) 각각은 호출의 날짜와 시간, 호출의 특성(즉, 신청, 수신, 또는 수신 실패되었는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문의시 사람 또는 그 폰 번호가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에 의해 콘택트로서 저장된 경우의 호출자 또는 피호출자의 이름, 또는 호출자 또는 피호출자가 콘택트로서 저장되지 않은 경우의 호출과 관련한 폰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호출 로그(56)는 가장 최근의 호출을 먼저 시작으로 하여 시간 순으로 호출 로그 호출(58)을 리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사용자는 호출 로그(56)로부터 특정 호출(58)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선택한 호출(58)과 관련된 호출 이력을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표시된 호출 이력은 선택된 호출과 관련한 폰 번호와 관련되고 메모리(44) 내 저장된 발신 및 착신된 모든 호출들을 리스트한다. 호출 이력에서의 호출들은 가장 최근의 호출(이는 이해되는 바와 같이, 호출 로그(56)로부터 선택된 호출(58)임)을 시작으로 시간 순으로 리스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출 로그(56)를 생성하고 구현하는 프로세서(20)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4의 루틴이 시작되고, 폰 애플리케이션(48)이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면, 호출 로그(56)가 디스플레이(12) 상에 폰 애플리케이션(48)에 대한 디폴트 초기 뷰로 제공되도록, 호출 로그(56)가 생성된다. 다른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루틴이 시작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요청시, 폰 애플리케이션(48)의 일부 다른 부분으로부터 호출 로그(56)가 생성되고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100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프로세서(20)가 메모리(44)로부터, 메모리(4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관련 호출을 가진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한 발신 또는 착신한 가장 최근의 호출에 관한 정보를 구한다. 그 후, 102에서, 메모리(4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관련 호출을 가진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한 가장 최근 시간의 호출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컴파일한 다음 호출 로그(56)로서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의 호출 로그(56)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이용된, 용어 "리스트"는 소정의 순서로 될 수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일련의 정보 항목들을 차례차례 편집한 것을 의미한다.
그 후, 104에서, 입력 장치(16)를 이용하여 호출(58)을 강조표시하는 것과 같이, 호출 로그(56) 상의 엔트리로서 포함된 호출(58)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104에서의 답이 '아니오'인 경우, 106에서, 사용자가 입력 장치(16)를 이용하여 요청을 제공받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져, 호출 로그(56)가 폰 애플리케이션(48)에 대한 디폴트 뷰로서 표시되는 실시형태에서의 폰 애플리케이션(48)에서 나가거나, 호출 로그(56)가 폰 애플리케이션(48)에 대한 디폴트 뷰로서 표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야 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호출 로그 뷰에서 나간다(그리고 다시 디폴트 폰 애플리케이션 뷰로 복귀된다). 단계 106에서의 답이 '예'인 경우, 적절한 나가기 단계가 108에서 수행된다. 답이 '아니오'인 경우, 방법이 102로 복귀하여, 호출 로그(56)를 표시하는 것을 진행한다.
그러나, 104에서의 답이 '예'인 경우, 즉, 호출(58)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 110에서, 사용자 옵션(65)의 메뉴(6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 옵션(65)은 사용자 옵션(65)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현될 수 있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복수의 상이한 펑션들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펑션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뉴(60)를 선택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에 의해 저장되는 선택된 콘택트를 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 메일을 호출하기 위하여, 호출(58)에 리스트된 콘택트를 호출하기 위하여,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를 생성하고 호출(58)에 리 스트된 콘택트로 송신하기 위하여, 메모리(44)에 저장된 호출(58)과 관련한 상세한 호출 정보를 표시하도록 호출(58)을 오프닝시키기 위하여, 아래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호출(58)에 대한 호출 이력을 디스플레이(12) 상에 생성 및 표시하기 위하여, 폰 애플리케이션(48)에 의해 유지되는 스피드 다이얼 리스트에 호출(58)과 관련한 폰 번호를 추가하기 위하여, 호출 로그(56)로부터 호출(58)을 삭제하기 위하여, 폰 애플리케이션(48)에 의해 유지되는 스피드 다이얼 리스트를 보기 위하여, 폰 애플리케이션(48)에 대한 동작 옵션을 보고 변경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최종 호출에 대한 기간, 모든 호출에 대한 총 시간 양 및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의 폰 번호에 대한 상태 정보를 보기 위하여,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그리고 폰 애플리케이션(48)을 선택하기 위하여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도 4의 112에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는 모든 가능한 선택된 사용자 옵션(65)과 관련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이력을 표시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0)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루틴은 특정 호출(58)이 선택된 후, 메뉴(60; 도 5)의 "이력 보기"란 사용자 옵션(65)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개시된다. 114에서, 프로세서(20)는 선택된 호출(58)의 폰 번호와 관련된 모든 호출에 대한 호출 정보를 메모리(44)로부터 구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선택된 호출(58)의 폰 번호가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에 의해 저장된 콘택트의 폰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그 콘택트와 관련된 모든 호출에 대한 호출 정보를 단계 114에서 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6에서, 114 에서 구한 호출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그 외의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에 대한 리스트에 더하여, 호출 이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택된 호출(58)과 관련한 이름과 폰 번호, 특성(즉, 신청, 수신, 또는 수신 실패되었는지의 특성), 최종 호출의 기간, 및 이력에 포함된 호출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도 6의 118에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특정 호출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호출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120에서, 사용자가 호출 이력 기능에서 나가는 요청을 제공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답이 '예'인 경우, 122에서, 방법이 도 4의 102로 복귀되며, 여기서, 호출 로그(56)가 표시된다. 그러나, 표시된 리스트로부터의 호출이 118에서 판정된 것으로 선택된 경우, 124에서, 사용자 옵션에 대한 메뉴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옵션(65)에 대한 메뉴(60)와 동일하게 표시된다. 그 후, 126에서,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가 모든 가능한 선택된 사용자 옵션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깅된 호출의 뷰에 기초한 콘택트 및/또는 폰 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축약 방식의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특정 콘택트 및/또는 발신 또는 다이얼링된 폰 번호와 관련된 모든 로깅된 호출에 대한 기능을 용이하게 액세스하고 보고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교시를 통하여 여러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구성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모든 등가형태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깅된 호출의 뷰에 기초한 콘택트 및/또는 폰 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축약 방식의 호출 로그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콘택트 및/또는 발신 또는 다이얼링된 폰 번호와 관련된 모든 로깅된 호출에 대한 기능을 용이하게 액세스하고 보고 요청할 수 있다.

Claims (26)

  1.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에 호출 로그(56)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모든 발신 및 착신되는 폰 호출로부터 복수의 호출과 관련된 호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 호출 각각은 복수의 폰 번호 중 한 폰 번호와 관련되어 있는 것인 저장 단계와;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의 리스트를 컴파일하는 단계로서,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은 상기 폰 번호들 중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한 상기 폰 호출들 중 단일의 폰 호출이고, 상기 폰 번호들 중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한 상기 폰 호출들 중 단일의 폰 호출은 상기 폰 호출들 중 한 폰 호출과 관련된 가장 최근 시간의 폰 호출인 것인 컴파일 단계와;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는 복수의 콘택트 이름을 저장하는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상기 콘택트 이름들 중 한 이름, 및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는 복수의 콘택트 이름과 관련 콘택트 폰 번호를 저장하는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을 가지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i)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가 상기 콘택트 폰 번호들 중 한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와 관련된 콘택트 이름과;
    (ii)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가 상기 콘택트 폰 번호들 중 한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가장 최근의 것을 시작으로 하여 시간 순으로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을 리스트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에 대한 호출 관련 정보의 부분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관련 정보의 부분들은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선택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 그 선택된 호출의 날짜, 시간, 및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에 대한 호출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력은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선택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와 관련되는 상기 모든 폰 호출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력 리스트는 상기 폰 호출들 중 가장 최근의 것을 시작으로 하여 시간순으로 되어 있는 것인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호출 이력 리스트 상의 폰 호출들 중 한 호출에 대한 사용자 옵션(65)의 메뉴(60)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사용자 옵션들 중 한 옵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에 대한 사용자 옵션(65)의 메뉴(60)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사용자 옵션들 중 한 옵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출 로그의 제공 방법.
  14.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4)로서,
    입력 장치(6)와;
    디스플레이(12)와;
    프로세서(20)와;
    상기 프로세서(20)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44)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메모리(44)에서의 모든 발신 및 착신되는 폰 호출들로부터 복수의 폰 호출에 관한 호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폰 호출 각각은 폰 번호와 관련된 것인 저장 단계와;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의 리스트를 컴파일하는 단계로서,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은 상기 폰 번호들 중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한 상기 폰 호출들 중 단일의 폰 호출이고, 상기 폰 번호들 중 각각의 폰 번호에 대한 상기 폰 호출들 중 단일의 폰 호출은 상기 폰 호출들 중 한 폰 호출과 관련된 가장 최근 시간의 폰 호출인 것인 컴파일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44)는 복수의 콘택트 이름을 저장하는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을 저장하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상기 콘택트 이름들 중 한 이름, 및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44)는 복수의 콘택트 이름과 관련 콘택트 폰 번호를 저장하는 어드레스 북 애플리케이션(50)을 저장하며,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각각의 호출에 대한 호출 로그 정보는,
    (i)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가 상기 콘택트 폰 번호들 중 한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와 관련된 콘택트 이름과;
    (ii)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가 상기 콘택트 폰 번호들 중 한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가장 최근의 것을 시작으로 하여 시간 순으로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을 리스트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에 대한 호출 관련 정보의 부분들을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관련 정보의 부분들은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선택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 그 선택된 호출의 날짜, 시간, 및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선택된 호출의 호출 이력을 상기 디스플레 이(12)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력은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선택된 호출과 관련된 폰 번호와 관련된 상기 모든 폰 호출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력 리스트는 상기 폰 호출들 중 가장 최근의 것을 시작으로 하여 시간순으로 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장치(16)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 이력 리스트 상의 폰 호출들 중 한 호출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폰 호출들 중 선택된 호출에 대한 사용자 옵션(65)의 메뉴(60)를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장치(16)를 이용하여 사용자 옵션들(65) 중 한 옵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옵션들(65) 중 선택된 옵션과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장치(16)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한 호출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 로그 폰 호출들(58) 중 선택된 호출에 대한 사용자 옵션(65)의 메뉴(60)를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옵션들(65) 중 한 옵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옵션들(65) 중 선택된 옵션과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KR1020050085135A 2004-09-13 2005-09-13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방법 KR101263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55537.5 2004-09-13
EP04255537A EP1635543B1 (en) 2004-09-13 2004-09-13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phone call log, and associated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132A Division KR101333166B1 (ko) 2004-09-13 2012-11-27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244A true KR20060051244A (ko) 2006-05-19
KR101263947B1 KR101263947B1 (ko) 2013-05-14

Family

ID=349306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135A KR101263947B1 (ko) 2004-09-13 2005-09-13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방법
KR1020120135132A KR101333166B1 (ko) 2004-09-13 2012-11-27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132A KR101333166B1 (ko) 2004-09-13 2012-11-27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635543B1 (ko)
JP (3) JP2006087101A (ko)
KR (2) KR101263947B1 (ko)
CN (1) CN100512336C (ko)
AT (1) ATE393536T1 (ko)
AU (1) AU2005209636B2 (ko)
BR (1) BRPI0503818B1 (ko)
CA (1) CA2519032C (ko)
DE (1) DE602004013313T2 (ko)
ES (1) ES2305670T3 (ko)
HK (1) HK1087565A1 (ko)
MX (1) MXPA05009740A (ko)
SG (1) SG121113A1 (ko)
TW (2) TWI3706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77B1 (ko) * 2005-12-23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발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8007693A1 (fr) * 2006-07-12 2008-01-17 Nec Corporation Dispositif de téléphonie mobile et procédé d'enregistrement d'appel entrant utilisé avec celui-ci
EP1885106B1 (en) * 2006-08-03 2011-09-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tion-based user interface for handheld
US20080055263A1 (en) * 2006-09-06 2008-03-06 Lemay Stephen O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014760B2 (en) 2006-09-06 2011-09-06 Apple Inc. Missed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090087B2 (en) 2006-10-26 2012-01-03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king conference calls
JP5115163B2 (ja) 2006-12-08 2013-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5527371B2 (ja) * 2006-12-08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7975242B2 (en) 2007-01-07 2011-07-0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erence calling
KR100800723B1 (ko) * 2007-01-26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02792B1 (ko) * 2007-05-04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CN101365194A (zh) * 2007-08-10 2009-02-11 摩托罗拉公司 用于组织电子通信设备上的通信记录的方法
JP4506813B2 (ja) * 2007-10-29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US8412174B2 (en) * 2009-10-12 2013-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Call note management on communication device
CN102497463A (zh) * 2011-11-28 2012-06-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讯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CN108899015B (zh) * 2015-05-04 2020-11-24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向通话中的用户提供语音反馈信息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434A (en) * 1990-09-05 1994-05-03 Canon Kabushiki Kaisha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JPH0563854A (ja) * 1991-09-05 1993-03-12 Murata Mach Ltd 携帯電話機
JPH0795279A (ja) * 1993-09-20 1995-04-07 Fujitsu Ltd メモリダイヤル制御方式
JP3687811B2 (ja) * 1996-10-21 2005-08-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発信履歴表示方法
US6320943B1 (en) * 1997-06-12 2001-11-20 Legerity, Inc. Electronic directory system and method
JP3855443B2 (ja) * 1998-03-24 2006-1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話装置
JP2000253373A (ja) * 1999-03-01 2000-09-14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
JP2001186279A (ja) *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2261918A (ja) *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携帯電話機
JP2003060779A (ja) * 2001-08-21 2003-02-28 Kenwood Corp 電話機
KR100828323B1 (ko) * 2001-11-06 2008-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JP2003179679A (ja) * 2001-12-12 2003-06-27 Nec Corp 携帯通信端末
JP2003219018A (ja) * 2002-01-18 2003-07-31 Funai Electric Co Ltd 通信端末装置
US6909910B2 (en) * 2002-02-0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ges to a contact database
JP2004187273A (ja) * 2002-11-22 2004-07-02 Casio Comput Co Ltd 携帯電話端末、及び、発信履歴表示方法
JP2004229214A (ja) * 2003-01-27 2004-08-12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947B1 (ko) 2013-05-14
TW200931941A (en) 2009-07-16
BRPI0503818A (pt) 2006-04-25
CN1750559A (zh) 2006-03-22
MXPA05009740A (es) 2006-05-25
CA2519032A1 (en) 2006-03-13
DE602004013313D1 (de) 2008-06-05
ATE393536T1 (de) 2008-05-15
BRPI0503818B1 (pt) 2019-04-16
AU2005209636B2 (en) 2011-06-09
SG121113A1 (en) 2006-04-26
ES2305670T3 (es) 2008-11-01
CA2519032C (en) 2015-11-24
JP2006087101A (ja) 2006-03-30
EP1635543B1 (en) 2008-04-23
JP2013118662A (ja) 2013-06-13
AU2005209636A1 (en) 2006-03-30
TW200629873A (en) 2006-08-16
KR20120136337A (ko) 2012-12-18
HK1087565A1 (en) 2006-10-13
KR101333166B1 (ko) 2013-11-27
TWI315631B (en) 2009-10-01
DE602004013313T2 (de) 2009-06-25
JP2011109686A (ja) 2011-06-02
TWI370667B (en) 2012-08-11
EP1635543A1 (en) 2006-03-15
CN100512336C (zh)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947B1 (ko) 향상된 폰 호출 로그를 갖는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방법
US11778088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phone call log, and associated method
US1049174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ross application use of phone related inputs, and associated method
US2007002937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ssisted entry of contact in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
CA2518801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ross application use of phone related inputs, and associated method
KR200500275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CA2552024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ssisted entry of contact in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201002208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aling access l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