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543A - 베드 - Google Patents
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8543A KR20060048543A KR1020050055568A KR20050055568A KR20060048543A KR 20060048543 A KR20060048543 A KR 20060048543A KR 1020050055568 A KR1020050055568 A KR 1020050055568A KR 20050055568 A KR20050055568 A KR 20050055568A KR 20060048543 A KR20060048543 A KR 200600485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rectangular
- bedboard
- baby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2—Changing a single bed into a double bed by extending, pivoting, or tilting a previously hidden second mattress or other bed par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22—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with means for uncovering a previously hidden mattress or similar bed par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47D7/03—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with adjustably-mounted matt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후 얼마 안된 유아의 단계로부터 어른의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각 단계에서 최적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베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베드(1)는 직사각형의 침대판(2)과, 이 직사각형 침대판(2)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 베이비 베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 대형 베드의 형태로 전환 가능하다.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서는, 유소아는 직사각형 침대판(2)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연결 부재(107)는 침상 부재(106)의 일방측 단부와 머리부 테두리(3)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106)의 일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2)에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제 2 연결 부재(108)는, 침상 부재(106)의 타방측 단부와 족부 테두리(4)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106)의 타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2)에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서는, 침상 부재(106)가 떼내여지고, 유소아는 직사각형 침대판(2) 위에 눕혀진다. 대형 베드의 형태에서는 보다 낮은 위치에서, 또한 보다 큰 베드 면적의 침대판상에서 사람을 눕힐 수 있다.
베드
Description
도 1은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를 도시한 도해도(圖解圖).
도 2은 침상 부재의 머리측 단부가 약간 높게 된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3은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를 도시한 도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직사각형 침대판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 5는 주니어용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를 도시한 도해도.
도 6은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를 도시한 도해도.
도 7은 베이비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이행하는 도중 단계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접어갠 상태의 베드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를 도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단면도.
도 14는 침상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침상 부재가 경사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제 1 연결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선 A-A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8은 조절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9는 제 1 연결 부재의 달아매는 길이를 짧게 한 상태에 대응하는 길이 조절 수단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2 : 침대판(베이스 벽)
2a : 다리부
3 : 머리부 테두리
3a : 내측 머리부 테두리
3b : 외측 머리부 테두리
4 : 족부 테두리
4a : 내측 족부 테두리
4b : 외측 족부 테두리
5 : 좌측부 테두리
6 : 머리부 장출 부재
6a : 구멍
7 : 족부 장출 부재
7a : 구멍
8 : 나사
9 : 구멍
10 : 힌지
11 : 캐스터
20 : 베드
21 : 침대판
22 : 머리부 테두리
22a : 내측 머리부 테두리
22b : 외측 머리부 테두리
23 : 우측부 테두리
24 : 족부 테두리
24a : 굴곡 벽
25 : 힌지
26 : 나사
106 : 침상 부재
107 : 제 1 연결 부재
108 : 제 2 연결 부재
109 : 제 1 지지 테두리
110 : 제 2 지지 테두리
111 : 제 1 권심
112 : 제 2 권심
120 : 제 1 지지 테두리
120a, 120b : 현수벽
121 : 외측 계합 돌기
122 : 내측 계합 돌기
123 : 조절 플레이트
124 : 계합구멍
124a : 둥근구멍
124b : 가는 홈
125 : 손잡이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베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베이비 베드로서 적합한 형태와, 어른 용 베드로서 적합한 형태로 전환 가능한 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통상, 유아는 탄생하고 나서 거의 1세를 경과할 때까지, 주위 사방을 둘러싼 형태의 베이비 베드 위에 눕혀진다. 유아의 성장에 수반하여, 이 베이비 베드는 불필요한 것이 된다.
베이비 베드 그 자체는 유아를 눕히는 것뿐이므로, 비교적 손상되는 일이 적고, 충분히 재이용이 가능하다. 베이비 베드를 사용한 유아가, 성장 후도 계속해서 이 베드를 이용할 수 있으면, 물건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형태를 바꾼 베이비 베드를 성장 후에도 계속해서 사용함에 의해, 유아일 때에 부모로부터 받은 애정의 기억을 장기에 걸쳐 지속시킬 수 있고, 따뜻한 마음을 기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종류의 베이비 베드는, 예를 들면, 특개2004-41629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베이비 베드에서는, 베드 바닥(床) 프레임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유아일 때는 베드 바닥 프레임의 길이를 짧게 하고, 아이가 성장한 때는 베드 바닥 프레임의 길이를 길게 한다.
실개소63-202353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베이비 베드에서는, 생후 얼마 안된 유아를 안면(安眠)시키기 위해, 베이비 베드의 머리부 테두리 상부 및 족부 테두리 상부로부터 끈을 이용하여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침상 부재를 매달고 있다. 침상 부재는 침대판의 상부에서 요동 가능하다.
실개평 2-28653호 공보(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베이비 베드에서도, 베이비 베드의 머리부 테두리 상부 및 족부 테두리 상부로부터 4개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침상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매달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2004-41629호 공보
[특허 문헌 2] 실개소63-202353호 공보
[특허 문헌 3] 실개평2-28653호 공보
특개2004-41629호 공보에 개시된 베이비 베드의 경우, 베드 바닥 프레임의 길이를 길게 함에 의해,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베이비 베드로서의 형태와 어른용 베드로서의 형태를 비교한 때, 베드의 폭 치수는 같다. 그 때문에, 어른이 이 베드를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사용할 때, 폭이 불편한 것이 된다.
실개소63-202353호 공보나 실개평2-2865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요동식 베드의 경우 침상 부재가 머리부 테두리 및 족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난 끈이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끈이나 코일 스프링으로 침상 부재를 지지하는 구조에서는, 침상 부재의 요동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안정된 요동의 움직임을 발휘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후 얼마 안된 유아의 단계로부터 어른의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각 단계에서 최적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드는, 직사각형의 침대판(床板)과, 이 침대판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 베이비 베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침대판 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간에서 유소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 둘레 테두리로 둘러싸이고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침대판상에 유소아를 눕힐 수 있는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 고정식 베이비 베드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침대판에 비하여, 보다 낮은 위치에서, 또한 보다 큰 베드 면적의 침대판상에서 사람을 눕힐 수 있는 대형 베드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후 얼마 안된 유아의 경우에는, 요동식 베드의 형태로 사용한다. 성장 후의 다음 단계에서는, 고정식 베드의 형태로 사용한다. 더욱 성장하여 초등학생이나 어른이 된 단계에서는, 보다 낮은 위치에서 보다 큰 베드 면적이 되는 대형 베드의 형태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 직사각형 침대판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어린 유소아에 대해서는 돌보기 쉽고, 탈락의 위험성이 적은 것 등의 이유로 직사각형 침대판을 높은 위치에서 고정한다. 유소아가 성장하여 커진 때에는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탈락 방지의 관점에서 직사각형 침대판을 낮은 위치에서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대형 베드의 형태는, 베드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주니어용 베드의 형태와, 베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전환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초등학생 단계 및 어른의 단계에서 보다 적합한 크기의 베드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형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침대판은 둘레 테두리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비 베드에 있어서의 둘레 테두리의 높이는, 일반적으로는 베드 바닥의 폭 치수보다도 크다. 따라서, 둘레 테두리의 일부를 대형 베드의 침대판으로서 사용하면, 충분한 베드폭 치수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베드는, 일방측 단부(端部)와 타방측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의 침상 부재와,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연결 부재는, 침상 부재의 일방측 단부와, 둘레 테두리의 일방측 프레임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의 일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제 2 연결 부재는, 침상 부재의 타방측 단부와, 둘레 테두리의 타방측 프레임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의 타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가, 침상 부재의 일방측 단부 및 타방측 단부와, 둘레 테두리를 면형상으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침상 부재의 요동의 방향이 정해지고, 안정된 요동 운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천(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는 연직선 방향으로 연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침상 부재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평행으로 요동 운동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 부재 및 제 2 연결 부재를 구성하는 천은,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 또는 대형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 접어갠 상태로 베드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천은,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서 유아를 지지하고 있던 것이 다. 천에 지지된 이 시기의 유아에 대해, 모친이나 부친은 깊은 애정을 쏟는다. 유아(乳兒)가 성장하여 소아(幼兒), 초등학생, 어른이 되었을 때에 유아의 단계에서 자신을 지지하고 있던 천을 보면, 유아기에 쏟아진 부모의 깊은 애정의 기억이 되살아나고, 따뜻한 마음을 갖게 된다.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베드는,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달아매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함에 의해, 침상 부재는 요동 가능 상태, 수평 고정 상태, 경사 고정 상태의 3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유아를 조용하게 눕힌 때에는 침상 부재를 수평 고정 상태로 하고, 유아를 어를 때에는 침상 부재를 요동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수유 후에 트림을 시키려고 할 때는 머리를 약간 높게 하는 경사 고정 상태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그 후에 도 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드(1)는 직사각형의 침대판(2)과, 이 직사각형 침대판(2)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 베이비 베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도 1)와,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도 3 및 도 4)와, 대형 베드의 형태(도 5 및 도 6)로 전환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둘레 테두리중, 머리측에 위치하는 머리부 테두리(3)와, 발측에 위치하는 족부(足部) 테두리 (4)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서는, 직사각형 침대판(2)은, 둘레 테두리(예를 들면, 머리부 테두리(3) 및 족부 테두리(4))에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침대판(2)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1에 도시한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서는, 유소아는 직사각형 침대판(2)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베드(1)는 일방측 단부와 타방측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의 침상 부재(106)와, 제 1 연결 부재(107)와, 제 2 연결 부재(108)를 구비한다. 제 1 연결 부재(107)는 침상 부재(106)의 일방측 단부와 머리부 테두리(3)의 상방단을 면형상(面狀)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106)의 일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2)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제 2 연결 부재(108)는 침상 부재(106)의 타방측 단부와 족부 테두리(4)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106)의 타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2)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생후 얼마 안된 유아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가 적용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 침상 부재(106)의 길이(L1)는 직사각형 침대판(2)의 길이(L2) 보다도 짧다. 직사각형 침대판의 높이는 H1이다.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달아매 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108)의 달아매는 길이를 길게 하여 침상 부재(106)의 타방측 단부를 직사각형 침대판(2)에 접촉시키면, 침상 부재(106)는 머리측을 약간 높게 하는 경사 상태로 고정된다. 예를 들면, 수유 후에 이 상태로 한다.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는 바람직하게는 천이다.
도 3 및 도 4는,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를 도시한다. 유아가 성장하여 요동시키는 것이 불필요해진 때에, 침상 부재(106),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를 둘레 테두리로부터 떼어내여 이 상태로 한다. 유소아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은 시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침대판(2)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H1)로 하고, 유소아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되어 온 시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침대판(2)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H2)로 한다. 떼어낸 천제품의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는 작게 접어개여서, 예를 들면 편평한 주머니나 케이스에 넣고 머리부 테두리(3)에 부착하여 둔다.
도 5 및 도 6은, 대형 베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베이비 베드의 형태로 되어 있던 둘레 테두리를 전개(展開)하고, 이들의 둘레 테두리의 일부를 이용하여 대형 베드로서의 침대판(A), 머리부 테두리(B) 및 족부 테두리(C)를 형성하고 있다. 도 5는, 주니어용으로서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침대판(A)의 머리부측 단부 및 족부측 단부상에 스페이스 부재(D, E)를 두고 있다. 스페이스 부재(D, E)는, 예를 들면, 매트리스나 물품 수납 박스이다. 도 6에 도시한 어른용 베드 의 형태에서는 스페이스 부재를 제거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주니어용 베드의 형태에서는 베드면의 길이(L3)는 도 6에 도시한 어른용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베드면의 길이(L4)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대형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침대판(A)의 높이(H3)는,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침대판(2)의 높이(H1 또는 H2)보다도 낮다. 이 대형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도, 떼어놓은 천체의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를 작게 접어개어, 예를 들면 편평한 주머니나 케이스에 넣고 머리부 테두리(B)에 부착하여 둔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베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베드는 베이비 베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 대형 베드의 형태로 전환 가능하지만, 편의상, 도 7 내지 도 11에서는 요동식 베이비 베드에 관련되는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12 내지 도 19에서는 대형 베드에 관련되는 구조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7은, 베이비 베드로서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1)를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어른용 베드로서 적합한 형태로 되어 있는 베드(1)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하는 「어른」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성인인 어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같은 아이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베드(1)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비 베드의 형태 로 되어 있는 베드(1)는 직사각형의 침대판(2)과, 이 침대판(2)의 주위 사방을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다. 둘레 테두리는, 통상 격자 형상의 것이지만, 도면에서는 편의상,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둘레 테두리는, 침대판(2) 위에 눕혀지는 유소아의 머리측에 위치하는 머리부 테두리(3)와, 발측에 위치하는 족부 테두리(4)와, 왼손측에 위치하는 좌측부 테두리(5)와, 오른손측에 위치하는 우측부 테두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은 우측부 테두리는, 예를 들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 또는 떼어냄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베이비 베드의 바닥부의 4개의 코너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캐스터(11)는 떼어냄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할 때, 떼어진다.
침대판(2)은, 그 머리측 단부 및 발측 단부에, 하방으로 뻗어나온(張出) 다리부(脚部)(2a)를 갖고 있다. 침대판(2)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머리부 테두리(3) 및 족부 테두리(4)는, 각각 상하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구멍(9)을 갖고 있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가장 위에 위치한 구멍에 끼워진 4개의 나사(8)(머리부 테두리(3)상에 2개, 족부 테두리(4)상에 2개)에 의해, 침대판(2)의 높이를 고정하고 있다. 생후 얼마 안된 유아에 대해서는, 돌보기 쉬움, 탈락의 위험성이 적은 것 등의 이유로 침대판(2)을 높은 위치에서 고정한다. 유아가 성장하여 커진 때에는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탈락 방지의 관점에서 침대판(2)을 낮은 위치에서 고정한다.
유소아가 성장하여 베이비 베드로서의 사용이 불필요해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부 테두리를 떼어내면 아이의 학습 책상으로서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머리부 테두리(3)는, 좌측부 테두리(5)에 힌지(도시 생략)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머리부 테두리(3a)와, 이 내측 머리부 테두리(3a)에 힌지(도시 생략)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머리부 테두리(3b)를 포함한다. 족부 테두리(4)는, 좌측부 테두리(5)에 힌지(도시 생략)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족부 테두리(4a)와, 이 내측 족부 테두리(4a)에 힌지(10)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족부 테두리(4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각 테두리를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함에 의해, 형태의 변경 및 접어갬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머리부 테두리(3b)의 상하의 단면(端面)에, 한 쌍의 머리부 장출 부재(6)가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머리부 장출 부재(6)는, 내측 머리부 테두리(3a)의 상하 단면상에까지 뻗어나와 늘어나 있다. 또한, 각 측부 돌출 부재(6)는, 나사(8)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6a)을 갖고 있다.
외측 족부 테두리(4b)의 상하의 단면에도, 한 쌍의 족부 장출 부재(7)가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족부 장출 부재(7)는, 내측 족부 테두리(4a)의 상하 단면상에까지 뻗어나와 늘어나 있다. 또한, 각 족부 장출 부재(7)는 나사(8)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7a)을 갖고 있다.
도 8은, 외측 머리부 테두리(3b)와 내측 머리부 테두리(3a)가 굴곡한 상태 및 외측 족부 테두리(4b)와 내측 족부 테두리(4a)가 굴곡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내측 머리부 테두리(3a) 및 내측 족부 테두리(4a)는, 각각 좌측부 테두리(5)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연재된 상태(도 10 참조)로부터 내측으로 굴곡하여 중첩하는 상태(도 11 참조)로 될 때까지 회동 가능하다. 또한, 외측 머리부 테두리(3b) 및 외측 족부 테두리(4b)는, 각각 내측 머리부 테두리(3a) 및 내측 족부 테두리(4a)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연재된 상태(도 7 참조)로부터 외측으로 굴곡하여 중첩하는 상태(도 11 참조)로 될 때까지 회동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한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서는, 나사(8)에 의해 머리부 테두리(3) 및 족부 테두리(4)를 침대판(2)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머리부 테두리(3), 족부 테두리(4), 좌측부 테두리(5) 및 우측부 테두리(도시 생략)로 이루어지는 둘레 테두리의 형상이 고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베이비 베드의 형태로부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변경하려고 하는 때에는, 4개의 나사(8)를 떼어내고, 침대판(2) 및 우측부 테두리(도시 생략)를 분리한다. 또한, 4개의 캐스터(11)도 떼어낸다. 이 상태가 도 8에 도시한 상태이다.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좌측부 테두리(5)의 내측 면이 침대면에 대면하도록 하고, 내측 머리부 테두리(3a) 및 내측 족부 테두리(4a)를 좌측부 테두리(5)와 동일 평면으로 연재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머리부 테두리(3a) 및 내측 족부 테두리(4a)는, 각각 좌측부 테두리(5)와 동일 평면으로 연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측부 테두리(5)의 양단면에 거의 간극 없이 맞부디쳐서 맞닿아져 있기 때문에, 평면 상태를 넘어 굴곡하는 일은 없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머리부 테두리(3b) 및 외측 족부 테두리(4b)는, 각각 내측 머리부 테두리(3a) 및 내측 족부 테두리(4a)에 대해 90도로 굴곡한 위치 관계로 된다. 이 굴곡 상태는 침대판(2)을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던 4개의 나사(8)를 머리부 장출 부재(6)의 구멍(6a) 및 족부 장출 부재(7)의 구멍(7a) 내로 끼워 넣음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머리부 테두리(3b)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머리부 장출 부재(6)와 내측 머리부 테두리(3a)를 2개의 나사(8)에 의해 고정하고, 외측 족부 테두리(4b)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족부 장출 부재(7)와 내측 족부 테두리(4a)를 2개의 나사(8)에 의해 고정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른용 베드의 형태에서는 한 쌍의 머리부 장출 부재(6) 및 한 쌍의 족부 장출 부재(7)가 어른용 베드의 침대판을 침대면(床面)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로 된다. 어른용 베드의 침대판은 좌측부 테두리(5), 내측 머리부 테두리(3a) 및 내측 족부 테두리(4a)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외측 머리부 테두리(3b) 및 외측 족부 테두리(4b)는, 각각 머리측의 테두리 부재 및 족측의 테두리 부재로 된다. 베이비 베드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던 침대판(2)은, 어른용 베드의 형태인 때 수평으로 연재되는 어른용 베드의 침대판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고, 침대판의 수평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침대판(2)의 다리부(2a)는 이와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11은, 운반시 또는 창고 수납시의 접어갠 상태의 베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머리부 테두리(3a)는 좌측부 테두리(5)상에 중첩하도록 되고, 외측 머리부 테두리(3b)는 내측 머리부 테두리(3a)상에 중첩하도록 된다. 마찬 가지로, 내측 족부 테두리(4a)는 좌측부 테두리(5)상에 중첩하도록 되고, 외측 족부 테두리(4b)는 내측 족부 테두리(4a)상에 중첩하도록 된다. 또한, 이 접어개는 구조상에, 침대판(2) 및 우측부 테두리(도시 생략)가 겹쳐지도록 놓여진다. 이와 같이 접어개여진 베드의 부피는 비교적 작기 때문에, 운반 및 창고 수납시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비 베드 그 자체의 구조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 베드(1)는 직사각형의 침대판(2)과, 이 침대판(2)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다. 둘레 테두리는 머리측에 위치하는 머리부 테두리(3)와, 발측에 위치하는 족부 테두리(4)와, 측면측에 위치하는 측부 테두리(5)를 포함한다. 머리부 테두리(3)는 측부 테두리(5)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머리부 테두리(3a)와, 내측 머리부 테두리(3a)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머리부 테두리(3b)를 포함한다. 족부 테두리(4)는 측부 테두리(5)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족부 테두리(4a)와, 내측 족부 테두리(4a)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족부 테두리(4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베이비 베드에 의하면, 접어갠 상태에의 이행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접어갠 상태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중에 나타나는 「머리부」, 「족부」, 「우」 및 「좌」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편의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한 요동식 베이비 베드에 관련되는 구조는, 도 7 내 지 도 11에 도시한 베드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베이비 베드(1)는,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벽(침대판)(2)과, 이 베이스 벽(2)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다. 둘레 테두리는 베이스 벽(2) 위에 눕혀지는 유아의 머리측에 위치하는 머리부 테두리(3)와, 발측에 위치하는 족부 테두리(4)와, 측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 테두리(5)를 구비한다.
도 12에서는, 둘레 테두리를 상상선으로 나타내고, 또한 요동 구조를 도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 도 12를 참조하여, 요동 구조의 기본적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비 베드(1)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 벽(2)의 위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침상 부재(106)와, 침상 부재(106)의 머리측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머리측 단부에 대해 거의 평행으로 늘어나는 제 1 지지 테두리(109)와, 침상 부재(106)의 발측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발측 단부에 대해 거의 평행으로 늘어나는 제 2 지지 테두리(110)와, 침상 부재(106)의 머리측 단부와 제 1 지지 테두리(109)를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106)의 머리측 단부를 들띄운 상태로 지지하는 제 1 연결 부재(107)와, 침상 부재(106)의 발측 단부와 제 2 지지 테두리(110)를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침상 부재(106)의 발측 단부를 들띄운 상태로 지지하는 제 2 연결 부재(108)를 구비한다.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는, 바람직하게는 천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침상 부재(106)는 평평한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3은, 제 1 지지 테두리(109) 및 제 2 지지 테두리(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 테두리(109)는 머리부 테두리(3)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머리부 테두리(3)의 전후로 뻗어나온 형상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지 테두리(110)도 족부 테두리(4)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족부 테두리(4)의 전후로 뻗어나온 형상을 갖고 있다.
베이비 베드(1)의 폭방향에 면형상으로 펼쳐진 천제의 제 1 연결 부재(107)의 선단은, 제 1 지지 테두리(109)의 윗면을 통과한 후에, 제 1 권심(卷芯)(111)에 감겨져 고정되어 있다. 제 1 권심(111)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제 1 지지 테두리(109)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베이비 베드(1)의 폭방향에 면형상으로 펼쳐진 제 2 연결 부재(108)의 선단은, 제 2 지지 테두리(110)의 윗면을 통과한 후, 제 2 권심(112)에 감겨져서 고정된다. 제 1 권심(111)에 의한 감는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제 1 연결 부재(107)의 달아매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권심(112)에 의한 감는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108)의 달아매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 부재의 달아매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는, 그밖에 여러가지의 형태의 것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는 연직선 방향으로 연재되도록 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제 1 지지 테두리(109)와 제 2 지지 테두리(110)의 간격을 침상 부재(106)의 길이와 거의 같게 한다. 이와 같은 치수 관계이면, 도 13에서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침상 부재(106)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평행으로 요동 운동을 행한다.
베이비 베드(1)는,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의 달아매는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요동 가능 상태와, 도 14에 도시한 수평 고정 상태와, 도 15에 도시한 경사 상태의 3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의 양자가 달아매는 길이를 짧게 하고, 침상 부재(106)를 베이스 벽(2)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침상 부재(106)를 전후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는 침상 부재(106)의 거의 모든 폭에 걸쳐서 면형상으로 침상 부재(106)를 매달고 있기 때문에, 침상 부재(106)의 요동의 방향이 정해지고, 안정된 요동 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유아를 어를 때에는 이 요동 가능 상태로 한다.
도 1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 1 연결 부재(107) 및 제 2 연결 부재(108)의 양자의 달아매는 길이를 길게 하고, 침상 부재(106)의 머리측 단부 및 발측 단부의 양자를 베이스 벽(2)에 맞닿게 한다. 따라서, 침상 부재(106)의 요동은 금지되고, 수평으로 고정한 상태가 된다. 유아를 조용히 눕힐려고 하는 때에는, 이 수평 고정 상태로 한다.
도 15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 1 연결 부재(107)의 달아매는 길이를 짧게 하고, 침상 부재(106)의 머리측 단부를 베이스 벽(2)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한다. 침상 부재(106)의 발측 단부는 베이스 벽(2)에 맞닿아 있다. 이 경사 상태는 예를 들면, 수유 후의 유아에 적용된다. 유아의 머리가 약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유아는 트림하기 쉬워진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침상 부재(106)와 한 쌍의 측부 테두리(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성을 고려하여, 이 간극을 덮는 덮개부재를 침상 부재(106)와 한 쌍의 측부 테두리(5) 사이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제 1 연결 부재(107)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연결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길이 조절 수단을 마련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테두리(3)의 상단부에, 제 1 지지 테두리(12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머리부 테두리(3)의 전후로 뻗어나온 형태를 갖는 제 1 지지 테두리(120)는 한 쌍의 현수벽(垂下壁)(120a, 120b)을 갖고 있다. 이들의 현수벽(120a, 120b)에 의해 머리부 테두리(3)의 상단부에 있는 육후부(肉厚部)(103a)를 끼운다. 한쪽의 현수벽(120a)에 부착된 나사(126)는 머리부 테두리(3)의 육후부(103a)에 계합하고, 이 계합에 의해 제 1 지지 테두리(120)가 머리부 테두리(3)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제 1 연결 부재(107)에 대한 길이 조절 수단은, 제 1 지지 테두리(120)의 윗면상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마련된 조절 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도 18은 조절 플레이트(123)를 단독으로 도시하고 있다. 조절 플레이트(123)는 베이비 베드의 폭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양단 부분에 구상(球狀)의 손잡이(125)와, 계합구멍(124)을 갖고 있다. 계합구멍(124)은 둥근구멍(124a)과, 이 둥근구멍(124a)에 이여저서 전방 외측으로 늘어나는 가는 홈(124b)을 갖는다. 제 1 연결 부재(107)의 선단 부분은 조절 플레이트(123)에 연결된다.
제 1 지지 테두리(120)의 윗면에는, 외측 계합 돌기(121)와 내측 계합 돌기(122)가 전후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조절 플레이트(123)의 계합구멍(124)의 가는 홈(124b)이 내측 계합 돌기(122)에 계합하고 있다. 조절 플레이트(123)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계합구멍(124)의 둥근구멍(124a)과 내측 계합 돌기(122)를 동일한 위치로 하여 조절 플레이트(123)를 이탈 가능하게 한다.
제 1 연결 부재(107)의 달아매는 길이를 짧게 하려고 하는 때에는, 손잡이(125)를 손으로 잡고 조절 플레이트(123)를 전방의 위치로 움직이고, 계합구멍(124)과 외측 계합 돌기(121)를 계합시킨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이비 베드와 어른용 베드를 겸용할 수 있는 베드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 직사각형의 침대판(床板)과, 이 침대판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 테두리를 구비한 베이비 베드의 프레임을 이용하고,상기 직사각형 침대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간에서 유소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상기 둘레 테두리로 둘러싸이고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직사각형 침대판상에 유소아를 눕힐 수 있는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와,상기 고정식 베이비 베드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침대판에 비하여, 보다 낮은 위치에서, 또한 보다 큰 베드 면적의 침대판상에서 사람을 눕힐 수 있는 대형 베드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침대판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대형 베드의 형태는, 베드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주니어용 베드의 형태와, 베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어른용 베드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대형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침대판은, 상기 둘레 테두리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베드는,일방측 단부와 타방측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의 침상 부재와,상기 침상 부재의 일방측 단부와, 상기 둘레 테두리의 일방측 프레임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침상 부재의 일방측 단부를 상기 직사각형 침대판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하는 제 1 연결 부재와,상기 침상 부재의 타방측 단부와, 상기 둘레 테두리의 타방측 프레임의 상방단을 면형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침상 부재의 타방측 단부를 상기 직사각형 침대판으로부터 들띄운 상태로 지지하는 제 2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천(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천은, 상기 고정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 또는 상기 대형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 접어갠 상태로 베드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요동식 베이비 베드의 형태에 있어서의 베드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달아매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219150 | 2004-07-27 | ||
JP2004219150A JP2006034620A (ja) | 2004-07-27 | 2004-07-27 | ベッ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8543A true KR20060048543A (ko) | 2006-05-18 |
Family
ID=3513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5568A KR20060048543A (ko) | 2004-07-27 | 2005-06-27 | 베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021132A1 (ko) |
EP (1) | EP1621112A1 (ko) |
JP (1) | JP2006034620A (ko) |
KR (1) | KR20060048543A (ko) |
CN (1) | CN1726840A (ko) |
RU (1) | RU2005123796A (ko) |
TW (1) | TW20060892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02293A (zh) * | 2011-08-23 | 2012-01-04 | 湖南波比木业有限责任公司 | 可伸展童床 |
CN102423210B (zh) * | 2011-11-29 | 2013-01-23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儿童游戏围框 |
CN106491103A (zh) * | 2015-09-03 | 2017-03-15 | 刘恩铨 | 安全防护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48811A (en) * | 1947-02-14 | 1951-04-10 | Frank W Parker | Cradle |
US3821822A (en) * | 1972-11-21 | 1974-07-02 | J Borreggine | Combination cradle, crib and youth bed |
JPS63202353U (ko) | 1987-06-19 | 1988-12-27 | ||
DE8715735U1 (de) * | 1987-11-27 | 1988-02-04 | hülsta-werke Hüls GmbH & Co KG, 4424 Stadtlohn | Bausatz für ein Kinderbett bzw. Jugendmöbel |
JPH0228653U (ko) | 1988-08-18 | 1990-02-23 | ||
US5038427A (en) * | 1989-07-03 | 1991-08-13 | Golden Robert J | Convertible crib - youth bed |
US5173974A (en) * | 1992-05-29 | 1992-12-29 | Lou Proano | Convertible furniture |
JP2004041629A (ja) | 2002-07-08 | 2004-02-12 | Aprica Kassai Inc | ベビーベッド |
US6845530B2 (en) * | 2003-05-01 | 2005-01-25 | Lajobi Industries, Inc. | Convertible crib and bed arrangement |
US20050022302A1 (en) * | 2003-07-31 | 2005-02-03 | Johnson Matt W. | Convertible bed system |
-
2004
- 2004-07-27 JP JP2004219150A patent/JP2006034620A/ja not_active Withdrawn
-
2005
- 2005-06-21 TW TW094120552A patent/TW200608922A/zh unknown
- 2005-06-27 KR KR1020050055568A patent/KR200600485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7-01 US US11/174,435 patent/US2006002113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7-13 EP EP05015240A patent/EP162111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7-20 CN CNA2005100851048A patent/CN1726840A/zh active Pending
- 2005-07-26 RU RU2005123796/12A patent/RU2005123796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726840A (zh) | 2006-02-01 |
US20060021132A1 (en) | 2006-02-02 |
RU2005123796A (ru) | 2007-02-10 |
EP1621112A1 (en) | 2006-02-01 |
JP2006034620A (ja) | 2006-02-09 |
TW200608922A (en) | 2006-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72435A (en) | Extend-a-bed for infants and very young children | |
US7810181B2 (en) | Infant sleep positioner | |
EP1147727B1 (en) | Multi-level multiple purpose convertible playpen | |
US6862757B2 (en) | Infant and pet co-sleeper apparatus | |
KR100227713B1 (ko) | 베드 | |
CN108113337B (zh) | 组合摇床和更换台配件 | |
US8656530B2 (en) | Adjustable mechanism for changing floor height of a play yard | |
US5819340A (en) | Infant sleeper | |
US20100263121A1 (en) | Convertible bassinet | |
EP2317893B1 (en) | Cots for babies | |
US11219318B2 (en) | Comfort apparatus for a mother and an infant | |
US20080022457A1 (en) | Double-decked baby bed | |
GB2483155A (en) | Adjustment mechanism for altering the height of baby playpen | |
US6952847B1 (en) |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 |
CN117378895A (zh) | 双胞胎婴儿床 | |
WO1997014339A1 (fr) | Lit pour bebe | |
US755909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niently accessible resting area | |
US20080209639A1 (en) |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 |
US6957455B1 (en) | Safety bumper for use with a child's bed | |
KR20060048543A (ko) | 베드 | |
EP1878364B1 (en) | Double - Decked Baby Bed | |
CN207679216U (zh) | 儿童支撑系统 | |
US20200367665A1 (en) | Convertible crib | |
WO2005122839A1 (ja) | ベッド | |
CN209547588U (zh) | 一种组合式婴幼儿用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