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942A -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942A
KR20060045942A KR1020050038092A KR20050038092A KR20060045942A KR 20060045942 A KR20060045942 A KR 20060045942A KR 1020050038092 A KR1020050038092 A KR 1020050038092A KR 20050038092 A KR20050038092 A KR 20050038092A KR 20060045942 A KR20060045942 A KR 20060045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wheel
reaction force
cable
for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8220B1 (en
Inventor
야스노리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8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braking more than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4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foot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제1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데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데 따라 브레이크력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 차륜 브레이크를 연동하여 브레이크 작동시키고, 제1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회피하는 것으로서, 제1 차륜 브레이크(BRA)의 소정치 이상의 브레이크 반력이 반력 전달 수단(26A)으로 제2 차륜 브레이크(BFA)측에게 브레이크력 증대측에서 전달되고, 반력 전달 수단(26A)에 의해서 제2 차륜 브레이크(BFA) 측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에 의해서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제1 차륜 브레이크(BRA)에게 작용한다. A peristaltic brake apparatus of a vehicle that enables braking operation of a second wheel brake by operating a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brake a first wheel brake, wherein the brake force is controlled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he brake reaction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of the first wheel brake BRA is used to avoid the excessively high braking force of the first wheel brake by interlocking the first and second wheel brakes while maintaining a proper balance.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wheel brake BFA side by the transmission means 26A from the brake force increasing side,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wheel brake BFA side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First wheel bra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by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It acts to (BRA).

Description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Interlocking brake system of vehicle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도 1은 제1 실시예의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자동 이륜차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1 is a simplified side view of a motorcycle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e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rrow 2 of FIG. 1.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rt shown in FIG.

도 5는 후륜 브레이크의 비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5 is an enlarged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1 showing an inoperative state of the rear wheel brake; FIG.

도 6은 연동 상태로 되기 직전의 후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 5에 대응한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ar wheel brake immediately before being brought into the interlocking state. FIG.

도 7은 도 1의 화살표 7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rrow 7 of FIG. 1.

도 8은 브레이크 페달 입력에 대한 브레이크력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brake force with respect to a brake pedal input.

도 9는 제2 실시예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 brake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3 실시예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 brake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11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rrow 11 of FIG. 10.

도 12는 제1 및 제2 링크 부재의 연결점의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setting of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 brake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14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rrow 14 of FIG. 1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7R : 스윙 아암17R: Swing Arm

21, 21′, 21″ :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인 브레이크 페달21, 21 ', 21 ": Brake pedal which is a 1st brake operating member

23A, 23B :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으로서의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 23B: Brake cable for rear wheel brake as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first wheel brake

23C :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으로서의 브레이크 로드23C: Brake rod as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first wheel brake

24 : 제2 브레이크 조작 부재로서의 브레이크 레버24: Brake lever as second brake operating member

25 :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 25: brake cable for front wheel brake

26A, 26B, 26C, 26D : 반력 전달 수단26A, 26B, 26C, 26D: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7A, 27B, 27C :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으로서의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 27B, 27C: Interlocking brake cable as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8A, 28B, 28C :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 28B, 28C: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46, 96 : 브레이크 패널 54 : 패널 홀더 46, 96: brake panel 54: panel holder

71, 99, 121 : 제1 링크 부재 71, 99, 121: first link member

72, 100, 122 : 제2 링크 부재72, 100, 122: second link member

77, 108 : 아웃터 케이블 78, 109 : 인너 케이블77, 108: outer cable 78, 109: inner cable

85, 118 : 이퀄라이저 아암 94 : 벨 크랭크85, 118: equalizer arm 94: bell crank

146 : 실린더체 148 : 제1 마스터 피스톤146: cylinder body 148: first master piston

149 : 제1 액압실 158 : 제2 마스터 피스톤149: first hydraulic chamber 158: second master piston

159 : 제2 액압실 159: second hydraulic chamber

BFA, BFB : 제2 차륜 브레이크인 전륜 브레이크BFA, BFB: front wheel brake, second wheel brake

BRA, BRB, BRC : 제1 차륜 브레이크인 후륜 브레이크BRA, BRB, BRC: Rear wheel brakes, which are the first wheel brakes

F : 차체 프레임 M1 : 제1 마스터 실린더F: Body frame M1: First master cylinder

M2 : 제2 마스터 실린더 WR : 후륜M2: 2nd master cylinder WR: rear wheel

본 발명은,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데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brake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ocking brake device of a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ake the second wheel brake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brake the first wheel brake. It is about improvement of.

자동 이륜차의 전, 후륜 브레이크를 연동시키도록 한 자동 이륜차의 전, 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a patent document discloses a front and rear brake interlock device for a motorcycle in which front and rear brakes of a motorcycle are linked.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소 50-5384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0-53842

상기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된 것에서는, 후륜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반력(反力)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그 반력을 전륜 브레이크에 작용시키도록 하여, 전륜 브레이크를 후륜 브레이크에 연동시키도록 하고, 그 배분은 일정하므로, 페달 조작만으로 높은 전륜 브레이크력을 얻고자 하면, 후륜 브레이크력이 너무 높아진다. In the patent document 1,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rear wheel brake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rea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wheel brake, and the front wheel brake is interlocked with the rear wheel brake. Since it is constant, if you want to obtain a high front wheel brake force only by pedal operation, the rear wheel brake force becomes too high.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데 따라 브레이크력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 차륜 브레이크를 연동시켜 브레이크 조작시키고, 제1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brake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operate the brakes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brake force appropriately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so as to avoid this incre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항의 발명은, 제1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데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제1 차륜 브레이크의 소정치 이상의 브레이크 반력을 제2 차륜 브레이크측에게 브레이크력 증대측에서 전달하는 반력 전달 수단과, 상기 반력 전달 수단에 의해서 제2 차륜 브레이크측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을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제1 차륜 브레이크에게 작용시키는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is directed to an interlocking brake apparatus of a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ake a second wheel brake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brake the first wheel brake. A reaction force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brake reaction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first wheel brake to the second wheel brake side on the brake force increasing side, and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wheel brake side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tting means. And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for acting on the first wheel brake on the side from which the brake force is weakened.

또한 제2항의 발명은, 제1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이, 상기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 및 제1 차륜 브레이크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의 제1 차륜 브레이크측의 단부와, 제2 차륜 브레이크에 연속하는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와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claim 2,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wherein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is to transmit the brake operating force o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first wheel brake. It is formed between the edge part of the 1st wheel brake side of the 1st wheel brak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continuous to a 2nd wheel brake.

또한 제3항의 발명은, 제1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와, 제2 차륜 브레이크에 연속하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3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1, wherein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that is continuous to the second wheel brake. do.

또한 제4항의 발명은, 제2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제1 차륜 브레이크는, 그 브레이크 작동 시의 반력 발생에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 패널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은,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 및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이, 상기 브레이크 패널에 그 회전축선과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퀼라이저 아암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4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wheel brake is a drum brake including a brake panel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reaction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and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includes: A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one-wheel brake and a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interlocking are connected to an equalizer arm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rake panel.

제5항의 발명은, 제2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는, 아우터 케이블 내에 인너 케이블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력 전달 수단이, 그 반력 전달 시에는 상기 아웃터 케이블을 압축하도록 하여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5,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2,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comprises a brake cable in which an inner cable is movably inserted into an outer cable, and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ransmits the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compressing the outer c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제6항의 발명은, 제1항∼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반력 전달 수단은, 제1 차륜 브레이크가 소정치 이상의 반력을 발생하는데 따라 견인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제1 링크 부재의 견인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에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that is towed as the first wheel brake generates a reaction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 second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to rotate according to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제7항의 발명은, 제6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는, 차체 프레임에 스윙 아암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에 장착됨과 동시에 그 브레이크 작동 시의 반력 발생에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 패널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제2 링크 부재가, 상기 스윙 아암에 지지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7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wheel brake is mounted to the rear wheel that is swingably supported by the swing arm on the vehicle body frame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the brake operation. A drum brake having a brake panel, wherein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anel holder supported by the swing arm and supporting the brake panel.

제8항의 발명은, 제6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제2 링크 부재가 상기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of claim 6, the invention of claim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wing arm.

제9항의 발명은, 제6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는, 차체 프레임에 스윙 아암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가 상기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9,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wheel brake is mounted to a rear wheel that is swingably supported by a swing arm on a vehicle body frame, and the second link member rotates on the vehicle body frame. It is possible to be supported.

제10항의 발명은, 제9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가, 차체 프레임에 스윙 아암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에 장착되는 동시에 그 브레이크 작동 시의 반력 발생에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 패널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로서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을 제1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아암에 전달하는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의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의 연결점을 E, 상기 스윙 아암이 하측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링크 부재의 브레이크 패널에의 연결점을 B, 후륜의 차축의 중심을 C, 상기 브레이크 아암에의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의 연결점을 D로 하여, 상기 스윙 아암이 상측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링크 부재의 상기 브레이크 패널에의 연결점을 B′, 상기 차축의 중심을 C′, 상기 브레이크 아암에의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의 연결점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 및 상기 브레이크 아암이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에 ∠BCD=∠B′C′D′또한 ED= E′D′를 만족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연결점 B, B'를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의 집합인 직선 상에, 제1 링크 부재의 제2 링크 부재에의 연결점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10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wheel brake is mounted to a rear wheel that is swingably supported by the swing arm on the body frame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the brake operation. The drum brake having a brake panel, wherein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rst wheel brake transmits the operating force of the brake pedal rotatably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frame as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the brake arm of the first wheel brake. E is the connection point to the brake pedal, B is the connection point to the brake panel of the first link member when the swing arm is in the lower position, B is the center of the axle of the rear wheel, and C is the first wheel to the brake arm. With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brake at D, the swing arm is in the upper side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link member in the state to the brake panel is B ', the center of the axle is C',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wheel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rst wheel brake to the brake arm is D ', The connection points B and B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rst wheel brake and the brake arm are in an inoperative state while satisfying BCD = ∠B′C′D ′ and ED = E′D ′ A connection point of a first link member to a second link member is defined on a straight line that is a set of vertices of an isosceles triangle whose base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

제11항의 발명은, 제5항의 발명의 구성에 추가해, 상기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가, 제2 브레이크 조작 부재 및 제2 차륜 브레이크 사이를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의 도중에, 벨 크랭크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of claim 11 i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of claim 5, wherein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is connected via a bell crank in the middle of a brake cable for front brake that connects the second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second wheel brak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2항의 발명은, 제1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데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 전진 작동하도록 하여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에 연접되는 제1 마스터 피스톤의 전단을 제2 차륜 브레이크에 접속되는 제1 액압실에 향하게 한 제1 마스터 실린더와, 제1 액압실에 항상 통하는 제2 액압실에 전단을 향하게 한 제2 마스터 피스톤이 그 후퇴시에는 제2 액압실의 액압을 해방하도록 하여 실린더체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끼워져 이루어지는 제2 마스터 실린더와, 제1 차륜 브레이크의 소정치 이상의 브레이크 반력을 제2 마스터 피스톤에 그 전진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반력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2 is directed to an interlocking brake apparatus of a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ake the second wheel brake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brake the first wheel brake. A first master cylinder configured to move for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master piston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s directed to the first hydraulic chamber connected to the second wheel brake; A second master cylinder which is slidably fitted into the cylinder body so as to releas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when the second master piston facing the front end in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which always communicates with the first hydraulic chamber, is released; The brake reaction force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of the brake is applied to the second master piston in its forward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capable of.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선의 형태>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의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shown i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자동 이륜차를 간략화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2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부분의 사시도, 도 5는 후륜 브레이크의 비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연동 상태로 되기 직전의 후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5에 대응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화살표 7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브레이크 페달 입력에 대한 브레이크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to 8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ide view of a simplified side view of a motorcycle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ke device,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rrow 2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3-3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shown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rear wheel brake immediately before,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rrow 7 of FIG. 1,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brake force with respect to a brake pedal input. .

우선 도 1에 있어서, 이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이 그 전후 방향 중간부에 구비하는 피벗 플레이트(15)에는, 후륜(WR)의 차축(16)을 후부 사이에서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스윙 아암(17L, 17R)의 전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체 프레임(F) 및 양 스윙 아암(17L, 17R)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어 쿠션 유닛이 설치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이 전단에 구비하는 헤드 파이프(18)에는, 하단부에서 전륜(WF)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9)가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바 형상의 조향 핸들(20)이 프론트 포크(19)의 상부에 연결된다. First, in FIG. 1,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wings which support the axle 16 of the rear wheel WR between the rear part in the pivot plate 15 which the vehicle body frame F of this motorcycle compris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middle par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arms 17L and 17R are swingably supported, and a rear cushion unit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vehicle body frame F and both swing arms 17L and 17R. Moreover, the front fork 19 which supports the front wheel WF axially at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head pipe 18 with which the vehicle body frame F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so that steering is possible, and the bar steering wheel 20 is front. It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ork 19.

상기 후륜(WR)에는, 제1 차륜 브레이크인 후륜 브레이크(BRA)가 장착되고, 전륜(WF)에는 제2 차륜 브레이크인 전륜 브레이크(BFA)가 장착되고, 후륜 브레이크(BRA) 및 전륜 브레이크(BFA)는 모두 드럼 브레이크이다. The rear wheel WR is equipped with a rear wheel brake BRA that is a first wheel brake, and the front wheel WF is equipped with a front wheel brake BFA that is a second wheel brake, and a rear wheel brake BRA and a front wheel brake BFA. ) Are all drum brakes.

상기 차체 프레임(F)의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인 브레이크 페달(21)이 밟음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피 벗 플레이트(15) 및 브레이크 페달(21) 사이에는 반환 용수철(22)이 압축 설치된다. 이 브레이크 페달(21)의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력은,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인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을 통해 후륜 브레이크(BRA)에 전달된다. 또한 조향 핸들(20)의 우측에는 제2 브레이크 조작 부재로서의 브레이크 레버(24)가 회전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부착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 레버(24)의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력은,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을 통해 전륜 브레이크(BFA)에 전달된다. The brake pedal 21, which is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plate 15 of the vehicle body frame F so as to enable stepping operation, and the pivot plate 15 and the brake pedal 21 are rotated. ), The return spring 22 is compressed. The brake operation force by the operation of this brake pedal 21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brake BRA via the rear brake cable 23A, which is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rst wheel brake. In addition, a brake lever 24 as a second brake opera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steering wheel 20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and the brake operating force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24 is a brake cable for front wheel brake. Via 25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또한,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후륜 브레이크(BRA)를 브레이크 작동시켰을 때에, 후륜 브레이크(BRA)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반력 전달 수단(26A),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인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 및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을 통해 상기 반력이 전륜 브레이크(BFA)에게 브레이크력 증대측에서 전달되고, 상기 반력 전달 수단(26A)에 의해서 전륜 브레이크(BFA)측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은,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에 의해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후륜 브레이크(BRA)에게 작용된다. When the rear brake BRA is braked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21,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brake BRA reaches or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and the interlocking brake The rea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from the brake force increasing side through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nd the front wheel brake cable 25 as the forc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front wheel brake is driven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BFA) side is applied to the rear wheel brake BRA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by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도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후륜(WR)은, 휠 허브(31)와, 상기 휠 허브(31)를 동 축에 둘러싸는 림(32)과, 휠 허브(31) 및 림(3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33, 33…)와, 림(32)에 장착되는 타이어(34)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휠 허브(31)는, 좌우 한쌍의 스윙 아암(17L, 17R)의 후부에, 이들 스윙 아암(17L, 17R)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양 단부가 지지되는 차축 (16)을 동 축에 둘러싸는 내통부(31a)와, 상기 내통부(31a)를 동 축에 둘러싸는 외통부(31b)와, 내통부(31a) 및 외통부(31b)의 중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31c)를 일체로 가지는 것이고, 내통부(31a)의 좌우 양 단부는, 차축(16)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디스턴스 칼라(35)를 내륜 상호간에 개재시킨 좌측 및 우측 볼 베어링(36, 37)을 각각 통해 차축(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스포크(33, 33…)는, 상기 외통부(31b)의 외주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ogether, the rear wheel WR includes a wheel hub 31, a rim 32 surrounding the wheel hub 31 coaxially, a wheel hub 31, and a rim 32. ) And a plurality of spokes 33, 33... Which are connected between each other, and tires 34 mounted on the rim 32. The wheel hub 31 is a rear portion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wing arms 17L, 17R. The inner cylinder portion 31a and the inner cylinder portion 31a surrounding the axle 16 on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by allowing the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se swing arms 17L and 17R to be supported on the same shaft can be adjusted. It has the outer cylinder part 31b enclosed by the same shaft, and the connection wall part 31c which connects between the inner cylinder part 31a and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outer cylinder part 31b integrally, and the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ner cylinder part 31a,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axle 16 through the left and right ball bearings 36 and 37 which interposed the cylindrical distance collar 35 surrounding the axle 16 between the inner rings, respectively. Network (33, 33)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tube (31b).

그런데 상기 연결 벽부(31c)는, 상기 내통부(31a) 및 외통부(31b)의 축방향 중앙부보다도 좌측에 기울어진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고, 휠 허브(31)의 좌단측에는, 상기 연결 벽부(31c)를 폐색단으로 한 복수의 걸림 오목부(38…)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한편, 좌측 볼 베어링(36) 및 좌측의 스윙 아암(17L) 사이에는, 내단을 좌측 볼 베어링(36)의 내륜에 접하게 해 차축(16)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드리븐 플랜지 칼라(39)와, 상기 드리븐 플랜지 칼라(39)의 외단에 내단을 접하게 하는 동시에 외단을 좌측의 스윙 아암(17L)의 내측면에 접하게 하는 원통 형상의 좌측 사이드 칼라(40)가 개재되어 장착된다. By the way, the said connection wall part 31c connects the inclined part to the left side rather than the axial center part of the said inner cylinder part 31a and the outer cylinder part 31b, and the said connection wall part 31c is located in the left end side of the wheel hub 31. As shown in FIG. ), A plurality of locking recesses 38... With a closed end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left ball bearing 36 and the left swing arm 17L, the cylindrical driven flange collar 39 surrounding the axle 16 with the inner end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of the left ball bearing 36, A cylindrical left side collar 40 is mount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driven flange collar 39 and an outer end of the driven flange collar 39 to contact the inner side of the left swing arm 17L.

좌측의 스윙 아암(17L) 및 상기 휠 허브(31) 사이에는, 상기 드리븐 플랜지 칼라(39)와의 사이에 드리븐 플랜지 베어링(41)을 개재하여 장착시킨 드리븐 플랜지(4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드리븐 플랜지(42)에는 드리븐 스플로켓(43)이 체결되고, 차체 프레임(F)에 탑재되는 파워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체인(44)이 드리븐 스플로켓(43)에 감긴다. 또한 상기 드리븐 플랜지(42)에는, 휠 허브(31)가 구비하는 복수의 걸림 오목부(38…)에 삽입되는 걸어 맞춤 돌출부(42a…)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휠 허브(31)의 둘레 방향에 따르는 상기 걸림 오목부(38…)의 양측면과, 상기 각 걸어맞춤 돌출부(42a…)와의 사이에는 댐퍼 고무(45···)가 각각 개재되어 장착된다. 즉 파워 유닛으로부터 드리븐 플랜지(42)에 전달되는 동력은 상기 댐퍼 고무(45…)를 통해 휠 허브(31)에 전달되게 된다. Between the swing arm 17L on the left side and the wheel hub 31, a driven flange 42 mounted via a driven flange bearing 41 is disposed between the driven flange collar 39. A driven sprocket 43 is fastened to the flange 42, and a drive chain 44 which transfers power from a power unit (not shown)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F is wound around the driven sprocket 43. All. The driven flange 4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engaging projections 42a... Which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locking recesses 38... Of the wheel hub 31. Damper rubbers 45... Are interposed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cking recesses 38...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42a. That is,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unit to the driven flange 42 is transmitted to the wheel hub 31 through the damper rubber 45.

후륜 브레이크(BRA)는, 상기 연결 벽부(31c)보다도 우측에서 휠 허브(31)에 장착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브레이크 드럼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외통부(31b)와, 상기 외통부(31b)의 우단 개구부를 닫도록 하여 외통부(31b)의 우단부에 기밀하게 끼워맞춰지는 브레이크 패널(46)과, 외통부(31b)의 내주에 마찰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널(46)에 지지축(47…)을 각각 통해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브레이크 슈(48…)와, 양 브레이크 슈(48…)를 상기 각 지지축(47…)의 축선 주위에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양 브레이크 슈(48…)의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브레이크 패널(4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캠축(49)과, 상기 브레이크 캠축(49)의 상기 브레이크 패널(46)로부터의 돌출 단부에 기(基)단부가 고정되는 브레이크 아암(50) 등을 구비하는 종래 주지의 것이다. The rear wheel brake BRA is a drum brake attached to the wheel hub 31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ng wall portion 31c, and closes the outer cylinder portion 31b serving as a brake drum and the right end opening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31b. The support shaft 47 is attached to the brake panel 46 by enabling frictional engagement with the brake panel 46 which is hermetically fitted to the right end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31b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31b. A pair of brake shoes 48.., With one end rotatably supported therethrough, and both brake shoes 48..., For driving both brake shoes 48..., Around the axis of the respective support shafts 47. The base end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brake cam shaft 49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ke panel 46 and the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brake cam shaft 49 from the brake panel 46. Fixed brake arm (50) etc. It is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ing provided.

우측의 스윙 아암(17R)의 후부 내면에는, 상기 차축(16)을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53)을 후부에 갖는 패널 홀더(54)가 접해 있고, 상기 패널 홀더(54)의 전부(前部) 외면에는 우측의 스윙 아암(17R)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55)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의 스윙 아암(17R)의 내면에 돌출되는 돌출부(56)가 상기 오목부(55)에 걸어맞춰진다. On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right swing arm 17R, a panel holder 54 having a through hole 53 for inserting the axle 16 in the rea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panel holder 54. A concave portion 5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swing arm 17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protrusion 56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swing arm 17R hangs on the concave portion 55. Fit.

그런데 브레이크 패널(46)의 중앙부에는, 차축(16)을 둘러싸 패널 홀더(54)측으로 연장되는 원통부(46a)가 일체로 형성되고, 휠 허브(31) 및 차축(16) 사이에 설치되는 우측 볼 베어링(37)의 내륜에 내단을 접하게 해 차축(16)을 둘러싸는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패널(46)의 원통부를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우측 사이드 칼라(57)의 외단이, 상기 패널 홀더(54)가 구비하는 관통 구멍(53)의 도중에 형성되는 환형상 단부(環狀段部)(53a)에 외단을 접하게 하여 상기 관통 구멍(53)의 내단측에 끼워맞춰진다. By the way, at the center of the brake panel 46, a cylindrical portion 46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xle 16 and extends toward the panel holder 54. The right side is provided between the wheel hub 31 and the axle 16. The outer end of the cylindrical right side collar 57 penetrating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rake panel 46 while enclosing the axle 16 with the inner end of the ball bearing 37 in contact with the inner end thereof is the panel holder 54. The out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nnular end portion 53a which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hrough hole 53 provided with), and is fitted to the inner end side of the through hole 53.

상기 우측 사이드 칼라(57)와, 브레이크 패널(46)의 원통부(46a)와의 사이에는, 상기 원통부(46a)의 양단에 걸어맞춰지는 플랜지부(58a…)를 일체로 가지는 한쌍의 부시(58…)가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고, 양 부시(58…)중 외방측의 부시(58)의 외단은 패널 홀더(54)에 접한다. 즉 브레이크 패널(46)은, 우측의 스윙 아암(17R)의 내면측에 지지되는 패널 홀더(54)와, 휠 허브(31)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패널 홀더(54)에 지지되어 있다. Between the said right side collar 57 and the cylindrical part 46a of the brake panel 46, a pair of bush which integrally has the flange part 58a ... engaged with the both ends of the said cylindrical part 46a ( 58 ... are interposed, and the outer end of the bush 58 of the outer side of both bushes 58 ... comes in contact with the panel holder 5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rake panel 4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fit between the panel holder 54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ight swing arm 17R, and the wheel hub 31, and is supported by the panel holder 54. As shown in FIG. .

또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브레이크 패널(46)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46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아암부(46b)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패널 홀더(54)에는 용수철 받침대(59)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암부(46b) 및 용수철 받침대(59) 사이에는 코일형상의 용수철(60)이 개재되어 장착되어 있고, 후륜 브레이크(BRA)가 브레이크 작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은 도 2의 화살표 61의 방향에서 브레이크 패널(46)에 작용하는데, 그 브레이크 반력이 상기 용수철(60)로 정해지는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브레이크 패 널(46)은 상기 화살표 61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4, the arm part 46b extended forward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brake panel 46, and the said panel holder 54 is made to face the arm part 46b from below. ), The spring pedestal 59 is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a coil spring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arm portion 46b and the spring rest 59, and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brak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brake BRA i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61 in FIG. The brake panel 46 rotat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61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determined by the spring 60.

그런데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은, 아웃터 케이블(62) 내에 인너 케이블(63)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피벗 플레이트(15)에 고착되는 스테이(64)(도 1 참조)에 아웃터 케이블(62)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그 아웃터 케이블(6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인너 케이블(63)의 일단은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견인되도록 하여 브레이크 페달(21)에 연결된다. By the way, the rear brake cable 23A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ner cable 63 in the outer cable 62 so as to be movable, and the stay 64 fixed to the pivot plate 15 in the vehicle body frame F. (See FIG. 1), one end of the outer cable 62 is supported, and one end of the inner cable 63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cable 62 is pulled forward by the stepping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1. FIG.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21.

또한, 아웃터 케이블(62)의 타단에 장착된 케이블 캡(65)은, 브레이크 패널(46)의 외면에 일체로 설치된 케이블 지지부(46c)에 전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춰짐으로써 지지된다. 이 케이블 캡(65)으로부터 돌출된 인너 케이블(63)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엔드 스크류(66)는, 브레이크 아암(50)의 선(先)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축(67)을 그 일직경선에 따라 관통하고, 연결축(67)으로부터의 케이블 엔드 스크류(66)의 돌출부에는 연결축(67)의 외면에 후방측으로부터 걸어맞춤하는 너트(68)가 조여지고, 브레이크 패널(46) 및 브레이크 아암(50) 사이에는, 상기 연결축(67)을 너트(68)에 접하게 해 걸어맞추게 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아암(50)을 회전 가압하여 브레이크 캠축(49)을 둘러싸는 비틀림 용수철(69)이 설치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인너 케이블(63)이 견인됨으로써, 브레이크 아암(50)이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RA)가 브레이크 작동하게 된다. Moreover, the cable cap 65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cable 62 is supported by being fitt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cable support part 46c integrally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ke panel 46. The cable end screw 66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ble 63 protruding from the cable cap 65 is a connecting shaft 67 rotatably supported at the front end of the brake arm 50. Is passed along the radial line, and the nut 68 engagi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67 from the rear side is tightened to the protrusion of the cable end screw 66 from the connecting shaft 67, and the brake panel ( Between the 46 and the brake arm 50, the torsion coil spring which surrounds the brake camshaft 49 by rotationally pressurizing the brake arm 50 in the direction which makes the said connecting shaft 67 contact with the nut 68, and engages. 69)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inner cable 63 is pulled by the stepping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1, so that the brake arm 5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FIG. 2, whereby the rear wheel brake BRA is braked.

또한 상기 너트(68)의 케이블 엔드 스크류(66)에의 조임 위치를 조절함으로 써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여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 캡(65) 및 케이블 엔드 스크류(66) 사이에는, 인너 케이블(63)을 둘러싸는 부트(boot)(70)가 개재되어 장착된다.Further, by adjusting the tightening position of the nut 68 to the cable end screw 66,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argin of the brake cable 23A for the rear wheel brake, and the cable cap 65 and the cable end screw 66 In between, a boot 70 surrounding the inner cable 63 is interposed.

반력 전달 수단(26A)은, 직선상태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부재(71)와, 제1 링크 부재(71)에 연결되는 대략 L자 형상의 제2 링크 부재(7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 링크 부재(71)는 후륜 브레이크(BRA)가 소정치 이상의 반력을 발생하는데 따라 견인되도록 하여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 패널(46)의 하부에 연결 핀(73)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2 링크 부재(72)의 중간부는 지지 핀(74)을 통해 패널 홀더(5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링크 부재(72)의 일단부는, 제1 링크 부재(71)의 견인에 의해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71)의 타단부에 연결 핀(75)을 통해 연결된다. The reaction force transmitting means 26A is composed of a first link member 71 extending in a linear state and a second link member 72 having an approximately L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71. The first link member 71 is to be pulled as the rear wheel brake BRA generates a reaction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ke panel 46 through a connecting pin 73.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72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nel holder 54 via the support pin 74,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72 is the first link member 71. It is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pin 75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71 so as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은, 아웃터 케이블(77) 내에 인너 케이블(78)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일단부는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의 도중에 접속된다. 또한 아웃터 케이블(77)의 타단에 장착된 케이블 캡(79)은, 제2 링크 부재(7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축(76)에 전방측에서 접하고, 끼워맞춰지며, 이 케이블 캡(79)으로부터 돌출된 인너 케이블(78)의 타단부에는 케이블 엔드 스크류(80)가 설치되고, 케이블 캡(79) 및 케이블 엔드 스크류(80) 사이에는 인너 케이블(78)을 둘러싸는 부트(81)가 설치된다.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ner cable 78 in the outer cable 77 so as to be movable, and one end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wheel brake brake cable 25. Connected. In addition, the cable cap 79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cable 77 is fitte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shaft 76 rotatably support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72 from the front side. A cable end screw 8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ble 78 protruding from the cable cap 79, and a boot surrounding the inner cable 78 between the cable cap 79 and the cable end screw 80. 81 is installed.

또한, 후륜 브레이크(BRA)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이 용수철(60)로 정하 는 소정치 이상이 되면, 반력 전달 수단(26A)의 제2 링크 부재(72)는 제1 링크 부재(71)가 브레이크 패널(46)로 견인되는데 따라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아웃터 케이블(77)에 장착된 케이블 캡(79)을 전방측에 가압하게 된다. 즉 반력 전달 수단(26A)은, 그 반력 전달 시에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아웃터 케이블(77)을 압축하도록 하여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도중에 접속되게 되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은 그 아웃터 케이블(77)의 압축에 의한 반력에 의해서 인너 케이블(78)이 전방측으로 작동하게 된다. Further,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wheel brake B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determined by the spring 60, the second link member 72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causes the first link member 71 to brake. As it is pulled to the panel 46, it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2 and presses the cable cap 79 mounted on the outer cable 77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to the front side. That is,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compresses the outer cable 77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t the time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and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The inner cable 78 is operated forward by the reaction force by the compression of the outer cable 77.

또한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은,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후륜 브레이크(BRA)측의 단부와,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고,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후륜 브레이크(BRA)측의 단부 및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단부가, 브레이크 패널(46)에 그 회전축선과 평행한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아암(85)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is provid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rear brake brake cable 23A on the rear brake side BRA side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nd the rear brake brake cable ( An equalizer arm 85 in which an end portion on the rear wheel brake BRA side of 23A and an end portion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ke panel 46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thereof. I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상기 이퀄라이저 아암(85)의 중간부는 브레이크 캠축(4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케이블 엔드 스크류(80)는, 이퀄라이저 아암(85)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86)을 그 일직경선에 따라 관통하고, 상기 연결축(86)으로부터의 케이블 엔드 스크류(80)의 돌출부에는 연결축(86)의 외면에 후방측으로부터 걸어맞춤하는 너트(87)가 조여지고, 케이블 캡(79) 및 상기 연결축(86) 사이에는, 상기 연결축(86)을 너트(87)에 접하게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이퀄라이저 아암(85)을 회전 가압하는 코일 형상 용수철(82)이 부 트(81)를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된다.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qualizer arm 8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ke camshaft 49, and the cable end screw 80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equalizer arm 85. A nut 87 which penetrates the connecting shaft 86 along its one radial line, and engages from the rear si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86 to the protrusion of the cable end screw 80 from the connecting shaft 86. Between the cable cap 79 and the connecting shaft 86, a coil-shaped spring for rotationally pressing the equalizer arm 85 in a direction to engage the connecting shaft 86 in contact with the nut 87 ( 82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boot (81).

또한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에서의 케이블 엔드 스크류(66)의 전부(前部)에는, 전방측의 걸림 플랜지부(66a)와, 후방측의 걸림 플랜지부(66b)가 전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퀄라이저 아암(85)의 하부에는, 상기 양 걸림 플랜지부(66a, 66b)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 엔드 스크류(66)를 타서 넘도록 하여 두 갈래로 형성되는 걸어맞춤 판부(85a)가 일체로 설치된다. In addition, in the front part of the cable end screw 66 in the rear brake cable 23A, the front latching flange portion 66a and the rear locking flange portion 66b are spaced back and forth. In the lower part of the equalizer arm 85, the engaging plate part 85a formed by the bifurcation which crosses the said cable end screw 66 between the engaging flange parts 66a and 66b is integrated. Is installed.

또한 후륜 브레이크(BRA)가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 아암(85)은 걸어맞춤 판부(85a)가 전방측의 걸림 플랜지부(66a)에 후방측으로부터 걸리는 위치에 있다. 또한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인너 케이블(63)이 견인됨으로써 후륜 브레이크(BRA)가 브레이크 작동하면, 후방측의 걸림 플랜지부(66b)가 후방으로부터 걸어맞춤 판부(85a)에 근접하게 되고, 후륜 브레이크(BRA)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기 직전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 판부(85a)가 후방측의 걸림 플랜지부(66b)에 전방측으로부터 걸어맞춤하는 위치까지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인너 케이블(63)이 전방에 견인된다. 그리고 후륜 브레이크(BRA)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반력 전달 수단(26A)의 작동에 따라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아웃터 케이블(77)이 압축됨에 의한 인너 케이블(78)의 전방측에의 작동에 의해, 이퀄라이저 아암(85)이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걸어맞춤 판부(85a)가 후방측의 걸림 플랜지부(66b)에 전방측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인너 케이 블(63)이 후방측에 잡아 당겨지게 된다. 즉 반력 전달 수단(26A)으로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으로부터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후륜 브레이크(BRA)에 작용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ar wheel brake BRA is in an inoperative state, as shown in FIG. 5, the equalizer arm 85 is a position where the engaging plate portion 85a is caught from the rear side by the engaging flange portion 66a on the front side. Is in. In addition, when the rear wheel brake BRA is braked by the inner cable 63 of the rear brake brake cable 23A being pulled out, the engaging flange portion 66b on the rear side comes close to the engaging plate portion 85a from the rear side. Immediately before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brake BRA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s shown in FIG. 6, the engaging plate portion 85a is moved forward to the latching flange portion 66b on the rear side. The inner cable 63 of the brake cable 23A for rear brakes is pulled forward to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side.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wheel brake BRA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inner cable 78 is compressed by the outer cable 77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compr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By the opera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the equalizer arm 85 is pressed clockwise in Fig. 6, and the engaging plate portion 85a is engaged from the front side by the engaging flange portion 66b on the rear side and the rear wheel brake is applied. The inner cable 63 of the brake cable 23A is pulled to the rear side. That is,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acts on the rear wheel brake BRA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from the brake force suppression means 28A.

도 7에 있어서,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은, 상하로 분할된 한쌍의 아웃터 케이블(88, 89) 내에 인너 케이블(9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인너 케이블(90)의 일단은 브레이크 레버(24)의 조작에 따라 견인되도록 하여 상기 브레이크 레버(24)에 연결되고, 또한 인너 케이블(90)의 타단은 드럼 브레이크인 전륜 브레이크(BFA)의 브레이크 아암(91)(도 1 참조)에 연결된다. 또한 상방의 아웃터 케이블(88)의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 레버(24)의 근방에서 조향 핸들(20)에 지지된다. 하방의 아웃터 케이블(89)의 일단은, 헤드 파이프(18)의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F)에 고정되는 지지 스테이(92)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92a)에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지지되고, 하방의 아웃터 케이블(89)의 타단은 전륜 브레이크(BFA)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널(93)(도1 참조)에 지지된다. In Fig. 7, the brake cable 25 for the front wheel brake is formed by movably inserting the inner cable 90 into the pair of outer cables 88 and 89 divided up and down, so that one end of the inner cable 90 is provided. Is connected to the brake lever 24 by being pu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lever 24,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ble 90 is the brake arm 91 of the front wheel brake BFA, which is a drum brake (see Fig. 1). ) In addition, one end of the upper outer cable 88 is supported by the steering wheel 20 in the vicinity of the brake lever 24. One end of the lower outer cable 89 is fitted from below to a cylindrical support portion 92a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tay 92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F in the vicinity of the head pipe 18, It is supporte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outer cable 89 is supported by the brake panel 93 (refer FIG. 1) which the front-wheel brake BFA is equipped with.

그런데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이 구비하는 아웃터 케이블(77)의 일단은, 상기 지지 스테이(92)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부(92b)에 후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지지되고, 그 아웃터 케이블(77)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인너 케이블(78)의 일단은, 벨 크랭크(94)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However, one end of the outer cable 77 included in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fitted to and supported from the rear side by a cylindrical support portion 92b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tay 92, and the outer cable is supported. One end of the inner cable 78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77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ell crank 94.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벨 크랭크(94)의 중간부는 지지축(95)을 통해 지지 스테이(92)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벨 크랭크(94)의 타 단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부(94a)에,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에 있어서의 상방의 아웃터 케이블(88)의 타단부가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지지된다. 또한 지지 스테이(92)에는, 상기 벨 크랭크(94)의 도 7에서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단을 규제하는 스토퍼(92c)가 일체로 설치된다. The middle portion of the bell crank 94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stay 92 via the support shaft 95,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ell crank 94.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upper outer cable 88 of the front brake cable 25 is fitt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cylindrical support portion 94a to be supported. In addition, the support stay 9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topper 92c for restricting the rotational end of the bell crank 94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7.

또한,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인너 케이블(78)이, 반력 전달 수단(26A)으로부터의 반력 전달에 따라 후방측에 견인되도록 작동하면, 벨 크랭크(94)가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방의 아웃터 케이블(88)이 압축됨으로써, 상방의 아웃터 케이블(88)의 압축에 수반되는 반력에 의해서 인너 케이블(90)에 견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륜 브레이크(BFA)가 브레이크 작동하게 된다. Further, when the inner cable 78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operated to be pulled to the rear side in response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the bell crank 94 mov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When the upper outer cable 88 is rotated, the traction force acts on the inner cable 90 by the reaction force accompanying the compression of the upper outer cable 88, and the front wheel brake BFA is rotated. The brakes will be activated.

즉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은, 브레이크 레버(24) 및 전륜 브레이크(BFA) 사이를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의 도중에, 벨 크랭크(94)를 통해 접속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connected via the bell crank 94 in the middle of the front wheel brake brake cable 25 that connects the brake lever 24 and the front wheel brake BFA.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브레이크 페달(21)의 조작에 의해서 브레이크 작동하는 후륜 브레이크(BRA)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후륜 브레이크(BRA)로부터의 반력이 반력 전달 수단(26A)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BFA)가 브레이크 작동한다. 또한, 반력 전달 수단(26A)에 의해서 전달되는 반력에 따른 힘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으로부터 후륜 브레이크(BRA)에게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전륜 브레이크(BFA)의 브레이크력을 증대하는 측으로 브레이크 페달(21)을 조작해도 후륜 브레이 크(BRA)의 브레이크력의 증가는 일정한 비율로 억제되어, 후륜 브레이크(BRA)의 브레이크력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는다. Next, the operation of this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wheel brake BRA operated by the brake pedal 21 become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eaction force from the rear wheel brake BRA is increased. The front wheel brake BFA brakes by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In addition, since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acts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from the brake force suppression means 28A to the rear wheel brake BRA,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BFA. Even if the brake pedal 21 is operated to increase the pressure, the increase in the brake force of the rear wheel brake BRA is suppressed at a constant rate so that the brake force of the rear wheel brake BRA is not too high.

즉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21)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입력이 어느 값(F) 이상이 되면, 후륜 브레이크(BRA)의 브레이크력 증가 비율이 저하하고, 그 만큼 전륜 브레이크(BFA)가 브레이크력을 발휘하게 되어, 후륜 브레이크(BRA) 및 전륜 브레이크(BFA)를 이들 브레이크력의 밸런스를 적정히 유지하면서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brake operation input by the brake pedal 21 becomes more than a certain value F, the rate of increase of the brake force of the rear wheel brake BRA decreases and the front wheel brake BFA by that amount. The brake force can be exerted, and the rear wheel brake BRA and the front wheel brake BFA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se brake forces.

또한,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은, 브레이크 페달(21)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브레이크 페달(21) 및 후륜 브레이크(BRA) 사이를 연결하는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후륜 브레이크(BRA)측의 단부와, 전륜 브레이크(BFA)에 연속하는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고,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을 후륜 브레이크(BRA)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21)의 주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transmits the brake operation force of the brake pedal 21 so as to connect the brake pedal 21 and the rear wheel brake BRA to the rear wheel brake of the rear brake cable 23A. The brake is provided between the end portion on the BRA side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continuous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and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is disposed around the rear wheel brake BRA.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pedal 21 can be simplified.

또한,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은,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의 후륜 브레이크(BRA)측의 단부 및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단부가, 후륜 브레이크(BRA)의 브레이크 패널(46)에 그 회전축선과 평행한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퀄라이저 아암(85)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반력 전달 수단(26A)으로부터의 반력 전달 작용에 의해서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이 전륜 브레이크(BFA)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도록 작동하는데 따른 이퀄라이저 아암(85)의 회전력에 의해,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A)을 후륜 브레이 크(BRA)의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을, 후륜 브레이크(BRA)의 주위에 모아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has an end portion at the rear wheel brake BRA side of the rear wheel brake brake cable 23A and an end portion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t the brake panel 46 of the rear wheel brake BRA.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s by the reaction force transfer action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since the coupling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qualizer arm 85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qualizer arm 85 which operates to brake the brake BFA, the brake cable 23A for the rear brake can be operated to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of the rear brake BRA. 28 A of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can be gathered around rear wheel brake BRA, and can be comprised easily.

또한 반력 전달 수단(26A)은, 그 반력 전달시에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아웃터 케이블(77)을 압축하도록 하여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에 접속되어 있고, 반력 전달 수단(26A)으로부터의 반력 작용에 의해서 전륜 브레이크(BFA)에 연속하는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의 아웃터 케이블(77)이 압축되고, 또한 그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BFA)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Further,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by compressing the outer cable 77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t the time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and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The outer cable 77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continuous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is compress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BFA, thereby enabling the front wheel brake BFA to be braked.

또한 반력 전달 수단(26A)은, 후륜 브레이크(BRA)가 소정치 이상의 반력을 발생하는데 따라 견인되는 제1 링크 부재(71)와, 제1 링크 부재(71)의 견인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71)에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72)로 이루어지고, 후륜 브레이크(BRA)로부터의 반력 작용 방향을 제2 링크 부재(72)로 변환할 수 있어, 반력 전달 수단(26A)으로부터의 전륜 브레이크(BFA)측에의 반력 전달 구조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rotates in response to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71 and the first link member 71, which are pulled as the rear wheel brake BRA generates a reaction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t consists of the 2nd link member 72 connected to the 1st link member 71, The reaction force direction from the rear wheel brake BRA can be converted into the 2nd link member 72, and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is carried out. The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from the front wheel brake (BFA) to the side can be increased.

또한, 제2 링크 부재(72)는, 스윙 아암(17R)에 지지되어 후륜 브레이크(BRA)의 브레이크 패널(46)을 지지하는 패널 홀더(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므로, 스윙 아암(17R)의 요동에 수반되는 반력 전달 경로의 여유를 고려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아, 후륜(WR)에 장착되는 드럼 브레이크의 주위에 반력 전달 수단(26A)을 컴팩트하게 모아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link member 7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anel arm 54 supported by the swing arm 17R and supporting the brake panel 46 of the rear wheel brake BRA, the swing arm 17R It is not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argin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path accompanying the swing of, so that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can be compactly arranged around the drum brake mounted on the rear wheel WR.

또한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이, 브레이크 레버(24) 및 전륜 브레이크(BFA) 사이를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의 도중에, 벨 크랭크 (94)를 통해 접속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레버(24)의 조작력에 추가하여,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을 전륜 브레이크(BFA)에 작용시키는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connected via the bell crank 94 in the middle of the front wheel brake brake cable 25 connecting the brake lever 24 and the front wheel brake BFA, the brake lever (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force of 24, the structure which makes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act on front wheel brake BFA can be comprised simply.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9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a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드럼 브레이크인 후륜 브레이크(BRB)를 브레이크 작동시켰을 때에, 후륜 브레이크(BRB)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반력 전달 수단(26B), 전륜 브레이크(BFA)(제1 실시예 참조)에 연속하는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인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을 통해 상기 반력이 전륜 브레이크(BFA)에게 브레이크력 증대측에서 전달되고, 상기 반력 전달 수단(26B)에 의해서 전륜 브레이크(BFA)측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은,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B)에 의해서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후륜 브레이크(BRB)에게 작용된다.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brake BRB become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rear wheel brake BRB, which is a drum brake, is braked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21,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and the front wheel brake The reaction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brake force increasing side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via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which is an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continuous to BFA (see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side by 26B is applied to the rear wheel brake BRB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by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B.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B)은, 피벗 플레이트(15)에 설치된 스테이(64)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아웃터 케이블(62)과, 상기 아웃터 케이블(6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인너 케이블(63)을 구비하고, 인너 케이블(63)의 일단은 브레이크 페달(21)에 연결된다. 또한 아웃터 케이블(62)의 타단에 장착된 케이블 캡(65)은, 후륜 브레이크(BRB)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널(96)의 외면에 일체로 설치된 케이블 지지부(96a)에 전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춤하여 지지된다. 이 케이블 캡(65)으로부터 돌출된 인너 케이블(63)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엔드 스크류 (97)는, 후륜 브레이크(BRB)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아암(98)의 선단부에 연결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연결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인너 케이블(63)이 견인됨으로써, 브레이크 아암(98)이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RB)가 브레이크 작동하게 된다. The rear brake cable 23B includes an outer cable 62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a stay 64 provided on the pivot plate 15, and an inner cable 63 movably inserted into the outer cable 62. And one end of the inner cable 63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21. Moreover, the cable cap 65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cable 62 is supported by fitt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cable support part 96a integrally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ke panel 96 with which the rear wheel brake BRB is equipped. do. The cable end screw 97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ble 63 protruding from the cable cap 65 can adjust the connection position at the front end of the brake arm 98 provided in the rear wheel brake BRB. Is connected. In addition, when the inner cable 63 is pulled by the stepping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1, the brake arm 98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9, whereby the rear wheel brake BRB is braked.

반력 전달 수단(26B)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부재(99)와,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제1 링크 부재(99)에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1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 링크 부재(99)는 후륜 브레이크(BRB)가 소정치 이상의 반력을 발생하는데 따라 견인되도록 하여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 패널(96)의 하부에 연결 핀(101)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후륜(WR)(제1 실시예 참조)의 차축(16)을 후단부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전단부가 피벗 플레이트(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17R′)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의 상부에는, 제2 링크 부재(100)의 일단부가 지지 핀(10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 링크 부재(100)의 중간부에는, 제1 링크 부재(99)의 견인에 의해 제2 링크 부재(100)가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99)의 타단부가 연결 핀(103)을 통해 연결된다.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is composed of a first link member 99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a second link member 100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99. The first link member 99 is pulled as the rear wheel brake BRB generates a reaction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ke panel 96 through a connecting pin 101. In addition, the axle 16 of the rear wheel WR (see the first embodiment) is supported at the rear end and at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ng arm 17R 'whose front end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pivot plate 15.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00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100 through the support pin 102,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100 is supported by the pull of the first link member 99. As a result, the second link member 1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9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99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in 103.

한편, 상기 스윙 아암(17R′)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의 하부에는 용수철 받침 부재(104)가 고착되어 있고, 제2 링크 부재(100)의 중간부에서는, 상기 용수철 받침 부재(104)에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아암부(100a)가 하방으로 늘어뜨려지고, 아암부(100a) 및 용수철 받침 부재(104) 사이에는, 제2 링크 부재(100)를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용수철(105)이 압축 설치된다. 또한, 스윙 아암(17R')에는, 상기 용수철(105)이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한 제2 링크 부재(100)의 상 기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단을 규제하는 스토퍼(106)가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pring support member 104 is fixed to the lower part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swing arm 17R ', and in the middle part of the 2nd link member 100, it is forward to the said spring support member 104. An opposing arm portion 100a is lowered from the side, and a spring for rotating and pressing the second link member 100 counterclockwise in FIG. 9 between the arm portion 100a and the spring support member 104 ( 105) is installed compressed. The swing arm 17R 'protrudes integrally with a stopper 106 that restricts the rotational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0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exerted by the spring 105. do.

또한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후륜 브레이크(BRB)가 브레이크 작동하였을 때의 브레이크 반력에 의해서, 브레이크 패널(96)은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데, 브레이크 패널(96)에는, 상기 용수철(105)의 탄성력이 반력 전달 수단(26B)을 통해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브레이크 반력이 용수철(105)의 탄성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브레이크 패널(96)이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반력 전달 수단(26B)의 제1 링크 부재(99)가 견인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brake panel 96 attempts to rotate clockwise in FIG. 9 by the brake reaction force when the rear wheel brake BRB is braked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21. When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105 acts counterclockwise in FIG. 9 through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and the brake reaction force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105, the brake panel 96 is clockwise in FIG. Direction, which causes the first link member 99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to be pulled.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은, 전후로 분할된 한쌍의 아웃터 케이블(107, 108) 내에 인너 케이블(109)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전방측의 아웃터 케이블(107)의 일단은, 지지 스테이(92) 상부의 지지부(92b)(도 7 참조)에 후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지지되고, 인너 케이블(109)의 일단은 벨 크랭크(94)(도7 참조)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방의 아웃터 케이블(107)의 타단에 장착되는 케이블 캡(111)은 스윙 아암(17R')의 도중에 설치되는 지지부(110)에 지지된다. 또한 후방의 아웃터 케이블(108)의 일단에는 케이블 캡(112)이 장착되고, 양 케이블 캡(111, 112) 사이에는 인너 케이블(109)을 둘러싸는 부트(113)가 설치된다. 후방의 아웃터 케이블(108)의 타단에는 케이블 캡(114)이 장착되어 있고, 그 케이블 캡(114)으로부터 돌출된 인너 케이블(109)의 타단에 설치되는 케이블 엔드(115)가 핀(116)을 통해 후륜 브레이크(BRB)의 브레이크 패널(96)에 연결된다.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ner cable 109 into the pair of outer cables 107 and 108 so that the inner and outer cables 107 and 108 are movable so that one end of the outer cable 107 on the front side is supported by the stay. (92) It is fitted and supported from the rear side to the upper support part 92b (see FIG. 7), and one end of the inner cable 109 is connected to the bell crank 94 (see FIG. 7). In addition, the cable cap 111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front outer cable 10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11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wing arm 17R '. In addition, a cable cap 112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outer cable 108 at the rear, and a boot 113 surrounding the inner cable 109 is provided between the cable caps 111 and 112. A cable cap 114 is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r outer cable 108, and a cable end 11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ble 109 protruding from the cable cap 114 is connected to the pin 116. It is connected to the brake panel 96 of the rear wheel brake BRB.

또한 후방의 상기 아웃터 케이블(108)의 일단에 장착된 케이블 캡(112)은, 반력 전달 수단(26B)에서의 제2 링크 부재(100)의 타단에 연결 핀(119)을 통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able cap 112 mounted at one end of the outer cable 108 at the rear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00 in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via a connecting pin 119.

또한 후륜 브레이크(BRB)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이 용수철(105)로 정하는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반력 전달 수단(26B)의 제2 링 부재(100)는 제1 링크 부재(99)가 브레이크 패널(96)로 견인되는데 따라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의 아웃터 케이블(108)에 장착된 케이블 캡(112)을 후방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반력 전달 수단(26B)은, 그 반력 전달 시에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의 아웃터 케이블(108)을 압축하도록 하여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의 도중에 접속되게 되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의 인너 케이블(109)이, 아웃터 케이블(108)의 압축에 의한 반력에 의해서 후방측에 가압되게 된다.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wheel brake BRB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ed by the spring 105, the second ring member 100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causes the first link member 99 to become a brake panel ( As it is towed to 96, it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9 and presses the cable cap 112 mounted on the outer cable 108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to the rear side. That is,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compresses the outer cable 108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when the reaction force is transmitted, and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The inner cable 109 of 27B is pressed to the rear side by the reaction force by the compression of the outer cable 108.

또한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B)은,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B)의 후륜 브레이크(BRB)측의 단부와,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고,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B)의 후륜 브레이크(BRB)측의 단부 및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이, 기(其)단부가 브레이크 패널(96)에 브레이크 캠축(49)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퀄라이저 아암(118)의 선단부에, 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B)의 후단의 케이블 엔드 스크류(97)와,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A)이 구비하는 후방측의 아웃터 케이블(108)의 타단에 장착되는 케이블 캡(114)이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B is provid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rear brake brake cable 23B of the rear wheel brake BRB side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and the rear brake brake cable ( Equalizer arm 118 in which the end of the rear wheel brake BRB side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of 23B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brake panel 96 by the brake cam shaft 49. The cable cap 114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end screw 97 of the rear end of the rear wheel brake cable 23B and the rear outer cable 108 with which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A is equipped at the front end of ) Is done in parallel.

또한 후륜 브레이크(BRB)가 브레이크 작동하는데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 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반력 전달 수단(26B)의 작동에 따라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B)의 아웃터 케이블(108)이 압축됨으로써 이퀄라이저 아암(118)이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3B)의 인너 케이블(63)이 후방측으로 잡아 당겨지게 된다. 즉 반력 전달 수단(26B)으로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B)으로부터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후륜 브레이크(BRB)에 작용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brak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brake BRB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equalizer is compressed by compressing the outer cable 108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B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The arm 118 rotates clockwise in Fig. 9, and the inner cable 63 of the brake cable 23B for front and rear brakes is pulled to the rear side. That is,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B acts on the rear wheel brake BRB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from the brake force suppression means 28B.

이 제2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is second embodiment can also produce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0∼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0은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11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제1 및 제2 링크 부재의 연결점의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to 12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interlocking brake device,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arrow 11 of FIG. 10, and FIG.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positioning of the connection point of a 1st and 2nd link member.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인 브레이크 페달(21′)이 차체 프레임(F)의 피벗 플레이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 드럼 브레이크인 후륜 브레이크(BRC)를 브레이크 작동시켰을 때에, 후륜 브레이크(BRC)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는, 반력 전달 수단(26C), 후륜 브레이크(BFA)(제1 실시예 참조)에 연속하는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인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을 통해 상기 반력이 전륜 브레이크(BFA)에게 브레이크력 증대측에서 전달되고, 상기 반력 전달 수단(26C)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BFA) 측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은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C) 에 의해서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후륜 브레이크(BRC)에게 작용된다. The brake pedal 21 'serving as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plate 15 of the vehicle body frame F, and the rear wheel brake that is a drum brake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21'.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wheel brake BRC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brake is activated, the interlocking brake continuously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and the rear wheel brake BFA (see the first embodiment) The brake rea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from the brake force increasing side via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which is a force transmission system, and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brake BFA side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The force corresponding to is applied to the rear wheel brake BRC on the side of weakening the brake force by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C.

브레이크 페달(21′)은,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인 브레이크 로드(23C)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BRC)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아암(120)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브레이크 로드(23C)가 견인됨으로써, 브레이크 아암(120)이 도 10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RC)가 브레이크 작동하게 된다.The brake pedal 21 'is connected to the brake arm 120 included in the rear wheel brake BRC via a brake rod 23C which is a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rst wheel brake, and the brake pedal 21' When the brake rod 23C is pulled out by the stepping operation, the brake arm 12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10, whereby the rear wheel brake BRC is braked.

반력 전달 수단(26C)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부재(121)와, 제1 링크 부재(121)에 연결되는 대략 L자 형상의 제2 링크 부재(12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후륜 브레이크(BRC)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널(123)의 하부에는, 제1 링크 부재(121)의 일단이 연결 핀(124)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1′)을 피벗 플레이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25)의 후방 경사 상에서 상기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제2 링크 부재(122)의 중간부가 지지 핀(12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 링크 부재(122)의 일단부에는, 제1 링크 부재(121)의 견인에 의해 제2 링크 부재(122)가 도 10 및 도 1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121)의 타단부가 연결 핀(127)을 통해 연결된다.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121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a second link member 122 having an approximately L shap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21.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ke panel 123 included in the rear wheel brake BRC through the connecting pin 124. In addition, the pivot plate 15 has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122 supported on the pivot plate 15 on the rear slope of the support shaft 125 that rotatably supports the brake pedal 21 ′ to the pivot plate 15. 10 is rotatably supported,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22, the second link member 12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S. 10 and 11 by the pulling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in 127 to rotate.

제2 링크 부재(122)의 타단부에는, 상방으로 향한 용수철 받침부(122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용수철 받침부(122a)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용수철 받침부(128)가 피벗 플레이트(15)에 돌출 설치되고, 양 용수철 받침부(122a, 128) 사이에는 제2 링크 부재(122)를 도 10 및 도 1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용수철(129)이 압축 설치된다. 또한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상기 용수철(129)이 발 휘하는 탄성력에 의한 제2 링크 부재(122)의 상기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단을 규제하는 스토퍼(130)가 돌출 설치된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2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pring support portion 122a facing upward, and the spring support portion 128 facing the spring support portion 122a from above is pivot plate ( A spring 129 protruding from the spring 15 and rotating to pressurize the second link member 122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S. 10 and 11 is compressed between the two spring supporting portions 122a and 128. In addition, the pivot plate 15 is provided with a stopper 130 for restricting the rotational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22 in the clockwise direc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9.

또한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후륜 브레이크(BRC)가 브레이크 작동했을 때의 브레이크 반력에 의해서, 브레이크 패널(123)은 도 10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데, 브레이크 패널(123)에는, 상기 용수철(129)의 탄성력이 반력 전달 수단(26C)을 통해 도 10의 반시계 방향에 작용하고, 상기 브레이크 반력이 용수철(129)의 탄성력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브레이크 패널(123)이 도 10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반력 전달 수단(26C)의 제1 링크 부재(121)가 견인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brake panel 123 tries to rotate clockwise in FIG. 10 due to the brake reaction force when the rear wheel brake BRC is braked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21 ′.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9 acts counterclockwise in FIG. 10 through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and the brake reaction force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9, the brake panel 123 of FIG. Rotation clockwise, thereby causing the first link member 121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to be pulled.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은, 아웃터 케이블(131) 내에 인너 케이블(13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아웃터 케이블(131)의 일단은 지지 스테이(92)의 상부 지지부(92b)(도 7 참조)에 후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지지되고, 상기 아웃터 케이블(131)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 부재(122)의 타단에 설치되는 지지부(122b)에 지지된다. 또한 인너 케이블(132)의 일단은 벨 크랭크(94)(도 7 참조)에 연결된다.In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the inner cable 132 is inserted into the outer cable 131 so as to be movable, and one end of the outer cable 131 has an upper support portion 92b of the support stay 92 (Fig. 7) is supported from the rear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cable 13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22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22. One end of the inner cable 132 is also connected to the bell crank 94 (see FIG. 7).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C)은, 브레이크 페달(21′)과,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에서의 인너 케이블(132)의 타단에 설치되는 케이블 엔드(133)가, 지지축(125)의 근방에서 브레이크 페달(21')에 연결 핀(134)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C is formed between the brake pedal 21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ble 132 in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The cable end 133 is connected to the brake pedal 21 'via the connecting pin 134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shaft 125.

또한 후륜 브레이크(BRC)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이 용수철(129)로 정하 는 소정치 이상이 되면, 반력 전달 수단(26C)의 제2 링크 부재(122)는 제1 링크 부재(121)가 브레이크 패널(123)로 견인되는데 따라 도 1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의 아웃터 케이블(131)을 전방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반력 전달 수단(26C)은, 그 반력 전달 시에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의 아웃터 케이블(131)을 압축하게 되고,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의 인너 케이블(132)은, 아웃터 케이블(131)의 압축에 의한 반력에 의해서 전방측에 가압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ear wheel brake BRC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ed by the spring 129, the second link member 122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causes the first link member 121 to become the brake panel. As it is pulled to 123, it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 11, and presses the outer cable 131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to the front side. That is,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compresses the outer cable 131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at the time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and the inner cable 132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is an outer cable ( 131 is pressed to the front side by the reaction force by the compression.

또한 후륜 브레이크(BRC)가 브레이크 작동하는데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반력 전달 수단(26C)의 작동에 따라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의 아웃터 케이블(131)이 압축됨으로써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C)은, 브레이크 페달(21′)을 조작 입력 감소측으로 끌어 올리게 된다. 즉 반력 전달 수단(26C)으로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C)으로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후륜 브레이크(BRC)에게 작용하게 된다. When the brak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brake operation of the rear wheel brake BC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outer cable 131 of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thereby causing the brake force. The suppressing means 28C raises the brake pedal 21 'to the operation input reduction side. That is, the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acts on the rear wheel brake BRC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by the brake force suppression means 28C.

그런데, 요동하는 스윙 아암(17R)의 후단에 브레이크 패널(123)이 설치되는데 대해, 반력 전달 수단(26C)의 제2 링크 부재(122)는 고정 피벗 플레이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고, 제1 및 제2 링크 부재(121, 122)의 연결점 즉 연결 핀(127)의 위치에 따라서는 연동 브레이크 시스템의 여유량 변화가 커지고, 그 여유량 변화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도 12의 직선 L상에 연결 핀(127)의 중심이 배치되면 된다. By the way, while the brake panel 123 is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swinging arm 17R which swings, the second link member 122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ivot plate 15.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21 and 122,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in 127, the change in the amount of allowance of the interlocking brake system is increased, an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allowance, on the straight line L in FIG. 12.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n 127 may be disposed.

여기서, 브레이크 로드(23C)의 브레이크 페달(21′)에의 연결점을 E, 스윙 아암(17R)이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링크 부재(121)의 브레이크 패널(123)에의 연결점을 B, 차축(16)의 중심을 C, 브레이크 아암(120)에의 브레이크 로드(23C)의 연결점을 D로 하고, 스윙 아암(17R)이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링크 부재(121)의 브레이크 패널(123)에의 연결점을 B′, 차축(16)의 중심을 C′, 브레이크 아암(129)에의 브레이크 로드(23C)의 연결점을 D′로 했을 때에, ∠BCD=∠B′C′D′=α로 하여 브레이크 아암(120)을 비작동 상태로 하고, ED= E′D′로 하여 브레이크 로드(23C)도 비작동 상태가 되도록 브레이크 패널(123)을 레이 아웃했을 때에, AB= A′B′가 되도록 한 BB′를 저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A)의 집합인 직선(L) 상에, 연결 핀(127)의 중심이 배치됨으로써, 연동 브레이크 시스템의 여유량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Here, the brake panel 123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rod 23C to the brake pedal 21 'is E and the swing arm 17R is in the lower position as indicated by a solid line. ), The connection point to B), the center of the axle 16 to C,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rod 23C to the brake arm 120 as D, and the swing arm 17R is in an upward position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to the brake panel 123 is B ', the center of the axle 16 is C',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rod 23C to the brake arm 129 is D '. The brake panel 123 is set to the non-operating state with the brake arm 120 in a non-operating state with BCD = ′ B′C′D ′ = α and ED = E′D ′. When we lay out), vertex (A of isosceles triangle which made BB 'which let AB = A'B' be the base By arranging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n 127 on the straight line L which is a set of),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hange in the amount of allowance of the interlocking brake system small.

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C)이 브레이크 페달(21′) 및 연동용 브레이크 케이블(27C)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후륜 브레이크(BRC)의 주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차체 프레임(F)의 피벗 플레이트(15)에, 반력 전달 수단(26C)의 제2 링크 부재(12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스윙 아암(17R)을 포함하는 용수철 하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ird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be obtained, and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C is provided between the brake pedal 21 'and the interlocking brake cable 27C. By being provided,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rear wheel brake BRC can be simplified,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2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C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ivot plate 15 of the vehicle body frame F. Therefore, the spring unloading weight including the swing arm 17R can be reduced.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3은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14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13 and 14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locking brake device, and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arrow 14 in FIG. 13.

전륜 브레이크(BFB)는, 3개의 유압 실린더(141, 142, 143)가 병렬로 설치되는 브레이크 캘리퍼(calliper)(144)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이고,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인 브레이크 레버(24)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전륜용 마스터 실린더(MF)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유압을 안내하는 브레이크 호스(145)가 브레이크 캘리퍼(144)에 접속되고, 이 브레이크 호스(145)로 안내되는 브레이크 유압은 상기 유압 실린더(141∼143) 중 양측의 유압 실린더(141, 143)에 작용한다. The front wheel brake BFB is a disc brake having a brake caliper 144 in which three hydraulic cylinders 141, 142, and 143 are installed in parallel, and operates a brake lever 24 that is a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he brake hose 145 for guiding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output from the front wheel master cylinder MF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brake caliper 144 is connected to the brake hydraulic pressure guided by the brake hose 145. It acts on the hydraulic cylinders 141 and 143 of both sides among 141-143.

차체 프레임(F)의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인 브레이크 페달(21″)이 지지축(12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피벗 플레이트(15) 및 브레이크 페달(21″)의 사이에는 반환 용수철(22)이 압축 설치된다. The brake pedal 21 ″, which is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ivot plate 15 of the vehicle body frame F through the support shaft 125, and the pivot plate 15 and the brake pedal 21 The return spring 22 is compressed.

상기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서 드럼 브레이크인 후륜 브레이크(BRC)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21″)은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전달 시스템인 브레이크 로드(23C)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BRC)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아암(120)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21″)의 밟음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로드(23C)가 견인됨으로써, 브레이크 아암(120)이 도 1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RC)가 브레이크 작동하게 된다. In order to brake the rear wheel brake BRC which is a drum brake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21 ″, the brake pedal 21 ″ is provided via a brake rod 23C which is a brak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rst wheel brake. It is connected to the brake arm 120 with which the rear wheel brake BRC is equipped, and the brake rod 23C is pulled by the stepping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1 ", so that the brake arm 1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And the rear brake BRC is braked accordingly.

상기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실린더 축선을 가지고 병렬 배치되는 제1 및 제2 마스터 실린더(M1, M2)가 설치되고, 제1 마스터 실린더(M1)는, 피벗 플레이트(15)에 지지되는 실린더체(體)(146)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제1 실린더 구멍(147)에,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이루어진다. The pivot plate 15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s M1 and M2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ylinder axis extending up and down, and the first master cylinder M1 is attached to the pivot plate 15. The first master piston 148 is slidably fitted into the first cylinder hole 147 provided to extend up and down in the cylinder body 146 supported.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은, 그 전단인 상단을, 제1 마스터 피스톤(148) 및 실린더체(146)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액압실(149)에 향하게 하여 제1 실린더 구멍(14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고, 제1 액압실(149)에는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을 후퇴시키는 방향 즉 제1 액압실(149)의 용적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150)이 수납된다. The first master piston 148 is directed to the first cylinder hole 147 with its upper end facing the first hydraulic chamber 149 formed between the first master piston 148 and the cylinder body 146. It is slidably fitted and the spring 150 which presses in the direction which retracts the 1st master piston 148, ie, the direction which increases the volume of the 1st hydraulic chamber 149, is accommodated in the 1st hydraulic chamber 149. As shown in FIG. .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의 후단 즉 하단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입력 지레(151)의 전단이 진동 가능하게 연접되어 있고, 이 입력 지레(151)의 중간부 및 실린더체(146) 사이에는 제1 실린더 구멍(147)의 하단 개구부를 덮는 부트(152)가 설치된다. The front end of the input lever 151 extending up and down is oscillatedly connected to the rear en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ster piston 148, between the middle part of the input lever 151 and the cylinder body 146. The boot 152 covering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one cylinder hole 147 is provided.

한편, 상기 입력 지레(151)의 하단에 연결된 클레비스(153)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21″)에 설치된 입력 아암(154)에 연결 핀(155)을 통해 연결되고, 후륜 브레이크(BRC)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21″)을 조작하면,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은, 제1 액압실(149)의 용적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상방으로 전진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clevis 153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put lever 151 is connected to the input arm 154 installed on the brake pedal 21 ″ via a connecting pin 155, and the rear brake BRC is applied. When the brake pedal 21 ″ is operated to brake the first master piston 148, the first master piston 148 operates to move upwar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first hydraulic chamber 149.

제2 마스터 실린더(M2)는, 제1 실린더 구멍(147)에 병렬로 실린더체(146)에 형성되는 제2 실린더 구멍(157)에,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이루어진다.In the second master cylinder M2,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is slidably fitted into the second cylinder hole 157 formed in the cylinder body 146 in parallel with the first cylinder hole 147. .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은, 그 전단인 상단을, 제2 마스터 피스톤(158) 및 실린더체(14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액압실(159)에 향하게 하여 제2 실린더 구멍(15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제2 액압실(159)에는 제2 마스터 피스톤 (158)을 후퇴시키는 방향 즉 제1 액압실(159)의 용적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160)이 수납된다.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faces the second cylinder hole 157 with its upper end facing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formed between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and the cylinder body 146. It is slidably fitted and the spring 160 which presses in the direction which retracts the 2nd master piston 158, ie, the direction which increases the volume of the 1st hydraulic chamber 159, is accommodated in the 2nd hydraulic chamber 159. .

또한 실린더체(146)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액압실(149, 159)을 상호 연통하는 유로(161)가 설치되고, 이 유로(161)에 통하도록 하여 일단이 실린더체(146)에 접속되는 브레이크 호스(162)의 타단이, 전륜 브레이크(BFB)에서의 브레이크 캘리퍼(144)에 접속되고, 브레이크 호스(162)로 안내되는 유압은, 브레이크 캘리퍼(144)가 구비하는 3개의 유압 실린더(141∼143) 중 중앙부의 유압 실린더(142)에 작용한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146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161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hambers 149 and 159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161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body 146. The other end of the connected brake hose 162 is connected to the brake caliper 144 in the front wheel brake BFB, and the hydraulic pressure guided to the brake hose 162 includes three hydraulic cylinders of the brake caliper 144. It acts on the hydraulic cylinder 142 of the center part among 141-143.

그런데 차체 프레임(F)의 도시하지 않은 부분에는 리저버(163)가 부착되고, 리저버(163)에 연속하는 호스(164)가, 실린더체(146)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접속관(165)에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체(146)에는,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퇴한(限)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액압실(159)을 접속관(165)측에 연통시키는 프라이머리 포트(166)가 형성되고,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의 후퇴시에는 제2 액압실(159)의 액압은 프라이머리 포트(166)로부터 접속관(165) 및 호스(164)를 통해 리저버(163)측으로 해방된다. By the way, the reservoir 163 is attached to the part which is not shown in the body frame F, and the hose 164 which is continuous to the reservoir 163 is fitted to the cylinder body 146,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65 fixed. Connected. In addition, the cylinder body 146 has a fryer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to the connection pipe 165 in a state where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is in a re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14. The head port 166 is formed, and when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is retracte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flows from the primary port 166 to the reservoi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65 and the hose 164. It is released to the (163) side.

또한 상기 프라이머리 포트(166)보다도 하방에서 실린더체(146)에는 상기 접속관(165) 내에 항상 통하는 세컨더리 포트(167)가 설치되고, 제2 액압실(159)의 액압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세컨더리 포트(167)로부터 제2 액압실(159)에 브레이크유가 보급된다.In addition, a secondary port 167 which always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pipe 165 is provided in the cylinder body 146 below the primary port 166.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decreases, the secondary port Brake oil is replenished from 167 to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의 후단 즉 하단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입력 지레 (168)의 전단이 진동 가능하게 연접되어 있고, 이 입력 지레(168)의 중간부 및 실린더체(146) 사이에는 제2 실린더 구멍(157)의 하단 개구부를 덮는 부트(169)가 설치된다.The front end of the input lever 168 extending up and down is oscillatedly connected to the rear en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between the middle part of the input lever 168 and the cylinder body 146. A boot 169 covering the lower opening of the two-cylinder hole 157 is provided.

후륜 브레이크(BRC)의 브레이크 패널(123)과, 제2 마스터 실린더(M2)의 제2 마스터 피스톤(158)에 접속되는 입력 지레(168)와의 사이에는, 후륜 브레이크(BRC)의 소정치 이상의 브레이크 반력을 제2 마스터 피스톤(158)에 그 전진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반력 전달 수단(26D)이 형성된다. Between the brake panel 123 of the rear wheel brake BRC and the input lever 168 connected to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M2, a brak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of the rear wheel brake BRC.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D is formed that can exert a reaction force on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in its forward direction.

이 반력 전달 수단(26D)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실린더 부재(121)와, 제1 링크 부재(121)에 연결되는 대략 L자 형상의 제2 링크 부재(17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후륜 브레이크(BRC)가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널(123)의 하부에는, 제1 링크 부재(121)의 일단이 연결 핀(124)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2 마스터 실린더(M2)의 하부 후방에서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제2 링크 부재(170)의 중간부가 지지 핀(1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 링크 부재(170)의 일단부에는, 제1 링크 부재(121)의 견인에 의해 제2 링크 부재(170)가 도 1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121)의 타단부가 연결 핀(172)을 통해 연결된다. This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D consists of the 1st cylinder member 121 extended linearly, and the 2 L link member 170 of the substantially L shape connected to the 1st link member 121.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ke panel 123 included in the rear wheel brake BRC through the connecting pin 124. Moreover,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2nd link member 170 is supported by the pivot plate 15 in the lower back of the 2nd master cylinder M2 rotatably through the support pin 171, and the 2nd link member 170 is carried out.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the second link member 17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FIG. 14 by the pulling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 172. Is connected through.

제2 링크 부재(17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마스터 피스톤(158)에 접속되는 입력 지레(168)의 하단부에 연결 핀(173)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1 링크 부재(121)의 견인에 의해 제2 링크 부재(170)가 도 1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은 제2 액압실(159)의 용적을 감소시키도록 전진 작동 한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7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put lever 168 connected to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via a connecting pin 173, and As the second link member 17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 14 by traction,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operates forwar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또한 제2 링크 부재(170)에는, 그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170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아암부(170a)에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용수철 받침대(174)가 피벗 플레이트(15)에 형성된다. 또한 아암부(170a) 및 용수철 받침대(174) 사이에는 제2 링크 부재(170)를 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탄성 가압하는 용수철(175)이 압축 설치된다. 또한, 피벗 플레이트(15)에는, 상기 용수철(175)이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한 제2 링크 부재(170)의 상기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단을 규제하는 스토퍼(176)가 돌출 설치된다. Moreover, the arm part 170a extended radially from the rotational axis line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2nd link member 170, The spring base 174 which opposes this arm part 170a from the front side is a pivot plate. It is formed in 15. In addition, a spring 175 is installed between the arm portion 170a and the spring support 174 to rotate elastically pressurize the second link member 170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 14. In addition, the pivot plate 15 is provided with a stopper 176 that restricts the rotational en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170 due to the elastic force exerted by the spring 175.

이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21″)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하는 후륜 브레이크(BRC)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용수철(175)의 탄성력으로 정하는 소정치 이상이 되면, 후륜 브레이크(BRC)로부터의 반력이 반력 전달 수단(26D)을 통해 제2 마스터 실린더(M2)의 제2 마스터 피스톤(158)에 전달됨으로써, 제2 마스터 실린더(M2)에서는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의 전진에 의해 제2 액압실(159)의 해방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호 통해 있는 제1 및 제2 액압실(149, 159)에 반력 전달 수단(26D)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에 따른 액압이 발생하고, 그 액압 전륜 브레이크(BFB)에 작용함으로써 전륜 브레이크(BFB)가 브레이크 작동한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rear wheel brake BRC acting on the brake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21 ″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175, the rear wheel brake BRC. Rea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M2 through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D, thereby advancing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in the second master cylinder M2. The released stat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is released. Thereby, th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D i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hambers 149 and 159 which are mutually passed through, and acts on the hydraulic front wheel brake BFB, thereby the front wheel brake BFB. ) Brakes.

또한, 반력 전달 수단(26D)에 의해서 전달되는 반력에 따른 액압으로 제1 마스터 실린더(M1)의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은 브레이크 페달(21″)을 그 조작력을 약하게 하는 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전륜 브레이크(BFB)의 브레이크력을 증대하는 측으로 브레이크 페달(21″)을 조작해도 후륜 브레이크(BRC)의 브레이크력의 증가 는 일정한 비율로 억제된다. Further, the first master piston 148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M1 presses the brake pedal 21 ″ to the side that weakens its operating force by th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D, Even if the brake pedal 21 ″ is operated to increase the brake force of the front wheel brake BFB, the increase in the brake force of the rear wheel brake BRC is suppressed at a constant rate.

즉 후륜 브레이크(BRC) 및 전륜 브레이크(BFB)를, 이들 브레이크력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at is, the rear wheel brake BRC and the front wheel brake BFB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se brake forc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design changes, without deviating from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브레이크 작동하는 제1 차륜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제1 차륜 브레이크로부터의 반력이 반력 전달 수단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제2 차륜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작동한다. 또한, 반력 전달 수단에 의해서 전달되는 반력에 따른 힘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으로부터 제1 차륜 브레이크에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제2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증대하는 측에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해도 제1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의 증가는 일정한 비율로 억제된다. 즉 제1 및 제2 차륜 브레이크를 이들 브레이크력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wheel brake acting on the brak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the reaction force from the first wheel brake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he two-wheel brakes brake. In addition, since the force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acts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from the brake force suppression means to the first wheel brake, the first brake is applied to the side that increases the brake force of the second wheel brake. Even if the operation member is operated, the increase in the brake force of the first wheel brake is suppressed at a constant rate.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wheel brakes can be linked to each other while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se brake forces.

또한,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을 제1 차륜 브레이크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주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by arranging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around the first wheel brake,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can be simplified.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을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 및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제1 차륜 브레이크의 주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first wheel brake can be simplified by providing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between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and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반력 전달 수단으로부터의 반력 전달 작용에 의해서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가 제2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도록 작동하는데 따른 이퀼라이저 아암의 회전에 의해,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를 제1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 작동시킬 수 있고,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을, 제1 차륜 브레이크인 드럼 브레이크의 주위에 모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for the first wheel brake is transmitted by the rotation of the equalizer arm in which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operates to brake the second wheel brake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action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he system can be operated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of the first wheel brake, and the brake force restraining means can be simply assembled around the drum brake which is the first wheel brake.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반력 전달 수단으로부터의 반력 작용에 의해서 제2 차륜 브레이크에 연속하는 브레이크 케이블의 아웃터 케이블이 압축되고, 그에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인너 케이블의 단부를 또 다른 1계통의 입력점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outer cable of the brake cable continuous to the second wheel brake is compressed by the reaction force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brake the second wheel brake, and thus to the end of the inner cable. Can be used as another input point.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 차륜 브레이크로부터의 반력에 의해서 제1 링크 부재가 견인됨으로써 제2 링크 부재가 회전하기 때문에, 제1 차륜 브레이크로부터의 반력 작용 방향을 제2 링크 부재로 변환할 수 있어, 반력 전달 수단으로부터의 제2 차륜 브레이크측에의 반력 전달 구조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since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ed by the retrac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by the reaction force from the first wheel brake, the reaction force direction from the first wheel brake can be conver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o the second wheel brake side can be increased.

제7항의 발명에 의하면, 반력 전달 수단이 구비하는 제1 및 제2 링크 부재를, 스윙 아암의 요동에 수반되는 반력 전달 경로의 여유를 고려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후륜에 장착되는 드럼 브레이크의 주위에 컴팩트하게 모아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margin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path accompanying the swing arm sw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provided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and around the drum brake mounted on the rear wheel. I can gather it compactly and arrange it.

제8항의 발명에 의하면, 반력 전달 수단이 구비하는 제1 및 제2 링크 부재를, 스윙 아암의 요동에 수반되는 반력 전달 경로의 여유를 고려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included in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can be arranged without requiring the consideration of the clearance of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path accompanying the swinging of the swing arm.

제9항의 발명에 의하면, 차체 프레임에 제2 링크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용수철 하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frame, thereby reducing the spring weight.

제10항의 발명에 의하면, 요동하는 스윙 아암의 후단에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널이 설치되고, 제2 링크 부재가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에서, 연동 브레이크 시스템의 여유량 변화를 작게 억제하도록, 제1 및 제2 링크 부재의 연결점을 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0, so that the brake panel of the drum brak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winging arm, and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frame, so as to suppress the change in the margin amount of the interlocking brake system small, A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can be defined.

제11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2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조작력에 추가하여, 연동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반력을 제2 차륜 브레이크에 작용시키는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1,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force of the second brake operating member, a structure in which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by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is acted on the second wheel brake can be simply configured.

또한 제12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브레이크 작동하는 제1 차륜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제1 차륜 브레이크로부터의 반력이 반력 전달 수단을 통해 제2 마스터 피스톤에 전달됨으로써, 제2 마스터 실린더에서는 제2 마스터 피스톤의 전진에 의해서 제2 액압실의 해방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호 통하는 제1 및 제2 액압실에 상기 반력 전달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에 따른 액압이 발생하고, 그 액압이 제2 차륜 브레이크에 작용함으로써 제2 차륜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작동한다. 또한 반력 전달 수단에 의해서 전달되는 반력에 따른 액압으로 제1 마스터 실린더의 제1 마스터 피스톤은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그 조작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 가압하게 되어, 제2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증대하는 측에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를 조작해 도 제1 차륜 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의 증가가 일정한 비율로 억제된다. 즉 제1 및 제2 차륜 브레이크를 그들 브레이크력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2, whe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wheel brake acting on the brak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eaction force from the first wheel brake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to the second. By being transmitted to the master piston, in the second master cylinder, the release stat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is released by advancing the second master piston. Thereby, th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i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hamber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 hydraulic pressure acts on the second wheel brake to brake the second wheel brake. In addition, the first master pist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pressurizes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to the side that weakens its operating force by th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by the reaction force transmitting means, thereby increasing the brake force of the second wheel brake. Even i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s operated on the side, an increase in the brake force of the first wheel brake is suppressed at a constant rate. That is,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wheel brakes interlockedly while keeping the balance of those brake forces appropriately.

Claims (12)

제1 차륜 브레이크(BRA, BRB, BRC)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 21′)를 조작하는데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BFA)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제1 차륜 브레이크(BRA∼BRC)의 소정치 이상의 브레이크 반력을 제2 차륜 브레이크(BFA)측에게 브레이크력 증대측에서 전달하는 반력 전달 수단(26A, 26B, 26C)과, 상기 반력 전달 수단(26A∼26C)에 의해서 제2 차륜 브레이크(BFA)측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반력에 대응한 힘을 브레이크력을 약하게 하는 측에서 제1 차륜 브레이크(BRA∼BRC)에게 작용시키는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 28B, 28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The interlocking brake of the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ake the second wheel brake BFA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s 21, 21 ′ to brake the first wheel brakes BRA, BRB, BRC. In the apparatus,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26B, 26C) for transmitting a brake reaction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first wheel brakes BRA to BRC to the second wheel brake BFA side on the brake force increase side, and the reaction force Brake force suppression means for acting on the first wheel brakes BRA to BRC on the side that weakens the brake force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brak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wheel brake BFA side by the transmission means 26A to 26C. And 28A, 28B, and 28C.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 28B)이, 상기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 및 제1 차륜 브레이크(BRA, BRB)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3A, 23B)의 제1 차륜 브레이크(BRA, BRB)측의 단부와, 제2 차륜 브레이크(BFA)에 연속하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7A, 27B)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28B connects between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21 and the first wheel brakes BRA and BRB by transmitting the brake operating force of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21. End portions on the first wheel brakes BRA and BRB side of the first wheel brak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s 23A and 23B, and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s 27A and 27B continuous to the second wheel brake BFA;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etwee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C)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와, 제2 차륜 브레이크(BFA)에 연속하는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7C)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C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21 'and an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7C that is continuous to the second wheel brake BFA. Interlock brak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제1 차륜 브레이크(BRA, BRB)는, 그 브레이크 작동 시의 반력 발생에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 패널(46, 96)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브레이크력 억제 수단(28A, 28B)은,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3A, 23B) 및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7A, 27B)이, 상기 브레이크 패널(46, 96)에 그 회전축선과 평행한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퀼라이저 아암(85, 118)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first wheel brakes BRA and BRB are drum brakes including the brake panels 46 and 96 that rotate in response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the brake operation. The brake force suppressing means 28A, 28B is a first brake. Equalizer arms on which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s 23A and 23B for wheel brakes and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s 27A and 27B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brake panels 46 and 96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reof. 85, 118) linked brake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7A∼27C)는, 아웃터 케이블(77, 108, 131) 내에 인너 케이블(78, 109, 13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력 전달 수단(26A∼26C)이, 그 반력 전달 시에는 상기 아웃터 케이블(77, 108, 131)을 압축하도록 하여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7A∼27C)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7A to 27C includes a brake cable in which inner cables 78, 109 and 132 are movably inserted into the outer cables 77, 108 and 131, and 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 26A to 26C are connected to an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7A to 27C) by compressing the outer cable (77, 108, 131) when the reaction force is transmitt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반력 전달 수단(26A∼26C)은, 제1 차륜 브레이크(BRA∼BRC)가 소정치 이상의 반력을 발생하는데 따라 견인되는 제1 링크 부재(71, 99, 121)와, 제1 링크 부재(71, 99, 121)의 견인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링크 부재(71, 99, 121)에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72, 100, 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The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A to 26C include a first link member 71, 99, 121 and a first link member 71 to be pulled as the first wheel brakes BRA to BRC generate a reaction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 second link member (72, 100, 122)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71, 99, 121) to rotate according to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vehicle (99, 121).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BRA)는, 차체 프레임(F)에 스윙 아암(17R)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WR)에 장착됨과 동시에 그 브레이크 작동 시의 반력 발생에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 패널(46)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제2 링크 부재(72)가, 상기 스윙 아암(17R)에 지지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널(46)을 지지하는 패널 홀더(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first wheel brake BRA is mounted on the rear wheel WR supported by the swing arm 17R to the body frame F so as to be able to sw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rake panel rotates in response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during the brake operation. And a second link member (72) rotatably supported by a panel holder (54) supported by the swing arm (17R) and supporting the brake panel (46).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vehicles.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BRB)는 차체 프레임(F)에 스윙 아암(17R)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WR)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100)가 상기 스윙 아암(17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first wheel brake BRB is mounted to the rear wheel WR supported by the swing frame 17R to the vehicle body frame F, and the second link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swing arm 17R. The interlock brake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support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BRC)는, 차체 프레임(F)에 스윙 아암(17R)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WR)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122)가 상기 차체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first wheel brake BRC is mounted to the rear wheel WR supported by the swing frame 17R to the vehicle body frame F, and the second link member 122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F. The rotatable brake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s rotatably supported.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BRC)가, 차체 프레임(F)에 스윙 아암(17R)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WR)에 장착되는 동시에 그 브레이크 작동 시의 반력 발생에 따라 회전하는 브레이크 패널(123)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로서 차체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21′)의 조작력을 제1 차륜 브레이크(BRC)의 브레이크 아암(120)에 전달하는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3C)의 상기 브레이크 페달(21')에의 연결점을 E, 상기 스윙 아암(17R)이 하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링크 부재(121)의 브레이크 패널(123)에의 연결점을 B, 후륜(WR)의 차축(16)의 중심을 C, 상기 브레이크 아암(120)에의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3C)의 연결점을 D로 하고, 상기 스윙 아암(17R)이 상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제1 링크 부재(121)의 상기 브레이크 패널(123)에의 연결점을 B′, 상기 차축(16)의 중심을 C′, 상기 브레이크 아암(129)에의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력 전달 시스템(23C)의 연결점을 D′로 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차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3C) 및 상기 브레이크 아암(120)이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에 ∠BCD=∠B′C′D′ 또한 ED= E′D′를 만족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연결점 B, B'를 연결하는 직선을 저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의 집합인 직선(L) 상에, 제1 링크 부재(121)의 제2 링크 부재(122)에의 연결점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first panel brake BRC is mounted to the rear wheel WR supported by the swing arm 17R on the vehicle body frame F via a swing arm 17R, and rotates in response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brake is operated. 123 is a drum brake, and the operating force of the brake pedal 21 'rotatably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frame F as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is applied to the brake arm 120 of the first wheel brake BRC. The connection point to the brake pedal 21 'of the first wheel brak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3C to be transmitted is E, and the brake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in the state where the swing arm 17R is in the downward position. The connection point to the panel 123 is B, the center of the axle 16 of the rear wheel WR is C,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3C for the first wheel brake to the brake arm 120 is D, The swing arm 17R is upward B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link member 121 to the brake panel 123 in the position, C' at the center of the axle 16, and for the first wheel brake to the brake arm 129.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3C is set to D ', when the first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3C for the wheel brake and the brake arm 120 are in an inoperative state, BBC = BB' The first link member 121 on the straight line L, which is a set of vertices of an isosceles triangle whose base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nnection points B and B 'in a state satisfying ED = E'D'. Linkage to the second link member (122) is determined.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연동 브레이크력 전달 시스템(27A∼27C)이, 제2 브레이크 조작 부재(24) 및 제2 차륜 브레이크(BFA) 사이를 연결하는 전륜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케이블(25)의 도중에, 벨 크랭크(94)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The bell crank 94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brake force transmission system 27A to 27C in the middle of the brake cable 25 for front brakes that connects between the second brake operating member 24 and the second wheel brake BFA. Interlocking brake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via. 제1 차륜 브레이크(BRC)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데 따라 제2 차륜 브레이크(BFB)를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의 조작에 따라 전진 작동하도록 하여 제1 브레이크 조작 부재(21″)에 연접되는 제1 마스터 피스톤(148)의 전단을 제2 차륜 브레이크(BFB)에 접속되는 제1 액압실(149)에 향하게 한 제1 마스터 실린더(M1)와, 제1 액압실(149)에 항상 통하는 제2 액압실(159)에 전단을 향하게 한 제2 마스터 피스톤(158)이 그 후퇴시에는 제2 액 압실(159)의 액압을 해방하도록 하여 실린더체(14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이루어지는 제2 마스터 실린더(M2)와, 제1 차륜 브레이크(BRC)의 소정치 이상의 브레이크 반력을 제2 마스터 피스톤(158)에 그 전진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반력 전달 수단(26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In the interlocking brake apparatus of a vehic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ake-operate the 2nd wheel brake BFB by operating the 1st brake operating member 21 "for brake operation of the 1st wheel brake BRC, The 1st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wheel brake BFB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master piston 148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operating member 21 ″ is driven fo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operating member 21 ″. The first master cylinder M1 facing the chamber 149 and the second master piston 158 facing the front end in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which always communicates with the first hydraulic chamber 149, at the time of the retraction The second master cylinder M2 slidably fitted to the cylinder body 146 to releas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59 and the brake reaction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first wheel brake BRC are second The former on the master piston 158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ction force transmission means (26D) capable of acting in a direction.
KR1020050038092A 2004-08-27 2005-05-06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KR1006882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8624 2004-08-27
JP2004248624A JP4555630B2 (en) 2004-08-27 2004-08-27 Vehicle brak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942A true KR20060045942A (en) 2006-05-17
KR100688220B1 KR100688220B1 (en) 2007-03-02

Family

ID=3609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92A KR100688220B1 (en) 2004-08-27 2005-05-06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55630B2 (en)
KR (1) KR100688220B1 (en)
CN (1) CN100364851C (en)
BR (1) BRPI0503184A (en)
TW (1) TWI26746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981B1 (en) * 2006-06-07 2007-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ptical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231B2 (en) * 2008-01-31 2012-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motorcycles
CN101918267B (en) * 2008-01-31 2012-10-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Interlock brake apparatus of motorcycle
JP4980278B2 (en) * 2008-03-28 2012-07-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motorcycles
JP5425491B2 (en) * 2009-02-17 2014-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ir cleaner structure for motorcycles
JP5153710B2 (en) * 2009-03-31 2013-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saddle-ride type vehicles
JP5216712B2 (en) 2009-07-31 2013-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brake equipment
JP5351779B2 (en) * 2010-01-13 2013-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ing system for motorcycles
JP5351780B2 (en) * 2010-01-13 2013-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ing system for motorcycles
JP5333266B2 (en) * 2010-01-28 2013-11-06 スズキ株式会社 Brake device for electric motorcycle
JP5546904B2 (en) * 2010-02-26 2014-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addle riding vehicle
JP5656677B2 (en) * 2011-02-14 2015-0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rake equipment for motorcycles
JP5695550B2 (en) * 2011-12-14 2015-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rake equipment for motorcycles
CN102514561B (en) * 2011-12-20 2013-10-09 胡达广 Tandem brake system
JP5907639B2 (en) * 2012-01-31 201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rake device for motorcycle
JP5887241B2 (en) * 2012-09-27 2016-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motorcycles
JP6000873B2 (en) * 2013-02-27 2016-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Pedal-linked brake device for motorcycles
MX361900B (en) * 2013-03-21 2018-12-17 Honda Motor Co Ltd Brake devic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CN103395414B (en) * 2013-08-08 2015-07-15 重庆银钢科技(集团)有限公司 Linkage brake balancing structure of two-wheel vehicle
JP6425349B2 (en) * 2015-09-18 2018-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straddle type vehicles
JP6518753B2 (en) * 2016-12-09 2019-05-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straddle type vehicles
JP6793177B2 (en) * 2018-12-27 2020-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Front-rear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saddle-mounted vehicles
CN113423640B (en) * 2019-01-07 2023-02-28 印度商宜诺摩托克普有限公司 Parking brake system with side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22806Y1 (en) * 1964-02-28 1966-11-16
JPS5286640A (en) * 1976-01-12 1977-07-19 Honda Motor Co Ltd Brake unit for motor cycle
JPS613772U (en) * 1984-06-15 1986-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disc brake device
JP3270194B2 (en) * 1993-05-10 2002-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vehicles
JPH07196069A (en) * 1993-12-29 1995-08-01 Honda Motor Co Ltd Brake device for motorcycle
JPH07196067A (en) * 1993-12-29 1995-08-01 Honda Motor Co Ltd Brake device for motorcycle
JP3447403B2 (en) * 1994-11-30 2003-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braking device
JP3608123B2 (en) * 1995-09-25 2005-01-05 日信工業株式会社 Bar handle vehicle brake system
JPH09104382A (en) * 1995-10-11 1997-04-22 Nissin Kogyo Kk Brake device for motorcycle
KR100238638B1 (en) * 1996-03-25 2000-01-15 가와모토 노부히코 Fore and aft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EP0841839A1 (en) * 1996-11-06 1998-05-13 ATOTECH Deutschland GmbH Process for structuring plastic surfaces, particularly for the manufacture of means for irreversible information storage
JP2000053064A (en) * 1998-08-07 2000-02-22 Nissin Kogyo Kk Brake device for bar-handle vehicle
JP4206181B2 (en) * 1999-12-15 2009-0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terlocking brake device
JP3769167B2 (en) * 2000-03-31 2006-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Front and rear wheel brake interlock device for vehicles
JP3769169B2 (en) * 2000-03-31 2006-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Front / rear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981B1 (en) * 2006-06-07 2007-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ptic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4851C (en) 2008-01-30
TW200607688A (en) 2006-03-01
CN1740045A (en) 2006-03-01
JP2006062559A (en) 2006-03-09
TWI267462B (en) 2006-12-01
KR100688220B1 (en) 2007-03-02
BRPI0503184A (en) 2006-04-11
JP4555630B2 (en)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220B1 (en)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a vehicle
EP2684788B1 (en) Straddle type vehicle interlocking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US9267560B2 (en) Bicycle disc brake rotor assembly and bicycle disc brake rotor
TWI554434B (en) Straddle type vehicle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JP6097993B2 (en) Front / rear interlocking brake mechanism
CN110023184B (en) Synchronous braking system
CN104875836B (en) Motorcycle
CA1184859A (en) Bicycle braking system
JP3706847B2 (en) Braking device for motorcycle
JP4318780B2 (en) Braking device for motorcycle
US20090266654A1 (en) Elastomeric stabilizers for brake caliper assembly on utility vehicle
JP2901385B2 (en) Brake operating device for bicycle
JP6012682B2 (en) Interlocking brake system for saddle-ride type vehicles
JPH07329747A (en) Braking device for motor-bicycle
JPH08104280A (en) Longitudinal interlocking brake device for vehicle
JP2018177201A (en) Saddle type vehicle
CN216943433U (en) Linkage brake system
EP3919362B1 (en) Multi-rod disc brake
US6607056B2 (en) Brake apparatus for a bicycle and bicycle comprising this apparatus
JP4392005B2 (en) Motorcycle braking device
JP4294897B2 (en) Brake structure of motorcycle
JP2018021657A (en) Drum brake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installed with the same
JPH10267059A (en) Brake device and method for cabling control cable
JPH0727255Y2 (en) Brake device for vehicle
WO2018124065A1 (en) Saddl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