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213A -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213A
KR20060045213A KR1020040092278A KR20040092278A KR20060045213A KR 20060045213 A KR20060045213 A KR 20060045213A KR 1020040092278 A KR1020040092278 A KR 1020040092278A KR 20040092278 A KR20040092278 A KR 20040092278A KR 20060045213 A KR20060045213 A KR 2006004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ube
bubble
generating means
bubb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212B1 (ko
Inventor
김성삼
Original Assignee
(주)가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보 filed Critical (주)가보
Priority to KR102004009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2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4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8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음량에 연동하는 수조(15)에 있어서: 상기 수조(15)의 변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전선통로를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수조(15) 내부를 연통하여 설치되는 기포발생수단(20)(30); 상기 수조(15)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분산 배치되는 램프(41)(42)를 구비하는 조명수단(40); 및 상기 외부의 음량을 마이크로폰(51)으로 입력하여 분석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기포발생수단(20)(30)과 조명수단(40)을 작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20)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어 튜브(26)로 연결되는 분출판(21)과, 상기 각각의 분출판(21)에 인접하여 튜브(26)상에 설치되는 전자밸브(22)와, 상기 튜브(26)의 타단에 배관 연결되는 에어펌프(2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각종 영상/음향기기의 주변에 배치하고 그 발생되는 음량에 연동하여 기포와 조명이 자동적으로 연출되도록 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 측면의 시각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조, 음향, 기포, 마이크로폰, 조명

Description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Water tank device actuated with s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포발생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조명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프레임 15: 수조
20, 30: 기포발생수단 21: 분출판
22: 전자밸브 25: 에어펌프
31: 분출관 35: 기포발생기
40: 조명수단 41, 42: 램프
50: 제어수단 51: 마이크로폰
55: 마이콤 58: 모드스위치
본 발명은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영상/음향기기의 주변에 배치하고 그 발생되는 음량에 연동하여 기포와 조명이 자동적으로 연출되도록 함에 따라 시각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용 어류를 기르는 수조(어항)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관련되는 종래의 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3-22690호의 "수족관용 기포발생기"에 개시되는 것처럼 기포발생기의 기능이나 미관을 향상하거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14708호의 "수족관용 기포발생기"에 개시되는 것처럼 기포발생기의 배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한편, LCD, PDP, OLED 등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각종 영상기기는 고화질, 대형화, 고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주기능이 아닌 음향기기에서도 시각적 기능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음향기기에 있어서는 조작패널 상으로 이퀄라이저 작동 상태의 동적으로 표시하는 정도이다. 일반 가정의 경우 영상/음향기기는 동일한 거실 공간 내에서 수조 등의 다른 장식품과 함께 특별한 인테리어 컨셉 없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수조는 생명체를 보호해야 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단순하게 기포를 분출하는 정도의 정적인 동작에 국한되므로 영상/음향기기와 조화되는 모티브 인테리어를 추구하는 측면에서 미흡하다. 그러나 실제 수조와 흡사한 다양한 인공 수조가 출시되고 있는 것은 동적인 표현에 연계될 가능성을 높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각종 영상/음향기기의 주변에 배치하고 그 발생되는 음량에 연동하여 기포와 조명이 자동적으로 연출되도록 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 측면의 시각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의 음량에 연동하는 수조(15)에 있어서: 상기 수조(15)의 변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전선통로를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수조(15) 내부를 연통하여 설치되는 기포발생수단(20)(30); 상기 수조(15)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분산 배치되는 램프(41)(42)를 구비하는 조명수단(40); 및 상기 외부의 음량을 마이크로폰(51)으로 입력하여 분석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기포발생수단(20)(30)과 조명수단(40)을 작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상기 기포발생수단(20)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어 튜브(26)로 연결되는 분출판(21)과, 상기 각각의 분출판(21)에 인접하여 튜브(26)상에 설치되는 전자밸브(22)와, 상기 튜브(26)의 타단에 배관 연결되는 에어펌프(2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발생수단(30)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는 분출판(31)과, 상기 분출관(31)에 연결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분출관(32)과, 상기 분출판(31)에 외부로 배관 연결되는 기포발생기(35)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어수단(50)은 마이크로폰(51)의 음량 입력치에 비례하여 기포발생수단(20)(30)의 기포량을 증감하고, 조명수단(40)의 램프(41)(42)의 조도를 증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포발생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조명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음량에 연동하는 수조(15)에 관련되며, 통상적인 영상/음향기기에 의한 음량을 기준으로 한다. 수조(15)는 적어도 전면이 투명한 것을 선택하며, 내부에 물을 충전하되 생명체(어류)를 두지 않아도 무방하다. 물 대신에 비휘발성이고 유해성이 없는 다른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전선통로를 구비하는 프레임(10)이 상기 수조(15)의 변부를 감싸도록 부착된다. 프레임(10)은 그 주기능으로서 수조(15)를 보호하는 기계적 강도를 요하지만, 내부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내부'란 수조(15)와 접촉되는 면을 포함한다. 배선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프레임(10)의 일부를 조립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조(15) 내부를 연통하여 기포발생수단(20)(30)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기포발생수단(20)의 일예가 도시되는 것처럼 분출판(21), 전자밸브(22), 튜브(26), 에어펌프(25)로 구성된다. 분출판(21)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어 튜브(26)로 연결되고, 전자밸브(22)는 상기 각각의 분출판(21)에 인접하여 튜브(26)상에 설치되고, 에어펌프(25)는 상기 튜브(26)의 타단에 배관 연결된다.
도 2에서, 분출판(21)은 반구형에 유사하게 하고 표면에 적당한 크기의 기공(21a)을 형성한다. 중앙의 분출판(21)은 크게 하고 주변으로 작은 분출판(21)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튜브(26)는 T형 이음관을 이용하여 직렬로 배관하고, 중앙에서 십자(十字)형 이음관을 이용하여 하나로 모은다. 전자밸브(22)는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에어펌프(25)는 물의 역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도록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설치한다. 에어펌프(25)와 전자밸브(22)를 연결하는 튜브(26)는 프레임(10)에 의해 은폐되도록 한다. 튜브(26)는 수지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동관과 같은 금속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 배치되는 램프(41)(42)를 구비하는 조명수단(40)이 상기 수조(15)의 상측으로 설치된다. 조명수단(40)으로 사용할 램프(41)(42)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다색 LED를 사용하면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도 3처럼 중앙의 제1램프(41)는 크기가 큰 것을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크기가 작은 제2램프(42)를 배치한다. 이는 도 2의 분출판(21)과 동일한 컨셉을 유지하기 위한 예시이며, 램프(41)(42)의 크기, 간격, 색상 등을 다양하게 변형하 여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50)에서 상기 외부의 음량을 마이크로폰(51)으로 입력하여 분석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기포발생수단(20)(30)과 조명수단(40)을 작동한다. 제어수단(50)은 입력부(54)와 출력부(56)를 포함한 마이콤(55) 회로를 활용한다. 입력부(54)는 마이크로폰(51)의 미약한 아날로그 음량 신호를 증폭하고 마이콤(55)에서 독출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출력부(56)는 마이콤(55)의 미약한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에어펌프(25), 전자밸브(22), 조명수단(40)의 전원을 단속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마이크로폰(51)의 음량 입력치에 비례하여 기포발생수단(20)(30)의 기포량을 증감하고, 조명수단(40)의 램프(41)(42)의 조도를 증감한다. 우선 마이크로폰(51)의 신호를 몇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해당하는 작동의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마이크로폰(51)의 메모리에 탑재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5개의 분출판(21) 구성에 의하면 주변 2개, 주변 4개, 중앙, 중앙 + 주변 2개, 중앙 + 주변 4개 등의 5개 작동모드가 가능하다. 유사한 방식으로 램프(41)(42)의 경우에도 적어도 5개의 작동모드가 가능하다. 에어펌프(25)도 저속, 중속, 고속의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분출판(21), 램프(41)(42), 에어펌프(25)를 조합하면 수십 가지의 작동모드를 프로그램화 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음량이 최대일 때 모든 전자밸브(22)를 개방하고 에어펌프(25)를 고속회전하여 전체 분출판(21)에서 기포 분출량을 최대로 하는 동시에 모든 램프(41)(42)를 점등 또는 점멸하여 조도를 최대로 한다.
이와 같은 작동모드를 변경하기 위해 제어수단(50)에 모드스위치(58)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는 분출판(21)에 의한 기포만 연출하고, 제2모드에서는 램프(41)(42)에 의한 조명만 연출하고, 제3모드에서는 기포와 조명을 동시에 연출하도록 설정한다.
한편, 제어수단(50)의 입력부(54)에 필터회로를 구성하여 마이크로폰(51)의 입력치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대역에서 음량을 감소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소음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기포발생수단(30)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는 분출판(31)과, 상기 분출관(31)에 연결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분출관(32)과, 상기 분출판(31)에 외부로 배관 연결되는 기포발생기(35)를 구비한다. 수조(15)의 중앙에 하나의 분출판(31)을 배치하고, 수조(15) 외부의 기포발생기(35)와 연결한다. 분출판(31)에서 4개의 분출관(32)을 분기하여 수조(15)의 수직변부에 고정한다. 분출판(31)과 분출관(32)은 공히 기공(31a)(32a)을 구비한다. 기타 설명하지 않은 프레임(10), 조명수단(40), 제어수단(50)은 전술한 도 1과 동일성을 유지한다.
이때 기포발생기(35)는 일반적인 수조용으로 사용되는 일명 바이브레이터식 펌프이다. 바이브레이터식 펌프는 전자석에서 생기는 진동을 이용해서 챔버속의 공기를 이송하는 방식으로 펌프 가격이 저렴하고 소비전력도 매우 적다. 다만 수조(15)가 대형화 될수록 고압의 에어펌프(25)가 적절하다.
이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분출판(31)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분출관(32)을 사용하면 다른 패턴의 작동이 가능하다. 중앙의 분출판(31)은 전술한 도 1의 분출판(21)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수직의 분출관(32)에서 기공(32a)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이 좋은데, 상층으로 갈수록 기포가 상승하는 높이가 짧으므로 기공(32a)의 크기를 작게 한다.
한편, 수조(15)는 밀폐 구조로 하여 방부성 액체를 충진하고, 에어펌프(25)와 폐회로의 공기유동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조(15)는 청소 등의 별다른 관리 없이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각종 영상/음향기기의 주변에 배치하고 그 발생되는 음량에 연동하여 기포와 조명이 자동적으로 연출되도록 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 측면의 시각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부의 음량에 연동하는 수조(15)에 있어서:
    상기 수조(15)의 변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전선통로를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수조(15) 내부를 연통하여 설치되는 기포발생수단(20)(30);
    상기 수조(15)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분산 배치되는 램프(41)(42)를 구비하는 조명수단(40); 및
    상기 외부의 음량을 마이크로폰(51)으로 입력하여 분석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기포발생수단(20)(30)과 조명수단(40)을 작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20)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어 튜브(26)로 연결되는 분출판(21)과, 상기 각각의 분출판(21)에 인접하여 튜브(26)상에 설치되는 전자밸브(22)와, 상기 튜브(26)의 타단에 배관 연결되는 에어펌프(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발생수단(30)은 수조(15)의 내면에 설치되는 분출판(31)과, 상기 분출관(31)에 연결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분출관(32)과, 상기 분출판(31)에 외부로 배관 연결되는 기포발생기(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은 마이크로폰(51)의 음량 입력치에 비례하여 기포발생수단(20)(30)의 기포량을 증감하고, 조명수단(40)의 램프(41)(42)의 조도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KR1020040092278A 2004-11-12 2004-11-12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KR10066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78A KR100662212B1 (ko) 2004-11-12 2004-11-12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78A KR100662212B1 (ko) 2004-11-12 2004-11-12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213A true KR20060045213A (ko) 2006-05-17
KR100662212B1 KR100662212B1 (ko) 2007-01-03

Family

ID=3714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278A KR100662212B1 (ko) 2004-11-12 2004-11-12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2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9945A (zh) * 2013-06-06 2013-09-18 中山市海宝电器有限公司 一种台式多功能鱼缸
CN110050730A (zh) * 2019-05-23 2019-07-26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测试鱼类对气泡幕与灯光趋向行为的实验装置及方法
KR20200005420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과학기술원 인터랙티브 어항 시스템, 그리고 이의 인터랙션 제공 방법
US11096381B2 (en) 2018-07-06 2021-08-2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ractive fish tank system, and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9945A (zh) * 2013-06-06 2013-09-18 中山市海宝电器有限公司 一种台式多功能鱼缸
KR20200005420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과학기술원 인터랙티브 어항 시스템, 그리고 이의 인터랙션 제공 방법
US11096381B2 (en) 2018-07-06 2021-08-2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ractive fish tank system, and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CN110050730A (zh) * 2019-05-23 2019-07-26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测试鱼类对气泡幕与灯光趋向行为的实验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212B1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454B2 (en) Electronic fountain candle
US7992801B2 (en)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US809667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lit display on appliances and equipment
US6276612B1 (en) Synchronized fountain and method
KR100662212B1 (ko) 음향에 반응하는 수조장치
CN103813225B (zh) 一种照明音箱
US20080104869A1 (en) Bubble display system
KR101150540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수중 기포발생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3155655U (ja) 芳香拡散装置
CN101669781A (zh) 一种分体式多功能足浴盆
CN207887437U (zh) 音乐模型灯光展示装置
JP3222218U (ja) 鑑賞用水槽
CN208355247U (zh) 商用电磁电饭煲整体防水结构及商用电磁电饭煲
US11815255B2 (en) Lamp
JP2005348775A (ja) スロットマシン
CN217603933U (zh) 多功能助眠灯具
CN216219575U (zh) 增加观赏性的新型鱼缸
CN213362732U (zh) 一种可远程定制图案的喷雾仪
CN216814323U (zh) 一种雾化壁炉
CN201664244U (zh) 一种分体式功能型足浴盆
CN214468160U (zh) 一种水族箱水下弧形led灯带
JPS61296381A (ja) デイスプレイ装置
KR200287982Y1 (ko) 폭포를 구비한 어항
KR200246348Y1 (ko) 분수대
CN1059539C (zh) 音响动态发光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