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688A -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688A
KR20060044688A KR1020050024533A KR20050024533A KR20060044688A KR 20060044688 A KR20060044688 A KR 20060044688A KR 1020050024533 A KR1020050024533 A KR 1020050024533A KR 20050024533 A KR20050024533 A KR 20050024533A KR 20060044688 A KR20060044688 A KR 20060044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retardation film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8Polarisers with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larisation di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2Number of plates being 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개구율을 확보함과 함께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킨다.
한 쌍의 기판 (21, 22) 사이에 협지된 액정 (3) 에 대하여 상기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일방의 상기 기판 (21) 의 비액정측에 배치되는 위상차 필름 (4) 과, 그 위상차 필름 (4) 의 비기판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 (3) 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판 (51) 과, 타방의 상기 기판 (22) 의 비액정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 (3) 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판 (52) 을 구비한다.
액정표시장치, 위상차 필름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화소전극, 공통전극 및 액정분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검토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검토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검토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검토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검토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검토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액정표시장치의 최상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표시장치 21, 22 : 기판
3 : 액정층 (액정) 31 : 액정분자
4 : 위상차 필름 51 : 제 1 편광판
52 : 제 2 편광판 6 : 화소전극
7 : 공통전극 81, 82 : 배향막
L1, L2 : 투과축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6087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48826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80424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33408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42462호
[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55341호
[특허문헌 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95310호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N (Twisted Nematic) 액정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종래부터 시야각이 좁은 것이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액정에 대 하여 기판면과 평행한 전계 (이하 횡전계라 함) 를 인가함으로써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는 인플레인 스위칭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도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 흑표시인 경우에는 광 누설이 생기고, 백표시인 경우에는 파란색이나 노란색으로 착색된다는 표시특성의 열화가 생긴다.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액정에 횡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 모양으로 형상 설정함으로써 백표시에서의 착색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구체적으로는, 전극을 < 모양으로 형상 설정함으로써 한 화소 내에서 2개의 액정동작영역을 형성하여, 일방의 액정동작영역에서의 백표시가 파란색으로 착색되게 하고, 타방의 액정동작영역에서의 백표시가 노란색으로 착색되게 한다. 파란색과 노란색은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한 화소에서의 백표시의 착색이 방지된다.
그러나, 전극을 < 모양으로 형상 설정한 경우에는, 종래의 직사각형 전극을 갖는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전극형상이 복잡해져, 한 화소에서의 개구율 확보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 모양 구조의 전극은 고정세인 화질이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채용하기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구율이 확보됨과 함께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표시특성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에 대하여 상기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일방의 상기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는 위상차 필름과, 그 위상차 필름의 비기판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판과, 타방의 상기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일방의 상기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는 위상차 필름 위에, 그 위상차 필름의 비기판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판이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위상차 필름을 통하여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는 제 1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이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어, 광각측에서 본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위상차 필름을 개재하여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는 제 1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을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함으로써 광각측에서 본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극형상을 < 모양으로 형성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한 화소에서의 개구율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광 누설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어, 광각측에서 본 표시특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위상차 필름을 복수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위상차 필름은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에 복수의 위상차 필름을 배치한 경우에도,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어, 광각측에서 본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반대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복수의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경우, 어떤 위상차 필름을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하고 다른 위상차 필름을 타방의 기판측에 배치하면,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광 누설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복수의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에 모든 위상차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0.6 이고 또 상기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100∼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Nz 값이란 하기 식 (1) 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고, 면내 위상차 (R) 란 하기 식 (2) 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다. 또한 하기 식 (1), (2) 에서 nx 는 위상차 필름의 면에 대하여 평행한 X 방향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이고, ny 는 위상차 필름의 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이고, nz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Z 방향) 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이고, d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이다.
Nz=(nx-nz)/(nx-ny) (1)
R=(nx-ny)×d (2)
이러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흑표시의 광 누설 및 백표시의 착색을 억제할 수 있어, 광각측에서 본 표시특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한 화소에서의 개구율을 확보함과 함께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표시특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의하면 전자기기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에서 각 부재 및 각 층을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 각 부재 및 각 층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는 한 쌍의 기판 (21, 22) 과, 그 기판 (21, 22) 에 의해 협지되는 액정층 (3 ; 액정) 과, 기판 (21) 의 비액정층측에 배치되는 위상차 필름 (4) 과, 그 위상차 필름 (4) 의 비기판측에 배치되는 제 1 편광판 (51) 과, 기판 (22) 의 비액정층측에 배치되는 제 2 편광판 (52) 과, 화소전극 (6) 과, 공통전극 (7)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 는, 화소전극 (6), 공통전극 (7) 및 액정분자 (31) 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 (1) 를 상면에서 본 것이다.
기판 (21, 22) 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에서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판 (22 ; 타방의 기판) 위에는 지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소전극 (6) 및 공통전극 (7)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화소전극 (6) 및 공통전극 (7) 은 투광성을 갖는 도전재료 (예를 들어 ITO 등) 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 에서는 화소전극 (6) 을 2개, 공통전극 (7) 을 3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기판 (21) 위에는 각 화소에 대응하는 수만큼 화소전극 (6) 이 배치되어 있고, 이 화소전극 (6) 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공 통전극 (7)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화소에 대하여 1개의 화소전극을 대응시켜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화소전극을 각 화소에 대응하여 배치해도 된다.
기판 (22) 아래에는 제 2 편광판 (52)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편광판 (5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전극 (6) 및 공통전극 (7) 의 연장방향 (L3) 에 대하여 좌회전으로 70°기울어진 투과축 (L2) 을 갖고 있고, 액정표시장치 (1) 의 하방에서 입사하는 광 중 투과축 (L2) 과 평행한 성분만을 통과하는 것이다.
또한 기판 (22) 위에는 화소전극 (6) 및 공통전극 (7) 을 덮도록 배향막 (82)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향막 (82) 은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박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투과축 (L2) 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러빙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기판 (21 ; 일방의 기판) 아래에는, 기판 (22) 위에 배치된 배향막 (82) 과 동일방향으로 러빙 처리된 배향막 (81)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층 (3) 은 기판 (21) 과 기판 (22) 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즉, 액정층 (3) 은 기판 (21) 과 기판 (22) 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배향막 (81, 82) 과 접촉상태로 되어 있다.
또 기판 (21) 위에는 제 1 편광판 (51)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편광판 (5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편광판 (52) 의 투과축 (L2) 에 대하여 직교하는 투과축 (L1) 을 갖고, 액정층 (3) 을 투과한 광 중 투과축 (L1) 과 평행한 성분만을 통과하는 것이다. 또 기판 (21) 과 기판 (22) 은 도시하지 않는 시일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향막 (81) 및 배향막 (82)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투과축 (L2) 과 직교하는 방향, 즉 투과축 (L1) 과 평행한 방향으로 러빙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층 (3) 의 액정분자 (3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편광판 (51) 의 투과축 (L1) 과 평행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는, 위상차 필름 (4) 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제 1 편광판 (51) 의 투과축 (L1) 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에서, 화소전극 (6) 및 공통전극 (7) 에 의해 액정층 (3) 에 전계를 인가하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계를 따라 액정분자 (31) 가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편광판 (52) 을 통하여 액정층 (3) 에 입사한 광이 액정분자 (31) 에 의해 복굴절됨으로써 광의 편광방향이 90° 회전된다. 이 때문에, 액정층 (3) 내를 통과한 광이 위상차 필름 (4) 및 제 1 편광판 (51) 을 통하여 액정표시장치 (1) 로부터 출사되어 액정표시장치 (1) 에서 백표시를 할 수 있다.
또, 액정층 (3) 에 전계를 인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정분자 (3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향막 (81, 82) 의 러빙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편광판 (52) 을 통하여 액정층 (3) 에 입사한 광이 편광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없이 제 1 편광판 (51) 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액정층 (3) 내를 통과한 광이 제 1 편광판 (51) 에 의해 차광되어 액정표시장치 (1) 에서 흑표시를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 을 참조하여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편광판 (51, 52) 의 투과축과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4 는 액정분자의 배향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의 관계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A), (B) 는 위상차 필름 (4) 을 구비하지 않는 액정표시장치이며, (A) 가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편광판 (51) 의 투과축을 평행하게 한 구성의 액정표시장치이고, (B) 가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편광판 (52) 의 투과축을 평행하게 한 구성의 액정표시장치이다.
또한 (a)∼(d) 는 (A)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며, (a)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b)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c)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d)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또한 (e)∼(h) 는 (B)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며, (e)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f)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g)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h)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또한 (i)∼(l) 은 (A)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2장의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액정표시장치이며, (i)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j)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k)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l) 이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또한 (m)∼(p) 는 (B)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2장의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액정표시장치이며, (m) 이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 시장치이고, (n) 이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o)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p) 가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또한 (q)∼(t) 는 (A)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각각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며, (q) 가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r) 이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s)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하여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t)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하여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또한 (u)∼(x) 가 (B) 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각각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며, (u) 가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v) 가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w)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하여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고, (x) 가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하여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또, 편광판 (51) 과 편광판 (52) 의 투과축은 항상 직교하고 있으며,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3 이고 면내 위상차 (R) 가 140㎚ 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서는, 기판 (21, 22), 화소전극 (6), 공통전극 (7) 및 배향막 (81, 82)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a)∼(x) 의 액정표시장치에서의 검토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표에서는 (A), (B) 를 기준 구성의 액정표시장치로 하여, 비전계 인가시, 즉 흑표시에 있어서, 방위각 방향 25°, 극각 방향 60°(광각측) 에서 관찰한 경우에, 기준 구성의 액정표시장치보다 투과광량이 낮은 경우를 「
Figure 112005015529315-PAT00001
」, 높은 경우를 「×」로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방위각 방향이란, 도 2(b) 에서의 지면 우측방향을 0°로 하여 좌측으로 돌면서 증가 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도 2(b) 에서의 지면 상방향이 90°, 지면 좌측방향이 180°, 지면 하방향이 270°로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극각 방향이란 액정표시장치의 법선방향에서의 각도이고, 액정표시장치의 정면이 0°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인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b) 인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g) 인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h) 인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i) 인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j) 인 편광판 (51)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o) 인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직교로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p) 인 편광판 (52) 측에 지상축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된 위상차 필름 (4) 을 2장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기준이 되는 액정표시장치보다도 투과광량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위상차 필름 (4) 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편광판 (51 ; 또는 52) 의 투과축 방향을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함으로써, 기준이 되는 액정표시장치보다도 투과광량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흑표시에서의 투과광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광 누설이 억제되게 되어, 액정표시장치를 광각측에서 본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는, 위상차 필름 (4) 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제 1 편광판 (51) 의 투과축 (L1) 이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에 의하면,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본 경우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반대로 도 5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제 2 편광판 (52) 의 투과축 (L2) 을 액정분자 (31) 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제 2 편광판 (52) 측에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하는, 즉 본 발명의 일방의 기판으로서 기판 (22) 을 사용한 경우에도, 흑표시를 광각측에서 본 경우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편광판 (51) 측 및 편광판 (52) 측에 각각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u)∼(x) 는, 기준이 되는 액정표시장치보다도 투과광량이 낮아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2장 (복수) 의 위상차 필름 (4) 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액정분자 (31) 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판측 (일방의 기판의 비액정측) 에 모든 위상차 필름 (4) 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 및 위상차 필 름 (4) 의 지상축 방향을 변화시킨 경우에서의 흑표시의 밝기와 위상차 필름 (4) 의 면내 위상차 (R) 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에 관해 설명한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Nz 값은 위상차 필름 (4) 의 면에 대하여 평행한 X 방향에서의 위상차 필름 (4) 의 굴절률을 nx 로 하고, 위상차 필름 (4) 의 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에서의 위상차 필름 (4) 의 굴절률을 ny 로 하고, 위상차 필름 (4) 의 두께 방향 (Z 방향) 에서의 위상차 필름 (4) 의 굴절률을 nz 로 한 경우에 하기 식 (1) 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고, 또한 면내 위상차 (R) 는 위상차 필름 (4) 의 두께를 d 로 한 경우에 하기 식 (2) 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다.
Nz=(nx-nz)/(nx-ny) (1)
R=(nx-ny)×d (2)
또한 본 검토에서는, 액정표시장치 (1) 를 극각 방향이 60°(광각측) 인 상태에서 4개의 방위각 방향 25°, 70°, 160°, 205°에서 관찰한 것이고, 도 6 및 도 7 에서 방위각 25°인 경우가 그래프 A, 방위각 70°인 경우가 그래프 B, 방위각 160°인 경우가 그래프 C, 방위각 205°인 경우가 그래프 D 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액정층 (3) 의 위상차값은 0.33㎛ 로 하고, 제 1 편광판 (51) 의 투과축은 액정분자 (31) 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하고 있다.
도 6 은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a) 가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 인 경우, (b)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 인 경우, (c) 가 위상차 필름 의 Nz 값이 0.6 인 경우, (d)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1.0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6 으로부터, (b) 및 (c) 에 나타내는 그래프 B 및 그래프 C 가, 위상차 필름 (4) 의 면내 위상차가 100∼250㎚ 에서 흑표시의 밝기가 낮아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흑표시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3∼0.6 이고 또 위상차 필름 (4) 의 면내 위상차가 100∼250㎚ 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 은,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직교로 된 상태에서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a) 가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 인 경우, (b)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 인 경우, (c)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6 인 경우, (d)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1.0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7 의 (a)∼(d) 에 나타내는 그래프 A∼D 와 도 6 의 (a)∼(d) 에 나타내는 그래프 A∼D 를 비교한 경우에는, 도 6 의 (a)∼(d) 에 나타내는 그래프 A∼D 쪽이 도 7 의 (a)∼(d) 에 나타내는 그래프 A∼D 보다도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의 흑표시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 및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을 변화시킨 경우에서의 백표시의 착색 (채도차(ΔC*)) 과 위상차 필름 (4) 의 면내 위상차 (R) 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에 관해 설명한다. 또 본 검토에서는, 액정표시장치 (1) 를 극각방향이 60°(광각측) 인 상태에서 4개의 방위각 방향 25°, 115°, 205°, 295°에서 관찰한 것이고, 도 8 및 도 9 에서 방위각 25°인 경우가 그래프 A, 방위각 115°인 경우가 그래프 B, 방위각 205°인 경우가 그래프 C, 방위각 295°인 경우가 그래프 D 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액정층 (3) 의 위상차값은 0.33㎛ 로 하고, 제 1 편광판 (51) 의 투과축은 액정분자 (31) 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8 은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a) 가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 인 경우, (b)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 인 경우, (c)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6 인 경우, (d)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1.0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 는,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직교로 된 상태에서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a) 가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 인 경우, (b)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 인 경우, (c)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6 인 경우, (d) 가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1.0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8 및 도 9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 및 지상축 방향에 상관없이 위상차 필름 (4) 의 면내 위상차가 150∼250㎚ 인 경우 에 채도차, 즉 백표시의 착색이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도 6∼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 (1) 에서는 보다 좋은 표시특성을 실현하기 위해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과 액정분자 (31) 의 배열방향이 평행하게 되고, 또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0.6 이고 또한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100∼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최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최상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또, 이 도면에서 도 1 에 나타낸 화소전극 (6), 공통전극 (7) 및 배향막 (81, 82) 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최상의 구성은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그 위상차 필름 (4) 을 개새하여 배치되는 제 1 편광판 (51) 의 투과축 방향이 액정분자의 배향방향 및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위상차 필름 (4) 의 Nz 값이 0.3, 면내 위상차가 170㎚ 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을 < 모양으로 형상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의 개구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 (4) 의 지상축과 액정분자 (31) 의 배열방향이 평행하게 되고,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170㎚ 으 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흑표시의 밝기 및 백표시의 착색이 저감되어, 보다 양호한 표시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휴대전화 (1300) 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작은 사이즈의 표시부 (1301) 로서 구비하고, 복수의 조작버튼 (1302), 수화구 (1303) 및 송화구 (1304)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전화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북, PC,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직시형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카 내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수첩, 전자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전화, POS 단말, 터치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등의 화상표시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떤 전자기기에서도 밝고 넓은 시야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 나타낸 각 구성부재의 모든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에서 일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에서의 배향막 (81) 과 기판 (21) 사이에 컬러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마다 RGB 의 컬러필터 를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응용한 경우에는, 각 색을 표시할 때의 착색이 억제되고 또 흑표시할 때의 밝기가 저감된 액정표시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율이 확보됨과 함께 광각측에서 관찰한 경우에서의 표시특성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에 대하여 상기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일방의 상기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는 위상차 필름,
    그 위상차 필름의 비기판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투과축을 갖는 제 1 편광판, 및
    타방의 상기 기판의 비액정측에 배치되고 또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투과축을 갖는 제 2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을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3∼0.6 이고 또 상기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 상차가 100∼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50024533A 2004-05-20 2005-03-24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KR200600446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0463 2004-05-20
JP2004150463A JP4069900B2 (ja) 2004-05-20 2004-05-20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88A true KR20060044688A (ko) 2006-05-16

Family

ID=3537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533A KR20060044688A (ko) 2004-05-20 2005-03-24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59199A1 (ko)
JP (1) JP4069900B2 (ko)
KR (1) KR20060044688A (ko)
CN (1) CN1700064A (ko)
TW (1) TWI2638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5036A (ja) * 2007-06-06 2008-12-18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5628611B2 (ja) * 2010-09-16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3152430A (ja) * 2011-12-26 2013-08-08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705A (ko) * 2002-04-01 2003-10-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시스템
US6937308B2 (en) * 2002-07-26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ompensation film
JP3851919B2 (ja) * 2004-12-20 2006-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218940A (ja) * 2006-02-14 2007-08-30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69900B2 (ja) 2008-04-02
TWI263843B (en) 2006-10-11
JP2005331745A (ja) 2005-12-02
US20050259199A1 (en) 2005-11-24
TW200538819A (en) 2005-12-01
CN1700064A (zh)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967B1 (ko)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 표시 장치
US7948592B2 (en) Display device for increasing viewing angle
KR100816145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US80542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8829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201000608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20314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743758A2 (en) Optical compensation films for LCDs of both in-plane switching (IPS) and "advanced super-dimension" switching (ADSDS or ADS) types
US629224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n-plane switching mode having rectangular pixel and counter electrodes
CN103713423A (zh) 液晶显示装置
KR20110018776A (ko) 표시장치
US665769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044688A (ko) 액정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US68764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wide viewing angl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42306B1 (ko)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US7268847B2 (en) In-plane switching mode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wo domains
US20040257514A1 (en) In-plane switching mode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olor shift
US20220137450A1 (en) Methods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polarizers
KR101461094B1 (ko) 표시장치
JP5291871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540314B1 (ko) 표시장치
KR100488932B1 (ko) 트위스트네마틱액정표시장치
US20080158494A1 (en)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0071451A (ko) 액정 표시 장치
CN101025513A (zh) 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